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094B1 - 내시경 및 선단 커버 - Google Patents

내시경 및 선단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094B1
KR100890094B1 KR1020077004473A KR20077004473A KR100890094B1 KR 100890094 B1 KR100890094 B1 KR 100890094B1 KR 1020077004473 A KR1020077004473 A KR 1020077004473A KR 20077004473 A KR20077004473 A KR 20077004473A KR 100890094 B1 KR100890094 B1 KR 10089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llumination
suction port
peripheral portion
ob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969A (ko
Inventor
마사아끼 미야기
히로끼 모리야마
세이스께 다까세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2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for off-axis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4Suc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6Op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6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optical, e.g. for light supply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in-us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23Optical details of the distal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61Illu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6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using light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넓은 시야의 촬상 범위에 대해 충분한 조명 범위를 확보하고, 또한 흡인 채널에 연통하는 흡인구의 흡인력의 저하를 억지한다. 이로 인해, 선단에, 피사체상을 관찰하는 관찰창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에, 적어도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창과 흡인 채널에 연통하는 흡인구가 개방되어 있는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이 개방되어 있는 선단면에 대한 상기 흡인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기 테이퍼면의 경사각이, 상기 관찰창이 개방되어 있는 선단면에 대한 상기 조명창이 개방되어 있는 테이퍼면의 경사각에 비해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시경, 흡인구, 선단 커버, 조명창, 관찰창용 렌즈

Description

내시경 및 선단 커버{ENDOSCOPE AND TIP COVER}
본 발명은 광각의 시야각을 갖고, 체강 내, 예를 들어 대장 내의 오물 등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 채널을 갖는 내시경 및 선단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내시경은 의료 분야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내시경은, 예를 들어 체강 내에 가늘고 긴 삽입부를 삽입함으로써, 체강 내의 장기 등을 관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한 처치구를 이용하여 각종 처치를 할 수 있다. 삽입부의 선단(先端)에는 만곡부가 마련되어, 내시경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선단의 관찰창의 관찰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종래의 내시경의 시야각은 대략 120 내지 140°정도이며, 시술자는 그 시야각의 관찰 화상에 의해 체강 내를 관찰하는데, 체강 내를 관찰 중에 시야 범위 밖의 부위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는 만곡부를 만곡시킴으로써 시야 범위 밖의 부위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보다 넓은 범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시야각을 보다 넓게 한 내시경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선단부에 대략 140°내지 210°정도의 광각의 시야각을 갖는 관찰 광학계를 배치한 내시경이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서는, 관찰 광학계를 광각으로 한 것에 수반하여, 선단부에 배치되고 체강 내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는, 그 광축이, 체강 내의 관찰 부위를 상세하고 균일하게 조사하기 위해 관찰 광학계의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축 상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이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 부분은 관찰 광학계의 광축이 통과하는 선단면을 최선단으로 하는, 이른바 포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테이퍼면 상에 조명 광학계의 표면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면은 상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을 겸하는 동시에, 예를 들어 체강인 대장 내부의 오물, 점막 등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 채널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882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내시경이 대장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흡인 채널 개구면이 삽입부 선단의 테이퍼면 내에 있으므로 그 개구 방향이 체강벽측을 향하고 있다. 그로 인해, 체강 내의 오물, 점막 등을 흡인할 때, 흡인 채널의 개구부와 대장벽 사이가 근접하기 쉬워져, 대장벽을 흡인함으로써 상기 대장벽이 흡인을 저해하여 충분한 흡인력을 발휘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흡인력을 높여 체강 내의 오물, 점막 등을 효율적으로 흡인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흡인력을 높인 경우 대장벽에 손상을 부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흡인력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넓은 시야의 촬상 범위에 대해 충분한 조명 범위를 확보하고, 흡인 채널에 연통하는 흡인구의 흡인력의 저하를 억지하는 내시경 및 선단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은, 피사체상을 관찰하는 관찰창과,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창과, 흡인 채널에 연통하는 흡인구가 삽입부의 선단면에 마련된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을 가진 표면이 관찰광축에 수직인 면이 되도록 형성된 관찰창 주연부와, 상기 조명창을 가진 표면이 상기 관찰광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조명광축에 수직인 면이 되도록 형성된 조명창 주연부와, 상기 흡인구를 가진 표면이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한 상기 조명창 주연부의 경사각에 비해 예각이 되도록 형성된 흡인구 주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커버는, 피사체상을 관찰하는 관찰창과,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창과, 흡인 채널에 연통하는 흡인구가 마련되어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부를 덮는 선단 커버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을 가진 표면이 관찰광축에 수직인 면이 되도록 형성된 관찰창 주연부와, 상기 조명창을 가진 표면이 상기 관찰광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조명광축에 수직인 면이 되도록 형성된 조명창 주연부와, 상기 흡인구를 가진 표면이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한 상기 조명창 주연부의 경사각에 비해 예각이 되도록 형성된 흡인구 주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및 선단 커버에 따르면, 조명창을 가진 조명창 주연부의 표면이 관찰광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조명광축에 수직인 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넓은 시야의 촬상 범위에 대해 충분한 조명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흡인구를 가진 흡인구 주연부의 표면이 관찰창 주연부에 대한 조명창 주연부의 경사각에 비해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벽 등을 흡인하는 일이 없어 흡인 채널에 연통하는 흡인구의 흡인력의 저하를 억지할 수 있다.
