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778B1 - 조립식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조립식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778B1
KR100890778B1 KR1020060115808A KR20060115808A KR100890778B1 KR 100890778 B1 KR100890778 B1 KR 100890778B1 KR 1020060115808 A KR1020060115808 A KR 1020060115808A KR 20060115808 A KR20060115808 A KR 20060115808A KR 100890778 B1 KR100890778 B1 KR 10089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guide
plate member
inlet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396A (ko
Inventor
오찬세
Original Assignee
오찬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찬세 filed Critical 오찬세
Priority to KR102006011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7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4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8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rings
    • F16K15/12Springs for r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적어도 입구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마개;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입구방향으로 상기 마개를 가압할 수 있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스프링; 상기 몸체 출구의 내경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과 상기 마개 사이에 조립되고, 양단부에 상기 몸체의 내경면과 접촉되는 몸체 접촉부가 형성되며, 그 양단부 내측이 상기 마개와 접촉되어 상기 마개의 전후진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마개 안내부가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전용 공구나 별도의 분해장치가 없이도 매우 간단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고, 몸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동작을 방지하여 작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체크밸브, 판부재, 가이드, 체결링, 복원력

Description

조립식 체크 밸브{Assemble type check valve}
도 1은 종래의 체크 밸브를 나타내는 조립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체크 밸브를 나타내는 조립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가이드의 제 1 판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가이드의 제 2 판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가이드의 제 3 판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0: 조립식 체크 밸브 1: 몸체
1a: 입구 1b: 출구
1d: 삽입홈 2: 마개
3: 스프링 4: 체결링
4a: 걸고리 5: 가이드
51: 제 1 판부재 52: 제 2 판부재
53: 제 3 판부재 511, 521, 531: 몸체 접촉부
512, 522, 532: 마개 안내부
513, 523, 533: 스프링 거치부
514, 524, 525, 534: 결합홈 54: 체결링홈
본 발명은 조립식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용 공구나 별도의 분해장치가 없이도 매우 간단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고, 몸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동작을 방지하여 작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체크 밸브(100)는, 양방향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고, 일방향 유체의 흐름만 보장하는 것으로서, 통상, 몸체(101)와, 마개(102)와, 스프링(103)과, 체결뭉치(105)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01)는, 일측에 입구(101a)가 형성되고, 타측에 출구(101b)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내경면에 상기 마개(102)의 측면과 직접 접촉되어 마개(102)의 전후진운동을 안내하는 마개 안내 돌기(101c)(도 1에서는 4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개(102)는, 상기 몸체(10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01)의 입구(101a)를 막을 수 있도록 적어도 입구(101a)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01)의 마개 안내 돌기(101c)에 의해 안내되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103)은, 상기 몸체(10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01)의 입구(101a)방향으로 상기 마개(102)를 가압할 수 있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체결뭉치(105)는, 상기 마개 안내 돌기(101c)에 형성된 압입홈(101d)에 강제로 삽입되어 압입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개(102)와 스프링(103)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크 밸브(100)는, 첫째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1)의 마개 안내 돌기(101c)와 마개(102)의 측면이 접촉되면서 상기 마개 안내 돌기(101c)가 장시간의 사용으로 마모되거나 외력에 의한 충격 등으로 파손되는 경우, 상기 마개(102)의 작동이 매우 불안해지고, 동작성이 매우 떨어져서 일방향 유체 흐름의 통제가 실패하게 되는 데, 이때, 이러한 고장 난 종래의 체크 밸브(100)를 수리하려면 반드시 상기 마개 안내 돌기(101c)가 마모된 상기 몸체(101)를 통체로 교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상기 몸체(101)의 가격이 다른 부품들 보다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수리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둘째로, 종래의 체크 밸브(100)는, 상기 몸체(101) 내부의 부품들을 한 번 조립하면 해체하기가 매우 어렵고, 해체 작업시 압입기(도시하지 않음) 등 별도의 장비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의 수리, 교체, 관리, 세척 등이 번거롭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대되며, 현장에서 제품 수리가 즉시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셋째로, 종래의 체크 밸브(100)는, 압입시 압력을 견디기 위하여 상기 체결뭉치(105)의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많이 나가며,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는 것으로서, 부품 제작 비용과 생산비가 증대되어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마개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마개가 별도의 착탈 가능한 가이드와 접촉되어 안내되기 때문에 마모된 가이드를 교체함으로써 몸체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교환 작업이 간단하고, 수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체크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부품의 조립과 분해가 매우 간단하여 부품의 수리, 교체, 관리, 세척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제품 수리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체크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 조립시 압입 등의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매우 간단하게 체결링을 삽입홈에 체결하기만 하면 부품의 견고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여 구조가 단순해지고, 부품 제작 비용과 생산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단가를 떨어뜨리는 조립식 체크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체크 밸브는,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적어도 입구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마개;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입구방향으로 상기 마개를 가압할 수 있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스프링; 상기 몸체 출구의 내경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과 상기 마개 사이에 조립되고, 양단부에 상기 몸체의 내경면과 접촉되는 몸체 접촉부가 형성되며, 그 양단부 내측이 상기 마개와 접촉되어 상기 마개의 전후진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마개 안내부가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몸체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부재이고, 상기 판부재의 내측에 상기 스프링과 접촉되는 스프링 거치부 및 상기 체결링과 맞물리는 체결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서로 교차 조립되는 3개의 제 1 판부재, 제 2 판부재 및 제 3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판부재의 내측 중앙, 상기 제 2 판부재의 외측 및 내측 중앙, 제 3 판부재의 외측 중앙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체크 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체크 밸브(10)는, 일방향 유체의 흐름만 보장하는 것으로서, 크게 몸체(1)와, 마개(2)와, 스프링(3)과, 체결링(4) 및 가이드(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몸체(1)는, 일측에 입구(1a)가 형성되고, 타측에 출구(1b)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상기 몸체(1)는, 상기 입구(1a)와 출구(1b) 사이에 둥근 내경면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도 1의 마개 안내 돌기(101c)가 제거된 형상이다.
