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037B1 -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 Google Patents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037B1
KR101590037B1 KR1020150104396A KR20150104396A KR101590037B1 KR 101590037 B1 KR101590037 B1 KR 101590037B1 KR 1020150104396 A KR1020150104396 A KR 1020150104396A KR 20150104396 A KR20150104396 A KR 20150104396A KR 101590037 B1 KR101590037 B1 KR 10159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ank
sediment
treatment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련
최진영
정창수
김석현
홍기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0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037B1/ko
Priority to PCT/KR2015/007905 priority patent/WO20170143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퇴적물을 처리함에 있어 입자선별장치, 세척반응조, 고도처리반응조, 침전조, 탈수장치, 약품탱크를 포함하는 개별장치가 각각 또는 하나 이상 연결되어 프레임에 내재되도록 하는 모듈을 복수로 구성하되 선택적으로 모듈을 배치 및 연결하여 수저퇴적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Modularized remedation treatment system for sediments at the bottom of water and Method for it}
본 발명은 독립적 처리기능을 가진 모듈을 복수로 구성하여 수저퇴적물 정화사업 현장으로 이동, 배치, 연결, 분리, 재배치가 용이하여 최적화된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고 정화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복합적인 처리가 가능하여 정화효율이 높은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해안은 과거부터 축적된 오염물질과 자연생태계에서 발생된 오염물질 등에 의하여 오염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이 함유된 수저퇴적물은 수질오염의 근본적인 원인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에 수저퇴적물을 수거(준설)하여 수거(준설)된 수저퇴적물을 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수저퇴적물은 실트, 점토 등의 미세입자 함량이 높아 유기물, 중금속 등 오염물질의 함량이 높은 특성이 있다.
이러한 해양 등으로부터의 오염퇴적물을 정화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58067호에서는 "준설토 및 하천수가 혼합된 혼합수에서 자갈최소입도의 자갈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의 자갈최소입도 이하 준설토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조; 상기 제1 저장조의 준설토에서 모래최소입도 이상의 모래와, 모래최소입도 이하의 준설토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제1 사이클론; 상기 제1 사이클론의 모래최소입도 이하 준설토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저장조; 상기 제2 저장조의 준설토에서 정화최소입도 이상의 오염토와, 정화최소입도 이하의 미세입자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제2 사이클론; 및 상기 제2 사이클론의 오염토를 중금속 처리하여 정화하는 중금속추출조를 포함하고, 상기 중금속추출조는 유입된 공정수 및 상기 제2 사이클론의 정화최소입도 ~ 모래최소입도 오염토로 구성된 혼합수가 충진되는 추출조케이스와, 상기 추출조케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관과, 상기 추출조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조케이스 내 혼합수를 교반하는 임펠러와, 중금속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임펠러에 내장되는 초음파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준설토 처리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을 포함한 기존 국내ㅇ외 수저퇴적물 정화기술은 주로 몇 개의 단위공정(예: 입자분리, 세척)을 단순 배치한 비교적 큰 규모의 처리 플랜트(가로/세로/높이: 수∼수십 m)로 구성되며, 이동이 제한되고, 대상 오염지역 정화(약 3년) 후 대부분 처리 플랜트 자체를 폐기 처분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기존 처리 플랜트는 설계, 제작 된 다음 현장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공정의 추가, 용량의 확대 등 최적화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고, 대부분의 정화기술은 대상 오염물질의 저감을 위한 단순 처리에 중점을 두며, 특히 기존 육상의 처리 플랜트는 규모뿐만 아니라 용수, 전력 등 기반시설 사용이 제한되는 현장(해역 등)에서 적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5806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539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330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독립적인 처리기능을 가진 모듈을 복수로 구성하여 현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며, 현장에서 모듈의 배치 및 연결에 의해 시공이 용이하고, 전기적인 시설 등이 모듈로 구성됨에 의해 장소적 제약이 없으며, 현장상황의 변화에 따라 모듈을 추가 또는 제거시킬수 있으므로 현장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정화후에도 모듈의 분리를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시스템 및 공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은 수저퇴적물을 처리함에 있어 입자선별장치, 세척반응조, 고도처리반응조, 침전조, 탈수장치, 약품탱크를 포함하는 개별장치가 각각 또는 하나 이상 연결되어 프레임에 내재되도록 하는 모듈을 복수로 구성하되 선택적으로 모듈을 배치 및 연결하여 수저퇴적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모듈은,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제 1입자선별장치가 프레임에 내재된 입자선별모듈; 상기 제 1입자선별모듈에 