도1은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는 선단부의 선단면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선단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선단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5는 선단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6은 종래의 내시경의 흡인구를 설명하기 위한 선단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내시경의 흡인구를 설명하기 위한 선단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내시경
10 : 선단부
11 : 선단면
24 : 흡인구
24A : 흡인구 주연부
31a : 선단 커버
31A : 곡면
31 : 선단 경질부
32 : 관찰창
32A : 관찰창 주연부
32a : 관찰창용 렌즈
33 : 조명창
33a, 33b, 33c : 조명창용 렌즈
33A : 조명창 주연부
θ1, θ2 : 각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1을 기초로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전자 내시경(이하, 단순히「내시경」이라 함)(1)과 광원 장치(5)와 프로세서(6)와 모니터(7)를 구비하고 있다. 내시경(1)은 만곡 조작 및 각종 관로의 제어를 행하는 조작부(2)와, 그 기단측이 조작부(2)에 접속되어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3)와, 조작부(2)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선단에 커넥터부(4)를 갖는 유니버설 코드(3a)를 구비하고 있고, 커넥터부(4)에 광원 장치(5)와 프로세서(6)가 접속된다. 또한, 모니터(7)는 프로세서(6)에 접속된다.
또한, 내시경(1)의 삽입부(3)는 가요성을 갖는 가요관부(8)와, 그 가요관부(8)의 선단측에 마련된 만곡부(9)와, 그 만곡부(9)의 선단측에 마련된 선단부(10)를 갖고 있다. 선단부(10)의 선단면(11)은 대략 포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촬상 유닛(40)(도3 참조)이 내장되어 있다.
촬상 유닛(40)은 체강 내의 부위를 촬상하는 CCD,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이 촬상 소자로 촬상한 화상 신호가 유니버설 코드(3a)를 통해 프로세서(6)로 전송된다. 프로세서(6)에서는 전송된 화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모니터(7)에 관찰 화상(7a)을 표시시킨다.
또한, 조작부(2)에는 만곡부(9)를 원격적으로 만곡하는 조작 노브나 송기·송수를 대표로 하는 각종 조작을 행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 장치(5)는 조명용 광원을 갖고, 조작부(2), 삽입부(3) 및 유니버설 코드(3a) 내에 배치되는 라이트 가이드(도시하지 않음)와 커넥터부(4)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장치(5)에, 내시경(1)에 배치되어 있는 관로에 대해 송기·송수나 흡인을 행하는 송기·송수원, 흡인원이 내장되어 있다.
