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158B1 -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158B1
KR100894158B1 KR1020070086200A KR20070086200A KR100894158B1 KR 100894158 B1 KR100894158 B1 KR 100894158B1 KR 1020070086200 A KR1020070086200 A KR 1020070086200A KR 20070086200 A KR20070086200 A KR 20070086200A KR 100894158 B1 KR100894158 B1 KR 10089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base material
lower mold
retain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574A (ko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1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형리테이너(30)가 구비되는 하형홀더(10)와, 상기 하형홀더(10)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상형리테이너(80)가 구비되는 상형홀더(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2열을 이루면서 상기 하형리테이너(30) 상을 이동하는 모재(1)를 각각 승강시키도록 쌍을 이루어 상기 모재(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리프터(40)가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동시에,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일측이 상기 모재(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리프터(4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모재(1)의 일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리프터(40)와 함께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제2리프터(50)가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재(1)의 일측을 고정한 상태로 제1리프터(40)와 함께 승강하는 제2리프터(50)가 구비되어 2열을 이루는 각각의 모재(1)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정확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프로그레시브금형, 승강장치, 2열금형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Elevating apparatus of base metal for progressive mold}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열을 이루는 모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모재(이하 터미널스트랩이라고 한다)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이에는 터미널스트랩이 얹어지고, 상기 펀치는 다이에 얹어진 터미널스트랩을 타격하여 터미널스트랩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절곡하여 원하는 형상의 터미널을 만들어나간다.
도 1에는 일반적인 2열 스트랩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스트랩(1)은 2열을 이루도록 구성되기도 하는데, 이는 터미널스트랩의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두 개의 스트랩(1)이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되어,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가공되어 지는 것이다.
터미널스트랩(1)은 다수개의 터미널형상(3)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형상(3)은 다시 접속부(4)와 바렐부(5)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4)는 상대터미널(미도시)과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바렐부(5)는 와이어(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한 부분이다. 상기 바렐부(5)는 별도의 절곡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도면부호 5는 절곡되기 전의 바렐부(5)를, 그리고 도면부호 5'는 절곡 후의 바렐부(5)를 나타낸다.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형상(3)은 캐리어(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캐리어(7)는 상기 터미널형상(3)의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다수개의 터미널형상(3)이 서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후에 커팅공정을 통해 제거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터미널스트랩(1)은 프로그레시브금형 상을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가공되어 완성된 터미널이 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이동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은 상기 구동원에 의해 이동되기에 앞서 리프터에 의해 다이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가 되고, 상기 터미널스트랩(1)은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원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터미널스트랩(1)이 다이 상의 정확한 위치로 이동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터미널스트랩(1)이 2 열을 이루는 경우에는 두 터미널스트랩(1)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리프터로 각각의 터미널스트랩(1)을 상승시키고, 구동원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두 터미널스트랩(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혹은 좁혀질 우려가 있다. 이는 상기 리프터에 의해 터미널스트랩(1)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이나 터미널스트랩(1)이 다이 상의 기타 구조물에 의해 간섭받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2열을 이루는 터미널스트랩(1) 사이의 간격이 변하게 되면 터미널스트랩(1)이 다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지 못하여 정확한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심할 경우 금형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열을 이루는 터미널스트랩이 리프터에 의해 상승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고, 2열을 이루면서 상기 하형리테이너 상을 이동하는 모재를 각각 승강시키도록 쌍을 이루어 상기 모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리프터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모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리프터와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모재의 일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리프터와 함께 승강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제2리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리프터의 상기 제1리프터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모재를 향해 고정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재의 일부를 고정한다.
상기 제1리프터와 함께 상승된 상기 제2리프터는 상기 상형홀더에 구비된 구동펀치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제1 및 제2리프터는 각각 고정스트리퍼 및 스토퍼에 의해 승강행정이 제한된다.
