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642B1 -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 - Google Patents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642B1
KR100889642B1 KR1020060136581A KR20060136581A KR100889642B1 KR 100889642 B1 KR100889642 B1 KR 100889642B1 KR 1020060136581 A KR1020060136581 A KR 1020060136581A KR 20060136581 A KR20060136581 A KR 20060136581A KR 100889642 B1 KR100889642 B1 KR 10088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ediment
suction pipe
wat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633A (ko
Inventor
이영선
Original Assignee
이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선 filed Critical 이영선
Priority to KR1020060136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6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63B35/30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 B63B35/303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discharging by suction, pressing 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 B01D33/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with vibrating filt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10Pipelines for conveying excavat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와 포크 및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면서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하도록 하여 수거작업 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거한 퇴적물은 건조시킨 후 모래와 오물을 분리시켜 재활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퇴적물과 같이 수거되는 물은 여과시켜 맑은 물만 다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퇴적물을 수거하는 중에 오염의 염려를 없애도록 한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아암 끝단에 결합한 포크에 의해 부숴진 바닥의 퇴적물을 주위에 다수 설치한 제1 흡입관의 흡입호수를 통해 흡입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흡입관에 연결되는 주 흡입관에는 대형 컴프레서로부터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되는 퇴적물을 포함하는 물은 제1 준설탱크와 제2 준설탱크로 공동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의 주 흡입관에서 분기되는 제2 흡입관의 끝단에는 횡으로 회전축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중에 양측의 스크류 핀에 의해 바닥의 퇴적물이 흡입 가능하게 파헤쳐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의 스크류 핀의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수중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스크류 핀이 회전하는 중에 중앙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의 제2 흡입관을 통하여 파헤쳐진 퇴적물이 물과 함께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의 준설탱크에 모아지는 퇴적물은 하단의 제1 호퍼에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중에 물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만 다수의 수분 제어장치에 의해 수집되어 하단의 제2 호퍼에 수집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2 호퍼에 수집된 물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은 거름망의 구멍의 크기에 따른 제1 여과장치와 제2 여과장치 및 제3 여과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중에 불순물이 걸려져서 맑은 물만 다시 하천이나 바다로 보내지도록 하고,
상기의 제1 여과장치 내지 제3 여과장치의 불순물은 소형 컴프레서의 흡인력에 의해 에어탱크를 거쳐 상기의 제1 호퍼로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의 컨베이어에서 제1 건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퇴적물과 상기 제2 호퍼에서 거름망에 걸러져 제2 건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불순물들을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와 제2 건조 컨베이어를 경유하는 중에 건조된 퇴적물이나 불순물들은 진동 스크린을 경유하는 중에 모래나 흙과 같이 작은 알갱이를 분리하여 제1 배출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시키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의 진동 스크린에 걸러지지 않는 큰 불순물은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지선 2 : 굴삭기
5 : 주흡입관 6, 11 : 흡입관
8 : 대형 컴프레서 9, 10 : 준설탱크