연결되며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세척처리 하는 세척반응조와 상기 세척반응조로부터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제 2입자선별장치가 프레임에 내재된 세척모듈; 상기 세척모듈에 연결되어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고도처리를 하는 고도처리반응조와 상기 고도처리반응조로 나노버블을 공급하는 나노버블발생장치와 상기 고도처리반응조로부터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이 프레임에 내재된 고도처리모듈; 상기 고도처리모듈에 연결되어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침전반응을 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발생되는 폐수를 여과처리 하는 활성탄여과기가 프레임에 내재된 페수처리모듈; 상기 고도처리모듈 또는 상기 폐수처리모듈에 연결되어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탈수처리 하는 탈수장치가 프레임에 내재된 탈수모듈; 하나 이상의 약품탱크가 프레임에 내재되어 수저퇴적물의 처리시 약품이 소요되는 모듈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모듈; 전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탈수모듈은 상기 고도처리모듈에 연결되어 분급된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저압탈수에 의해 처리토를 생성케 하는 저압탈수모듈과 상기 폐수처리모듈에 연결되어 침전된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고압탈수에 의해 처리토를 생성케 하는 고압탈수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하나 이상의 슬러리탱크가 프레임에 내재되도록 하여 각 모듈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모듈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은 수저토적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직경이 좁아지는 콘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선별된 일정 입경 이상의 수저퇴적물을 배출하되 상기 몸체 하부에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하부배출관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하부배출유닛; 상기 몸체로부터 선별된 일정 입경 미만의 수저퇴적물을 배출하되 상기 몸체 상부에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상부배출관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상부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상부배출유닛은 개구된 몸체 상단을 막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을 관통하며 막음판의 상,하단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상부배출관으로 구성되되, 복수의 상부배출유닛은 각각 상부배출관의 내경이 다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하부배출유닛에 있어 하부배출관의 내주연은 상기 몸체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구성되되, 복수의 하부배출유닛은 각각 하부배출관의 내경이 다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몸체는, 상기 유입관이 연통하며 직관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콘형상의 하부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 및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배출유닛 사이에는 진동차단패드가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는 상기 상부몸체 하단과 상기 하부몸체 상단의 형상에 대향하는 링부와 상기 링부 내주연에서 내부로 돌출되며 일정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날로 구성되는 타격가스켓과 상기 링부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진동차단패드가 게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공법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은 적용 대상 해역 또는 육역의 특성 및 퇴적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각각 독립적인 처리기능을 가진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철거의 용이성은 물론 사용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용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은 각각 모듈이 독립적으로 처리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를 조합시 물리적 및 화학적 공정을 통합한 복합공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기물 등 부영영화 물질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중금속 처리도 가능하도록 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 내지 10은 도 1에 도시된 각 모듈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또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하이드로 사이클론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하이드로 사이클론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하이드로 사이클론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인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저퇴적물을 처리함에 있어 입자선별장치, 세척반응조, 고도처리반응조, 침전조, 탈수장치, 약품탱크를 포함하는 개별장치가 각각 또는 하나 이상 연결되어 프레임에 내재되도록 하는 모듈을 복수로 구성하되 선택적으로 모듈을 배치 및 연결하여 수저퇴적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별도의 처리기능을 가진 모듈(1 내지 9)을 차량, 육상, 연안, 바지선 등을 포함하는 베이스(B)에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모듈 간을 연결함으로써 수저퇴적물의 복합적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각 모듈을 선택 배치함에 있어서는 처리 수저의 특성, 오염정도 등에 따라 배치가 가능한 것이며 도 1에서는 각 