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856B1 -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856B1
KR100314856B1 KR1019990041728A KR19990041728A KR100314856B1 KR 100314856 B1 KR100314856 B1 KR 100314856B1 KR 1019990041728 A KR1019990041728 A KR 1019990041728A KR 19990041728 A KR19990041728 A KR 19990041728A KR 100314856 B1 KR100314856 B1 KR 10031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storage unit
strainer
bus
suc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101A (ko
Inventor
고천일
고영래
Original Assignee
고천일
고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천일, 고영래 filed Critical 고천일
Priority to KR101999004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8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4Apparatus for separating stones from the dredged material, i.e. separating or treating dredged material
    • E02F3/945Apparatus for separating stones from the dredged material, i.e. separating or treating dredged material for environment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적물 수거 처리수단이 설치된 모선(母船)을 이용하여 강바닥에 쌓인 각종 퇴적물들을 폭기(暴氣)상태에서 흡입하여 다단의 처리장치를 거쳐 퇴적물과 물을 분리 수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강이나 저수지등의 수질이 퇴적물에 의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 것으로, 모선(S)의 후미에는 구동펌프(P)와 이중관으로 되는 연결관(11)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흡입수단(1)을 설치하되, 상기 각 흡입수단(1)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관(11)에 의해 에어콤프레서(C)와 연결되는 폭기수단(2)을 설치하고, 상기 모선(S)의 선상에는 퇴적물저장부(3)를 타공망(31)을 경계로 하여 일정넓이 만큼 형성하며, 상기 퇴적물저장부(3) 일측에는 상기 구동펌프(P)의 토출관(4)이 연결되는 집수조(5)를 설치하고, 상기 타공망(31) 바깥쪽으로는 상기 집수조(5) 상단과 연통되게 유로(62)를 형성하여 이 유로(62)내에 다수의 걸름망(6)을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걸름망(6)은 별도의 구동수단(61)에 의해 타공망(31) 상측으로 회동되어 걸러져 담긴 퇴적물을 퇴적물저장부(3)으로 쏟아 부을 수 있도록 회동작동되게 하고, 상기 퇴적물저장부(3)에는 필요에 따라 육상과 연결되는 이송콘베어(7)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 A DEPOSIT TREATMENT APPARATUS }
본 발명은 강바닥 퇴적물 수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퇴적물 수거 처리수단이 설치된 모선(母船)을 이용하여 강바닥에 쌓인 각종 퇴적물들을 폭기(暴氣)상태에서 흡입하여 다단의 처리장치를 거쳐 퇴적물과 물을 분리 수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퇴적물에 의해 강이나 저수지 등의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쌓인 각종 퇴적물 또는 침전물들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적조 및 부영양화 현상에 의해 수질을 악화시켜 결과적으로는 수질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게 되는 근본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반 환경적인 강이나 저수지 바닥에 쌓인 퇴적물들을 제거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수단은 규모가 큰 준설선을 강이나 저수지에 투입하여 그 바닥을 일정깊이 파내는 것으로, 이는 한경오염의 근원인 퇴적물만의 제거가 아닌 강바닥의 모래나 자갈등의 건설자재의 확보나 또는 수심을 깊게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는 강이나 저수지의 바닥자체를 훼손시키게 되므로 도리어 강이나 저수지 바닥의 생태계 파괴를 불러 일으키는 문제와 아울러 고가의 준설선을 퇴적물 제거에 투입하기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부담을 주는 것이어서, 그나마도 투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으로 어쩔 수 없이 폭우등 자연에 의한 처리만을 기대할 수밖에 없게 되므로 강이나 저수지의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그대로 방관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이나 저수지 바닥에 쌓인 퇴적물의 제거를 위해대형 준설선을 동원하여 강이나 저수지 바닥을 일정깊이 만큼 파내게됨에 따라 도리어 강이나 저수지의 수질환경을 악화시키게 되는 종래의 강이나 저수지 바닥의 퇴적물 