다음에, 도2 내지 도4를 기초로 하여 선단부(10)의 선단면 및 선단부(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선단부의 선단면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선단부의 부분 단면도, 도4는 도2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선단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0)의 선단면[후술하는 선단 커버(31a)의 선단면](11)에는, 관찰창(32)에 배치되는 관찰 렌즈(32a)와, 예를 들어 3개의 조명 창(33)에 각각 배치되고, 조명 수단인 조명창용 렌즈(33a, 33b, 33c)와, 처치구 등 개구부를 겸하는 흡인구(24)와, 체강 내에 삽입부(3)를 삽입하였을 때, 송기 및 송수를 행함으로써 대물 렌즈(32a)의 오물을 세정하는 송기 송수용 노즐(이하, 단순히 송수 노즐이라 함)(25)과, 체강 내의 환부의 혈액, 점액 등을 세정하는 전방 송수구(26)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부(10)의 선단면(11)에는 대물 렌즈(32a)와, 3개의 조명창용 렌즈(33a, 33b, 33c)와, 흡인구(24)와, 송수 노즐(25)과, 전방 송수구(26)를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각 조명창용 렌즈(33a, 33b, 33c)는, 대물 렌즈(32a)의 주연부 근방에 소정 각도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조명창(33)의 사이에는 흡인구(24)와, 송수 노즐(25)과, 전방 송수구(26)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명창용 렌즈(33a)와 조명창용 렌즈(33b)와의 사이에는 흡인구(24)가 배치되고, 조명창용 렌즈(33b)와 조명창용 렌즈(33c)와의 사이에는 송수 노즐(25)이 배치되고, 조명창용 렌즈(33a)와 조명창용 렌즈(33c)와의 사이에는 전방 송수구(26)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3 및 도4를 기초로 하여 선단부(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0) 내에는 관찰창(32)에 대응하는 촬상 유닛(40) 및 3개의 조명창(33)에 대응하는 라이트 가이드 등을 선단부(10)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선단 경질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선단 경질부(31)에는 선단 커버(31a)가 씌워져 있고, 이 선단 커버(31a)에 의해 선단 경질부(31)의 선단측이 덮여 있다. 또한, 촬상 유닛(40)은 선단 경질부(31)에 삽입되어 고정된 다. 이 촬상 유닛(40)은 관찰창용 렌즈 및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관찰 광학계, 커버 글래스 및 CCD,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있다. 이 촬상 유닛(40)에 의한 관찰 시야 각도는, 대략 140 내지 170°정도의 광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관찰창(32)을 통해 입사한 광에 의해 촬상 소자는 화상 신호를 프로세서(6)로 전송하는데, 프로세서(6)는 수신한 화상 신호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여 대략 직사각 형상의 관찰 화상(7a)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대략 직사각형의 관찰 화상(7a)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4코너가 깎여, 이른바 전자적인 마스크가 되어 8각형의 관찰 화상으로서 모니터(7) 상에 표시된다. 또한, 여기서는 촬상 유닛(40)의 관찰 시야 내에는 송수 노즐(25)이 들어가지 않도록, 촬상 유닛(32)의 광학계는 설계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 유닛(33B)은 조명창용 렌즈(33a)와, 라이트 가이드인 광파이버 다발(33i)로 이루어진다. 광파이버 다발(33i)의 선단부는, 금속 파이프(33h) 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광파이버 다발(33i)의 선단부와 조명창용 렌즈(33a)가 프레임(33d)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라이트 가이드 유닛(33B)은, 선단 경질부(31)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금속 파이프(33h)의 기단측으로부터의 광파이버 다발(33i)은 유연한 튜브(33g)에 의해 덮여 있고, 또한 금속 파이프(33h)의 일부와 튜브(33g)는 외피 튜브(33e)에 의해 덮여 있다.
외피 튜브(33e)는 금속 파이프(33h)에 대해 보빈(33f)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금속 파이프(33h)는 도중의 위치 P1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 θ1로 선단부(10) 의 외주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각도 θ1은, 예를 들어 8°정도의 각도이다. 그 결과, 광파이버 다발(33i)은 금속 파이프(33h)의 절곡 형상을 따라 구부러진다.
따라서,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창용 렌즈(33a) 등의 조명 수단에 의한 조사 범위의 대략 중앙의 광축(33LA)[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 축을 조명광축(33LA)이라 함]은, 촬상 유닛의 관찰창용 렌즈 등의 관찰 광학계의 광축(32LA)[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 축을 관찰광축(32LA)이라 함]과는 전부가 평행한 것은 아니다.
즉, 조명 광축(33LA)은 위치 P1보다 기단측에 있어서, 관찰광축(32LA)에 대해 평행한 광축이 설정되고, 위치 P1보다 선단을 향해 관찰광축(32LA)에 대해 각도 θ1만큼 경사져 있다. 즉, 조명 광축(33LA)의 선단 방향은 촬상 유닛의 관찰광축(32LA)의 관찰 방향의 앞의 점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관찰광축(32LA)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1로 경사져 있다.
