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602B1 - 친환경 준설선 - Google Patents

친환경 준설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602B1
KR100930602B1 KR1020090052217A KR20090052217A KR100930602B1 KR 100930602 B1 KR100930602 B1 KR 100930602B1 KR 1020090052217 A KR1020090052217 A KR 1020090052217A KR 20090052217 A KR20090052217 A KR 20090052217A KR 100930602 B1 KR100930602 B1 KR 10093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sieve
dredged soi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부순
이재억
이문구
Original Assignee
의왕개발 주식회사
바스코코리아(주)
주식회사 우성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왕개발 주식회사, 바스코코리아(주), 주식회사 우성기공 filed Critical 의왕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63B35/30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 B63B35/303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discharging by suction, pressing 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05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conveying material from the underwater bot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02F2003/003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using activated carbon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준설선에 관한 것으로, 펌핑된 준설토에서 입자가 큰 알갱이들을 걸러서 이송시키고 물과 슬러지는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준설토분리수단; 준설토분리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물 및 슬러지를 분리하며 정화된 물은 다시 하천이나 강, 호수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분리수단; 슬러지분리수단에 설치되어서 분리된 슬러지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수단; 부력배에 설치되고 슬러지배출수단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펌핑되는 슬러지가 저장되고 침전 및 농축되는 슬러지탱크; 준설토분리수단과 슬러지분리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준설토분리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물 및 슬러지를 슬러지분리수단으로 이송시키며 준설토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알갱이들을 수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 등에서 슬러지를 퍼올린 후 준설선 내에서 물, 슬러지,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을 분리하여서 처리하므로 별도의 준설토 분리장치가 필요 없으며, 이에 따라 고가의 장비가 감소되므로 장비 구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준설토 분리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제1거름망, 슬러지조, 제1이송컨베이어, 수납부, 조명부, 수중카메라

Description

친환경 준설선{Environment dredger}
본 발명은 친환경 준설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에서 흡입한 슬러지에서 물, 슬러지, 모래 알갱이들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고, 운전실에서 준설할 바닥면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친환경 준설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호수 등의 수면 아래쪽 바닥에는 우천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오폐수에 의하여 슬러지가 퇴적되거나, 인위적인 투척에 의해 슬러지가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각종 슬러지는 수질오염을 가속화시켜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면에 쌓여 있는 슬러지 제거 및 준설을 위하여 준설선이 사용되고 있다.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를 탑재하여, 강, 운하, 항만, 항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을 하며, 물 밑의 슬러지를 포함하는 흙, 모래, 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준설선은, 단지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흡입하여 지상으로 펌핑하는 역할만 수행할 뿐, 흡입한 슬러지를 처리하지는 못하였다. 즉, 슬러지에는 다량의 물은 물론 모래 등의 알갱이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슬러지로로부터 이들을 분리하여서 물은 다시 하천이나 호수로 보내고 슬러지와 모래 등은 별도로 처리해야 한다. 종래의 준설선은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에 쌓이 슬러지를 흡입하여 펌핑하는 역할만 수행하므로 펌핑된 슬러지를 처리할 별도의 슬러지 분리장치가 더 필요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준설선과 함께 별도의 슬러지 분리장치를 더 구비해야 하므로 고가의 장비를 구비함에 따라 장비 구입 비용이 대폭 증가되었고, 지상에 별도의 슬러지 처리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대두된다.