모듈을 1개씩 배치한 구조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독립적인 기능, 예를 들어 고도처리가 더 필요한 경우에는 이하에서 언급할 고도처리모듈(3)을 복수로 더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처리 대상지역의 장소적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현장에 최적의 조합의 배치가 용이하게 되고 현장상황에 따라 처리규모의 부분적 확대가 용이하게 되어 현장적용성이 우수한 것이며 처리 후에도 철거 및 재활용이 용이하여 경제적인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각 모듈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제 1입자선별장치(14)가 프레임에 내재된 입자선별모듈(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입자선별모듈(1)은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제 1입자선별장치(14)가 프레임(P)에 내재되도록 하는 것인데, 더욱 상세히는 전단에 투입원료탱크(11)가 구성되어 수저퇴적물을 공급받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아트라선스크라바(12) 및 밸런스탱크(13)를 거쳐 제 1입자선별장치(14)로 유입되도록 하여 개략적으로 1.2 내지 0.2mm의 입자를 외부로 선별하고 상기 입도를 가진 입자가 선별된 수저퇴적물은 ℓ1을 통해 후단의 모듈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ℓ1 등은 각 모듈의 배치후 연결되는 라인으로 바람직하게는 가변성이 우수한 관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각 모듈 간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세척모듈(2)은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세척하는 세척반응조(21)가 프레임(P)에 내재되도록 하는 것인데, 더욱 상세히는 1차적으로 입자가 선별된 수저퇴적물이 ℓ1을 통해 세척반응조(21)로 유입되도록 하여 약품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세척반응조(21)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약품모듈(8)과 연결되도록 하여 약품모듈(8)로부터 약품이 상기 세척반응조(21)로 공급되도록 하여야 한다. 세척반응조(21)를 거친 수저퇴적물은 그 후단의 제 2입자선별장치(22)로 유입되도록 하여 개략적으로 0.2 내지 0.075mm의 입자를 외부로 선별하고 상기 입도를 가진 입자가 선별된 수저퇴적물은 ℓ2을 통해 후단의 모듈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입자가 세척된 수저퇴적물은 후단의 고도처리모듈(3)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상기 고도처리모듈(3)은 상기 2차 입자선별모듈(2)과 ℓ2를 통해 연결되어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고도처리를 하는 고도처리반응조(31)와 상기 고도처리반응조(31)로 나노버블을 공급하는 나노버블발생장치(32)와 상기 고도처리반응조(31)로부터 고도처리를 거친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32)이 프레임(P)에 내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오존발생장치(33)가 더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나노버블에 의한 고도처리와 오존에 의한 살균처리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자선별모듈(1) 및 세척모듈(2)을 거치면서 비교적 입경이 큰 토사의 경우는 약품처리만으로도 오염물질이 제거되나 입경이 작은 토사의 경우는 표면적이 넓어 오염물질의 흡착이 잘되고, 상호간에도 흡착되려는 경향이 강하여 단순히 약품처리만으로는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보장될 수 없다. 특히 수저퇴적물의 경우 세립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자선별모듈(1) 및 세척모듈(2)을 거친 수저퇴적물을 상기 고도처리모듈(3)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도처리모듈(3)에서는 0.075mm미만의 입경을 가진 수저오염퇴적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침전의 전단계로서 나노버블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나노버블에 의해 토사로부터 오염물질이 분리되도록 하고, 후단에서 침전 등을 통해 유기물, 중금속 등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고도처리모듈(3)에서 분사되는 나노버블은 입경이 작은 토사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토사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토록 하여 침전(약품처리)에 의해 오염물질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나노버블 자체가 유기물질을 산화시켜 오염물질 제거의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32)은 고도처리반응조(31)로부터 고도처리를 거친 수저퇴적물(물이 혼합된 상태)을 공급받아 입경별로 분급을 통해 각각 ℓ3, ℓ4로 후단의 모듈로 수저퇴적물을 공급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분급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실시 예를 도 11에서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 사이클론(10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저퇴적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13)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직경이 좁아지는 콘형상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로부터 선별된 일정 입경 이상의 수저퇴적물을 배출하되 상기 몸체(110) 하부에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하부배출관(121)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하부배출유닛(120); 상기 몸체(110)로부터 선별된 일정 입경 미만의 수저퇴적물을 배출하되 상기 몸체(110) 상부에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상부배출관(131)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상부배출유닛(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 사이클론(100)은 수저퇴적물의 입자분급이 주입압력, 직경과 높이, 콘의 경사도 등 기계적 특성 뿐만 아니라 각각 토양/퇴적물의 입경분포, 