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468B1 -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 - Google Patents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468B1
KR100890468B1 KR1020050088432A KR20050088432A KR100890468B1 KR 100890468 B1 KR100890468 B1 KR 100890468B1 KR 1020050088432 A KR1020050088432 A KR 1020050088432A KR 20050088432 A KR20050088432 A KR 20050088432A KR 100890468 B1 KR100890468 B1 KR 10089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conductive pad
interconnection
dio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591A (ko
Inventor
강종훈
이재승
신부건
하덕식
최민호
유민아
Original Assignee
한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빔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3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8High density interconnect [HDI]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2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forming build-up interconnects at chip-level, e.g. for high density interconnects [HD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8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having a non-uniform spatial arrangement or non-uniform concentration, e.g. patterned wavelength conversion layer, wavelength conversion layer with a concentration gradient of the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5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die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05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 H01L2224/49107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9Potassium [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7Iridium [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32Binary Alloys
    • H01L2924/01322Eutectic Alloys, i.e. obtained by a liquid transforming into two solid ph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51Elemental semiconductors, i.e. Group IV
    • H01L2924/10253Silicon [S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3Rectifying Diode
    • H01L2924/12036PN di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93Wafer bonding; Removal of the growth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Abstract

본 발명은 (a) 발광다이오드부; (b) 상기 발광다이오드부 외부에 배치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패드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과 상기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사용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를 발광다이오드부 표면에 직접 연결하는 대신, 상기 와이어를 발광다이오드부 외부에 배치된 도전성 패드부에 연결하고 상기 도전성 패드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을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로 연결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표면에 형성된 와이어 본딩부에 의해 야기되는 형광체 도포시 문제점을 해결하여 형광체 도포의 용이성 및 도포된 형광체의 균일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부로 인한 수직 발광 흡수를 최소화하여 광추출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질화갈륨, 오믹 접촉 금속, 인터커넥션, 형광체, 절연막, 와이어 본딩, 광추출

Description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LIGHT EMITTING DIODE DEVICE USING CONDUCTIVE INTERCONNECTION PART}
도 1은 저출력용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고출력용 플립칩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a, b는 각각 와이어가 직접 연결된 발광다이오드부 표면에 형광체를 도포한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패터닝에 의해 박막 증착되는 도전성 인터커넥션부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부 표면에 형광체를 도포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패터닝에 의해 박막 증착되는 도전성 인터커넥션부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부 표면에 형광체가 도포된 레이저 리프트-오프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단위 칩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와이어 본딩부가 발광 다이오드 상부에 존재하는 종래 레이저 리프트-오프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전성 패드부가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에 배치된 경우로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 2개의 패턴으로 오믹 접촉 금속을 증착한 후 상기 오믹 접촉 금속층과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인터커넥션부의 연결 경로상에 투명 절연막을 올리고 그 위에 각 패턴의 오믹 접촉 금속층에 양쪽 방향으 로 인터커넥션부를 배치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 2개의 패턴으로 형성된 오믹 접촉 금속층과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인터커넥션부의 연결 경로상에 투명 절연막을 올리고 그 위에 각 패턴의 오믹 접촉 금속층에 한쪽 방향으로 인터커넥션부를 배치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된 오믹 접촉 금속층에 하나의 인터커넥션부 만을 배치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오믹 접촉 금속 증착 이전에 상기 오믹 접촉 금속층과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인터커넥션부의 연결 경로상에 투명 절연막을 올린 후 인터커넥션부와 오믹 접촉 금속층을 동시에 형성시킨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커넥션부를 구비한 고출력용 레이저 리프트-오프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단위 칩 전체 면적에 대한 도전성 패드부의 면적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n-질화갈륨 6. 다층 양자 우물
7. p-질화갈륨 8. 사파이어
10. 서브마운트 13. n-오믹 접촉 금속
15. n-패드 17. 인터커넥션
18. 형광체 19. 투명 절연막
본 발명은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부를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에 배치하고, 상기 도전성 패드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을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로 연결한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소자는 PN접합에 순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빛을 발생시키는 반도체 소자이다.
발광다이오드 제조를 위한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의 성장에는 주로 사파이어(8) 기판이 이용된다. 사파이어(8) 기판은 절연체이므로 발광다이오드의 양극(2)과 음극(1)이 웨이퍼의 전면에 형성된다. 일반적인 저출력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는 결정 구조가 성장된 사파이어(8) 기판을 리드프레임(4)에 올린 후 두개의 전극(1, 2)을 상부에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열방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파이어(8) 기판을 약 100㎛ 이하의 두께로 얇게 하여 리드프레임(4)에 붙이게 된다. 도 1은 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사파이어(8) 기판의 열전도도는 약 50 W/m·K 으로 두께를 100㎛ 정도로 하더라도 열저항이 매우 크다. 반면 고출력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의 경우는 열방출 특성을 보다 개선하기 위하여 플립칩 본딩 방식이 주로 사용되는 추세이다.