처리방법 및 수단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에 의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강이나 저수지에 투입할 수 있도록 모선에 수거처리장치 일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폭기기능을 갖는 흡입수단에 의해 퇴적물을 흡입하여 모선상에서 다단의 처리장치를 거치면서 퇴적물과 물을 분리하여 물은 다시 강이나 저수지에 투입시키고 퇴적물만을 걸러내 육상으로 운반, 하역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이나 저수지 바닥에 쌓인 퇴적물의 신속하고 간편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강이나 저수지의 수질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모선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모선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모선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4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걸름망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흡입수단과 폭기수단의 일부 확대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모선상면의 일부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의한 수거 퇴적물의 하역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구동펌프 C : 에어콤프레서 1 : 모선
2 : 폭기수단 3 : 퇴적물저장부 4 : 토출관
5 : 집수조 6 : 걸름망 7 : 이송콘베어
11 : 연결관 31 : 타공망 61 : 구동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A)는, 모선(S)의 후미에는 구동펌프(P)와 이중관으로 되는 연결관(11)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흡입수단(1)을 설치하되, 상기 각 흡입수단(1)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관(11)에 의해 에어콤프레서(C)와 연결되는 폭기수단(2)을 설치하고, 상기 모선 (S)의 선상에는 퇴적물저장부(3)를 타공망(31)을 경계로 하여 일정넓이 만큼 형성하며, 상기 퇴적물저장부(3) 일측에는 상기 구동펌프(P)의 토출관(4)이 연결되는 집수조(5)를 설치하고, 상기 타공망(31) 바깥쪽으로는 상기 집수조(5) 상단과 연통되게 유로(62)를 형성하여 이 유로(62)내에 다수의 걸름망(6)을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걸름망(6)은 별도의 구동수단(61)에 의해 타공망(31) 상측으로 회동되어 걸러져 담긴 퇴적물을 퇴적물저장부(3)으로 쏟아 부을 수 있도록 회동작동되게 하고, 상기 퇴적물저장부(3)에는 필요에 따라 육상과 연결되는 이송콘베어(7)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수거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선의 측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수거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선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수거처리장치의 구성요부인 걸름망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수거처리장치의 구성요부인 흡입수단과 폭기수단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수거처리장치의 구성요부인 모선상면의 일부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흡입수단(1), 폭기수단(2), 퇴적물저장부(3), 집수조(5) 및 걸름망(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흡입수단(1)은, 유로(11a)와 공기통로(11b)의 이중관 구조로 되어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관(11)의 유로(11a)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연결관(11)은 모선(S) 후미에 별도의 지지구(12)에 회동 및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또한 당김수단(13)에 의해 당겨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관(11)내부의 유로(11a) 타단은 호스(14)에 의해 구동펌프(P)의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폭기수단(2)은, 에어콤프레서(C)와 연결된 에어공급관(21)과 이중관으로 되는 상기 각 연결관(11)의 공기통로(11b)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수단(1) 일측에 설치 되는 것으로 흡입수단(1) 작동시 폭기수단(2)이 강바닥의 퇴적물에 대해 강하게 압축공기를 내뿜게 함으로써 퇴적물의 흡입을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퇴적물저장부(3)는 모선(S)의 대략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주변 3면에는 타공망(31)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타공망(31)에 후술하는 걸름망(6)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걸름망(6)에 