14 : 스크류 핀 16, 19 : 호퍼
17 : 컨베이어 18 : 수분 제어장치
20, 22, 24 : 여과장치 28, 30 : 건조 컨베이어
29 : 거름망 32 : 진동 스크린
33, 34 : 배출 컨베이어
본 발명은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크류와 포크 및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면서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하도록 하여 수거작업 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거한 퇴적물은 건조시킨 후 모래와 오물을 분리시켜 재활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퇴적물과 같이 수거되는 물은 여과시켜 맑은 물만 다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퇴적물을 수거하는 중에 오염의 염려를 없애도록 한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켓 컨베어와 같은 준설기를 설치하여 항만이나 하천 바닥에 퇴적된 토사나 암석을 파내서 넓고 깊은 수로를 확보토록 하기 위하여 준설선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준설선은, 준설선 선체의 전, 후방에 각기 약 200-300m 그리고 75-150m의 길이를 가지는 전후방측 와이어를 고정 결합시킨 뒤, 각각의 말단 부위를 앵커로서 바닥에 고정시켜 놓고,
선체의 양측방 선후단 위치에 각기 약 200- 300m의 스윙 와이어를 연결하면서 말단부위를 역시 앵커로 고정 설치해 놓은 뒤, 선체가 전, 후방 와이어를 중심으로 약 60-100m 폭 만큼 좌우 원호 운동하면서 해당 부위의 준설 작업을 행하도록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준설선에 의하여서는, 선체의 전방과 양측방으로 약 200-300m 길이의 전후방측 및 스윙 와이어가 앵커로 고정 설치되므로 많은 작업공간을 요구하게 되고 그 와이어 설치내부에는 어떠한 선박의 운항도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해당 좌우 선회부의 준설을 완료하고 선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이우선(二又船)이라고 불리는 선박을 이용하여 각각의 앵커를 들어 올린 뒤 전후방 및 스윙 와이어를 해당부위에 알맞게 이동시켜야 하는바, 그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위치 이동에 1일 정도가 소요되므로 준설 작업 진도 및 능률이 저하되는 작업 및 와이어 설치상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선체의 선단 좌우측에 스윙 와이어를 결합시키고 양단부위를 앵커로서 고정시킨 뒤, 선체가 후단의 스팟트를 중심으로 선체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형태로 좌우 스윙 동작을 행하면서 준설작업을 행하도록 하는 방식을 널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준설서에 의하여서는, 전, 후방 와이어가 없이 양측 와이어에 의지하여 작업하므로 로프이동 설치상의 문제점은 많이 해결되었지만, 상기와 같은 스윙 와이어 설치공간내에 타선박의 왕래가 불가하고, 스윙 와이어 설치 및 이동상의 문제가 잔재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크류와 포크 및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면서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하도록 하여 수거작업 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거한 퇴적물은 건조시킨 후 모래와 오물을 분리시켜 재활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퇴적물과 같이 수거되는 물은 여과시켜 맑은 물만 다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퇴적물을 수거하는 중에 오염의 염려를 없애도록 한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은,
전방에 설치되는 굴삭기의 아암 끝단에 포크를 결합하여 단단하게 굳은 바닥의 퇴적물을 부수도록 하고,
상기 포크의 주위에는 다수의 흡입호수를 구비한 제1 흡입관을 설치하여 부숴진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흡입관에 연결되는 주 흡입관에는 대형 컴프레서를 연결하여 흡입을 위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의 주 흡입관을 통하여 흡입되는 퇴적물을 포함하는 물은 제1 준설탱크와 제2 준설탱크로 공동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의 주 흡입관에서 분기되며 다수의 부구에 의해 물위에 일부가 뜨도록 한 제2 흡입관의 끝단에는 횡으로 회전축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중에 양측의 스크류 핀에 의해 바닥의 퇴적물이 흡입 가능하게 파헤쳐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의 스크류 핀의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수중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스크류 핀이 회전하는 중에 중앙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의 제2 흡입관을 통하여 파헤쳐진 퇴적물이 물과 함께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의 준설탱크에 모아지는 퇴적물은 하단의 제1 호퍼에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중에 물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만 다수의 수분 제어장치에 의해 수집되어 제2 호퍼에 수집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2 호퍼에 수집된 물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은 제1 여과장치와 제2 여과장치 및 제3 여과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중에 불순물이 걸려져서 맑은 물만 다시 하천이나 바다로 보내지도록 하고,
