KR100895539B1 -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 - Google Patents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539B1
KR100895539B1 KR1020070098856A KR20070098856A KR100895539B1 KR 100895539 B1 KR100895539 B1 KR 100895539B1 KR 1020070098856 A KR1020070098856 A KR 1020070098856A KR 20070098856 A KR20070098856 A KR 20070098856A KR 100895539 B1 KR100895539 B1 KR 10089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pace
separator
container
mold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697A (ko
Inventor
김형욱
Original Assignee
성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5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0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in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82Mould cavity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을 이용한 용기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 제작방법 및 그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측 또는 여러 개의 금형부들과 각 금형부가 맞닿는 결합부분에 삽입되는 분리막을 조립하여 좌우측 또는 여러 개의 독립된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각 금형부 내부에 예비성형물을 각각 주입 및 팽창시켜 완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만들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을 제공한다.
멀티 스페이스 용기, 분리된 밀폐공간, 독립된 성형공간, 분리막, 블로우 성형, 금형

Description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 {Blow Molding and Its Molds for Multi Space Bottles}
본 발명은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을 이용한 용기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 제작방법 및 그 금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소위 '멀티 스페이스 용기'는 샴푸와 린스 (경우에 따라서 물비누까지), 설탕과 프림 (경우에 따라서 커피와 시럽도) 등 연관되어 같이 사용되는 물질의 보관에 매우 유용하다.
기존의 블로우 성형법과 그에 관한 금형으로는 오로지 단일공간의 용기만을 제작할 수 있고, 상술한 '멀티 스페이스 용기' 제작에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블로우 성형방법과 그에 관한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블로우용 금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금형을 이용한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작(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측 또는 여러 개의 금형부들과 각 금형부가 맞닿는 결합부분에 삽입되는 분리막을 조립하여 좌우측 또는 여러 개의 독립된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각 금형부 내부에 예비성형물을 각각 주입 및 팽창시켜 완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만들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독립된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각 금형부의 개방면이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각 금형부의 결합면에 분리막을 삽입하여, 분할된 복수의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각 금형부의 독립된 성형공간에 예비성형물을 각각 주입하고, 상기 각 예비성형물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팽창시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작할 수 있는 블로우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금형을 이용하여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작(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금형과 성형법으로는 만들 수 없었던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만들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에 관한 금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제 1 실시예, 즉 두 개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나타낸 분리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금형은 제 1 금형부(110)와 제 2 금형부(120)가 미리 준비해 둔 분리막(130)과 함께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막(130)은 각 금형 부(110, 120)가 맞닿는 부분에 장치된 지지틀(115, 125)에 삽입된다.
금형부들이 조립되면 각 금형부의 내벽과 삽입된 분리막(130)으로 둘러싸인 2 개의 독립된 성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금형부(110)와 제 2 금형부(120)는 반복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분리막(130)은 금형조립의 일부인 동시에 완제품의 일부가 된다. 즉 하나의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작할 때마다 하나의 분리막(130)이 소모된다. 따라서, 분리막(130)은 블로우 성형될 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금형부(110)는 우측면(114)이 개방되어 있고, 상면(112)에는 예비성형물이 주입되는 입구(113)가 있다. 개방된 우측면(114)에는 개방면보다 약간 넓은 분리막(1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틀(115)이 특별히 마련되어 있다. 제 2 금형부(120)는 제 1 금형부(110)와 분리막(130)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태로, 제 1 금형부(110)의 우측면(114)에 결합되는 개방된 좌측면(124)에도 상술한 지지틀(115)과 동일한 지지틀(125)이 장치된다.
블로우 성형직전, 상기 분리막(130)은 도 3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양측 지지틀(115, 125)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우측 금형부(110, 120)와 함께 조립된다. 따라서 제 1 금형부(110)는 그 금형의 내벽과 분리막(130)의 좌측면(131)에 의하여 독립된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제 2 금형부(120) 역시 그 금형의 내벽과 분리막(130)의 우측면(132)에 의하여 또 다른 독립된 성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금형(제 1 실시예)을 이용한 초기 및 후기 성형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금형부(110, 120) 와 분리막(130)이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예비성형물(210, 220)이 각 금형부의 입구(113, 123)로 주입된다. 이 상태에서 각 금형부의 입구(113, 123)를 막고, 이 입구(113, 123)에 각각의 주입관(230, 240)이 삽입된다. 각 주입관(230, 240)을 통하여 열기체를 동시에 불어 넣어 예비성형물(210, 220)이 점차로 팽창되어, 도 4와 같이 좌우측 금형부(110, 120) 내벽과 분리막(13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각 금형부(110,120)의 내벽과 삽입된 분리막(130)의 양표면(131, 132)을 따라 대칭적으로 팽창하는 예비성형물(210, 220)의 일부는 좌우측 금형부(110, 120)의 결합부분에 위치한 지지틀(115, 125)에서 합쳐짐으로써 삽입된 분리막(130)을 완전히 감싸게 되며, 따라서 두 개의 분리된 밀폐공간(11, 12)을 형성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팽창공정이 아닌 각각의 성형공간에서 순차적 팽창공정도 가능하다. 좌우측의 각 성형과정을 두 개가 아닌 단 하나의 주입구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도 5와 같이 완전히 팽창된 성형품은 금형으로부터 취출되어 필요하다면 분리막과 예비성형물에 의한 돌출된 부분을 열처리하는 등의 마감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관상 매끄러울뿐만 아니라, 두 밀폐공간의 표면에서의 결합상태가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방법으로 제작되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분할된 밀폐공간(11. 12)을 갖는 외관상 하나의 용기(10)가 형성된다. 용기의 좌우측 공간(11, 12)은 완성품 내부에 이식된 분리막(130)의 양측에 일체로 구성된 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제 2 실시예, 즉 세 개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금형은 3 개로 분할된 금형부(310, 320, 330)가 미리 준비해 둔 분리막(340)과 함께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삼각' 분리막(340)은 각 금형부(310, 320, 330)의 결합부분에 장치된 지지틀(311, 321, 331)에 삽입된다. '삼각' 분리막(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Y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금형부들(310, 320, 330)이 상기 분리막(340)과 합께 조립되면 각 금형부의 내벽과 삽입된 분리막(340)으로 둘러싸인 3 개의 독립된 성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각 금형부의 입구(312, 322, 332)에 예비성형물을 각각 주입하고, 각각의 주입구를 통한 동시 팽창공정 등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용 금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용 금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용 금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금형(제 1 실시예)을 이용한 성형과정 중 초기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본 발명에 따른 금형(제 1 실시예)을 이용한 성형과정 중 후기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금형과 블로우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용 금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용 금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Claims (4)