다른 조명창용 렌즈(33b, 33c)에 대응하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33B)의 조명광축도, 그 축의 선단 방향이 촬상 유닛의 관찰광축(32LA)의 관찰 방향의 앞의 점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관찰광축(32LA)에 대해 각도 θ1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이들 라이트 가이드 유닛(33B)은 촬상 유닛의 광각 시야 범위에 대응한 조명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명 수단인 라이트 가이드 유닛(33B) 대신에 LED 등에 의한 조명 부재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선단 커버(31a)는, 관찰창(32)의 창 면이 관찰광축(32LA)에 대해 수직인 면이 되고, 조명창(33)의 창 면이 조명광축(33LA)에 대해 수직인 면이 되도록, 선단면(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관찰창용 렌즈(32a)는 그 렌즈 표면이 선단 커버(31a)의 관찰창(32)의 창 면과 대략 동일한 면 내가 되도록 관찰창(32)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조명창용 렌즈(33a)는 그 렌즈 표면이 선단 커버(31a)의 조명창(33)의 창 면과 대략 동일한 면 내가 되도록 조명창(33)에 배치되어 있다. 즉, 선단 커버(31a)는 관찰창(32)의 개구면에 대해 조명창(33)의 개구면이 소정의 각도 θ1(예를 들어, 8°정도의 각도)로 기단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그리고, 선단 커버(31a)의 관찰창(32)의 주위 근방에는 관찰창(32)의 개구면과 동일한 면 내에 표면이 형성되어 있는 관찰창 주연부(32A)를 갖고 있다. 또한, 선단 커버(31a)의 조명창(33)의 주위 근방에는, 조명창(33)의 개구면과 동일한 면 내에 표면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창 주연부(33A)를 갖고 있다.
송수 노즐(25)의 선단부에는 개구부(25a)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25a)는 송수 노즐(25)로부터 분출하는 물이, 광축(32LA)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이고, 또한 관찰창(32)에 있는 관찰창용 렌즈(32a)의 표면을 지나는 방향으로 송수되도록 마련된다. 송수 노즐(25)의 기단측은 파이프 형상을 갖고 있고, 연결관(25b)을 통해 송수 튜브(25c)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관(25b)과 송수 튜브(25c)에 의해 송수관로가 형성된다. 송수 튜브(25c)는 보빈(25d)에 의해 연결관(25b)에 고정되어 있다.
선단 경질부(31)의 기단부는 만곡 선단 코마(35)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다. 선단 경질부(31)의 기단측과 만곡 선단 코마(35)는, 합성 수지, 고무 등에 의해 형 성된 외피 튜브(36)에 의해 덮여 있다. 외피 튜브(36)는 보빈(37)에 의해 선단 경질부(31)에 고정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0)의 선단 커버(31a)에 배치되는 흡인구(24)는 기단측을 향해 삽입 관통하는 처치구 채널을 겸하는 흡인 채널(24a)의 개구부이다. 이 흡인 채널(24a)은 삽입부(3), 조작부(2), 유니버설 코드(3a) 및 커넥터부(4)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 관통하고, 광원 장치(5)의 흡인원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흡인 채널(24a)은 조작부(2)에 배치되는 처치구 삽입 관통구와도 연통되어 있다.
선단 커버(31a)의 흡인구(24)의 개구면은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2로 기단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이 각도 θ2는, 예를 들어 2°내지 3°정도의 각도이다. 따라서, 선단 커버(31a)는 관찰창(32)의 개구면에 대해 흡인구(24)의 개구면이 소정의 각도 θ2로 기단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그리고, 선단 커버(31a)는 흡인구(24)의 주위 근방에 표면이 흡인구(24)의 개구면과 동일한 면 내에 형성되어 있는 흡인구 주연부(24A)를 갖고 있다.
또한, 선단면(11)에 있어서 송수 노즐(25)이 설치되어 있는 선단 커버(31a) 근방에는, 관찰창(32)의 개구면과 동일한 면 내에 표면이 형성되어 있는 송수 노즐 주연부(25A)를 갖고 있다. 즉, 이 송수 노즐 주연부(25A)의 표면은 관찰창 주연부(32A)의 표면과 동일한 면 내에 있다. 또한, 이 송수 노즐 주연부(25A)의 표면은 조명창 주연부(33A)의 표면 또는 흡인구 주연부(24A)의 표면과 동일한 면 내라도 좋고, 관찰창 주연부(32A)의 표면과 조명창 주연부(33A) 사이의 면 내라도 좋 다.