플립칩 본딩 방식은 발광다이오드 구조가 만들어진 칩을 열전도도가 우수한 실리콘 웨이퍼(150 W/m·K)나 AlN 세라믹(약 180 W/m·K) 기판 등의 서브마운트(10)에 뒤집어 접합한 것으로서, 도 2는 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플립칩 구조는 서브마운트(10) 기판을 통하여 열이 방출되므로 사파이어(8) 기판을 통하여 열을 방출하는 경우보다는 열방출 효율이 개선되나,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열방출 문제가 여전히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off; LLO) 방식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제작이 주목 받고 있다. 레이저 리프트 오프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제작은 발광다이오드 구조가 성장된 사파이어(8) 기판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발광다이오드 결정구조로부터 사파이어(8) 기판을 제거한 후 패키징하는 기술로서, 열방출 효율이 가장 우수한 구조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발광 면적이 칩의 크기와 거의 같으므로 (플립칩의 경우는 발광면적이 칩 크기의 약 60% 정도임) 보다 우수한 광추출 특성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의 방법이 가능하다. 첫째로는 단일 칩 형태의 방법으로 청색 LED 칩 또는 UV LED 칩 위에 형광물질을 결합하여 백색을 얻는 방법이며, 두번째로는 멀티 칩 형태로 2 내지 3의 LED 칩을 서로 조합하여 백색을 얻는 방법이다. 이때, 단일 칩 형태를 이용하는 경우 제작된 발광 다이오드 상에 형광체를 도포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형광체(18) 도포는 실리콘이나 에폭시 등의 몰딩재에 형광체(18)를 혼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나, 이 방법으로는 균일하게 형광체(18)를 분산시키기가 어렵다 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산제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형광체(18)가 용매에 의해 변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용이 어려운 점이 있다.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 상부에 얇은 막으로 형광체(18)를 도포하는 코팅 방법, 예컨대 마이크로 디스펜싱, 스텐실, 화학적 반응에 의한 도포, 실크 스크린 등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형광체(18)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포할 소자 상부에 요철 부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한데, 발광다이오드부 상부에 와이어(9) 본딩이 되어 있는 경우 와이어(9)에 손상을 주지 않고 형광체(18)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와이어(9) 본딩을 하기 위해서는 본딩 패드의 패턴 면적을 고려하여 소자를 제작하는데, 이러한 본딩 패드와 와이어로 구성되는 와이어 본딩부를 발광다이오드 상부에 배치하게 되면 수직 발광 면적을 가리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와이어(9) 본딩을 위해서는 대략 0.1×0.1 mm2 의 면적이 요구되는데, 0.3×0.3 mm2 칩에서는 발광 면적의 1/9이라는 면적을 가리게 된다. 추가적으로, 고출력 발광다이오드로 갈수록 칩 전체 면적을 크게 제작하는 추세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기적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오믹 금속 패드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물론 고출력 발광다이오드는 높은 전류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열축적을 막기 위해서는 직렬 저항이 작아야 하며, 또한 오믹 접촉 금속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전압 강하를 막아주어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금속을 두껍게 증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오믹 접촉 금속 내에서의 전압 강하로 인한 발광다이오드의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발광 다이오드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9) 본딩 패드 면 적이 늘어나게 되므로, 결국 발광 다이오드의 수직 발광 면적을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종래 발광다이오드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 발광 면적 감소와 형광체 도포 적용의 어려움 등을 유발시키는 와이어 본딩부 대신 와이어 본딩을 위한 도전성 패드부를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에 배치시킨 후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과 상기 도전성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형성함으로써, 형광체의 균일한 도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나오는 빛을 흡수하는 오믹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발광다이오드의 광추출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인터커넥션부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발광다이오드부; (b) 상기 발광다이오드부 외부에 배치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패드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과 상기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판 상에 도전성 패드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판 상에 제작된 발광다이오드부를 접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과 도전성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발광다이오드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술한 문제점을 초래하는 와이어 본딩부를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발광다이오드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믹 접촉 금속층에 직접 와이어 본딩을 수행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와이어 본딩을 위한 도전성 패드부(15)를 발광다이오드의 외부로 배치시킨 후 이 도전성 패드부와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를 본 발명에서는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부"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효과는 하기와 같다.