또한 종래의 준설선은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을 준설할 때에 작업자가 준설할 바닥면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다. 운전실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준설할 바닥면 상태를 확인할 수 없으며, 바닥면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감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 효과가 크게 감소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에서 흡입한 슬러지에서 물, 슬러지, 모래 알갱이들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준설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실에서 준설할 바닥면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준설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은, 소정 면적 및 내체적을 갖는 부력배와, 부력배의 내부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과, 추진엔진에 연결되어 부력배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구동되는 스크류와, 부력배의 상부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운전실의 전방에 연결되어 유압으로 작동되는 붐대 및 이 붐대의 전단에 장착되는 버켓과, 버켓의 인접 위치로부터 부력배의 전방에서 후방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준설토 흡입관과, 부력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흡입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심펌프와, 부력배의 양측부위에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에 접하여 부상하는 부력체와, 부력배의 후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원하는 준설 위치에서 수면의 바닥면에 압입 고정되는 한 쌍의 서포트를 포함하는 준설선에 있어서, 부력배에 설치되고 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준설토가 펌핑되며 펌핑된 준설토에서 모래 및 자갈과 같이 입자가 큰 알갱이들을 걸러서 이송시키고 물과 슬러지는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준설토분리수단; 준설토분리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물 및 슬러지를 분리하며 정화된 물은 다시 하천이나 강, 호수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분리수단; 슬러지분리수단에 설치되어서 분리된 슬러지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수단; 부력배에 설치되고 슬러지배출수단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펌핑되는 슬러지가 저장되고 침전 및 농축되는 슬러지탱크; 준설토분리수단과 슬러지분리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준설토분리수단으로부터 낙 하되는 물 및 슬러지를 슬러지분리수단으로 이송시키며 준설토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알갱이들을 수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슬러지분리수단의 배수관에 설치되고 슬러지분리수단으로부터 분리된 물을 하천이나 강, 호수로 배출시키기 전에 최종적으로 정화시키는 정화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의 다른 특징은, 준설토분리수단은, 부력배에 설치되고 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준설토가 펌핑되며 펌핑된 준설토에서 모래와 같이 입자가 큰 알갱이를 걸러내는 제1거름망과, 제1거름망에 설치되어서 제1거름망을 진동시키는 제1바이브레이터와, 제1거름망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제1거름망보다 작은 메시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거름망을 통과한 입자들 중 미세 슬러지들을 2차로 걸러내는 제2거름망과, 제2거름망에 설치되어서 제2거름망을 진동시키는 제2바이브레이터와, 제1거름망 및 제2거름망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제1거름망 및 제2거름망에 끼인 슬러지를 세척하도록 물분사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의 또 다른 특징은, 슬러지분리수단은, 준설토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슬러지 및 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슬러지조와, 슬러지조의 공간들이 다수의 공간들로 구획되도록 슬러지조의 내부에 이격되어서 설치되고 슬러지조의 일측 공간에 투입된 슬러지 및 물이 인접한 공간들로 흘러 넘치면서 타측 공간들로 갈수록 슬러지는 각 공간들에 침전되어 걸러지도록 하는 격판들과, 슬러지조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들 중 최외측의 공간에 연결되어서 다수의 공간들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의 또 다른 특징은, 슬러지배출수단은, 슬러지분리 수단과 슬러지탱크에 연결되어서 슬러지분리수단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탱크로 이송되도록 하는 배출관과, 배출관에 설치되어서 슬러지분리수단 내의 슬러지를 슬러지탱크로 펌핑하는 슬러지펌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의 또 다른 특징은, 이송수단은, 준설토분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슬러지분리수단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어서 준설토분리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슬러지 및 물을 이송시켜서 슬러지분리수단의 일측 내부로 공급하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일단이 준설토분리수단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수납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준설토분리수단에 의해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을 수납부 내부로 공급하는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의 또 다른 특징은, 정화수단은, 배수관에 연결되어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필터와, 여과필터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여과필터를 통과한 물에서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과, 활성탄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정화하고 살균처리하는 광촉매필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의 또 다른 특징은, 흡입관의 하부에는 흡입관 하단 둘레를 비추도록 조명부가 설치되어 있고, 흡입관의 하부 일측에는 준설할 바닥을 촬영하도록 수중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실 내부에는 조명부 및 수중카메라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도록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의 또 다른 특징은, 흡입관은 벨로우즈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흡입관의 일측에는 흡입관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가 흡입되어 준설토분리수단인 제1거름망 및 제2거름망으로 공급되면, 제1바이브레이터 및 제2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제1거름망 및 제2거름망이 진동되면서 물과 슬러지가 하측의 제1이송컨베이어 측으로 낙하되어서 슬러지조로 투입되고, 슬러지조의 다수의 공간들을 지나면서 슬러지는 걸러지고 여과된 물은 배수관을 통해 하천이나 호수로 배수되며, 모래 등의 알갱이들은 제2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수납부로 투입된다.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에서 흡입된 슬러지가 준설토분리수단, 슬러지분리수단, 슬러지배출수단을 거치면서 여과된 물은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배수되고, 슬러지는 슬러지탱크로 유입되어 침전되며 모래 등의 알갱이들은 수납부에 모이게 된다. 그러므로 하천이나 호수 등에서 슬러지를 퍼올린 후 준설선 내에서 물, 슬러지,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을 분리하여서 처리하므로 별도의 준설토 분리장치가 필요 없으며, 이에 따라 고가의 장비가 감소되므로 장비 구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준설토 분리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은 준설토분리수단으로부터 분리된 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기 전에 여과필터, 활성탄, 광촉매필터로 이루어진 정화수단을 통과하게 된다. 준설토분리수단을 통과하였지만 배출되는 물에는 여전히 부유물질들이 혼합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은 여과필터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이 1차 로 여과되고, 활성탄을 통과하면서 미세 이물질이 여과되며 악취가 어느 정도 제거된다. 그리고 광촉매필터를 통과하면서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질이 최종적으로 정화되고 살균처리된다. 그러므로 정화수단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정화된 물을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준설선은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을 준설할 때에 조명부와 수중카메라를 켜고 운전실의 모니터를 통해 준설할 바닥면을 확인하는 가운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준설할 바닥면을 작업자의 눈으로 확인하는 가운데 작업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 효과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측면도로써, 이러한 본 발명의 준설선은, 소정 면적 및 내체적을 갖는 부력배(1)가 구비된다. 부력배(1)의 내부에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미도시)이 설치되고, 추진엔진에는 부력배(1)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구동되는 스크류(미도시)가 설치된다. 부력배(1)의 상부에는 운전실(2)이 탑재되어 있고, 운전실(2)의 전방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붐대(3) 및 이 붐대(3)의 전단에 장착되는 버켓(4)이 구비된다.