상기의 제1 여과장치 내지 제3 여과장치에서 침전된 불순물은 소형 컴프레서의 흡인력에 의해 에어탱크를 거쳐 상기의 제1 호퍼로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의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퇴적물은 제1 건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얼마간 건조되도록 하고,
상기의 수분 제어장치에서 제2 호퍼로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된 거름망에 걸러진 불순물은 제2 건조 컨베이어를 따라 얼마간 건조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와 제2 건조 컨베이어는 온풍기로부터 더운 공기가 공급되어 이동 중인 퇴적물이나 불순물들을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와 제2 건조 컨베이어를 경유하는 중에 건조된 퇴적물이나 불순물들은 진동 스크린을 경유하는 중에 모래나 흙과 같이 작은 알갱이를 분리하여 제1 배출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시키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의 진동 스크린에 걸러지지 않는 큰 불순물은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은,
바지선(1)의 전방에 설치되는 굴삭기(2)의 아암(3) 끝단에 포크(4)를 결합하여 단단하게 굳은 바닥의 퇴적물을 부수도록 하고,
상기 포크(4)의 주위에는 다수의 흡입호수(7)를 구비한 제1 흡입관(6)을 설치하여 부숴진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흡입관(6)에 연결되는 주 흡입관(5)에는 대형 컴프레서(8)를 연결 하여 흡입을 위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의 주 흡입관(5)을 통하여 흡입되는 퇴적물을 포함하는 물은 제1 준설탱크(9)와 제2 준설탱크(10)에 공동으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의 주 흡입관(5)에서 분기되며 다수의 부구(12)에 의해 물위에 일부가 뜨도록 한 제2 흡입관(11)의 끝단에는 횡으로 회전축(13)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중에 양측의 스크류 핀(14)에 의해 바닥의 퇴적물이 흡입 가능하게 파헤쳐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의 스크류 핀(14)의 회전축(13)으로 전달되는 수중모터(15)의 회전력에 의하여 스크류 핀(14)이 회전하는 중에 중앙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의 제2 흡입관(11)을 통하여 파헤쳐진 퇴적물이 물과 함께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의 준설탱크(9)(10)에 저장되었던 물과 퇴적물은 하단의 제1 호퍼(16)로 낙하하면서 컨베이어(17)를 통해 이동하는 중에 물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만 다수의 수분 제어장치(18)에 의해 수집되어 제2 호퍼(19)에 수집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2 호퍼(19)에 수집된 물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은 거름망의 구멍의 크기에 따라 배열한 제1 여과장치(20)와 제2 여과장치(22) 및 제3 여과장치(2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중에 불순물이 걸려져서 오우버 플로우(over flow)에 의한 맑은 물만 다시 하천이나 바다로 보내지도록 하고,
상기의 제1 여과장치 내지 제3 여과장치(20)(22)(24)에서 침전된 불순물은 소형 컴프레서(26)의 흡인력에 의해 에어탱크(27)를 거쳐 상기의 제1 호퍼(16)로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의 컨베이어(17)를 따라 이동하는 퇴적물은 제1 건조 컨베이어(28)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얼마간 건조되도록 하고,
상기의 수분 제어장치(18)에서 제2 호퍼(19)로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된 거름망(29)에 걸러진 불순물은 제2 건조 컨베이어(30)를 따라 얼마간 건조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28)와 제2 건조 컨베이어(30)는 온풍기(31)로부터 더운 공기가 공급되어 이동 중인 퇴적물이나 불순물들을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28)와 제2 건조 컨베이어(30)를 경유하는 중에 건조된 퇴적물이나 불순물들은 진동 모터(31)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중에 이동하는 진동 스크린(32)을 경유하는 중에 모래나 흙과 같이 작은 알갱이를 분리하여 제1 배출 컨베이어(33)를 통하여 이송시키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의 진동 스크린(32)에 걸러지지 않는 큰 불순물은 제2 배출 컨베이어(34)를 통해 이송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여과장치 내지 제3 여과장치(20)(22)(24)는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들을 거르기 위하여 거름망의 구멍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배열하여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을 순차적으로 걸러내면서 물만 오우버 파이프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은,
바지선(1)의 전방에 설치되는 굴삭기(2)의 아암(3) 끝단에 포크(4)를 결합하여 단단하게 굳은 바닥의 퇴적물을 부수도록 한다.
상기 포크(4)의 주위에는 다수의 흡입호수(7)를 구비한 제1 흡입관(6)을 설치하여 부숴진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하도록 한다.