1) 종래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다이오드 상부에 존재하는 오믹 접촉 금속층에 직접 와이어 본딩을 수행함으로써,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본딩부가 발광 다이오드 상부에 존재하는 구조로 최종 제작되었다. 이와 같이 발광다이오드부 상부에 존재하는 와이어 본딩부로 인해 추후 진행되는 얇고 균일한 형광체(18) 도포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에폭시 또는 실리콘의 표면 장력으로 인해 구형과 같은 모양이 형성됨으로써 형광체(18)를 지나가는 빛의 이동 거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형광체에 흡수되는 빛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색상의 불균일성 및 광출력 저하가 초래된다. 또한,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광체를 얇은 막으로 도포하여 형광체에 의한 흡수 차이를 줄일 수 있으나, 와이어 본딩 패드의 위치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발광다이오드부의 상부에 그대로 위치하기 때문에 형광체(18) 도포가 여전히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증가 및 과정의 어려움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본딩부의 위치 자체를 근본적으로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로 변경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부의 상부에 균일하고 얇은 형광체 도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형광체에서의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또한 와이어 본딩에 의한 입체적 장애가 발광다이오드부 표면상에서 제거됨으로써, 기판(10)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단위 칩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팅 등과 같은 방법에 따라 한꺼번에 도포할 수 있으므로, 제작 단가 절감 및 대량 생산을 통해 경제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3)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수직 발광 빛을 흡수하는 면적을 줄여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터커넥션부는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배선과 같은 역할을 하며, 패터닝에 의해 증착된 박막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커넥션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도전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Ag, Cu, Au, Al, Ti, Ni, Cr, Rh, Ir, Mo, W, Co, Zn, Cd, Ru, In, Os, Fe, Sn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합금) 등이 있다.
상기 인터커넥션부는 발광다이오드 소자 내 존재하는 전기적 연결 라인(line)의 일 부분으로서, 이의 일 단부(end)는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에 위치한 도전성 패드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부는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부의 상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인터커넥션부와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부는 와이어(9)를 통해 외부 전원, 예컨대 리드프레임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9) 이외에 인터커넥션부와 동일한 형태, 즉 증착된 박막 패터닝 형태로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도전성 패드부는 발광다이오드부 외부, 예컨대 발광다이오드부가 접합하게 되는 동일한 기판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가능하면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패드부를 구성하는 재료 역시 도전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Au, Ag, Cu, Al, Cr, Ti, Ni, In, Pt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패드부가 위치하는 기판은 도전성일 수 있으며,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막을 통해 상기 도전성 기판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은 전술한 인터커넥션부를 통해 도전성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판 상에 접합되는 발광다이오드부의 다른 일면은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발광다이오드부의 다른 일면은 발광다이오드부의 하부에 인접한 또 다른 도전성 패드부를 통해 와이어와 연결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터커넥션부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부의 표면과 도전성 패드부가 연결되는 연결 경로 상에는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막(insulation layer)을 형성시켜야 하며, 상기 절연막 위에 인터커넥션부를 형성하되, 인터커넥션부와 발광다이오드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인터커넥션부와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부의 컨택(contact)부는 절연막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절연막은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측면 및 상부로 나오는 빛의 흡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절연막의 성분으로는 비전도성과 투명성을 갖기만 하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일례로 규소 산화물(SiO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등이 있다. 또한, 절연막과 인터커넥션부의 폭(width)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상기 절연막의 폭(width)은 인터커넥션부의 폭(width) 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며, 인터커넥션부의 폭은 와이어의 폭(width) 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터커넥션부를 통해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 바람직하게는 표면은 발광다이오드부가 기판상에 탑재되어 있을 때 기판과 인접하지 아니한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저항 감소를 통한 발광 효율 증대를 위해, 발광다이오드부 표면은 오믹 접촉 금속층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오믹 접촉 금속층은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식, 예컨대 저·중 출력용, 고출력용, 레이저 리프트-오프 방식 등에 따라 n-오믹 접촉 금속층 또는 p-오믹 접촉 금속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믹 접촉 금속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분 리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패턴은 하나 이상의 인터커넥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오믹 접촉 금속으로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금속, 예컨대 Ni, Au, Pt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빛의 반사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Ag, Al, Cr 등의 금속층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접합을 개선하기 위한 금속층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발광다이오드부와 인터커넥션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광체 단독층 또는 몰딩재와 형광체의 혼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패드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도 상기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외부 전원과의 용이한 와이어 본딩을 위해 도전성 패드부 표면의 일부에 형광체 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전성 패드부 표면의 전부에 형광체 층이 형성된 경우 구멍을 뚫어 와이어 본딩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적인 점들 및 동작상의 잇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때, 전체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소자(LED)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기판인 서브마운트(30)의 한 평면 위에 형성된 절연막(20) 상에 한 쌍의 도전성 패드부, 예컨대 n형 도전성 패드부(15)와 p형 도전성 패드부(16)가 존재하고, 상기 p형 도전성 패드부(16) 상에는 발광다이오드부의 p형층(7), 활성층( 발광층), n형층(5)이 순차적으로 스택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p형층과 인접한 면에는 p-오믹 접촉 금속층(12)이 접합된다.