점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에 따라 해당 퇴적물에 대해 일의적인 상,하부 배출관의 직경을 적용하는 경우 그 분급효율을 기대할 수 없고 이에 적정한 상,하부 배출관의 직경에 따른 사이클론 자체의 교체 또한 번거로운 문제가 있는데 이에 분급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인 상,하부 배출관의 직경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수저퇴적물의 입자분급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110)는 수저퇴적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13)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직경이 좁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유입관(11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수저퇴적물이 일정 입경 기준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원통형 상부와 콘 형상의 하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통형 상부와 콘 형상의 하부가 접하는 면은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매끄러운 곡선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10)는 상기 유입관(113)이 연통하며 직관형상의 상부몸체(111)와 상기 상부몸체(111)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콘형상의 하부몸체(11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하부몸체(112)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이렇게 몸체(110)를 구성함에 있어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가 착탈형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콘형상의 하부몸체(112)를 기울기에 따라 복수로 구성하여 분급효율을 높이도록 기울기에 따른 하부몸체(112) 교체의 용이성을 도모하는 면도 있으며 특히 이하에서 설명할 진동차단패드(140(142))가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에 게재되도록 하여 유입관(113)을 통해 유입된 수저퇴적물이 상부몸체(111)에서 와류를 형성함에 따른 진동이 하부몸체(11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부몸체(112)에서 원심력을 크게 함으로써 입자분급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과 같이 몸체(11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몸체(110) 내부에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이러한 진동이 와류가 형성된 수저퇴적물에 원심력의 발생을 저해함으로써 입자분급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10)를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로 모듈화 시켜 그 사이에 진동차단패드(142)가 게재되도록 함으로써 원심력 저하요일을 제거토록 한 것이다.
상기 상부배출유닛(130)은 상기 몸체(110)로부터 선별된 일정 입경 미만의 수저퇴적물을 배출하되 상기 몸체(110) 상부에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상부배출관(131)의 직경이 다르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즉 상부배출유닛(130)은 복수로 구성되며 각각 상부배출유닛(130)은 상부배출관(131)의 직경을 달리하여 상기 상부몸체(111) 상단에 선택적으로 착탈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1에서는 2개의 상부배출유닛(130)이 선택적으로 상부몸체(111)에 착탈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일 상부배출유닛(130)의 상부배출관(131) 직경(D1)과 타 상부배출유닛(130)의 상부배출관(131) 직경(D2)이 다르게 구성되어 사용자는 해당 수저퇴적물의 분급을 실시함에 있어 상부배출관(131)의 직경에 따라 상부배출유닛(130)을 선택적으로 상부몸체(111)에 착탈시켜 적정의 분급효율을 얻어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배출유닛(130)은 개구된 상부몸체(111) 상단을 막는 막음판(132)과 상기 막음판(132)을 관통하며 막음판(132)의 상,하단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상부배출관(131)으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배출유닛(120)은 상기 몸체(110)로부터 선별된 일정 입경 이상의 수저퇴적물을 배출하되 상기 하부몸체(112) 하부에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하부배출관(121)의 직경이 다르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즉 하부배출유닛(120)은 복수로 구성되며 각각 하부배출유닛(120)은 하부배출관(121)의 직경을 달리하여 상기 하부몸체(112) 하단에 선택적으로 착탈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1에서는 2개의 하부배출유닛(120)이 선택적으로 하부몸체(112)에 착탈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일 하부배출유닛(120)의 하부배출관(121) 직경(d1)과 타 하부배출유닛(120)의 하부배출관(121) 직경(d2)이 다르게 구성되어 사용자는 해당 수저퇴적물의 분급을 실시함에 있어 하부배출관(121)의 직경에 따라 하부배출유닛(120)을 선택적으로 하부몸체(112)에 착탈시켜 적정의 분급효율을 얻어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배출유닛(120)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하부배출관(121)의 내주연은 상기 하부몸체(112)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연속성이 보장되도록 함으로써 분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12에서는 2가지의 하부배출유닛(12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배출관(121)의 직경(d1)이 작은 하부배출유닛(120)의 경우 하부배출관(121)의 내경은 상단부가 콘형상의 콘부(121-2)와 그 이하가 직관형상의 직관부(121-1)로 구성되도록 하여 하부몸체(112)의 내경과 하부배출관(121)의 내경의 연속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배출관(121)의 직경(d2)이 큰 하부배출유닛(120)의 경우 그 내경에 직관부(121-1)만이 구성되도록 하여 하부배출관(121) 내경의 직경을 크게 가져가면서 하부몸체(112)의 내경과 