따라서, 선단면(11)에 각 주연부(24A, 25A, 32A, 33A)를 갖는 선단 커버(31a)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창(32)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각 주연부(24A, 25A, 32A, 33A)가 각각에 소정의 각도로 내려가 경사져 있는, 이른바 선단 포탄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선단 커버(31a)의 각 주연부(24A, 25A, 32A, 33A)의 경계 부분에는, 각각의 단차를 경감하기 위해 원활한 곡면 혹은 경사면인 경계면(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 커버(31a)는 선단면(11)의 외주 부분과 외주면과의 경계의 코너부 형상이 매끄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시경(1)에 의한 내시경 검사를 행하는 경우, 내시경(1)의 삽입부(3)가 대장 등의 체강 내에 삽입된다. 그 때, 삽입부(3)의 체강 내로의 삽입 과정 및 피검 부위에 선단부(10)가 도달하여 각종 처치 및 관찰시에 체강 내의 점막, 오물 등이 관찰창용 렌즈(32a) 표면에 부착하는 등으로 인해 촬상 유닛에 의해 취득하는 내시경 상(像)의 시계를 차단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삽입부(3)의 선단면(11), 즉 선단 커버(31a)의 흡인구(24)로부터 체강 내의 점막, 오물 등을 흡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넓은 시야를 갖는 내시경에 있어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커버(31a)의 흡인구(24')의 개구면은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각도 θ1로 기단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즉, 흡인구(24')의 개구면은 선단 커버(31a)의 조명창 주연부(도시하지 않음)와 동일한 면 내에 있다. 따라서, 선단 커버(31a)의 흡인구 주연부(24A')도 조명창 주연부와 동일한 면 내에 있다. 즉, 선단 커 버(31a)는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동일한 경사 각도 θ1로 경사지는 표면이 조명창(도시하지 않음) 및 흡인구(24')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종래의 내시경에서는, 체강 내의 점막, 오물 등을 흡인구(24')로부터 흡인할 때, 흡인구(24')의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이 크기 때문에, 체강벽을 흡착해 버린다. 그 결과, 체강 내의 점막, 오물 등에 대한 흡인력이 저하한다.
그래서, 도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 선단 커버(31a)의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한 흡인구(24)의 개구면 및 흡인구 주연부(24A)의 표면의 경사각을 각도 θ2(예를 들어, 2 내지 3°정도)로 하였다. 즉, 선단 커버(31a)의 흡인구(24)의 개구면 및 흡인구 주연부(24A)의 표면은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한 경사각이 예각인 각도 θ2가 된다. 한편, 촬상 범위에 대응하는 조명 범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조명광축(33LA)이 관찰광축(32LA)에 대해 경사져 있는 각도 θ1(예를 들어, 8°정도)에 맞추어,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한 선단 커버(31a)의 조명창(33)의 개구면, 조명창용 렌즈(33a 내지 33c)의 렌즈 표면 및 조명창 주연부(33A)의 표면의 경사각이, 상술한 각도 θ2보다도 넓은 각도 θ1이 된다.
환언하면, 흡인구(24)의 개구면 및 흡인구 주연부(24A)의 표면이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 θ2는 조명창(33)의 개구면, 조명창용 렌즈(33a 내지 33c)의 렌즈 표면 및 조명창 주연부(33A)의 표면이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 θ1보다도 예각인 각도가 된다. 그 결과, 흡인구(24)의 개구부는 체강벽과 마주보고 대향하고 있는 각도가 한없이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체강 내의 점막, 오물 등을 흡인할 때의 흡인구(24)와 체강벽과의 간격이 넓어져, 체강벽에 의해 흡착력이 저해되는 일 없이 충분한 흡인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은 넓은 시야각의 촬상 범위에 대해 충분한 조명 범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체강 내의 오물, 점막 등을 흡인할 때 흡인 채널의 개구부로의 체강벽의 흡착을 가능한 한 방지하여 흡인력의 저하를 억지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커버(31a)의 각 주연부(24A, 25A, 32A, 33A)의 경계 부분에는 매끄러운 곡면 혹은 경사면인 경계면(3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선단 커버(31a)는 표면이 각 주연부(24A, 25A, 32A, 33A)에 의한 요철을 갖고 있어도 체강 내의 점막, 오물 등의 부착이 경감된다.