발광다이오드부를 탑재하는 기판으로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서브마운트(30)가 사용 가능하며, 이 기판의 재료는 CuW, Si, AlN 세라믹, Al2O3 세라믹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의 크기는 발광다이오드부 보다 크거나 발광다이오드부가 사파이어 기판상에 성장된 경우 사파이어 기판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부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Ⅲ-V족 화합물을 사용하여 p형층(7), 활성층(발광층), n형층(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GaAs, GaP, GaN, InP, InAs, InSb, GaAIN, InGaN, InAlGaN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또한, 상기 p형층(7) 및 n형층(5)은 각각 p형 및 n형 도펀트가 도핑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나, 가능하면 도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층(일명 발광층)은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또는 다중 양자 우물구조(multiple quantum well: MQW)일 수 있다. 전술한 p형층, 활성층, n형층 이외에 다른 버퍼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Ⅲ-V족 화합물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장파장에서부터 단파장까지의 발광다이오드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460 nm를 갖는 청색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발광다이오드에 적용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부의 최상층에 증착된 n-오믹 접촉 금속(13)과 발광다이오드부 의 외부에 위치한 n형 도전성 패드부(15)의 연결 경로에는 절연막을 형성하고, 이 절연막 상층에는 n-오믹 접촉 금속(13)과 n형 도전성 패드부(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커넥션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도전성 패드부(15, 16)는 모두 외부 전원인 리드프레임(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하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외부 전원과 연결된 와이어(9)를 통해 한 쌍의 도전성 패드부(15, 16) 사이에 특정 전압이 인가되면, n형 도전성 패드부(15), 인터커넥션부(17), n-형 오믹 접촉 금속(13), n형층(5)을 통해 음극이 연결되고, p형 도전성 패드부(16), p-형 오믹 접촉 금속(12), p형층(7)을 통해 양극이 연결되어 전류가 주입된다. 이로 인해 활성층에서는 전자와 정공이 서로 재결합하면서 활성층의 밴드갭 또는 에너지 레벨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갖는 빛을 발광하게 된다.
한편, 도 6,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소자에서의 인터커넥션부(17)과 상기 인터커넥션부와 연결되는 접속 부분, 예컨대 n-오믹 접촉 금속(13), n-패드(15), p-패드(16)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와이어(9) 본딩부가 발광다이오드부의 상부에 존재하는 종래 발광다이오드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의 상부에 존재하는 와이어 본딩부로 인해 수직 발광 면적이 일부 가리게 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패드부와 발광다이오드부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패드부와 발광다이오드부 상부의 오믹 접촉 금속층이 인터커넥션부(17)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실제로, 도전성 패드부가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수직 발광 면적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커넥션부의 개수, 위치 등을 조절하여 제조 공정상의 용이성 및 광추출 효율 증대 등을 구현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전성 패드부가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상부 평면도로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 2개의 패턴으로 오믹 접촉 금속을 증착한 후 상기 오믹 접촉 금속층과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인터커넥션부의 연결 경로상에 투명 절연막을 올리고, 그 위에 각 패턴의 오믹 접촉 금속층에 인터커넥션부를 양쪽 방향으로 인터커넥션부를 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와이어(9)의 폭이 25 ㎛ 정도이고, 와이어 본딩시 생성되는 볼(ball)의 지름이 100㎛ 정도라면, 상기 볼이 생성되는 도전성 패드부, 예컨대 n-패드(15)의 크기는 최소한 100 × 100 ㎛2 가 되어야 한다. 만약 종래 기술과 같이 와이어 본딩부가 발광다이오드부의 상부에 존재한다면 최소 100 × 100 ㎛2 정도의 면적이 수직 발광을 가리게 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인터커넥션(17)부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그보다 훨씬 작은 면적이 소모되므로 빛을 가리는 영역도 감소하게 된다.
도 7b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 2개의 패턴으로 오믹 접 촉 금속을 증착한 후 상기 오믹 접촉 금속층과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인터커넥션부의 연결 경로상에 투명 절연막을 올리고, 그 위에 각 패턴의 오믹 접촉 금속층에 한쪽 방향으로 인터커넥션부를 배치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도전성 패드부를 양쪽이 아닌 한쪽 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면 도전성 패드부와 단위 칩 배치 공정에 있어서 공간상 여백(margin)을 크게 줄 수 있으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인터커넥션부를 사용하면 n-오믹 접촉 금속(13)의 저항이 큰 경우 전압 강하로 인하여 빛이 고르지 않게 분포되는 것에 비해, 여러 개의 인터커넥션부(17)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하나의 패턴으로 오믹 접촉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오믹 접촉 금속층과 하나의 인터커넥션부 만을 형성하는 경우의 상부 평면도이다.
