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469B1 -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469B1
KR100889469B1 KR1020080037765A KR20080037765A KR100889469B1 KR 100889469 B1 KR100889469 B1 KR 100889469B1 KR 1020080037765 A KR1020080037765 A KR 1020080037765A KR 20080037765 A KR20080037765 A KR 20080037765A KR 100889469 B1 KR100889469 B1 KR 10088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ling
area
road
wid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각
김윤한
김대명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08003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469B1/ko
Priority to US12/988,972 priority patent/US8803874B2/en
Priority to EP08778461.7A priority patent/EP2274574B1/en
Priority to CN200880128753.3A priority patent/CN102016503B/zh
Priority to PCT/KR2008/003791 priority patent/WO200913127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469B1/ko
Priority to US14/341,363 priority patent/US988558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01C21/3638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including 3D objects and bui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67Geometry of map features, e.g. shape points, polygons or for simplified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40Hidden part remo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표시 시스템은 도로(road)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컬링 영역 결정부, 상기 컬링 영역에 표시(display)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지도, 3차원 데이터, 블렌딩(blending), 도로

Description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MAP BASED ON ROAD INFORMATION}
본 발명은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도로의 너비(width)나 차선과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도로 주변의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지도에서 건물이나 산, 언덕 등의 표현은 정보의 좋은 표현 수단이다. 그러나, 표시되는 화면의 시야가 건물이나 산, 언덕 등에 가려서 제한됨으로써 특정 정보의 표현을 오히려 제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지도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정보의 특성상 자차, 출발지, 목적지 같은 안내 정보가 건물에 가려짐에 따라 정보의 표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건물이나 산, 언덕 등을 표현함과 동시에 이러한 사물들로 인해 안내 정보가 표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효율적으로 건물 등의 사물을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은 도로의 너비, 상기 도로의 차선과 같은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컬링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이 제거 또는 블렌딩(blending) 처리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안내 정보의 표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고, 효율적으로 사물들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을 통해 동적으로 도로의 크기에 따라 건물 등의 사물에 대한 처리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사물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컬링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에 따라 도로에 가까운 영역에 대해서는 사물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도로에서 먼 영역에 대해서는 사물의 일부를 블렌딩 처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사물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은 도로(road)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컬링 영역 결정부, 상기 컬링 영역에 표시(display)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너비(width) 및 도로 의 차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현재 주행중인 도로의 너비를 확인하는 너비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너비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한 변으로 하는 사각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변환 표시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하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변환 표시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하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블렌딩(blending) 처리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컬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에 따라 사물의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변환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로 다른 변환은 사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거를 위한 데이터 변환 및 상기 사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블렌딩 처리를 위한 데이터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분할부는 상기 도로의 너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역으로 상기 컬링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은 도로에 대해 시야를 제한하는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법은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컬링 영역에 표시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너비, 상기 도로의 차선과 같은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컬링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이 제거 또는 블렌딩 처리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안내 정보의 표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고, 효율적으로 사물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을 통해 동적으로 도로의 크기에 따라 건물 등의 사물에 대한 처리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사물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컬링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에 따라 도로에 가까운 영역에 대해서는 사물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도로에서 먼 영역에 대해서는 사물의 일부를 블렌딩 처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사물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차량에 대한 내비게이션 환경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설명한다.