연속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부배출관(121)의 내경은 콘부(121-2)와 직관부(121-1)의 직경 및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하부몸체(112)의 내경과 연속성이 유지된 상태로 하부배출관(121)의 다양한 내경을 가진 복수의 하부배출유닛(120)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배출유닛(130), 상기 상부몸체(111), 상기 하부몸체(112) 및 상기 하부배출유닛(120)은 각각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에 있어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랜지(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구성하여 볼트결합(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입관(113)과 연통하는 상부몸체(111)에는 유입된 수저퇴적물에 와류가 형성되면서 상부몸체(111)에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진동은 와류가 형성된 오염토양에 원심력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바, 이렇게 원심력을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하부몸체(112) 사이 및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상부배출유닛(130) 사이에 진동차단패드(140(141, 142))가 각각 게재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특히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하부몸체(112) 사이에 진동차단패드(142)가 게재되도록 하여 상부몸체(111)에 발생한 진동이 하부몸체(11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부몸체(112)에서 와류가 형성된 수저퇴적물에 원심력을 저해시키지 않음으로써 분급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여기서 진동차단패드(142)는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상부몸체(111)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토록 하는데 고무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급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한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하부몸체(112) 사이에 상기 상부몸체(111) 하단과 상기 하부몸체(112) 상단의 형상에 대향하는 링부(151)와 상기 링부(151) 내주연에서 내부로 돌출되며 일정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날(152)로 구성되는 타격가스켓(150)과 상기 링부(151)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진동차단패드(142)가 게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가스켓(150)에 있어 링부(151)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11) 하단과 상기 하부몸체(112) 상단의 형상에 대향하도록 높이를 가진 원형의 링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날(152)은 상기 링부(151) 내주연에서 내부로 돌출되며 일정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타격가스켓(150)이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상부몸체(111)에서 와류가 형성된 오염토양은 와류에 의해 어느 정도 입자간 점착력이 저하되어 입자간 분리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오염토양이 상기 분리날(152)에 타격되면서 입자간 분리를 더욱 배가시키게 되고 복수의 분리날(152)이 일정한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수저퇴적물의 와류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하부몸체(112)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하부몸체(112)에서는 콘형상에 의해 직경이 좁아지면서 더욱 원심력이 커지게 되고 상기 분리날(152)에 의해 입자간 분리가 더욱 크게 이루어진 수저퇴적물은 하부몸체(112)에서 큰입자와 미세입자의 분리가 더욱 용이해져서 상부배출유닛(130)과 하부배출유닛(120)에서 분급효율을 더욱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진동차단패드(142)가 상기 링부(151)의 상,하면에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111)의 진동이 하부몸체(11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수저퇴적물이 타격가스켓(150)에 타격됨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도 상부몸체(111) 및 하부몸체(11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도처리모듈(3)을 거친 수저퇴적물은 ℓ3를 통해 후단의 폐수처리모듈(4)로 유입되는데 상기 폐수처리모듈(4)은 침전조(42)와 활성탄여과기(43)가 프레임(P)에 내재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폐수처리모듈(4)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ℓ3통해 수저퇴적물이 일단 중화조(41)로 유입되도록 하여 수저퇴적물이 중화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중화조(41)의 경우도 상기 약품모듈(7)과 연결되어 유입된 수저퇴적물의 중화반응에 필요한 약품이 상기 중화조(41)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화조(41)를 거친 수저퇴적물은 후단의 침전조(42)로 유입되어 침전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상기 침전조(42)의 경우도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약품모듈(7)의 응집제희석탱크(74) 및 응집제공급탱크(75)와 연결되도록 하여 침전조(42)로 유입된 수저퇴적물과 응집제의 반응을 통한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침전조(42)의 반응을 거쳐 침전된 수저퇴적물은 ℓ5를 통해 후단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침전반응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후단의 활성탄여과기(43)를 거쳐 여과가 이루어진 상태로 방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바지선을 베이스(B)로 하는 경우 해양으로 방류가 될 것이다.