발광다이오드의 상부 면적이 작을 경우에는 인터커넥션(17) 개수를 줄여서 가리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므로 n-오믹 접촉 금속(13)을 충분히 두껍게 증착하여 소자를 구동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n-오믹 접촉 금속(13)이 모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금속 자체 저항이 작아야 전압 강하가 작고, 따라서 원하는 전류에서 소자를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n-오믹 접촉 금속(13)은 충분히 두껍게 증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출력 발광다이오드로 갈수록 상부 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n-오믹 접촉 금속(13)을 아무리 두껍게 증착한다 하더라도 하나의 인터커넥션(17)부 만을 이용하여 구동하기에는 전압 강하 방지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터커넥 션(17)부 개수를 두 개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부 면적을 최대한 적게 가리도록 인터커넥션(17)부와 n-오믹 접촉 금속(13)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오믹 접촉 금속 증착 이전에 상기 오믹 접촉 금속층과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인터커넥션부의 연결 경로상에 투명 절연막을 올린 후 인터커넥션부와 오믹 접촉 금속층을 동시에 형성시킨 경우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인터커넥션부와 오믹 접촉 금속층을 동시에 형성시키게 되면, 공정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어서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제조 방식, 출력 방식, 발광 파장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는 (a) 기판 상에 하나 이상의 도전성 패드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판 상에 제작된 발광다이오드부를 접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과 도전성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1) 서브마운트 등과 같은 기판 (제 2 기판) 상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도전성 패드부를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접합 또는 증착시킨다.
2) 이후, 사파이어 기판 등과 같은 제 1 기판 상에 n형층, 활성층, p형층이 적층된 발광다이오드부를 상기 제 2 기판 상에 접합시킨다. 이때, 저출력용 발광다이오드 소자인 경우 제 1 기판이 제 2 기판과 인접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적층 순서 그대로 접합되며, 고출력용 또는 레이저 리프트-오프 방식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인 경우 발광다이오드부를 뒤집은 상태, 즉 발광다이오드면(面)을 제 2 기판의 전면에 접합하게 된다. 또한, 저출력용 발광다이오드 소자인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부가 제 1 기판, 예컨대 사파이어 기판상에 성장된 상태로 접합되며, 레이저 리프트-오프 방식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인 경우 사파이어 기판 상에 성장된 발광다이오드부가 역순으로 접합된 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사파이어 기판이 분리된다. 따라서, 최종 발광다이오드 소자내에는 사파이어 기판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발광다이오드부를 제 2 기판에 접합시 사용 가능한 물질은 그것을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에 전류를 공급하고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을 쉽게 방출하여야 하므로, 300℃ 이하의 저온에서 접합이 용이한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AuSn, AgSn, PbSn, Sn, 은 페이스트(silver paste) 등이 있다.
3) 상기와 같이 제 2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부의 표면에 형성된 오믹 접촉 금속층과 도전성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박막 증착 패터닝에 의해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인터커넥션부를 형성한다. 참고로 상기 인터커넥션부를 형성하기 이전에, 인터커넥션부와 동일한 연결 경로상에 투명성 절연막을 형성하며, 이 절연막의 폭은 인터커넥션부의 폭 이상인 것이 적절하다.
이때,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표면은 전반사 각도를 높여 다량의 빛이 탈출할 수 있도록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 표면상에 오믹 접촉 금속이 증착된 경우, 전술한 도 7a 내지 도 7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2 이상의 분리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믹 접촉 금속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뿐만 아니라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현 방식은 도선의 폭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인터커넥션부가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상기 도전성 패드부를 외부 전원, 예컨대 리드프레임과 연결시키는 와이어 본딩을 수행하고, 이후 형광체 단독 또는 형광체와 몰딩재가 혼합된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순서에 따라 또는 역순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이후 제 2 기판상에 접합된 발광다이오드부를 단위칩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또는 단위칩으로 분리된 발광다이오드부를 제 2 기판에 접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위칩 분리 단계는 전술한 바에 따라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목적 또는 제조 공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인터커넥션부를 이용하는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중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로서, 레이저 리프트-오프 방식(Laser Lift-Off: LLO)을 들 수 있다. 이의 일례로, (a) 제 1 기판상에 성장된 발광다이오드부의 p형층 위에 p-오믹 접촉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 (b) 상기 제 1 기판의 후면(後面)을 가공하는 단계; (c) 상기 발광다이오드부가 성장된 제 1 기판을 단위칩으로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단위칩으로 분리된 제 1 기판의 p-오믹 접촉 금속층 면(面)을 제 2 기판상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도전성 패드부 중 제 1 도전성 패드부 상에 접합시키는 단계; (e) 상기 제 2 기판에 접합된 단위칩의 기판면(面)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1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제 1 기판이 제거되면서 노출된 발광다이오드부의 n형층 위에 n-오믹 접촉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 (g) 상기 n-오믹 접촉 금속면과 제 2 기판상에 위치한 제 2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경로상에 절연막을 형성한 후, n-오믹 접촉 금속면과 도전성 패드를 연결하는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 제 1 도전성 패드부와 제 2 도전성 패드부를 각각 외부 전원과 와이어 본딩한 후 형광체 도포 또는 형광체가 혼합된 몰딩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8은 상기 레이저 리프트-오프 발광다이오드의 제작 공정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제 1 기판, 예컨대 사파이어 기판 전체를 제 2 기판에 접합시킨 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하는 방식에 의하며, 각 공정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1) p-형 오믹 접촉 형성 단계 (도 8a 참조)
사파이어 기판(18)에 발광다이오드부, 예컨대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결정 구조가 성장된 웨이퍼를 초기 세정한 후 웨이퍼의 상부 p-형 GaN 표면에 진공 증착으로 p-형 오믹 접촉 금속을 형성시킨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p-형 오믹 접촉을 완성한다.