버켓(4)의 인접 위치로부터 부력배(1)의 전방 상부까지 경유되도록 준설토 흡입관(5)이 설치된다. 이 흡입관(5)에는 부력배(1)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흡입관(5)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심펌프(6)가 설치된다. 부력배(1)의 양측부위에는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에 접하여 부상하는 부력체(7)가 설치된다. 부력배(1)의 후단부에는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원하는 준설 위치에서 수면의 바닥면에 압입 고정되는 한 쌍의 서포트(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준설토분리수단(10), 슬러지분리수단(20), 슬러지배출수단(30), 슬러지탱크(40), 이송수단(50)이 더 설치되어 있다.
준설토분리수단(10)은, 부력배(1)에 설치되고 흡입관(5)으로부터 흡입된 준설토가 펌핑되며 펌핑된 준설토에서 모래 및 자갈과 같이 입자가 큰 알갱이들을 걸러서 이송시키고 물과 슬러지는 하측으로 낙하시킨다.
이러한 준설토분리수단(10)은,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 제1바이브레이터(12) 및 제2바이브레이터(14), 물분사장치(15)로 이루어진다.
제1거름망(11)은, 부력배(1)에 설치되고 흡입관(5)으로부터 흡입된 준설토가 펌핑되며 펌핑된 준설토에서 모래와 같이 입자가 큰 알갱이를 걸러낸다.
제1바이브레이터(12)는, 제1거름망(11)에 설치되어서 제1거름망(11)을 진동시킨다. 제1거름망(11)이 제1바이브레이터(12)에 의해 진동됨에 따라 그 위에 펌핑된 슬러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며 물과 가는 입자의 슬러지는 제1거름망(11)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고, 제대로 걸러지지 않은 슬러지 및 모래, 자갈 등과 같이 입자가 큰 알갱이들은 제2거름망(13)으로 이송된다.
제2거름망(13)은, 제1거름망(11)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제1거름망(11)보다 작은 메시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거름망(11)을 통과한 입자들 중 미세 슬러지들만 2차로 걸러낸다.
제2바이브레이터(14)는, 제2거름망(13)에 설치되어서 제2거름망(13)을 진동시킨다. 제2거름망(13)이 제2바이브레이터(14)에 의해 진동됨에 따라 그 위에 낙하된 슬러지가 제2거름망(1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물 및 미세 슬러지가 하측으로 낙하된다. 제2거름망(13)으로 걸러진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은 후술할 이송수단(50)을 통해 수납부(60)로 투입된다.
물분사장치(15)는,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물공급관(16)과 다수의 분사노즐(17)들로 이루어진다. 분사노즐(17)에서 물이 분사되면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으로 물이 분사되면서 이들에 끼인 슬러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슬러지분리수단(20)은, 준설토분리수단(1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물 및 슬러지를 분리하며 정화된 물은 다시 하천이나 강, 호수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슬러지분리수단(20)은, 슬러지조(21)와, 격판(23)들과, 배수관(24)으로 이루어진다. 슬러지조(21)는, 준설토분리수단(10)에서 분리된 슬러지 및 물이 후술할 제1이송컨베이어(51)에 의해 투입된 후 저장된다.