또한, 조명광축(33LA)이 관찰광축(32LA)에 대해 경사져 있는 각도 θ1은, 촬상 유닛의 시야각에 맞추어 촬상 범위에 대응하는 조명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에 맞추어, 선단 커버(31a)의 조명창(33)의 개구면, 조명창용 렌즈(33a 내지 33c)의 렌즈 표면 및 조명창 주연부(33A)의 표면이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한 경사각이 각도 θ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구(24)의 개구면 및 흡인구 주연부(24A)의 표면이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 θ2(2 내지 3°)를 마련하고, 이 각도 θ2를 조명창(33)의 개구면, 조명창용 렌즈(33a 내지 33c)의 렌즈 표면 및 조명창 주연부(33A)의 표면이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 θ1(8°)보다도 예각인 각도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흡인구(24)의 개구면 및 흡인구 주연부(24A)의 표면이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경사지지 않고 동일한 면으로 하고(즉, 각도 θ2 = 0°), 조명창(33)의 개구면, 조명창용 렌즈(33a 내지 33c)의 렌즈 표면 및 조명창 주연부(33A)의 표면이 관찰창(32)의 창 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 θ1(5 내지 6°)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술한 효과를 동일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광각의 시야각을 갖고, 체강 내, 예를 들어 대장 내의 오물 등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 채널을 갖는 내시경 및 선단 커버에 유용하며, 특히 넓은 시야의 촬상 범위에 대해 충분한 조명 범위를 확보하고, 흡인 채널에 연통되는 흡인구의 흡인력의 저하를 억지하는 것에 적합하다.

Claims (12)

  1. 삭제
  2. 피사체상을 관찰하는 관찰창과,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창과, 흡인 채널에 연통하는 흡인구가 삽입부의 선단면에 마련된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을 가진 표면이 관찰광축에 수직인 면이 되도록 형성된 관찰창 주연부와,
    상기 조명창을 가진 표면이 상기 관찰광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조명광축에 수직이며,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해 제1 경사각을 갖는 면이 되도록 형성된 조명창 주연부와,
    상기 흡인구를 가진 표면이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해 상기 제1 경사각보다 작은 제2 경사각을 갖는 면이 되도록 형성된 흡인구 주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창 주연부와 상기 흡인구 주연부와의 경계 부분이 곡면 형상 혹은 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 주연부가 상기 선단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창 주연부가 상기 관찰창 주연부의 주위에서 후방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흡인구 주연부가 상기 조명창 주연부의 사이에서 후방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창 주연부가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해 8°의 경사각으로 마련되고, 상기 흡인구 주연부가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해 2 내지 3°의 경사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7. 삭제
  8. 피사체상을 관찰하는 관찰창과,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창과, 흡인 채널에 연통하는 흡인구가 마련되어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부를 덮는 선단 커버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을 가진 표면이 관찰광축에 수직인 면이 되도록 형성된 관찰창 주연부와,
    상기 조명창을 가진 표면이 상기 관찰광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조명광축에 수직이며,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해 제1 경사각을 갖는 면이 되도록 형성된 조명창 주연부와,
    상기 흡인구를 가진 표면이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해 상기 제1 경사각보다 작은 제2 경사각을 갖는 면이 되도록 형성된 흡인구 주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커버.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창 주연부와 상기 흡인구 주연부와의 경계 부분이 곡면 형상 혹은 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커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 주연부가 상기 삽입부의 선단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창 주연부가 상기 관찰창 주연부의 주위에서 후방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흡인구 주연부가 상기 조명창 주연부의 사이에서 후방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커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창 주연부가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해 8°의 경사각으로 마련되고, 상기 흡인구 주연부가 상기 관찰창 주연부에 대해 2 내지 3°의 경사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커버.
KR1020077004473A 2004-07-27 2005-07-26 내시경 및 선단 커버 KR100890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9215A JP3965170B2 (ja) 2004-07-27 2004-07-27 内視鏡
JPJP-P-2004-00219215 2004-07-27
PCT/JP2005/013662 WO2006011488A1 (ja) 2004-07-27 2005-07-26 内視鏡および先端カ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969A KR20070039969A (ko) 2007-04-13
KR100890094B1 true KR100890094B1 (ko) 2009-03-24

Family

ID=3578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473A KR100890094B1 (ko) 2004-07-27 2005-07-26 내시경 및 선단 커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81027B2 (ko)
EP (1) EP1779763B1 (ko)
JP (1) JP3965170B2 (ko)
KR (1) KR100890094B1 (ko)
CN (1) CN100515315C (ko)
DE (1) DE602005024568D1 (ko)
WO (1) WO2006011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770A (ja) * 2003-12-10 2005-06-30 Olympus Corp 内視鏡
JP5078309B2 (ja) 2006-10-04 2012-11-2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US20090192355A1 (en) * 2008-01-28 2009-07-30 Mauricio Mejia Scope for managing difficult pathways and method to improve visibility of the same