상기 제1 및 제2리프터는 하방에 위치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모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2열을 이루어 이동하는 상기 모재의 이동경로 중앙에는 가이드펜스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모재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에서는 2열을 이루는 터미널스트랩을 각각 승강시키는 제1리프터와 함께, 터미널스트랩의 일측을 고정한 상태로 제1리프터와 함께 승강하는 제2리프터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터미널스트랩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정확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재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리프터가 상승 및 하강된 상태의 구성이 각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모재(이하 터미널스트랩)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은 배경기술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10)에는 다수개의 스프링장착부(12,14)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장착부(12,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스프링(S1,S2)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형홀더(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부(12,14)의 일단에는 세트스크류(13,15)가 구비된다. 상기 세트스크류(13,15)는 제1 및 제2스프링(S1,S2)이 상기 스프링장착부(12,14)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형홀더(10)에는 백킹플레이트(20)와 하형리테이너(30)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20)와 하형리테이너(30)는 상기 하형홀더(10)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20)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30)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백킹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제1승강핀(25)이 구비된다. 상기 제1승강핀(25)의 일측은 상기 제1스프링(S1)에 지지되고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리프터(4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상기 제1승강핀(25)이 상기 제1스프링(S1)의 탄성력을 제1리프터(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백킹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제2승강핀(27)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승강핀(27)은 상기 제2스프링(S2)의 탄성력을 제2리프터(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제1 및 제2승강공간(P1,P2)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승강공간(P1,P2)에는 각각 제1 및 제2리프터(40,50)가 안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승강공간(P1,P2)은 각각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데, 각각의 제1 및 제2승강공간(P1,P2)은 2열을 이루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장착부(12,14)에는 제1 및 제2스프링(S1,S2)이 삽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S1,S2)은 각각 제1 및 제2리프터(40,50)에 상기 터미널스트랩(1)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S1,S2)의 일단은 상기 세트스크류(13,15)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1 및 제2리프터(40,50)의 저면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보조스프링(S3)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스프링(S3)은 제2리프터(50)의 일측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제2리프터(50)의 길이가 제1리프터(4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제2리프터(50)에 보다 안정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제1리프터(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리프터(40)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접속부(4)의 하방을 지지하여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리프터(40)는 상기 제1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터미널스트랩(1)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2열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리프터(40)도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고정스트리퍼(4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스트리퍼(45)는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리프터(40)의 승강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스트리퍼(45)의 일측이 상기 제1리프터(4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1리프터(40)의 상승높이가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제2리프터(5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리프터(50)는 상기 제1리프터(40)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리프터(50)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일부를 고정한 상태로 승강함으로써 이동과정에서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리프터(50)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상방에서 상기 접속부(4)를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리프터(40)와 제2리프터(50) 사이에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접속부(4)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리프터(50)의 상기 제1리프터(40)와 마주보는 저면에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향해 고정리브(5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52)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접속부(4)를 양측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리브(52a)와 제2고정리브(52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고정리브(52a,52b) 사이에 상기 접속부(4)가 위치하여 터미널스트랩(1)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스토퍼(55)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55)는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리프터(50)의 승강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토퍼(55)의 일측이 상기 제2리프터(5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2리프터(50)의 상승높이가 제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리프터(40,50)의 승강높이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리프터(40,50) 사이에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접속부(4)가 위치한 상태에서 터미널스트랩(1) 전체가 유동 없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가이드펜스(6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펜스(60)는 2열을 이루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사이에 위치하여, 두 터미널스트랩(1)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펜스(60)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이동경로를 따라 길게 구비된다.
상기 하형홀더(10)의 상방에는 상형홀더(70)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70)에는 스프링포켓(7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포켓(72)에는 스프링(S4)이 삽입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펀치(9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포켓(72)의 일측에는 세트스크류(75)가 조립되어 스프링(S4)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형홀더(7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78)와 상형리테이너(80)가 설치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78)와 상형리테이너(80)는 상기 상형홀더(70)와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기 백킹플레이트(78)는 상기 상형리테이너(80)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80)를 관통하여 구동펀치(9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펀치(90)는 그 선단이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상형홀더(7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리프터(5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구동펀치(90)는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상승된 제2리프터(50)를 타격하여 상기 제2리프터(5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2리프터(50)의 일측은 상기 제1리프터(4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제 2리프터(50)가 구동펀치(90)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제1리프터(40) 역시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승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터미널스트랩(1)이 가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터미널스트랩(1)은 