격판(23)은, 슬러지조(21)의 공간(22)들이 다수의 공간(22)들로 구획되도록 슬러지조(21)의 내부에 이격되어서 설치되고, 슬러지조(21)의 일측 공간(22)에 투입된 슬러지 및 물이 인접한 공간(22)들로 흘러 넘치면서 타측 공간(22)들로 갈수록 슬러지는 각 공간(22)들에 침전되어 걸러지도록 한다.
슬러지조(21)의 내부 공간(22)들 중, 일측의 공간(22)으로 투입된 물 및 슬러지는 격판(23)들을 넘어서 인접한 다른 공간(22)들로 넘어가게 되며, 물 및 슬러지들이 인접한 공간(22)들로 넘어가는 동안 슬러지들은 격판(23)들에 부딪힌 후 침전되면서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슬러지조(21)의 마지막 공간(22)에 연결된 배수관(24)에는 최종적으로 여과된 물만 배출된다.
슬러지조(21)의 공간(22)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슬러지의 여과력은 그만큼 향상되며, 슬러지조(21)의 크기 및 공간(22)들은 부력배(1)의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배수관(24)은, 슬러지조(21)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22)들 중 최외측의 공간에 연결되어서 다수의 공간(22)들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이 하천이나 호수로 배출되도록 한다.
슬러지배출수단(30)은, 슬러지분리수단(20)에 설치되어서 분리된 슬러지를 펌핑하여 배출시킨다.
이러한 슬러지배출수단(30)은, 배출관(31)과 슬러지펌프(32)로 이루어진다. 배출관(31)은 일단이 슬러지조(21)의 공간(22)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슬러지탱크(40)에 연결되어서 슬러지조(21)의 공간(22)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탱크(40) 로 이송되도록 한다. 슬러지펌프(32)는 배출관(31)에 설치되어서 슬러지조(21)의 공간(22) 내의 슬러지를 슬러지탱크(40)로 펌핑한다.
여기서, 배출관(31)의 일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조(21)의 공간(22)들 중 슬러지가 가장 많이 침전되는 첫번째 공간(22)에만 연결될 수 있지만 다른 공간(22)들에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31)의 타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탱크(40)에 연결될 수 있지만 지상의 슬러지 저장조(미도시)나 슬러지 이송용 덤프 트럭 또는 슬러지 건조용 야적장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물과 알갱이들이 걸러진 슬러지를 지상의 슬러지 저장조, 덤프 트럭, 야적장에 직접 펌핑할 수 있다.
슬러지탱크(40)는, 부력배(1)에 설치되고 배출관(31)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펌핑되는 슬러지가 저장되고 침전된다. 슬러지탱크에 슬러지가 투입되면 이에 액상 응집제를 투입하여서 슬러지가 응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수단(50)은, 준설토분리수단(10)과 슬러지분리수단(20) 사이에 설치되고 준설토분리수단(10)으로부터 낙하되는 물 및 슬러지를 슬러지분리수단(20)으로 이송시키며 준설토분리수단(10)에서 분리된 알갱이들을 수납부(60)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수단(50)은, 제1이송컨베이어(51), 제2이송컨베이어(52)로 이루어진다.
제1이송컨베이어(51)는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슬러지조(21)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어서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으로부터 낙하되는 슬러지 및 물을 이송시켜서 슬러지조(21)의 일측 내부 공간(22)으로 공급한다.
제2이송컨베이어(52)는 일단이 제2거름망(13)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수납부(60)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2거름망(13)에 의해 분리된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을 수납부(60) 내부로 이송시킨다.
정화수단(80)은, 슬러지분리수단(20)의 배수관(24)에 설치되고 슬러지분리수단(20)으로부터 분리된 물을 하천이나 강, 호수로 배출시키기 전에 최종적으로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킨다.
이러한 정화수단(80)은, 여과필터(81), 활성탄(82), 광촉매필터(83)로 이루어진다. 여과필터(81)는, 배수관(24)에 연결되어서 배수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한다. 활성탄(82)은, 여과필터(81)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여과필터(81)를 통과한 물에서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고 악취를 제거한다. 광촉매필터(83)는, 활성탄(82)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친환경적으로 정화하고 살균처리한다.