(2) 사파이어 기판면의 폴리싱 처리
레이저 빛이 사파이어 기판을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게 하는 경면(鏡面)을 형성하기 위해, 430㎛ 정도의 두께를 지니는 사파이어 기판면을 폴리싱 하여 사파이어 기판의 두께를 약 80 내지 100 ㎛ 정도로 얇게 만든다.
(3) 단위칩 형성 단계 (도 3a 참조)
서브마운트 기판에 접합하기 전 그리고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하기 전 단계에서 스크라이빙/브레이킹 처리를 통하여 단위칩으로 분리한다.
(4) 서브마운트 기판(제 2 기판) 접합 처리 (도 8b 참조)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의 경우는 열방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브마운트 기판을 사용한다. 이때, 서브마운트(10) 상부에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막(20)이 증착되어 있으며, 그 위에 도전성 패드부, 예컨대 n-형 패드부(15)와 p-형 패드부(16)를 형성한다.
폴리싱 처리된 사파이어 기판을 서브마운트 기판에 폴리싱 처리된 사파이어 기판이 위로 올라오도록 뒤집고, 접합재를 사용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p-형 오믹 접촉 금속면을 서브마운트 기판 또는 상기 기판 상의 p-패드(16)에 접합시킨다. 서브마운트(10)에 단위칩을 붙일 경우에는 이후에 수행될 서브마운트(10) 기판의 다이싱(dicing) 공정을 고려하여 칩과 칩 사이의 간격을 수 백 ㎛ 정도의 일정한 간격을 띄워 주기적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b 참조).
(5) 레이저 조사 (도 8c 참조)
칩의 사파이어 면을 레이저로 조사하여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한다. 레이저가 조사되면, 사파이어 기판을 투과한 레이저 빛이 발광부, 예컨대 질화갈륨에 흡수되어 사파이어와 질화갈륨의 계면 영역의 질화갈륨이 분해되어 금속 갈륨과 질소 가스가 생성됨으로써 사파이어 기판은 발광 다이오드 결정 구조와 분리된다.
(6) n-형 오믹 접촉 금속 형성 단계 (도 8d 참조)
사파이어 기판이 제거되면서 노출된 n형층, 바람직하게는 n-질화갈륨 표면 을, 필요할 경우 폴리싱 공정이나 건식(또는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한 후, n-형 오믹 접촉 금속(13)을 증착시킨다.
이때, 노출된 GaN의 표면에는 GaN의 분해시 생성된 금속 갈륨이 존재한다. 이러한 표면의 금속 갈륨층은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빛을 감소시키므로 이를 염산으로 제거한 후 필요에 따라 건식(또는 습식) 식각 공정으로 도핑되지 않은 GaN(undoped-GaN)층을 식각하여 n+-GaN 층이 드러나게 하며, 필요한 경우 n-오믹 접촉 형성을 위한 금속(예컨대, Ti/Al 계열의 금속)을 진공 증착시킬 수도 있다.
(7) 인터커넥션부 형성
발광다이오드부의 최상부인 노출된 n형층과 도전성 기판상에 위치한 n-도전성 패드부, 바람직하게는 n-오믹 접촉 금속층과 n-도전성 패드부의 연결 경로상에 투명성 절연막을 형성시킨 후 도전성 금속을 이용한 증착 박막 패터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인터커넥션부를 형성시킨다.