  1. 내부에 독립된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각 금형부의 개방면이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각 금형부의 개방면에 형성된 지지틀에 분리막을 삽입하여, 상기 개방면이 상기 지지틀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함을써 복수의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하는 단계;
    상기 각 금형부의 독립된 성형공간에 예비성형물을 각각 주입하고, 상기 각 예비성형물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팽창시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막의 돌출된 부분을 열처리하는 마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2. 내부에 독립된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각각의 금형부와, 각 금형부의 결합면에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각각의 금형부가 결합될 때 상기 지지틀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금형.
  3. 삭제
  4. 개방면이 서로 조립되도록 세개로 분리된 금형부와, 각 금형부의 결합면에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각각의 금형부가 결합될때 상기 지지들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Y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멀티 스페이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금형.
KR1020070098856A 2007-10-01 2007-10-01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 KR10089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56A KR100895539B1 (ko) 2007-10-01 2007-10-01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56A KR100895539B1 (ko) 2007-10-01 2007-10-01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697A KR20090033697A (ko) 2009-04-06
KR100895539B1 true KR100895539B1 (ko) 2009-04-30

Family

ID=4075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856A KR100895539B1 (ko) 2007-10-01 2007-10-01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5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1623A (en) 1979-06-05 1980-12-16 Nippon Radiator Co Ltd Manufacture of plastic complex tank
KR910007644A (ko) * 1989-10-13 1991-05-30 원본미기재 다색 박벽 플라스틱 쉘 성형장치
US5135702A (en) * 1990-09-04 1992-08-04 Eales George E Extrusion blow molding process for forming multi-compartment contai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1623A (en) 1979-06-05 1980-12-16 Nippon Radiator Co Ltd Manufacture of plastic complex tank
KR910007644A (ko) * 1989-10-13 1991-05-30 원본미기재 다색 박벽 플라스틱 쉘 성형장치
US5135702A (en) * 1990-09-04 1992-08-04 Eales George E Extrusion blow molding process for forming multi-compartment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697A (ko)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2909B2 (en) Injection moulding process
JP5937233B2 (ja) 複数の鋳型入力を必要とする部品成形のための鋳型及び方法
JPH09158841A (ja) ポンプ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01067B1 (ko) 복수 영역 폴리머 블랭크 제조용 고온 금형에 폴리머 재료를 주입하는 방법
JP7296323B2 (ja) 樹脂製の容器部品の製造方法、金型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ブロー成形機
JP5160658B2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895539B1 (ko) 내부에 복수의 분리된 밀폐공간을 갖는 멀티 스페이스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금형
KR101196735B1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JP6956267B2 (ja) 外部容器及び内部容器を含む二重壁の飲用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射出成形用金型及び方法
US850686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osslinked foam
JP4878055B2 (ja) 内部に複数の分離された密閉空間を有するマルチスペース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ブロー成形方法及びその金型
KR100534459B1 (ko) 비닐용기의 지퍼부 일체성형용 압출다이의 성형코어
JP2002120253A (ja) 射出成形方法、射出成形装置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CN216831973U (zh) 一种食用泵管道生产用水冷注塑模具
JPH08183061A (ja) 射出成形法による合成樹脂製中空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97574A (zh) 一种三色鞋底的生产方法
KR20090003331U (ko) 다중 인서트 용기용 사출금형
KR101582417B1 (ko) 플라스틱 블록 장난감 및 그 제조방법
JP2004181630A (ja) 発泡体内装中空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8946593U (zh) 汽车进风栅栏装饰盖模具
WO2007066899A1 (en) Injection molding process
KR20130021604A (ko) 허니콤 형상의 내부구조를 가지는 금속부재 사출 성형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내부구조 성형틀,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금속부재 사출 성형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부재
JP7209414B1 (ja) 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CN116214839A (zh) 四色注塑模具及基于四色注塑模具的注塑件分区注塑方法
ITMI20001160A1 (it) Metodo per produrre una porta in materia plastica di un elettrodomestico o di un vano di quest'ultimo e porta cosi' ottenu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