의해 걸러져 퇴적물 저장부(3)에 모여지는 퇴적물들을 일정량 모아 별도의 이송콘베어(7)에 의해 육상으로 운반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타공망(31)설치부위의 바닥면(32)은 상기 퇴적물저장부(3)의 바닥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한 집수조(5)는 상기 모선(S)의 퇴적물저장부(3)일측에 일정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펌프(P)의 토출구에 연결된 토출관(4)의 일단이 그 상부에 설치되어 흡입수단(1)에 의해 흡입된 퇴적물과 물을 모아 저장하여 일차로 일부퇴적물이 자연침전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걸름망(6)은 상기 집수조(5)의 수위보다 약간 낮은 바닥면을 갖도록 상기 타공망(31) 주위의 하향 경사진 유로(62) 상에 다수 설치되는 것으로, 집수조(5)로부터 멀어질수록 각각의 걸름망(6)의 그물형태는 그 메쉬(mesh)가 점차 조밀해지며, 각 걸름망(6)의 상면과 퇴적물과 물의 유입측면에는 그물망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각 걸름망(6)의 타공망(31) 인접측에는 별도의 구동수단(61)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구동수단(61)의 작동에 의해 걸름망(6)이 타공망(31) 상측으로90˚이상 회동하여 내부에 걸러져 모아진 퇴적물들을 퇴적물저장부(3)에 쏟아 부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A)의 실시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모선(S) 후미의 지지구(12)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관(11) 선단의 흡입수단(1)과 폭기수단(2)이 강이나 저수지의 바닥면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연결관(11)을 물속에 담근 상태에서 모선(S)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선상의 구동펌프(P)와 에어 콤프레서(C)를 구동시키게 되면, 구동펌프(P)의 작동에 따라 강이나 저수지 바닥면에 적층된 퇴적물들을 흡입하여 선상으로 빨아올리게 되는 것인데, 이때 흡입수단(1) 일측에 설치된 폭기수단(2)으로부터 압축공기가 강하게 분출되게 됨에 따라 강바닥의 뭉쳐있던 퇴적물은 비산되는 상태로 되므로 흡입수단(1)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많은 양의 퇴적물을 선상으로 빨아올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흡입수단(1)에 의해 선상으로 빨아올려진 물과 퇴적물은 구동펌프(P)의 토출구에 연결된 토출관(4)을 통해 일정깊이를 갖는 집수조(5)로 보내져 어느정도 고이면서 퇴적물들이 일차로 침전되게 되고 이후 일정수위에 도달되게 되면 그 일측에 형성되는 유로에 설치된 다수의 걸름망(6)들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퇴적물들을 걸름망(6)에 의해 걸러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집수조(5)일측에 다수 설치되는 걸름망(6)은 집수조(5)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걸름망(6)일수록 그 그물의 메쉬크기가 크게 형성되며 집수조(5)로 부터 멀어질 수록 그물메쉬가 조밀해지는 다수의 걸름망(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물에 포함된 퇴적물들은 보다 확실하게 걸름망(6)에서 걸러지게 된다.
이렇게 다수의 걸름망(6)에 의해 걸러진 퇴적물들은, 각 걸름망(6) 일측에 설치된 구동수단(61)의 프로그램 작동에 의해 걸름망(6)이 타공망(31) 내측의 퇴적물저장부(3) 측으로 대략 90˚이상 회동하는 것에 의해 걸름망(6) 내측에 담긴 각종 퇴적물들을 퇴적물저장부(3)로 자유낙하 시키게 되고 걸름망(6)은 다시 구동수단(61)의 작동에 따라 본래 위치, 즉 유로(62)로 복귀하는 식으로 일련의 동작이 반복 진행되게되어 강바닥에 쌓인 퇴적물들을 일단 모선(S)의 선상에 설치된 퇴적물저장부(3)에 일정량 모을 수 있게 된다. 이후 퇴적물저장부(3)에 퇴적물들이 어느정도 모이게 되면, 모선(S)을 육상근처에 접안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이송콘베어(7)의 하단을 퇴적물저장부(3)에 위치시키고 그 상단을 육상의 퇴적물 처리조에 위치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이송콘베어(7)을 작동시켜 간편히 퇴적물저장부(3)에 모아진 퇴적물들을 육상으로 옮겨 하역한 후 별도 처리하게 된다. 이후 육상의 퇴적물 처리조와 연결되게 설치된 이송콘베어(7)를 제거한 후 앞서와 같이 모선(S)을 가동시키게 되면 강이나 저수지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집수조(5) 일측에 일렬로 설치되어 퇴적물들을 걸러내는 걸름망(6)의 개수를 본 예에서는 9개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수를 가감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적용실시 범위에 있어서도, 반드시 강이나 저수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내수면이나 인근해 바다의 바닥면 퇴적물 제거를 위해 사용할 수도 있는 등 그 적용 실시 범위를 제한 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강바닥 퇴적물 수거 처리장치에 의하면, 강이나 저수지의 바닥에 쌓인 퇴적물들을 준설하지 않고 폭기수단으로 불어 퇴적물들을 흡입수단에 의해 빨아올린 상태에서 