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897B1 - 적층 고무 호스 - Google Patents

적층 고무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897B1
KR100892897B1 KR1020047018148A KR20047018148A KR100892897B1 KR 100892897 B1 KR100892897 B1 KR 100892897B1 KR 1020047018148 A KR1020047018148 A KR 1020047018148A KR 20047018148 A KR20047018148 A KR 20047018148A KR 100892897 B1 KR100892897 B1 KR 10089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hose
rubber
laminated rubber
laminat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432A (ko
Inventor
가네코다케오
다테노리하루
스사히토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polydienes homopolymers or poly-halodienes hom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6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homogeneous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불소 고무 (예컨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실리콘 고무 (예컨대 디메틸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외층이 공가황된 적층 고무 호스로서, 이 내층과 이 외층과의 박리강도가 8N/㎝ 이상인 적층 고무 호스. 본 발명의 적층 고무 호스는, 내열성, 내유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디젤엔진의 인터쿨러용 고무 호스에 적합하다.
적층 고무 호스

Description

적층 고무 호스{LAMINATED RUBBER HOSE}
본 발명은 불소 고무와 실리콘 고무의 적층 고무 호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 또는 그 외의 공업용 부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고무 호스에는,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불소 고무 등의 각종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디젤엔진의 인터쿨러용 고무 호스에는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서, 블로우 바이 가스란 엔진으로부터 배기되는, 연소 가스, 미연소 가스, 오일 미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온의 혼합 가스를 말한다. 이 용도에 적합한 재료에는, 내열성에 추가하여, 내유성, 부식성 가스 내성 등이 요구된다. 불소 고무는 내열성, 내유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므로, 이 용도에 적합한, 우수한 특성의 고무 호스를 부여한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3918호를 참조). 그러나 불소 고무는 고가이기 때문에, 고무 호스의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가인 고무 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불소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 루어지는 외층이 공(共)가황된 적층 고무 호스로서, 공가황된 후의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과의 박리강도가 8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 호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적층 고무 호스가 디젤 엔진의 인터쿨러용 고무 호스인 적층 고무 호스를 제공한다.
도 1 은 적층 고무 시트의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시의 적층 고무 호스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가황 고무 시트
2 :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3 : 블로우 바이 가스의 모델액
4 : 가황 고무 호스
5 : 밀봉 마개
6 : 고무 호스 고정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의 불소 고무로는 불소 모노머의 탄성 공중합체 및 불소 모노머와 탄화수소 모노머의 탄성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불소 모노머로는 불화비닐리덴,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 등의 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펜, 펜타플루오로프로펜 등의 플루 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등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모노머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탄화수소 모노머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 모노머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불소 고무로는, 상기 불소 모노머와 탄화수소 모노머에 추가하여, 가황 부위가 되는 기타 모노머를 소량 공중합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타 모노머로는 2-요오드퍼플루오로프로펜, 4-요오드퍼플루오로부텐-1 등의 요오드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머, 브로모트리플루오로에틸렌, 4-브로모-3,3,4,4-테트라플루오로부텐-1 등의 브롬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불소 고무의 구체예로는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탄성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고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이 우수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불소 고무의 가황방법으로는, 유기 과산화물 가황, 비스페놀 AF 등의 가황제와 4급 암모늄염 등의 가황 보조제를 조합한 폴리올 가황, 헥사메틸렌디아민디카르바메이트 등을 사용하는 아민 가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황된 불소 고무가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이 우수하므로, 유기 과산화물 가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소 고무를 유기 과산화물 가황하기 위해, 가황 부위가 되는 요오드 원자나 브롬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공중합하거나, 중합시에 1,4-디요오드퍼플루오로부탄, 1-브로모-4-요오드퍼플루오로부탄 등의 요오드 원자나 브롬 원자를 함유하는 연쇄이동제를 중합시에 첨가하거나, 또는 불소 고무를 알칼리처리 또는 열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불소 고무에 가황 부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실리콘 고무로는 디메틸실리콘 고무, 메틸비닐실리콘 고무, 메틸페닐실리콘 고무,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디메틸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고무의 가황 방법으로는 유기 과산화물 가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 고무 조성물이 산화세륨, 산화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세륨, 산화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면 적층 고무 호스는 내열노화성이 우수하다. 산화세륨, 산화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유량은 실리콘 고무의 100 질량부에 대해 0.1 ~ 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 ~ 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적층 고무 호스가 내열노화성이 우수하고, 공가황된 불소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외층과의 박리강도는 고온에서도 장시간 저하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소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외층의 공가황이 유기 과산화물 가황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로 공가황된, 불소 고무 내층과 실리콘 고무 외층의 적층 고무 호스는,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이 특히 우수하다.