또한 상기 고도처리모듈(3)을 거친 수저퇴적물은 ℓ4를 통해 후단의 저압탈수모듈(5)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상기 저압탈수모듈(5)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압탈수장치(51)로 구성되는 바, 저압탈수장치(51) 자체가 일 모듈을 이룸으로써 저압탈수모듈(5)에서 프레임(P)은 도면번호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저압탈수장치(51) 자체의 하우징이 될 것이다. 상기 저압탈수장치(51)로 유입된 수저퇴적물은 저압탈수에 의해 0.075mm 내지 0.032mm의 입경분포를 가진 처리토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침전조(42)의 반응을 거쳐 침전된 수저퇴적물은 ℓ5를 통해 후단의 고압탈수모듈(6)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상기 고압탈수모듈(6)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압탈수장치(61)로 구성되는 바, 고압탈수장치(61)의 경우도 자체가 일 모듈을 이룸으로써 고압탈수모듈(6)에서 프레임(P)은 도면번호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압탈수장치(61) 자체의 하우징이 될 것이다. 상기 고압탈수장치(61)로 유입된 수저퇴적물은 고압탈수에 의해 0.032mm미만의 입경분포를 가진 처리토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약품모듈(7)은 하나 이상의 약품탱크가 프레임(P)에 내재되어 수저퇴적물의 처리시 약품이 소요되는 모듈로 약품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약품모듈(8)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시스템워터탱크(71)가 구성되어 물공급이 필요한 모듈과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시스템워터탱크(71)와 연동하는 시스템워터펌프(73)가 구성되고 에어콤프레셔(72)가 구성되며 상기에서 언급한 응집제공급탱크(74)와 응집제희석탱크(75)가 구성되고 상기 세척반응조(21)등과 연결되어 과산화수소 및 계면활성제를 공급토록 하는 과산화수소탱크(76) 및 계면활성제탱크(77)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모듈에 소요되는 약품 등이 저장될 수 있는 탱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고 있는 슬러리모듈(8)은 하나 이상의 슬러리탱크가 프레임에 내재되도록 하여 각 모듈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리를 저장토록 하는 구성으로 도 9에서는 슬러리모듈(8)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슬러리모듈(8)은 1차 슬러리탱크(83)가 구성되어 상기 고도처리모듈(3)을 거친 수저퇴적물이 ℓ4를 통해 후단의 저압탈수모듈(5)로 유입되기 전에 ℓ4가 1차 슬러리탱크(83)를 거치도록 하면서 1차 슬러리탱크(83)에서 슬러리가 제거된 상태의 수저퇴적물이 저압탈수모듈(5)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저압탈수모듈(5)로 슬러리가 제거된 수저퇴적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부하를 방지하고 탈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슬러리모듈(8)에는 2차 슬러리탱크(81)가 구성되어 상기 침전조(42)의 반응을 거쳐 침전된 수저퇴적물이 ℓ5를 통해 후단의 고압탈수모듈(6)로 유입되기 전에 ℓ5가 2차 슬러리탱크(81)를 거치도록 하면서 2차 슬러리탱크(81)에서 슬러리가 제거된 상태의 수저퇴적물이 고압탈수모듈(6)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고압탈수모듈(6)로 슬러리가 제거된 수저퇴적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부하를 방지하고 탈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슬러리모듈(8)에는 고도처리슬러리탱크(82)도 구성되는 바, 고도처리모듈(3)에서 고도처리조(31)를 거친 수저퇴적물에는 고도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슬러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슬러리를 제거하여 후단의 하이드로 사이클론(32)으로 수저퇴적물을 유입토록 하기 위해 고도처리조(31)를 거친 수저퇴적물은 상기 고도처리슬러리탱크(82)를 거치도록 하여 슬러리가 제거된 수저퇴적물이 하이드로 사이클론(32)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부하를 방지하고 분급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러리모듈(8)은 각 모듈 내 또는 모듈 간에 있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리를 각각 제거 및 저장토록 하여 슬러리가 제거된 상태의 수저퇴적물이 후단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후단 장치의 부하를 제어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되는 제어모듈(9)은 상기에서 언급한 각 모듈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각 모듈의 각 장치를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즉 제어모듈(9)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모듈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모듈(9)에는 다양한 전기적 제어장치, 통신장치, 모니터링장치 등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1 : 1차 입자선별모듈 2 : 세척모듈
3 : 고도처리모듈 4 : 페수처리모듈
5 : 저압탈수모듈 6 : 고압탈수모듈
7 : 약품모듈 8 : 슬러리모듈
9 : 제어모듈

Claims (11)

  1. 수저퇴적물을 처리함에 있어 입자선별장치, 세척반응조, 고도처리반응조, 침전조, 탈수장치, 약품탱크를 포함하는 개별장치가 각각 또는 하나 이상 연결되어 프레임에 내재되도록 하는 모듈을 복수로 구성하되 선택적으로 모듈을 배치 및 연결하여 수저퇴적물을 처리하는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제 1입자선별장치가 프레임에 내재된 입자선별모듈;