US8888683B2 (en) * 2008-01-28 2014-11-18 Mauricio Mejia Modifications in endoscope apparatus, using fluid and gas dynamic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ibility during endoscopy
US20090192350A1 (en) * 2008-01-28 2009-07-30 Mauricio Mejia Wireless video stylet with display mounted to laryngoscope blad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2105779A3 (en) * 2008-03-21 2009-11-18 FUJIFILM Corporatio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for endoscop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4777482B2 (ja) * 2009-03-31 2011-09-2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US11864734B2 (en) 2009-06-18 2024-01-09 Endochoice, Inc. Multi-camera endoscope
US11547275B2 (en) 2009-06-18 2023-01-10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9402533B2 (en) 2011-03-07 2016-08-02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Endoscope circuit board assembly
WO2012056453A2 (en) 2010-10-28 2012-05-03 Peermedical Ltd. Optical systems for multi-sensor endoscopes
US11278190B2 (en) 2009-06-18 2022-03-22 Endochoice, Inc.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US9713417B2 (en) 2009-06-18 2017-07-25 Endochoice, Inc. Image capture assembly for use in a multi-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706903B2 (en) 2009-06-18 2017-07-18 Endochoice, Inc.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system with modular imaging units
US8926502B2 (en) 2011-03-07 2015-01-06 Endochoice, Inc. Multi camera endoscope having a side service channel
US9492063B2 (en) 2009-06-18 2016-11-15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WO2012038958A2 (en) 2010-09-20 2012-03-29 Peermedical Ltd. Multi-camera endoscope having fluid channels
EP2865322B1 (en) 2009-06-18 2020-07-22 EndoChoice, Inc. Multi-camera endoscope
US9101287B2 (en) 2011-03-07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 camera endoscope assembly having multiple working channels
US9901244B2 (en) 2009-06-18 2018-02-27 Endochoice, Inc. Circuit board assembly of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101268B2 (en) 2009-06-18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camera endoscope
US9642513B2 (en) 2009-06-18 2017-05-09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9872609B2 (en) 2009-06-18 2018-01-23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camera endoscope
US10165929B2 (en) 2009-06-18 2019-01-01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JP5393322B2 (ja) * 2009-07-30 2014-01-22 Hoya株式会社 内視鏡
KR101139574B1 (ko) * 2010-01-19 2012-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및 내시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캡
JP2011215425A (ja) * 2010-03-31 2011-10-27 Fujifilm Corp 照明レンズ及び該照明レンズを備えた内視鏡
JP5368380B2 (ja) * 2010-06-11 2013-1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US20110319716A1 (en) * 2010-06-29 2011-12-29 Fujifilm Corporation Gas supply and liquid supply apparatus
US9006417B2 (en) 2010-06-30 2015-04-14 Protiva Biotherapeutics, Inc. Non-liposomal systems for nucleic acid delivery
JP2012016545A (ja) * 2010-07-09 2012-01-26 Fujifilm Corp 内視鏡装置
US9560953B2 (en) 2010-09-20 2017-02-07 Endochoice, Inc. Operational interface in a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JP6054874B2 (ja) 2010-12-09 2016-12-27 エンドチョイス イノベーション センター リミテッド マルチカメラ内視鏡用フレキシブル電子回路基板
EP2648602B1 (en) 2010-12-09 2018-07-18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multi-camera endoscope
US11889986B2 (en) 2010-12-09 2024-02-06 Endochoice, Inc.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a multi-camera endoscope
US9101266B2 (en) 2011-02-07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element cover for a multi-camera endoscope
CA2798729A1 (en) 2011-12-13 2013-06-13 Peermedical Ltd. Rotatable connector for an endoscope
EP2604175B1 (en) 2011-12-13 2019-11-20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Removable tip endoscope
WO2013132684A1 (ja) * 2012-03-08 2013-09-1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US10039440B2 (en) * 2012-06-11 2018-08-0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a minimally invasive instrument
US9560954B2 (en) 2012-07-24 2017-02-07 Endochoice, Inc. Connector for use with endoscope