유기 과산화물 가황에 사용되는 유기 과산화물로는, 디벤조일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tert-부틸퍼옥사이드아세테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2,5-디메틸-2,5-비스(ter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비스(tert-부틸퍼옥시)헥신-3,α,α'-비스(tert-부틸퍼옥시)-p-디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비스(벤조일퍼옥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유기 과산화물의 배합량은, 불소 고무의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실리콘 고무의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면, 적층 고무 호스는 불소 고무층과 실리콘 고무층의 층간 접착력이 우수하고, 또 강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소 고무 조성물 및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유기 과산화물 공가황하는 경우에는, 가황 보조제로서 1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불포화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이 화합물로는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비스말레이미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가황 보조제의 배합량은, 불소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의 100 질량부에 대해 0.1 ~ 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 ~ 7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소 고무 조성물에 아민, 이민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화합물을 배합하여 얻은 적층 고무 호스는, 불소 고무 내층과 실리콘 고무 외층의 층간 접착력이 우수하다. 질소 함유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페닐아민, 피페리딘, 모르폴린, 피리딘, 벤조트리아졸, p-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질소 함유 화합물의 배합량은 불소 고무의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2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 ~ 1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소 고무 조성물 및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는, 상기 배합제에 첨가하여, 필요에 따라 기타 배합제를 배합할 수 있다. 기타 배합제로는 충전제, 가공 보조제, 접착 보조제,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로는 카본블랙, 흄드실리카, 습식 실리카, 석영 미분말, 규조토, 아연화,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활성 탄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이산화티탄, 탤크, 운모 분말, 황산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어스베스트, 그라파이 트, 월라스토나이트, 이황화몰리브덴,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각종 위스커, 유리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가공 보조제로는 스테아르산소다, 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의 지방산 유도체, 천연왁스, 합성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접착 보조제로는 실란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고무 호스의 제조방법으로는, 통상의 고무 가공 방법 및 성형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예로는 불소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와 상기 배합제를, 2 개 롤, 밴버리 믹서 등의 통상의 혼련기에 의해 혼련하고, 불소 고무 조성물 또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얻는다. 이어서, 이 불소 고무 조성물과 이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미가황 적층 시트를 얻는다. 이어서, 이 미가황 적층 고무 시트를 통형의 맨드릴 등을 사용하여 중첩한 후, 압력이 바람직하게는 0.2 ~ 10㎫,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 300℃ 의 조건하에 공가황하여, 적층 고무 호스를 얻는다.
또, 불소 고무 조성물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미가황의 적층 고무 호스를 얻고, 이어서 상기와 동일한 조건 하에 공가황하여, 적층 고무 호스를 얻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 제조방법에 있어서, 불소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외층이 직접 접하여 공가황되어 적층 고무 호스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적층 고무 호스에 있어서, 불소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공가황한 후의 박리강도는 8N/㎝ 이상이 다. 이 값 미만에서는 디젤 엔진의 인터쿨러용 고무 호스로서, 적층 고무 호스의 불소 고무층과 실리콘 고무층의 층간 박리강도의 내열노화성이 충분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10N/㎝ 이상이다. 또 이 박리강도는 200℃ 에서 70시간의 열노화 후도 8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N/㎝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고무 호스로는, 가황 불소 고무 내층/가황 실리콘 고무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고무 호스에 더하여, 가황 불소 고무 내층/가황 실리콘 고무 외층/가황 실리콘 고무 최외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고무 호스, 가황 불소 고무 내층/가황 실리콘 고무 외층/보강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고무 호스 등의 다층 고무 호스의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황 실리콘 고무층은 섬유로 보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황 불소 고무층과 가황 실리콘 고무층은 통상 직접 가황 접착되어 있으나, 이 층간에 프라이머 등의 접착층을 가질 수도 있다.