    상기 제 1입자선별모듈에 연결되며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세척처리 하는 세척반응조와 상기 세척반응조로부터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제 2입자선별장치가 프레임에 내재된 세척모듈;
    상기 세척모듈에 연결되어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고도처리를 하는 고도처리반응조와 상기 고도처리반응조로 나노버블을 공급하는 나노버블발생장치와 상기 고도처리반응조로부터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입자를 선별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이 프레임에 내재된 고도처리모듈;
    상기 고도처리모듈에 연결되어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침전반응을 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발생되는 폐수를 여과처리 하는 활성탄여과기가 프레임에 내재된 페수처리모듈;
    상기 고도처리모듈 또는 상기 폐수처리모듈에 연결되어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탈수처리 하는 탈수장치가 프레임에 내재된 탈수모듈;
    하나 이상의 약품탱크가 프레임에 내재되어 수저퇴적물의 처리시 약품이 소요되는 모듈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모듈; 및
    전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은,
    수저토적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직경이 좁아지는 콘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선별된 일정 입경 이상의 수저퇴적물을 배출하되 상기 몸체 하부에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하부배출관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하부배출유닛; 및
    상기 몸체로부터 선별된 일정 입경 미만의 수저퇴적물을 배출하되 상기 몸체 상부에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상부배출관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상부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유입관이 연통하며 직관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콘형상의 하부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 및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배출유닛 사이에는 진동차단패드가 게재되되,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는 상기 상부몸체 하단과 상기 하부몸체 상단의 형상에 대향하는 링부와 상기 링부 내주연에서 내부로 돌출되며 일정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날로 구성되는 타격가스켓과 상기 링부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진동차단패드가 게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탈수모듈은 상기 고도처리모듈에 연결되어 분급된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저압탈수에 의해 처리토를 생성케 하는 저압탈수모듈과 상기 폐수처리모듈에 연결되어 침전된 수저퇴적물을 공급받아 고압탈수에 의해 처리토를 생성케 하는 고압탈수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슬러리탱크가 프레임에 내재되도록 하여 각 모듈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모듈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출유닛은 개구된 몸체 상단을 막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을 관통하며 막음판의 상,하단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상부배출관으로 구성되되, 복수의 상부배출유닛은 각각 상부배출관의 내경이 다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유닛에 있어 하부배출관의 내주연은 상기 몸체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구성되되, 복수의 하부배출유닛은 각각 하부배출관의 내경이 다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04396A 2015-07-23 2015-07-23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KR10159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96A KR101590037B1 (ko) 2015-07-23 2015-07-23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PCT/KR2015/007905 WO2017014346A1 (ko) 2015-07-23 2015-07-29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96A KR101590037B1 (ko) 2015-07-23 2015-07-23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037B1 true KR101590037B1 (ko) 2016-01-29

Family

ID=5531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396A KR101590037B1 (ko) 2015-07-23 2015-07-23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0037B1 (ko)
WO (1) WO20170143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67B1 (ko) * 2016-03-09 2016-08-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저퇴적물 유효활용을 위한 모듈식 정화처리 바지선