한편, 흡입관(5)의 하부에는 흡입관(5) 하단 둘레를 비추도록 조명부(71)가 설치되어 있고, 흡입관(5)의 하부 일측에는 준설할 바닥을 촬영하도록 수중카메라(72)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실(2) 내부에는 조명부(71) 및 수중카메라(72)에 연 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도록 컴퓨터(73)가 설치되어 있다. 컴퓨터(73)는 조명부(71), 수중카메라(72)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컴퓨터본체(도시하지 않음)와, 컴퓨터본체에 연결되어서 컴퓨터본체에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와, 컴퓨터본체에 연결되어서 이에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은, 부력체(7)를 물 위에 띄우고 서포트(8)를 바닥면에 고정시켜서 부력배(1)가 수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준설작업을 수행한다.
먼저 운전실(2)의 컴퓨터(73)를 조작하여서 조명부(71) 및 수중카메라(72)를 온시킨다. 조명부(71) 및 수중카메라(72)에 의해 준설할 바닥면의 상태를 운전실(2)에 앉아서 모니터로 확인할 수 있다.
컴퓨터(73)에 의해 준설할 바닥면의 정보가 파악되면 버켓(4)으로 준설할 바닥면을 파낸다 이와 동시에 원심펌프(6)를 작동시켜서 슬러지 및 물이 흡입관(5)에 흡입되도록 한다.
흡입관(5)으로 흡입된 물 및 슬러지는 준설토분리수단(10)인 제1거름망(11) 상부로 펌핑된다. 제1거름망(11)이 제1바이브레이터(12)에 의해 진동됨에 따라 이에 투입된 슬러지는 제2거름망(13) 측으로 이동되면서 대부분의 물 및 슬러지가 제1이송컨베이어(51)로 낙하된다. 제1거름망(11)의 하측으로 낙하되지 못한 슬러지 및 알갱이들은 제2거름망(13)으로 이송된다. 제2거름망(13)이 제2바이브레이터(14) 에 의해 진동됨에 따라 이에 투입된 슬러지 및 알갱이들은 제2이송컨베이어(52) 측으로 이동되면서 미세한 슬러지 및 물이 제1이송컨베이어(51) 측으로 낙하된다. 제2거름망(13)의 상부에 최종적으로 남은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은 제2이송컨베이어(52)로 이송되며 이에 의해 수납부(60)에 투입된다.
제1이송컨베이어(51)로 낙하된 슬러지 및 물은 슬러지조(21)의 첫번째 공간(22)으로 이송된다. 슬러지조(21)의 첫번째 공간으로 슬러지 및 물이 계속 투입됨에 따라 증가된 물 및 슬러지가 인접한 다른 공간(22)으로 넘어가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공간들을 지나면서 슬러지가 공간(22)들의 하부에 침전된다.
슬러지조(21)의 첫번째 공간(22)에서 마지막 공간(22)까지 이동된 물은 여러 차례의 여과 과정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여과된 상태이며, 이와 같이 여과된 물은 배수관(24)을 통해 곧바로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배출시킨다.
한편 슬러지조(21)에 침전된 슬러지는 본 발명의 준설선과 함께 지상으로 이동된 후 덤프 트럭이나 야적장에 직접 펌핑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탱크(40)로 공급하여서 1차로 응집처리할 수도 있다.
즉, 슬러지펌프(32)를 구동시켜서 슬러지조(21)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탱크(40)로 펌핑하고 슬러지탱크(40) 내부에 액상의 응집제를 투입하여서 슬러지를 응집시시켜서 저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가 흡입되어 준설토분리수단(10)인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으로 공급되면, 제1바이브레이터(12) 및 제2바이브레이터(14)에 의해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이 진동되면서 물과 슬러지가 하측의 제1이송컨베이어(51) 측으로 낙하되어서 슬러지조(21)로 투입되고, 슬러지조(21)의 다수의 공간(22)들을 지나면서 슬러지는 걸러지고 여과된 물은 배수관(24)을 통해 하천이나 호수로 배수되며, 모래 등의 알갱이들은 제2이송컨베이어(52)를 통해 수납부(60)로 투입된다.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에서 흡입된 슬러지가 준설토분리수단(10), 슬러지분리수단(20), 슬러지배출수단(30)을 거치면서 물, 슬러지 및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알갱이들로 분리되며, 여과된 물은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배수되고, 슬러지는 슬러지탱크(40)로 유입되어 침전된다. 그리고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은 수납부(60)에 모이게 된다.