적층 고무 호스의 보강 섬유로는 파라아라미드 섬유, 메타아라미드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테크노라 (상품명, 테이진사 제조), 노멕스 (상품명, 듀폰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고무 호스에 있어서, 불소 고무층의 두께는 0.5 ~ 2㎜ 가 바람직하고, 0.8 ~ 1.5㎜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실리콘 고무층의 두께는 1 ~ 8㎜ 가 바람직하고, 2 ~ 5㎜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인터쿨러용 고무 호스의 내경은 30 ~ 200㎜ 가 바람직하고, 60 ~ 12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고무 호스의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은, 후술하는 모델액을 사용한 방법으로 측정한, 단위면적당 투과한 모델액의 질량으로서 50㎎/㎠ 이하가 바 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1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고무 호스는 디젤 엔진의 인터쿨러용 고무 호스에 적합하다. 또, 화학 플랜트 기기, 식품 플랜트 기기, 식품기기, 원자력 플랜트 기기, 일반 공업기기 등에 사용하는 고무 호스,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수송 기기에 사용하는 고무 호스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내스팀성 고무 호스, 내유성 고무 호스, 내연소 가스성 고무 호스, 내브레이크 유성 고무 호스, 내약품성 고무 호스, 내프레온성 고무 호스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불소 고무 1 ~ 3 및 실리콘 고무 1 ~ 2 의 미가황 고무 시트의 제작]
2 개 롤을 사용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질량비의 배항처방에서, 고무와 각 배합제를 균일하게 혼련하여 미가황의 불소 고무 조성물 1 ~ 3 및 미가황의 실리콘 고무 조성물 1, 2 의 미가황 고무 시트를 제작하였다. 불소 고무 조성물 1 ~ 3 의 미가황 고무 시트의 두께는 1㎜ 로, 실리콘 고무 조성물 1 ~ 2 의 미가황 고무 시트의 두께는 3㎜ 이었다.
또한 표1 에서의 약호는 이하의 것을 나타낸다. 아플라스150E :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 (아사히가라스사 제조 불소 고무 상품명), G902 :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탄성 공중합체 (다이킨사 제조 불소 고무), KE582-U (신에쓰화학공업사 제조 실리콘 고무), TAIC :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닛폰카세이사 제조), 파카독스14 : α,α'-비스(tert-부틸퍼옥시)-p-디이소프로필벤젠 (가야쿠아크조사 상품명), DBU: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
불소고무 조성물 1 불소고무 조성물 2 불소고무 조성물 3 실리콘고무 조성물 1 실리콘고무 조성물 2
아플라스150E 100 100
G902 100
KE582-U 100 100
스테아르산Na 1 1 1
MT 카본 30 30 30
TAIC 5 5 5
파카독스14 1 1 1 1 1
DBU 0.2
산화세륨 1
[적층 고무 시트의 제작]
불소 고무 조성물의 미가황 고무 시트와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미가황 고무 시트를 중첩하고, 온도 170℃, 압력 1㎫ 에서 20분 프레스 가황하여 적층 고무 시트를 얻었다.