(8) 와이어 본딩 및 몰딩재 처리(형광체 도포) 단계
n-도전성 패드부를 외부 전원, 예컨대 리드프레임과 연결시키기 위해, 금(gold) 와이어 본딩을 수행하고, 마찬가지로 p-도전성 패드부 역시 와이어 본딩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시킨다. 이때, n-도전성 패드부와 외부 전원과의 연결은 박막 증착 패터닝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9) 형광체 도포, 몰딩재 처리 단계
이후, 에폭시와 같은 몰딩재 또는 형광체가 혼합된 몰딩재를 씌워서 발광 다 이오드 제작을 완료한다. 상기 단계 (8)과 (9)는 필요에 따라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상기 설명은 고출력인 경우를 상정한 것이기는 하지만, 저출력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저출력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들면, (a) 제 1 기판상에 성장된 발광다이오드부를 식각하여 n형층을 노출시킨 후 n-오믹 접촉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 (b)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상부인 p형층 위에 p-오믹 접촉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제 1 기판의 기판면(面)을 가공한 후 단위칩으로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분리된 단위칩의 제 1 기판면을 도전성 패드부가 형성된 제 2 기판 상에 접합하는 단계; (e) 상기 p-오믹 접촉 금속면과 제 2 기판상에 위치한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경로상에 절연막을 형성한 후 p-오믹 접촉 금속면과 도전성 패드를 연결하는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도전성 패드부를 외부 전원과 와이어 본딩한 후 형광체 도포 또는 형광체가 혼합된 몰딩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위칩으로 분리하는 단계는 제작 공정의 용이성 및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하기 위해 적절히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시된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제조예를 든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발광 다이오드 소자, 예컨대 청색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 소자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파장의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며, 특히 형광체(phosphor) 도포가 요구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출력용, 고출력 플립형, 레이저 리프트 오프 방식 또는 기타 방식에 따라 제조되는 발광다이오드 소자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 또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 장치는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는 모든 발광 장치를 포함하며, 일례로 조명 장치, 표시부, 살균 램프, 디스플레이부 등이 있다.
실시예 1. 칩 면적 변화에 따른 와이어(9) 본딩 패드(도전성 패드)의 면적 분석
도 9는 칩 면적 변화에 따른 와이어(9) 본딩 패드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9) 본딩 패드가 발광다이오드 상부에 존재할 때 수직으로 나오는 빛을 얼마나 가리는지 계산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는 와이어(9) 본딩을 발광다이오드 상부에 직접하는 방식에서 와이어(9)가 수직으로 나오는 빛을 가리는 면적과 인터커넥션(17) 구조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인터커넥션(17)이 가리는 면적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두 요인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았다.
와이어(9) 본딩 패드(도전성 패드)의 개수는 1에서 10으로 변화시켰으며, 전체 면적에서 패드가 가리는 면적비가 3% 미만이 되는 조건과 고출력 발광다이오드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1×1 mm2 이상의 면적이 되는 조건을 고려하여 보았다. 1×1 mm2 칩에서는 패드가 3개 이하가 되면 면적비 3% 미만을 만족시키며, 4개 이상부 터 3%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실제로 1×1 mm2 칩에서는 도 7a와 같은 오믹 접촉 금속 배열에서 본딩 패드 2개로 전류 구동이 충분하며, 면적비 3% 미만의 조건도 3개 이하면 되므로 본딩 패드 2~3개로 소자 구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칩 면적이 4 mm2 이상이면 본딩 패드를 10개로 하더라도 본딩 패드가 차지하는 면적비가 3% 미만이 되어 수직으로 나오는 빛을 가리는 효과가 크지 않게 된다. 만약 3%보다 더 적은 면적을 가려야 한다면 도 9에 따라 본딩 패드의 개수를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이용하여 와이어 본딩부를 발광다이오드부의 외부에 배치시킴으로써, 형광체의 균일한 도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수직 발광 빛을 흡수하는 면적을 줄여 발광다이오드의 광추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a) 발광다이오드부; (b) 상기 발광다이오드부 외부에 배치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패드부; 및 (c)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과 상기 도전성 패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커넥션부는 박막증착 패터닝된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커넥션부는 Ag, Cu, Au, Al, Ti, Ni, Cr, Rh, Ir, Mo, W, Co, Zn, Cd, Ru, In, Os, Fe 및 S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으로 제조된 것이 특징인 발광 다이오드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와이어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하나 이상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Au, Ag, Cu, Al, Cr, Ti, Ni, In 및 Pt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으로 제조된 것이 특징인 발광 다이오드 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부 및 도전성 패드부는 동일한 기판 상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도전성 기판이고, 도전성 패드부는 절연막을 통해 상기 도전성 기판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은 와이어 또는 도전성 기판을 통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광다이오드부의 다른 일면은 인터커넥션부를 통해 도전성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커넥션부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부 표면과 도전성 패드부가 연결되는 연결 경로 상에 절연막(insulation layer)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 위에 상기 인터커넥션부가 형성되며, 인터커넥션부와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부의 컨택(contact)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투명한 것이 특징인 발광 다이오드 소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의 폭(width)은 인터커넥션부의 폭(width) 보 다 넓고, 인터커넥션부의 폭은 와이어의 폭(width) 보다 좁은 것이 특징인 발광 다이오드 소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커넥션부와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부의 표면은 오믹 접촉 금속층인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 접촉 금속층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분리된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이 하나 이상의 인터커넥션부와 연결된 것이 특징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 중 인터커넥션부가 연결된 표면 상에 형광체(phosphor)가 도포된 것이 특징인 발광 다이오드 소자.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부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n형층, p형층, 상기 n형층과 p형층 사이에 형성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발광 다이오드 소자.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는 레이저 리프트-오프(Laser Lift-Off) 방식에 의해 제조된 것이 특징인 발광 다이오드 소자.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18. (a) 기판 상에 도전성 패드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판 상에 제작된 발광다이오드부를 접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과 도전성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와 (c) 사이에 발광다이오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오믹 접촉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c) 이후에