즉, 구조적으로 전후진운동을 하는 상기 마개(2)의 측면이 상기 몸체(1)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개(2)는, 상기 몸체(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의 입구(1a)를 막을 수 있도록 적어도 입구(1a)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인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3)은, 상기 몸체(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의 입구방향으로 상기 마개(2)를 가압할 수 있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링(4)은, 상기 몸체(1) 출구(1b)의 내경면에 형성된 삽입홈(1d)에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C링 형상인 것으로서, 그 직경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고, 그 직경을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작 게 조일 수 있도록 양단부에 걸고리(4a)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체결링(4)은, 상기 몸체(1)로부터 상기 가이드(5)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삽입홈(1d) 삽입시 상기 가이드(5)와 간섭되도록 그 두께가 상기 삽입홈(1d)의 깊이 이상으로 제작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5)는, 상기 체결링(4)과, 상기 마개(2) 사이에 조립되고, 상기 마개(2)의 전후진운동이 가능하도록 마개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를 가로지르고, 서로 교차 조립되는 제 1 판부재(51), 제 2 판부재(52) 및 제 3 판부재(5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판부재(51)는, 그 양단부에 상기 몸체(1)의 내경면과 접촉되는 몸체 접촉부(511)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마개(2)와 접촉되어 마개(2)의 전후진운동을 안내하는 마개 안내부(512) 및 상기 스프링(3)과 접촉되는 스프링 거치부(513)가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 결합홈(514)이 형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판부재(52)는, 그 양단부에 상기 몸체(1)의 내경면과 접촉되는 몸체 접촉부(521)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마개(2)와 접촉되어 마개(2)의 전후진운동을 안내하는 마개 안내부(522) 및 상기 스프링(3)과 접촉되는 스프링 거치부(523)가 형성되고, 외측 및 내측 중앙에 각각 결합홈(524)(525)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판부재(53)는, 그 양단부에 상기 몸체(1)의 내경면과 접촉되는 몸체 접촉부(531)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마 개(2)와 접촉되어 마개(2)의 전후진운동을 안내하는 마개 안내부(532) 및 상기 스프링(3)과 접촉되는 스프링 거치부(533)가 형성되고, 외측 중앙에 결합홈(53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판부재(51)와, 제 2 판부재(52) 및 제 3 판부재(53) 각각의 몸체 접촉부(511)(521)(531)에는 상기 체결링(4)과 맞물림되는 체결링홈(54)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결합홈(514)(524)(526)(534)들에 의해서 상기 제 1 판부재(51)와, 제 2 판부재(52) 및 제 3 판부재(53)가 서로 교차되어 상기 체결링(4)과 몸체(1) 사이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상기 가이드(5)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1개의 판부재, 2개의 판부재, 4개의 판부재, 5개의 판부재 등 다양한 다수 개의 판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체크 밸브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2)의 전후진시 상기 마개(2)의 측면이 상기 몸체(1)와 접촉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5)의 마개 안내부(512)(522)(532)와 접촉되는 것으로서, 장시간의 사용으로 가이드(5)가 마모되거나 외력에 의한 충격 등으로 파손되어 상기 마개(2)의 작동이 매우 불안해지더라도 종래처럼 상기 몸체(1) 전체를 교환할 필요 없이 상기 몸체 대신 상기 가이드(5)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수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걸고리(4a)에 드라이버나, 가위나, 막대나, 심지어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매우 간단하게 상기 체결링(4)을 해체하면 마개(2), 가이드(5), 스프링(3)을 매우 쉽게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리, 교체, 관리, 세척 등이 매우 간편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도 제품 수리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체결링(4)의 해체시 부품에 작용하는 해체 압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부품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서 부품 제작 비용과 생산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체크 밸브에 의하면, 몸체의 재질과 달리 가이드의 재질을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의 재질을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큰 재질로 선정하여 밸브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체크 밸브에 의하면, 종래의 체크밸브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마개안내돌기에 압입홈을 형성하고자 할 때, 상기 압입홈은 몸체의 내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압입홈을 가공할 때, 바이트의 파손우려가 높고, 또 압입홈의 치수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가이드가 몸체와는 별도로 형성되게 되므로 부품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부품제작비용과 생산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단가를 