그러므로 하천이나 호수 등에서 슬러지를 퍼올린 후 준설선 내에서 물, 슬러지,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을 분리하여서 처리하므로 별도의 준설토 분리장치가 필요 없으며, 이에 따라 고가의 장비가 감소되므로 장비 구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상에 준설토 분리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은 준설토분리수단(20)으로부터 분리된 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기 전에 여과필터(81), 활성탄(82), 광촉매필터(83)로 이루어진 정화수단(80)을 통과하게 된다. 준설토분리수단(20)을 통과하였지만 배수관(24)으 로 배출되는 물에는 부유물질들이 혼합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관(24)으로 유입되는 물은 여과필터(81)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이 1차로 여과되고, 활성탄(82)을 통과하면서 미세 이물질이 여과되며 악취가 어느 정도 제거된다. 그리고 광촉매필터(83)를 통과하면서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질이 최종적으로 친환경적으로 정화되고 살균처리된다. 그러므로 준설토분리수단(20)으로부터 분리된 물이 배수관(24)을 통해 배출되기 전에 정화수단(80)을 통과하게 하므로 최적의 상태로 정화된 친환경적인 물을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준설선은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을 준설할 때에 조명부(71)와 수중카메라(72)를 켜고 운전실(2)의 모니터를 통해 준설할 바닥면을 확인하는 가운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준설할 바닥면의 정보를 작업자의 눈으로 직접 파악한 상태에서 작업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 효과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발췌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 측면도로써, 흡입관(91)이 벨로우즈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흡입관(91)의 일측에는 흡입관(91)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실린더(9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켓(4)과는 별개로 흡입관(91)의 하단을 승강시킬 수 있 다. 따라서 흡입관(91)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에 적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준설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흡입관(91)을 상측으로 접어 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준설선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발췌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력배 2 : 운전실
3 : 붐대 4 : 버켓
5,91 : 흡입관 6 : 원심펌프
7 : 부력체 8 : 서포트
10 : 준설토분리수단 11 : 제1거름망
12 : 제1바이브레이터 13 : 제2거름망
14 : 제2바이브레이터 15 : 물분사장치
16 : 물공급관 17 : 분사노즐
20 : 슬러지분리수단 21 : 슬러지조
22 : 공간 23 : 격판
24 : 배수관 30 : 슬러지배출수단
31 : 배출관 32 : 슬러지펌프
40 : 슬러지탱크 50 : 이송수단
51 : 제1이송컨베이어 52 : 제2이송컨베이어
60 : 수납부 71 : 조명부
72 : 수중카메라 73 : 컴퓨터
80 : 정화수단 81 : 여과필터
82 : 활성탄 83 : 광촉매필터
92 : 실린더

Claims (8)

  1. 소정 면적 및 내체적을 갖는 부력배와, 부력배의 내부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과, 추진엔진에 연결되어 부력배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구동되는 스크류와, 부력배의 상부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운전실의 전방에 연결되어 유압으로 작동되는 붐대 및 이 붐대의 전단에 장착되는 버켓과, 버켓의 인접 위치로부터 부력배의 전방에서 후방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준설토 흡입관과, 부력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흡입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심펌프와, 부력배의 양측부위에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에 접하여 부상하는 부력체와, 부력배의 후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원하는 준설 위치에서 수면의 바닥면에 압입 고정되는 한 쌍의 서포트를 포함하는 준설선에 있어서,
    부력배(1)에 설치되고 흡입관(5)(91)으로부터 흡입된 준설토가 펌핑되며 펌핑된 준설토에서 모래와 같이 입자가 큰 알갱이를 걸러내는 제1거름망(11)과, 제1거름망(11)에 설치되어서 제1거름망(11)을 진동시키는 제1바이브레이터(12)와, 제1거름망(11)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제1거름망(11)보다 작은 메시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거름망(11)을 통과한 입자들 중 미세 슬러지들을 2차로 걸러내는 제2거름망(13)과, 제2거름망(13)에 설치되어서 제2거름망(13)을 진동시키는 제2바이브레이터(14)와,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제1거름망(11) 및 제2거름망(13)에 끼인 슬러지를 세척하도록 물분사장치(15)로 이루어져서, 펌핑되는 준설토에서 모래 및 자갈과 같이 입자가 큰 알갱이들을 걸러서 이송시키고 물과 슬러지는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준설토분리수단(10);
    준설토분리수단(10)에서 분리된 슬러지 및 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슬러지조(21)와, 슬러지조(21)의 공간(22)들이 다수의 공간(22)들로 구획되도록 슬러지조(21)의 내부에 이격되어서 설치되고 슬러지조(21)의 일측 공간(22)에 투입된 슬러지 및 물이 인접한 공간(22)들로 흘러 넘치면서 타측 공간(22)들로 갈수록 슬러지는 각 공간(22)들에 침전되어 걸러지도록 하는 격판(23)들과, 슬러지조(21)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22)들 중 최외측의 공간에 연결되어서 다수의 공간(22)들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관(24)으로 이루어져서, 준설토분리수단(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및 슬러지를 분리하며 정화된 물은 다시 하천이나 강, 호수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분리수단(20);