[박리시험]
적층 고무 시트를 1㎝ 폭으로 재단하여, JIS K6854-1973 에 따라, 불소 고무층과 실리콘 고무층과의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험시료가 적층 고무 호스인 경우에는, 적층 고무 호스를 세로로 절단하여 시트형상으로 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
적층 고무 시트를 사용한 시험 : 도 1 에 나타낸, 직경 140㎜, 높이 280㎜ 의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2) 에, 블로우 바이 가스의 모델액 (3) 으로서 경유/디젤오일 (CF10W-30 닛세끼미쓰비시사 제조)/증류수=45/45/10 (용적%) 의 혼합액의 1㎏ 을 넣고, 불소 고무층을 내측으로 하여 적층 고무 시트 (1) 로 밀폐하였다. 이어서 밀폐한 용기를 125℃의 오븐 속에서 168 시간 가열한 후, 용기내의 혼합액의 질량감소량을 측정하였다. 질량감소량으로부터 적층 고무 시트의 단위면적당 투과한 모델액의 질량을 계산하였다. 또, 시험 후에, 시험에 사용한 적층 시트의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질량감소량이 적을수록,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내엔진 배기가스성) 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적층 고무 호스를 사용한 시험 :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고무 호스 (4 ; 내경 : 50㎜) 의 길이의 유효부분이 150㎜ 가 되도록, 고무 호스의 양단을 밀봉 마개 (5) 로 밀봉하고, 호스 고정구 (6) 로 가황 고무 호스 단부를 고정하였다. 적층 고무 호스 (4) 내에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의 모델액 (3) 을 250g 봉입하였다. 적층 고무 호스 (4) 를 125℃ 의 오븐에 넣고, 168 시간 가열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질량감소량의 측정 및 시험 후의 적층 고무 호스 (4) 의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내열노화시험] 적층 고무 시트를 1㎝ 폭으로 재단하고, 200℃ 의 오븐 속에 70시간 유지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불소 고무층과 실리콘 고무층과의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 3]
불소 고무 조성물 1 ~ 3 의 각 미가황 고무 시트와 실리콘 고무 조성물 1 의 미가황 고무 시트를 가황 접착하여 적층 고무 시트를 제작하였다. 가황 불소 고무층의 두께는 1㎜, 가황 실리콘 고무층의 두께는 3㎜ 이었다. 적층 고무 시트의, 불소 고무층과 실리콘 고무층과의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또 도 1 의 장치를 사용하여, 적층 고무 시트의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 후에, 시험 후의 적층 고무 시트의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불소 고무 조성물 3 의 미가황 고무 시트를 170℃ 에서 20분간 프레스 가황하여 얻은 두께 1㎜ 의 가황 불소 고무 시트를 사용하여,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리콘 고무 조성물 1 의 미가황 고무 시트를 170℃ 에서 20분간 프레스 가황하여 얻은 두께 3㎜ 의 가황 실리콘 고무 시트를 사용하여,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가황고무시트 불소고무 조성물 1/실리콘고무 조성물 1 불소고무 조성물 2/실리콘고무 조성물 1 불소고무 조성물 3/실리콘고무 조성물 1 불소고무 조성물 3 실리콘고무 조성물 1
초기박리강도(N/㎝) 18 24 15 - -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후의 질량감소량 (㎎/㎠) 3.5 3.2 3.2 3.2 162.5
시험후의 박리강도(N/㎝) 18 23 12 - -
[실시예 4 ~ 6]
2개 롤로 혼련하여 얻은, 불소 고무 조성물 1, 2 또는 3 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 1 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여 미가황 적층 고무 시트를 얻은 후, 이 미가황 적층 고무 시트를 통형의 맨드릴 상에서 중첩하고, 160℃, 30분간의 조건 하에 증기 가황하여,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갖는 외경 58㎜, 내경 50㎜ 의 적층 고무 호스를 얻었다. 가황된 불소 고무 1, 2 또는 3 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의 두께는 모두 1㎜ 이고, 가황된 실리콘 고무 (1) 로 이루어지는 외층의 두께는 3㎜ 이었다. 박리시험,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층 고무 호스의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 및 시험 후의 적층 고무 호스의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불소 고무 조성물 3 의 두께 1㎜ 의 미가황 고무 시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통형의 맨드릴 상에서 가황하여, 두께 1㎜ 의 가황 불소 고무 호스를 얻었다.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및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3