떨어뜨리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체크 밸브에 의하면, 마모된 가이드를 교체함으로써 몸체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교환 작업이 간단하고, 수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부품의 조립과 분해가 매우 간단하여 부품의 수리, 교체, 관리, 세척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제품 수리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고, 부품 조립 및 해체시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도 매우 간단하게 체결링을 삽입홈에 체결할 수 있어서 부품의 견고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적어도 입구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마개;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입구방향으로 상기 마개를 가압할 수 있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스프링;
    상기 몸체 출구의 내경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과 상기 마개 사이에 조립되고, 양단부에 상기 몸체의 내경면과 접촉되는 몸체 접촉부가 형성되며, 그 양단부 내측이 상기 마개와 접촉되어 상기 마개의 전후진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마개 안내부가 형성된 가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몸체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부재이고,
    상기 판부재의 내측에 상기 스프링과 접촉되는 스프링 거치부 및 상기 체결링과 맞물리는 체결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체크 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서로 교차 조립되는 3개의 제 1 판부재, 제 2 판부재 및 제 3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판부재의 내측 중앙, 상기 제 2 판부재의 외측 및 내측 중앙, 제 3 판부재의 외측 중앙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체크 밸브.
KR1020060115808A 2006-11-22 2006-11-22 조립식 체크 밸브 KR10089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808A KR100890778B1 (ko) 2006-11-22 2006-11-22 조립식 체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808A KR100890778B1 (ko) 2006-11-22 2006-11-22 조립식 체크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396A KR20080046396A (ko) 2008-05-27
KR100890778B1 true KR100890778B1 (ko) 2009-03-31

Family

ID=3966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808A KR100890778B1 (ko) 2006-11-22 2006-11-22 조립식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7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897U (ja) * 1993-12-06 1995-07-04 株式会社日邦バルブ パッキン一体型逆止弁
JP2002081563A (ja) 2000-09-05 2002-03-22 Toto Ltd 逆流防止装置
KR100490264B1 (ko) 2003-05-22 2005-05-17 오찬세 웨이퍼형 첵밸브 및 그 제조방법
JP2006177167A (ja) * 2004-12-20 2006-07-06 Calsonic Kansei Corp 吐出側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逆止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897U (ja) * 1993-12-06 1995-07-04 株式会社日邦バルブ パッキン一体型逆止弁
JP2002081563A (ja) 2000-09-05 2002-03-22 Toto Ltd 逆流防止装置
KR100490264B1 (ko) 2003-05-22 2005-05-17 오찬세 웨이퍼형 첵밸브 및 그 제조방법
JP2006177167A (ja) * 2004-12-20 2006-07-06 Calsonic Kansei Corp 吐出側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逆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396A (ko) 200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0221B2 (ja) 多方向切替バルブ
KR100890778B1 (ko) 조립식 체크 밸브
US7335211B2 (en) Transmission system of eyebrow-beautifying device
JP5486995B2 (ja) 開閉弁
CN108980442B (zh) 一种电磁换向阀
KR100947987B1 (ko) 피스톤 방식 에어건
US6722385B1 (en) Hydraulic valve repair kit and method of use
US8302588B2 (en) Toy gun piston with a detachable toothed structure
KR20100063483A (ko) 쿠션링 조립구조가 개선된 유압 실린더
KR200309145Y1 (ko) 체크 밸브
US7481268B2 (en) Collar assembly for pump thrust rod used to activate microswitch valve on chemical injection pump
JP2007016874A (ja) 油タンク取替え可能なリニアガイドウェー
JP4139757B2 (ja) エンジン用ピストンのピストンピンの抜け止め装置
KR20050114493A (ko) 링크 로드 결합용 고정핀의 이탈 방지장치
KR101062911B1 (ko) 공작기계의 척
CN219712500U (zh) 一种把手连接结构
ATE434741T1 (de) Ventil mit schnappverbindung zwischen betätigungsgriff und ventilspindel
ATE382788T1 (de) Ventil zur steuerung eines einspritzventils einer brennkraftmaschine
DE602006018251D1 (de) Kraftstoffeinspritzpumpe
KR20040038319A (ko) 체크 밸브
CN220748476U (zh) 电磁泵
JP2005291370A (ja) プランジャ式接合ピン
US9488142B2 (en) Locating pin
EP1450087A2 (de) Elektromagnetisches Ventil
CN111677916A (zh) 一种常闭型二位三通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