하형홀더(10)에 구비되는 하형리테이너(30) 상을 이동하면서 각종 펀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공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터미널스트랩(1)이 2열을 이루는 경우에는 이러한 공정이 양측에서 동시에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스트랩(1)을 타격하여 스크랩을 제거하고, 바렐부(5)를 벤딩하며, 완성된 터미널을 낱개로 커팅하는 작업 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상기 하형리테이너(30) 상을 일정한 피치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는 별도로 구비된 구동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상기 하형리테이너(30)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구동원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상승 및 하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접속부(4)가 제1리프터(4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리프터(50)를 누르고 있던 구동펀치(90)가 상승하면 상기 제1리프터(40)는 제1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스트랩(1) 역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4)의 일측은 상기 제2리프터(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즉, 상기 제2리프터(50)의 고정리브(52)가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접속부(4)의 양측을 고정한 상태이므로 터미널스트랩(1)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는 상기 2열을 이루는 터미널스트랩(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리프터(50)는 상기 제1리프터(40)와 마찬가지로 제2스프링(S2)에 의해 상기 터미널스트랩(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이므로, 상기 구동펀치(90)가 상승하면 상기 제1리프터(40)와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리프터(40)와 제2리프터(5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접속부(4)는 두 리프터(40,50)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상승되면 상기 구동원에 의해 터미널스트랩(1) 전체가 일정한 피치만큼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4)는 제2리프터(50)에 의해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단순히 유동이 방지되도록 양측이 가이드된 상태이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70)가 하강하면 상기 구동펀치(90) 역시 하강하면서 상기 제2리프터(50)를 타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리프터(50)는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제2리프터(50)와 마주보는 제1리프터(40) 역시 하강하여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작업다이 상에 놓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펀치(90)와는 별도의 펀치(미도시)가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타격하여 일정한 공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일정한 가공이 이루어지면, 상기 상형홀더(70)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상기 구동펀치(90)에 의해 눌려져 있던 상기 제2리프터(50)는 제2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리프터(50)는 스토퍼(55)에 의해 그 상승 높이가 제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리프터(40) 역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스트랩(1) 역시 상승하여 다시 구동원에 의해 일정한 피치만큼 이송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터미널스트랩(1)이 가공되어 개별적인 터미널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2열 터미널스트랩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재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리프터가 상승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트퍼가 하강한 상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형홀더 20: 백킹플레이트
30: 하형리테이너 40: 제1리프터
50: 제2리프터 70: 상형홀더
80: 상형리테이너 90: 구동펀치

Claims (5)

  1.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고, 2열을 이루면서 상기 하형리테이너 상을 이동하는 모재를 각각 승강시키도록 쌍을 이루어 상기 모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리프터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모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리프터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모재의 일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리프터와 함께 승강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제2리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리프터의 상기 제1리프터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모재를 향해 고정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재의 일부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리프터는 하방에 위치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모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1리프터와 함께 상승된 상기 제2리프터는 상기 상형홀더에 구비된 구동펀치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리프터는 각각 고정스트리퍼 및 스토퍼에 의해 승강행정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열을 이루어 이동하는 상기 모재의 이동경로 중앙에는 가이드펜스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모재의 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KR1020070086200A 2007-08-27 2007-08-27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KR10089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00A KR100894158B1 (ko) 2007-08-27 2007-08-27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00A KR100894158B1 (ko) 2007-08-27 2007-08-27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74A KR20090021574A (ko) 2009-03-04
KR100894158B1 true KR100894158B1 (ko) 2009-04-22

Family

ID=4069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200A KR100894158B1 (ko) 2007-08-27 2007-08-27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87B1 (ko) 2008-04-10 2010-10-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149A (ja) * 1994-11-11 1996-05-28 Mitsui High Tec Inc 順送り金型装置
KR20000017098U (ko) * 1999-02-13 2000-09-25 밍 루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리프팅 구조
KR100750700B1 (ko) 2005-05-30 2007-08-22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톤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149A (ja) * 1994-11-11 1996-05-28 Mitsui High Tec Inc 順送り金型装置
KR20000017098U (ko) * 1999-02-13 2000-09-25 밍 루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리프팅 구조
KR100750700B1 (ko) 2005-05-30 2007-08-22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톤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87B1 (ko) 2008-04-10 2010-10-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74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120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180125391A (ko) 펀칭 장치
KR20110099182A (ko) 코루게이트핀의 제조 장치
KR2009007383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89415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CN112959030A (zh) 装配装置及具有其的流水线
KR100823342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가이드장치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100874973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캐리어홀 형성장치
KR100988787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KR100897375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846853B1 (ko) 모재가이드장치
KR200448723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90132364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KR10085872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크랩 절단장치
KR100838779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및 그방법
KR20100002977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1577707B1 (ko) 버링장치
CN218252494U (zh) 一种冲压模具的模内送料机构
CN218744370U (zh) 连续冲压模活动成型结构
KR101452455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성형장치
KR20090133028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CN102029308A (zh) 工件成形装置及工件成形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