가황고무 호스 불소고무 조성물 1/실리콘고무 조성물 1 불소고무 조성물 2/실리콘고무 조성물 1 불소고무 조성물 3/실리콘고무 조성물 1 불소고무 조성물 3
초기 박리강도 (N/㎝) 17 22 14 -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시험후의 질량감소량 (㎎/㎠) 4.2 4.3 4.5 4.7
시험후의 박리강도 (N/㎝) 16 23 12 -
[실시예 7 ~ 8]
불소 고무 조성물 2 의 미가황 고무 시트와 실리콘 고무 조성물 1 또는 2 의 미가황 고무 시트를 가황 접착하여 적층 고무 시트를 제작하였다. 가황 불소 고무층의 두께는 1㎜, 가황 실리콘 고무층의 두께는 3㎜ 이었다. 적층 고무 시트의, 불소 고무층과 실리콘 고무층과의 박리시험 및 내열노화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7 실시예8
가황 고무 시트 불소고무 조성물 2/실리콘고무 조성물 2 불소고무 조성물 2/실리콘고무 조성물 1
박리강도(N/㎝) 40.1 12.7
내열노화시험 후의 박리강도(N/㎝) 25.3 5.0
본 발명의 적층 고무 호스는, 불소 고무층과 실리콘 고무층과의 박리강도가 우수하고, 내블로우 바이 가스성 (내엔진 배기가스성) 이 우수하다. 또 내열성, 내유성 및 내약품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디젤엔진의 인터쿨러용 고무 호스 등의 용도에서 유용하다.

Claims (8)

  1. 불소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외층이 공(共)가황된 적층 고무 호스로서, 공가황된 후의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과의 박리강도가 8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 호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가황이 유기 과산화물 가황인 적층 고무 호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조성물이, 산화세륨, 산화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적층 고무 호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과의 박리강도가 200℃ 에서 70시간의 열노화 후에 8N/㎝ 이상인 적층 고무 호스.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두께가 0.5 ~ 2㎜ 이고, 상기 외층의 두께가 1 ~ 8㎜ 인 적층 고무 호스.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고무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인 적층 고무 호스.
  7.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가 디메틸실리콘 고무인 적층 고무 호스.
  8.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고무 호스가 디젤엔진의 인터쿨러용 고무 호스인 적층 고무 호스.
KR1020047018148A 2002-05-21 2003-05-20 적층 고무 호스 KR100892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6329 2002-05-21
JP2002146329 2002-05-21
JP2002310922 2002-10-25
JPJP-P-2002-00310922 2002-10-25
PCT/JP2003/006270 WO2003098088A1 (fr) 2002-05-21 2003-05-20 Tuyaux de caoutchouc lam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432A KR20050003432A (ko) 2005-01-10
KR100892897B1 true KR100892897B1 (ko) 2009-04-15

Family

ID=2955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148A KR100892897B1 (ko) 2002-05-21 2003-05-20 적층 고무 호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07110B1 (ko)
JP (1) JP4258655B2 (ko)
KR (1) KR100892897B1 (ko)
DE (1) DE60312678T2 (ko)
WO (1) WO2003098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294A (ja) * 2004-01-29 2005-08-11 Tokai Rubber Ind Ltd 耐熱エアホース
US8697205B2 (en) 2005-05-17 2014-04-15 St. Jude Medical Ab Elastomeric tub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7269008A (ja) * 2006-03-10 2007-10-18 Tokai Rubber Ind Ltd 耐熱エアーホース
JP2008195039A (ja) * 2007-02-15 2008-08-28 Tokai Rubber Ind Ltd 耐熱エアーホース
JP2008195040A (ja) * 2007-02-15 2008-08-28 Tokai Rubber Ind Ltd 燃料系ゴムホース
WO2008113362A1 (en) 2007-03-16 2008-09-25 Nkt Flexibles I/S A flexible pipe
JP5024570B2 (ja) * 2009-10-29 2012-09-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ルオロシリコーンゴムとジメチルシリコーンゴムの接着方法及び積層体