US9986899B2 (en) 2013-03-28 2018-06-05 Endochoice, Inc. Manifold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993142B2 (en) 2013-03-28 2018-06-12 Endochoice, Inc.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499794B2 (en) 2013-05-09 2019-12-10 Endochoice, Inc. Operational interface in a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JP6050211B2 (ja) * 2013-10-08 2016-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US9840266B2 (en) 2013-10-09 2017-12-12 Glidemachin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owing a load by a person
EP4111937A1 (en) * 2013-12-02 2023-01-04 EndoChoice, Inc.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a viewing endoscope
JP6050221B2 (ja) * 2013-12-20 2016-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JP5942046B2 (ja) * 2014-05-07 2016-06-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CN107257648B (zh) 2015-02-27 2020-04-03 柯惠有限合伙公司 具有零度视场角的倾斜尖端内窥镜
JP6368276B2 (ja) * 2015-04-24 2018-08-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USD790697S1 (en) 2015-07-31 2017-06-27 Covidien Lp Endoscope with oblique tip
USD791317S1 (en) 2015-07-31 2017-07-04 Covidien Lp Sheath and endoscope with oblique tips
USD782026S1 (en) 2015-08-04 2017-03-21 Covidien Lp Endoscope sheath with oblique tip
CN108882830B (zh) * 2016-06-09 2020-09-25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
WO2018179791A1 (ja) * 2017-03-31 2018-10-04 Hoya株式会社 内視鏡
JP6991353B2 (ja) * 2018-09-10 2022-0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EP3962344A4 (en) * 2019-05-01 2023-01-11 Ambu A/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KIDNEY STON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699A (ko) * 1995-03-03 1998-08-05 글로라 버내트, 단 오즈 광학 관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937A (en) * 1986-10-17 1988-03-29 Welch Allyn, Inc. Illuminating system for endoscope or borescope
JPH04102432A (ja) * 1990-08-23 1992-04-0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US5879288A (en) * 1992-11-25 1999-03-09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system including both reusable-type and cover-type endoscopes
US6184923B1 (en) * 1994-11-25 2001-02-06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with an interchangeable distal end optical adapter
US5871440A (en) * 1995-12-15 1999-02-16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JP4054094B2 (ja) * 1996-12-27 2008-02-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内視鏡
US5891014A (en) * 1997-07-18 1999-04-06 Fuji Photo Optical Co., Ltd. Passage structure in endoscope and adapter used when washing passages in endoscope
US6095971A (en) * 1997-10-22 2000-08-01 Fuji Photo Optical Co., Ltd. Endoscope fluid controller
US7526342B2 (en) * 1999-08-10 2009-04-28 Maquet Cardiovascular Llc Apparatus for endoscopic cardiac mapping and lead placement
JP4464518B2 (ja) 2000-03-14 2010-05-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02085326A (ja) 2000-09-14 2002-03-2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5168770A (ja) * 2003-12-10 2005-06-30 Olympus Corp 内視鏡
JP4009588B2 (ja) * 2003-12-26 2007-11-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06034543A (ja) * 2004-07-26 2006-02-09 Olympus Corp 内視鏡、及びその修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699A (ko) * 1995-03-03 1998-08-05 글로라 버내트, 단 오즈 광학 관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4568D1 (de) 2010-12-16
JP2006034628A (ja) 2006-02-09
CN1988841A (zh) 2007-06-27
CN100515315C (zh) 2009-07-22
EP1779763A4 (en) 2009-10-21
WO2006011488A1 (ja) 2006-02-02
EP1779763A1 (en) 2007-05-02
KR20070039969A (ko) 2007-04-13
EP1779763B1 (en) 2010-11-03
US20070135682A1 (en) 2007-06-14
JP3965170B2 (ja) 2007-08-29
US7981027B2 (en)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094B1 (ko) 내시경 및 선단 커버
US7883459B2 (en) Endoscope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same
KR101050879B1 (ko) 내시경
US20070027360A1 (en) Endoscope
US20110112363A1 (en) Endoscope
JP2005168770A (ja) 内視鏡
US20070038027A1 (en) Endoscope hole sealing part
JP5608580B2 (ja) 内視鏡
JPH07148105A (ja) カバー式内視鏡
EP2443987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WO2006004124A1 (ja) 内視鏡
CN109310290B (zh) 内窥镜
EP2449956B1 (en) Distal end hood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JP5992948B2 (ja) 内視鏡
JP4596137B2 (ja) 内視鏡
JP3772166B2 (ja) 内視鏡のフード装置
US8939896B2 (en) Attachmen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JP2009165632A (ja) 内視鏡用先端フード及びそれを用いる内視鏡ユニット
CN111526798B (zh) 内窥镜
JP2012110526A (ja) 内視鏡挿入部の先端部構造
JP2018171257A (ja) 超音波内視鏡および超音波内視鏡用フード
JP2005168606A (ja) 内視鏡
JP2005168767A (ja) 内視鏡とその製造方法
JPH0666607U (ja) チャンネル付き内視鏡カバー方式の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