상기의 포크(4)에 의해 부숴지는 퇴적물을 부수는 즉시 다수의 흡입호수(7)를 통해 흡입하므로 주위를 오염시키지 않는 가운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 흡입관(6)에 연결되는 주 흡입관(5)에는 대형 컴프레서(8)를 연결 하여 흡입을 위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주 흡입관(5)을 통하여 흡입되는 퇴적물을 포함하는 물은 제1 준설탱크(9)와 제2 준설탱크(10)로 공동으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의 주 흡입관(5)에서 분기되며 다수의 부구(12)에 의해 물위에 일부가 뜨도록 한 제2 흡입관(11)의 끝단에는 횡으로 회전축(13)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중에 양측의 스크류 핀(14)에 의해 바닥의 퇴적물이 흡입 가능하게 파헤쳐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의 스크류 핀(14)의 회전축(13)으로 전달되는 수중모터(15)의 회전력에 의하여 스크류 핀(14)이 회전하는 중에 중앙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의 제2 흡입관(11)을 통하여 파헤쳐진 퇴적물이 물과 함께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의 준설탱크(9)(10)에 저장되었던 물과 퇴적물은 하단의 제1 호퍼(16)로 낙하하면서 컨베이어(17)를 통해 이동하는 중에 물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만 다수의 수분 제어장치(18)에 의해 수집되어 제2 호퍼(19)에 수집되도록 한다.
상기의 제2 호퍼(19)에 수집된 물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성분은 거름망의 구멍의 크기에 따라 배열한 제1 여과장치(20)와 제2 여과장치(22) 및 제3 여과장치(2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중에 불순물이 걸려져서 오우버 플로우(over flow)에 의한 맑은 물만 다시 하천이나 바다로 보내지도록 한다.
상기의 제1 여과장치 내지 제3 여과장치(20)(22)(24)에서 침전된 불순물은 소형 컴프레서(26)의 흡인력에 의해 에어탱크(27)를 거쳐 상기의 제1 호퍼(16)로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의 컨베이어(17)를 따라 이동하는 퇴적물은 제1 건조 컨베이어(28)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얼마간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의 수분 제어장치(18)에서 제2 호퍼(19)로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된 거름망(29)에 걸러진 불순물은 제2 건조 컨베이어(30)를 따라 얼마간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28)와 제2 건조 컨베이어(30)는 온풍기(31)로부터 더운 공기가 공급되어 이동 중인 퇴적물이나 불순물들을 건조시키도록 한다.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28)와 제2 건조 컨베이어(30)를 경유하는 중에 건조된 퇴적물이나 불순물들은 진동 모터(31)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중에 이동하는 진동 스크린(32)을 경유하는 중에 모래나 흙과 같이 작은 알갱이를 분리하여 제1 배출 컨베이어(33)를 통하여 이송시키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진동 스크린(32)에 걸러지지 않는 큰 불순물은 제2 배출 컨베이어(34)를 통해 이송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에 의하여서는 스크류와 포크 및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면서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하도록 하여 수거작업 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거한 퇴적물은 건조시킨 후 모래와 오물을 분리시켜 재활용하도록 하고,
퇴적물과 같이 수거되는 물은 여과시켜 맑은 물만 다시 배출되도록 하여 퇴적물을 수거하는 중에 오염의 염려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바지선(1)의 전방에 설치되는 굴삭기(2)의 아암(3) 끝단에 포크(4)를 결합하고,
    상기 포크(4)의 주위에는 다수의 흡입호수(7)를 구비한 제1 흡입관(6)을 설치하고,
    상기 제1 흡입관(6)에 연결되는 주 흡입관(5)에는 대형 컴프레서(8)를 연결하고,
    상기의 주 흡입관(5)에는 제1 준설탱크(9)와 제2 준설탱크(10)를 공동으로 연결하여 일시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의 주 흡입관(5)에서 분기되는 제2 흡입관(11)은 다수의 부구(12)에 의해 물 위에 일부가 뜨도록 하고,
    상기 제2 흡입관(11)의 끝단에는 횡으로 회전축(13)을 설치하면서 양측의 스크류 핀(14)도 같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의 스크류 핀(14)의 회전축(13)에는 수중모터(15)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준설탱크(9)(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 호퍼(16)에는 컨베이어(17)를 결합하고,