JP6294504B2 (ja) * 2014-10-31 2018-03-14 株式会社Shindo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133135A (ja) * 2015-01-16 2016-07-2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インタークーラーホース
WO2019098062A1 (ja) * 2017-11-17 2019-05-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管理システムの部材及びフッ素ゴム組成物
JP2022084967A (ja) * 2019-04-04 2022-06-08 Agc株式会社 積層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875A (ja) * 1993-09-10 1995-07-18 Tokai Rubber Ind Ltd 積層体およびその製法
JPH09264464A (ja) * 1996-03-29 1997-10-07 Tokai Rubber Ind Ltd 流体輸送用ホース
JP2000193152A (ja) 1998-12-24 2000-07-14 Toyoda Gosei Co Ltd 耐熱性ホー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21566U1 (de) * 1992-04-14 1999-10-28 Itt Mfg Enterprises Inc Mehrschichtiger Kraftstoff- und Dampfschlauch
US5427831B1 (en) * 1993-11-12 1998-01-06 Du Pont Fluoropolymer laminates
WO1998036901A1 (fr) * 1997-02-19 1998-08-27 Daikin Industries, Ltd. Stratifie de caoutchouc et ses utilisations
FR2760401A1 (fr) * 1997-03-07 1998-09-11 Hutchinson Materiau composite a base d'un elastomere de silicone vulcanisable a chaud pour fabriquer notamment des tuyaux ou durites
US6270901B1 (en) * 1997-12-19 2001-08-07 Dyneon Llc Compositions for bonding fluoroplastics
JP3671127B2 (ja) * 1999-12-28 2005-07-13 株式会社三ツ星 多層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875A (ja) * 1993-09-10 1995-07-18 Tokai Rubber Ind Ltd 積層体およびその製法
JPH09264464A (ja) * 1996-03-29 1997-10-07 Tokai Rubber Ind Ltd 流体輸送用ホース
JP2000193152A (ja) 1998-12-24 2000-07-14 Toyoda Gosei Co Ltd 耐熱性ホ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98088A1 (fr) 2003-11-27
EP1507110A1 (en) 2005-02-16
JP4258655B2 (ja) 2009-04-30
JPWO2003098088A1 (ja) 2005-09-15
EP1507110A4 (en) 2005-08-10
EP1507110B1 (en) 2007-03-21
DE60312678T2 (de) 2007-12-06
DE60312678D1 (de) 2007-05-03
KR20050003432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897B1 (ko) 적층 고무 호스
JP5830808B2 (ja) フッ素ゴムと合成ゴムとの加硫接着積層体
EP2177353B1 (en) Multilayer body composed of fluororesin layer and elastomer layer
ES2729879T3 (es) Laminado
JP2007269008A (ja) 耐熱エアーホース
JPWO2011001756A1 (ja) 積層体
US11365299B2 (en)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 and laminate
US20160288461A1 (en) Lamin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luororubber composition
JP2010280103A (ja) 積層体、成形品、燃料ホース、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4906524B2 (ja) 燃料系ゴムホース
JP4731116B2 (ja) ゴム積層体
JP4081711B2 (ja) 積層ゴムホース
JP2008195040A (ja) 燃料系ゴムホース
JP2015231717A (ja) 積層体
US20050191454A1 (en) Laminated rubber hose
US20210260854A1 (en) Partially-fluorinated silane bonding agent
WO2012141025A1 (ja) ゴム金属積層体
JP2008195039A (ja) 耐熱エアーホース
JP2016070332A (ja) 耐熱ホース
CN110446607B (zh) 层叠体
CN113692351B (zh) 层叠体的制造方法及层叠体
JP2021041567A (ja) 積層体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積層体
JP2021041565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1041566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US20220009208A1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body, and multilaye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