    슬러지분리수단(20)과 슬러지탱크(40)에 연결되어서 슬러지분리수단(20)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탱크(40)로 이송되도록 하는 배출관(31)과, 배출관(31)에 설치되어서 슬러지분리수단(20) 내의 슬러지를 슬러지탱크(40)로 펌핑하는 슬러지펌프(32)로 이루어져서, 분리된 슬러지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수단(30);
    부력배(1)에 설치되고 슬러지배출수단(30)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펌핑되는 슬러지가 저장되고 침전 및 농축되는 슬러지탱크(40);
    준설토분리수단(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슬러지분리수단(20)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어서 준설토분리수단(10)으로부터 낙하되는 슬러지 및 물을 이송시켜서 슬러지분리수단(20)의 일측 내부로 공급하는 제1이송컨베이어(51)와, 일단이 준설토분리수단(10)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수납부(60)의 상부에 위치되며 준설토분리수단(10)에 의해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모래, 자갈 등의 알갱이들을 수납부(60) 내부로 공급하는 제2이송컨베이어(52)로 이루어져서, 준설토분리수단(10)으로부터 낙하되는 물 및 슬러지를 슬러지분리수단(20)으로 이송시키며 준설토분리수단(10)에서 분리된 알갱이들을 수납부(60)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
    배수관(24)에 연결되어서 배수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필터(81)와, 여과필터(81)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여과필터(81)를 통과한 물에서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82)과, 활성탄(82)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정화하고 살균처리하는 광촉매필터(83)로 이루어져서, 슬러지분리수단(20)으로부터 분리된 물을 하천이나 강, 호수로 배출시키기 전에 최종적으로 정화시키는 정화수단(8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준설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흡입관(5)(91)의 하부에는 흡입관(5) 하단 둘레를 비추도록 조명부(71)가 설치되어 있고, 흡입관(5)(91)의 하부 일측에는 준설할 바닥을 촬영하도록 수중카메라(72)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실(2) 내부에는 조명부(71) 및 수중카메라(72)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도록 컴퓨터(7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준설선.
  8. 제1항에 있어서,
    흡입관(91)은 벨로우즈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흡입관(91)의 일측에는 흡입관(91)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실린더(9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준설선.
KR1020090052217A 2009-06-12 2009-06-12 친환경 준설선 KR10093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217A KR100930602B1 (ko) 2009-06-12 2009-06-12 친환경 준설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217A KR100930602B1 (ko) 2009-06-12 2009-06-12 친환경 준설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602B1 true KR100930602B1 (ko) 2009-12-09

Family

ID=4168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217A KR100930602B1 (ko) 2009-06-12 2009-06-12 친환경 준설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602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31B1 (ko) 2011-03-24 2012-08-08 김동희 준설 및 부유물처리를 위한 시스템
KR101185641B1 (ko) * 2010-09-07 2012-09-24 이준창 준설토에 포함된 물 제거장치
KR20140039478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생물학적 처리를 이용한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7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중금속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6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유류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101399284B1 (ko) * 2012-07-31 2014-05-27 (주)신대양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60028120A (ko) * 2014-09-03 2016-03-11 (주)신대양 준설토 정화 및 고화 처리시스템 및 이 처리시스템을 탑재한 준설토 정화처리용 선박
KR101622391B1 (ko) 2014-01-28 2016-05-18 (주)연합토건 친환경적 차수구조물을 이용한 항만 기초 시공 공법
KR101702266B1 (ko) * 2016-03-21 2017-02-13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질개선 및 준설토 처리를 위한 준설장치
CN106801445A (zh) * 2017-01-23 2017-06-06 南通安中水务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技术的河道自动清理船及其方法
KR101789259B1 (ko) 2017-06-09 2017-10-25 김수용 수중드론
KR102073722B1 (ko) * 2019-12-06 2020-03-02 주식회사 태영측량 해상 실시간 그라브 준설시스템
CN111749294A (zh) * 2020-06-11 2020-10-09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水环境治理的淤泥清理装置
KR20220026711A (ko) * 2020-08-26 2022-03-0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조류슬러지의 탈수 및 건조 시스템
KR20230105230A (ko) * 2022-01-03 2023-07-11 김대모 선별 세척 시설이 설치된 해사 채취 운반선