    상기 컨베이어(17)의 하단에는 다수의 수분 제어장치(18)를 설치하여 물과 물에 포함된 작은 불순물을 하단의 제2 호퍼(19)에 모으도록 하고,
    상기의 제2 호퍼(19)에는 거름망의 구멍의 크기에 따라 제1 여과장치(20)와 제2 여과장치(22) 및 제3 여과장치(24)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여과장치 내지 제3 여과장치(20)(22)(24)의 하단에는 소형 컴프레서(26)에 결합된 에어탱크(27)를 연결하여 불순물을 상기의 제1 호퍼(16)로 순환시키도록 하여 구성한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의 컨베이어(17)를 따라 이동하는 퇴적물은 제1 건조 컨베이어(28)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분 제어장치(18)에서 제2 호퍼(19)로 이동하는 위치에는 거름망(29)을 설치하면서 제2 건조 컨베이어(30)를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28)와 제2 건조 컨베이어(30)에는 온풍기(31)로부터 더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건조 컨베이어(28)와 제2 건조 컨베이어(30)의 끝단에는 진동 모터(31)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 스크린(32)을 설치하면서 제1 배출 컨베이어(33)와 제2 배출 컨베이어(34)로 분리시켜 이송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
KR1020060136581A 2006-12-28 2006-12-28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 KR10088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581A KR100889642B1 (ko) 2006-12-28 2006-12-28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581A KR100889642B1 (ko) 2006-12-28 2006-12-28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633A KR20080061633A (ko) 2008-07-03
KR100889642B1 true KR100889642B1 (ko) 2009-03-25

Family

ID=3981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581A KR100889642B1 (ko) 2006-12-28 2006-12-28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98A (ko) 2018-11-05 2020-05-13 진성애 퇴적물내 유해조류의 휴먼포자 및 오니 제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085A (ko) * 2000-11-13 2002-05-18 윤여균 조류제거선
KR200425184Y1 (ko) 2006-05-03 2006-09-01 남선개발 주식회사 준설선
KR100729864B1 (ko) 2006-05-03 2007-06-21 남선개발 주식회사 준설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085A (ko) * 2000-11-13 2002-05-18 윤여균 조류제거선
KR200425184Y1 (ko) 2006-05-03 2006-09-01 남선개발 주식회사 준설선
KR100729864B1 (ko) 2006-05-03 2007-06-21 남선개발 주식회사 준설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633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02B1 (ko) 친환경 준설선
US6189243B1 (en) Dredging method and dredging apparatus
JP2019060221A (ja) 撹拌剥離式吸引装置、撹拌剥離式吸引システム及び撹拌剥離式吸引工法
JP4713930B2 (ja) 浚渫装置
JP6674672B2 (ja) ポンプ浚渫船の汚濁拡散抑制装置及び汚濁拡散抑制方法
KR100889642B1 (ko) 하천의 퇴적물 수거용 준설 바지선
JP6430838B2 (ja) 吸引浚渫装置および吸引浚渫方法
CN114775718B (zh) 一种港口航道防堵塞的清淤装置
KR100650111B1 (ko) 준설장치
FI113846B (fi) Menetelmä maa-aineksen seulomiseksi ja seulaväline
US20200318313A1 (en) Excavator bucket for underwater use
JP2016125277A (ja) 浚渫システム
JP7252099B2 (ja) 浚渫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浚渫システム
JP2004216340A (ja) 洗浄分級装置
JP7224933B2 (ja) 浚渫装置および浚渫方法
JP4236890B2 (ja) 泥水を含む土砂の1次水切り装置
US868774A (en) Dredging apparatus.
JPH0515898A (ja) 泥土等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CN220335982U (zh) 一种河道淤泥疏浚设备
JP4601339B2 (ja) 浚渫方法
CN214940580U (zh) 一种绞吸挖泥船吹填土筛分装驳平台
CN210206152U (zh) 一种河流疏浚泥沙分离装置
JP3720914B2 (ja) 泥水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RU2230159C1 (ru) Агрегат для подводной разработки траншей
JP7349848B2 (ja) 揚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