다수의 걸름망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퇴적물이 걸러지게 하여 물과 퇴적물을 분리시킨후 걸름망에 의해 걸러진 퇴적물들은 걸름망의 회동에 의해 퇴적물 저장부에 모여진후 별도의 이송콘베어에 의해 육상으로 옮겨져 처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이나 저수지의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보다 간편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수질개선 작업을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 방법 및 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모선(S)의 후미에는 구동펌프(P)와 이중관으로 되는 연결관(11)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흡입수단(1)을 설치하되, 상기 각 흡입수단(1)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관(11)에 의해 에어콤프레서(C)와 연결되는 폭기수단(2)을 설치하고, 상기 모선(S)의 선상에는 퇴적물저장부(3)를 타공망(31)을 경계로 하여 일정넓이 만큼 형성하며, 상기 퇴적물저장부(3) 일측에는 상기 구동펌프(P)의 토출관(4)이 연결되는 집수조(5)를 설치하고, 상기 타공망(31) 바깥쪽으로는 상기 집수조(5) 상단과 연통되게 유로(62)를 형성하여 이 유로(62)내에 다수의 걸름망(6)을 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걸름망(6)은 그 상면과 유입측면에 그물망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걸름망(6)은 집수조(5) 측으로부터 멀어지게 설치되는 것일수록 그물 메쉬가 조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6)은 별도의 구동수단(61)에 의해 타공망(31) 상측으로 회동 작동되어 걸름망(6)내에 걸러져 담긴 퇴적물을 퇴적물 저장부(3)로 쏟아 부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바닥 퇴적물 수리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 저장부(3)에는 필요에 따라 육상과 연결되는 이송콘베어(7)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바닥 퇴적물 수리처리장치.
KR1019990041728A 1999-09-29 1999-09-29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KR10031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728A KR100314856B1 (ko) 1999-09-29 1999-09-29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728A KR100314856B1 (ko) 1999-09-29 1999-09-29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101A KR20010029101A (ko) 2001-04-06
KR100314856B1 true KR100314856B1 (ko) 2001-11-23

Family

ID=1961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728A KR100314856B1 (ko) 1999-09-29 1999-09-29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08B1 (ko) * 2002-04-10 2005-01-24 김청수 슬러지 제거장치
CN106836342A (zh) * 2017-01-24 2017-06-13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破土射流冲吸式吸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101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02B1 (ko) 친환경 준설선
CN110130434B (zh) 渠道长边坡清淤过滤机
EP0119653B1 (en) Method for removing sludge or mud from the bottom of a water area
CN108824534A (zh) 一种水利工程用清淤装置
JP2019060221A (ja) 撹拌剥離式吸引装置、撹拌剥離式吸引システム及び撹拌剥離式吸引工法
CN210342055U (zh) 渠道长边坡清淤过滤机
KR100314856B1 (ko) 강바닥 퇴적물 수거처리장치
KR100928068B1 (ko) 준설차의 수분배출장치
JP2007146425A (ja) 湖沼水の浚渫方法及び浚渫システム
JPH09144057A (ja) 水路浚渫方法
CN212388647U (zh) 一种水利工程清淤装置
JP2811158B2 (ja) はしけを用いた真空式ヘドロ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CN214169211U (zh) 一种用于河道清淤的智能排污装置
CN212561678U (zh) 一种用于河道淤泥处理的吸污排污装置
CN210331950U (zh) 箱体式淤泥水过滤装置
CN210946958U (zh) 一种耙吸挖泥船
CN112431247A (zh) 一种具有过滤机构的河道清淤设备
CN211037101U (zh) 井下排水沟清淤装置
CN108797682B (zh) 设于船上的河道清理系统及方法
CN115387418A (zh) 一种用于河道清淤疏浚及淤泥干燥的方法
JP3006375U (ja) 掘削泥水の処理装置
CN209475672U (zh) 一种新型沉淀池池底除泥器
KR100495161B1 (ko) 고심도 퇴적물의 준설공법 및 그 장치
CN220888782U (zh) 一种便于水利勘查的清淤装置
CN212548472U (zh) 一种用于采砂施工的砂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