KR101723825B1 (ko) * 2016-05-03 2017-04-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에너지 자립형 퇴적물·토양·수처리 모듈식 정화처리 시스템
KR102200926B1 (ko) 2020-04-21 2021-0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 채광 잔재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090A (en) * 1988-04-29 1990-09-11 Richard Berg Aktiebolag Hydrocyclone divided into sections
KR100958067B1 (ko) 2010-02-19 2010-05-13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오염 준설토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033023B1 (ko) 2010-09-01 2011-05-09 한라건설주식회사 준설토 재활용 확대를 위한 오염 퇴적토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KR101075395B1 (ko) 2011-09-14 2011-10-24 김종윤 입자분리 플랜트와 토양개량 플랜트를 이용한 준설토의 재활용 처리장치 및 이를 활용한 재활용 처리방법
KR101127507B1 (ko) * 2010-04-19 2012-03-26 주식회사 오이코스 준설토 처리시스템
KR20120088224A (ko) * 2011-01-31 2012-08-08 (주)옥센텍 오존산화와 슬러지 반송에 의한 광산배수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090A (en) * 1988-04-29 1990-09-11 Richard Berg Aktiebolag Hydrocyclone divided into sections
KR100958067B1 (ko) 2010-02-19 2010-05-13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오염 준설토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127507B1 (ko) * 2010-04-19 2012-03-26 주식회사 오이코스 준설토 처리시스템
KR101033023B1 (ko) 2010-09-01 2011-05-09 한라건설주식회사 준설토 재활용 확대를 위한 오염 퇴적토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KR20120088224A (ko) * 2011-01-31 2012-08-08 (주)옥센텍 오존산화와 슬러지 반송에 의한 광산배수 처리 시스템
KR101075395B1 (ko) 2011-09-14 2011-10-24 김종윤 입자분리 플랜트와 토양개량 플랜트를 이용한 준설토의 재활용 처리장치 및 이를 활용한 재활용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67B1 (ko) * 2016-03-09 2016-08-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저퇴적물 유효활용을 위한 모듈식 정화처리 바지선
KR101723825B1 (ko) * 2016-05-03 2017-04-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에너지 자립형 퇴적물·토양·수처리 모듈식 정화처리 시스템
WO2017191865A1 (ko) * 2016-05-03 2017-11-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에너지 자립형 퇴적물·토양·수처리 모듈식 정화처리 시스템
KR102200926B1 (ko) 2020-04-21 2021-0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 채광 잔재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4346A1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464B1 (ko) 초기 강우 정화처리 장치
KR100952752B1 (ko) 미세토양 세척장치 및 방법
KR100930602B1 (ko) 친환경 준설선
KR100974911B1 (ko) 오염토사 정화용 유동식 세척 시스템
KR100729863B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288331B1 (ko) 부상여재를 이용한 자동역세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100988942B1 (ko)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0870909B1 (ko) 유류에 오염된 토사석의 복원방법 및 그 장치
KR101782615B1 (ko)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590037B1 (ko)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WO2006125168A2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2644302A (zh) 一种河道、湖泊淤泥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200422043Y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KR20040079814A (ko) 배수처리장치
CN106007277A (zh) 一种用于管道污泥的水力分离方法及系统
KR101649567B1 (ko) 수저퇴적물 유효활용을 위한 모듈식 정화처리 바지선
KR100920683B1 (ko) 준설물 종합 전처리 장치
EP0794926B1 (en) Flock separating apparatus
KR102351916B1 (ko)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토양정화시스템
KR101839010B1 (ko) 중금속 오염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JP2005279454A (ja) 汚染土壌の洗浄方法
KR1019292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침적물분쇄장치
KR101929272B1 (ko) 복합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KR101271343B1 (ko) 오염물질정화와 물 재이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