    (i) 도전성 패드부를 외부 전원과 연결시키는 와이어 본딩 단계;
    (ii) 상기 발광다이오드부와 인터커넥션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광체를 도포하는 단계
    를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50088432A 2005-06-15 2005-09-22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 KR100890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335 2005-06-15
KR20050051335 2005-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91A KR20060131591A (ko) 2006-12-20
KR100890468B1 true KR100890468B1 (ko) 2009-03-26

Family

ID=375324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432A KR100890468B1 (ko) 2005-06-15 2005-09-22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
KR1020050088434A KR100953662B1 (ko) 2005-06-15 2005-09-22 색상 균일도가 개선된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434A KR100953662B1 (ko) 2005-06-15 2005-09-22 색상 균일도가 개선된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84208A1 (ko)
KR (2) KR100890468B1 (ko)
TW (1) TWI269469B (ko)
WO (1) WO20061351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542B1 (ko) * 2010-03-16 2011-12-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d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3910B2 (en) * 2009-02-03 2011-02-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LED packag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1124102B1 (ko) * 2009-08-24 2012-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TWI442496B (zh) * 2011-03-01 2014-06-21 Lextar Electronics Corp 光機模組及其製作方法
JP6320372B2 (ja) * 2012-05-30 2018-05-09 アイピージー フォト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レーザーダイオード用サブマウント及びレーザーダイオードユニットを製造するためのレーザーアブレーションプロセス
KR102610885B1 (ko) * 2019-01-10 2023-12-07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패키지
CN113421894B (zh) * 2021-06-22 2024-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007A (ja) 1998-06-01 1999-12-14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6047B1 (en) * 1995-11-22 2011-06-15 Oki Dat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ode
US5955747A (en) * 1996-07-25 1999-09-21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High-density light-emitting-diode array utilizing a plurality of isolation channels
JP3340626B2 (ja) * 1996-07-25 2002-11-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08822A (ja) * 1999-01-11 2000-07-28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半導体発光装置
US6879014B2 (en) * 2000-03-20 2005-04-12 Aegis Semiconductor, Inc. Semitransparent optical detector including a polycrystalline layer and method of making
JP2002043632A (ja) * 2000-07-21 2002-02-08 Citizen Electronics Co Ltd 発光ダイオード
JP2003110146A (ja) * 2001-07-26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007A (ja) 1998-06-01 1999-12-14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542B1 (ko) * 2010-03-16 2011-12-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d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4208A1 (en) 2006-12-21
TWI269469B (en) 2006-12-21
KR20060131591A (ko) 2006-12-20
KR100953662B1 (ko) 2010-04-20
TW200644279A (en) 2006-12-16
WO2006135130A1 (en) 2006-12-21
KR20060131592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2358B1 (e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68269B1 (ko) 플립-칩 본딩용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8026530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US6998642B2 (en) Series connection of two light emitting diodes through semiconductor manufacture process
US8288787B2 (en) Thin film light emitting diode
KR101166922B1 (ko)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EP172484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6838704B2 (e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90267098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2014232841A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KR100890468B1 (ko) 도전성 인터커넥션부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
KR100646636B1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2987B1 (ko) 반도체 발광소자
KR100670929B1 (ko) 플립칩 구조의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75268B1 (ko) 다수의 발광 셀이 어레이된 플립칩 구조의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0493B1 (ko) 고효율 열방출 공진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15533B1 (ko) 플립칩 구조의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46635B1 (ko) 복수 셀의 단일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20891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524B1 (ko) 플립칩 구조의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76061B1 (ko)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KR101147715B1 (ko) 반도체 발광소자
KR20090103217A (ko) 수직구조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