CN117461510A (zh) * 2023-12-11 2024-01-30 中交广州水运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红树林生态修复的生境营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304A (ko) * 1999-03-25 2000-10-16 이종경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304A (ko) * 1999-03-25 2000-10-16 이종경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641B1 (ko) * 2010-09-07 2012-09-24 이준창 준설토에 포함된 물 제거장치
KR101172431B1 (ko) 2011-03-24 2012-08-08 김동희 준설 및 부유물처리를 위한 시스템
KR101399284B1 (ko) * 2012-07-31 2014-05-27 (주)신대양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101647675B1 (ko) 2012-09-24 2016-08-11 (주)신대양 유류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6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유류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7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중금속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101647676B1 (ko) 2012-09-24 2016-08-11 (주)신대양 중금속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8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생물학적 처리를 이용한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101647677B1 (ko) 2012-09-24 2016-08-11 (주)신대양 생물학적 처리를 이용한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101622391B1 (ko) 2014-01-28 2016-05-18 (주)연합토건 친환경적 차수구조물을 이용한 항만 기초 시공 공법
KR20160028120A (ko) * 2014-09-03 2016-03-11 (주)신대양 준설토 정화 및 고화 처리시스템 및 이 처리시스템을 탑재한 준설토 정화처리용 선박
KR101644844B1 (ko) 2014-09-03 2016-08-02 (주)신대양 준설토 정화 및 고화 처리시스템 및 이 처리시스템을 탑재한 준설토 정화처리용 선박
KR101702266B1 (ko) * 2016-03-21 2017-02-13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질개선 및 준설토 처리를 위한 준설장치
CN106801445A (zh) * 2017-01-23 2017-06-06 南通安中水务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技术的河道自动清理船及其方法
KR101789259B1 (ko) 2017-06-09 2017-10-25 김수용 수중드론
KR102073722B1 (ko) * 2019-12-06 2020-03-02 주식회사 태영측량 해상 실시간 그라브 준설시스템
CN111749294A (zh) * 2020-06-11 2020-10-09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水环境治理的淤泥清理装置
KR20220026711A (ko) * 2020-08-26 2022-03-0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조류슬러지의 탈수 및 건조 시스템
KR102468004B1 (ko) * 2020-08-26 2022-11-1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조류슬러지의 탈수 및 건조 시스템
KR20230105230A (ko) * 2022-01-03 2023-07-11 김대모 선별 세척 시설이 설치된 해사 채취 운반선
KR102632195B1 (ko) * 2022-01-03 2024-01-31 김대모 선별 세척 시설이 설치된 해사 채취 운반선
CN117461510A (zh) * 2023-12-11 2024-01-30 中交广州水运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红树林生态修复的生境营造方法
CN117461510B (zh) * 2023-12-11 2024-04-05 中交广州水运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红树林生态修复的生境营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02B1 (ko) 친환경 준설선
US86782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watering of slurries
KR100729863B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102207360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나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수중발생 오염물의 재활용 방법 및 오염물여과장치
CN108137365A (zh) 弃土处理厂
KR100922414B1 (ko) 친환경 수중 준설 장치 및 공법
JP2001020318A (ja) 水域浄化方法及び水域浄化システム及びダム排砂システム
KR101106770B1 (ko) 오니제거작업선과 오니여과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100939175B1 (ko) 친환경 준설토 분리장치 및 방법
KR200422043Y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KR101444401B1 (ko)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 여과장치
KR101590037B1 (ko)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JP2003334533A (ja) 土壌洗浄方法及び土壌洗浄装置並びに吸水送気兼用装置
JP4136877B2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CN102963946B (zh) 浮游式污水处理机
KR20090107224A (ko) 해변의 오염된 흙의 기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JP4382397B2 (ja)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JP2005218903A (ja) 植物繊維を含む有機土の処理方法及び有機土処理装置
JP2001029995A (ja) ダム堆砂処理システム
CN214190021U (zh) 一种带有洗沙装置的驳船
KR100314856B1 (ko)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JP2862820B2 (ja) 土砂礫等を含む泥水の分離方法および装置
KR101860843B1 (ko) 환경방제선
JP2004225475A (ja) ダム等の浮遊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