3차원으로 간단하게 표시된 제1 지도(110)에서는 제1 도로(111) 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위치 표시(112)가 제1 건물(113)에 의해 가려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2 지도(120)에서와 같이 제2 건물(121)의 적어도 일부(122)를 제거하여 제2 건물(121)을 표시하거나 적어도 일부(122)를 블렌딩 처리함으로써, 필요한 정보가 제한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정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방법에서는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사물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사물의 일부에 블렌딩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영역을 결정함으로써, 컬링 영역을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10)에서 상기 표시 시스템은 도로(road)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너비(width) 및 도로의 차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도로의 너비나 상기 도로의 차선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로의 너비가 넓을수록 또는 상기 도로의 차선 수가 많을수록 더 넓은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도로의 너비에 기선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 내의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컬링 영역 또한 3차원으로 가정하여 상기 가중치를 부여한 길이를 한 변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정육면체나 상기 가중치를 부여한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반구(hemisphere)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모든 가상의 도형이 상기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링 영역은 일례로, 내비게이션 환경에서 자차의 위치와 같은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컬링 영역은 상기 도로 정보 및 자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자차의 위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내비게이션 환경에서 상기 자차의 위치는 시시각각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자차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컬링 영역도 함께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S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11) 및 단계(S212)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S211)에서 상기 표시 시스템은 현재 주행중인 도로의 너비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표시 시스템은 도로의 너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통해 직접적으로 상기 도로의 너비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를 통해 얻은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의 너비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S212)에서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확인된 너비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때,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와 상기 자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인된 너비가 '18 미터'인 경우,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너비에 가중치로서 미리 설정된 '10 미터'를 더한 '28 미터'의 길이를 한 변으로 하고, 상기 자차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사각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한 변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간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도형에 기초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간도형의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에 해당하는 모든 영역이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S220)에서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컬링 영역에 표시(display)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은 도로에 대해 시야를 제한하는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컬링 영역에 포함된 모든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할 수도 있지만, 상기 모든 사물 중에서 상기 도로에 대한 시야를 제한하는 사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사물의 데이터만을 변 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사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컬링 영역에 포함된 사물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사물의 일부분만을 제거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링 영역에 포함된 하나의 건물을 모두 제거할 수도 있지만, 상기 건물에서 도로에 대한 시야를 제한하는 부분만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사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지 않고, 블렌딩(blending) 처리되도록 상기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물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사물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표시 방법은 상기 컬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컬링 영역이 분할된 경우, 상기 표시 시스템은 분할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변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링 영역이 두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하나의 영역에는 사물의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을 적용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사물의 일부분에 대한 블렌딩 처리를 위한 데이터 변환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도로의 너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성되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링 영역이 도로의 너비에 '10 미터'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정된 사각 영역인 경우, 상기 컬링 영역은 상기 도로의 너비에 '5 미터'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성된 사각 영역에 의해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단계(S230)에서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 시스템은 특정 정보의 표현을 제한하는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지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특정 정보가 제한 없이 표현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상기 사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일례이다. 도 3은 내비게이션 환경에서 사각의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즉, 도로(301)의 너비(302)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 길이(303)를 한 변으로 사각 영역(304)을 컬링 영역으로서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컬링 영역에 포함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 또는 상기 사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거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블렌딩 처리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사물을 표시함으로써, 내비게이션 정보의 표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길이(303)는 고정된 가중치에 대해서도 도로의 너비와 같은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도로에 따라 컬링 영역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효율적으로 사물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다른 예이다. 여기서, 도 4는 도로(401)의 너비(402)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 길이(403)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영역(404)을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사각 영역뿐만 아니라 원, 마름모 등과 같이 필요한 모든 도형이 상기 컬링 영역의 결정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평면도형뿐만 아니라 3차원의 개념을 컬링 영역에도 도입하여 입체도형이 상기 컬링 영역의 결정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로의 너비에 따라 결정된 컬링 영역의 일례이다. 즉, 서로 다른 두 도로(501 및 502)의 컬링 영역들(503 및 504)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가중치를 도로에 따라 설정하지 않더라도 너비가 서로 다른 두 도로(501 및 502)에 따라 서로 다른 넓이를 갖게 되어 좁은 도로에서는 보다 적은 영역에 포함된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하고 넓은 도로에서는 보다 넓은 영역에 포함된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하게 됨으로써, 효율적으로 건물, 산, 언덕과 같은 사물을 정보의 표현 제한 없이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컬링 영역에 포함된 사물들 각각의 일부가 제거된 화면의 일례이다. 즉, 도 6에서 컬링 영역(601)에 포함된 건물들(602)은 건물의 바닥면만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컬링 영역(601)에 포함된 모든 건물들(602)을 제거하지 않고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시야를 제한하는 건물의 일부분만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거는 상기 건물들(602)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컬링 영역에 포함된 사물을 블렌딩 처리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7에서는 컬링 영역(701)에 포함된 건물들(702)을 블렌딩 처리함으로써, 건물을 표현하면서 동시에 정보의 표시가 제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8은 분할된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변환이 적용된 화면의 일례이다. 즉, 도 8에서 컬링 영역은 제1 영역(801)과 상기 컬링 영역에서 제1 영역(801)을 제외한 제2 영역(802)으로 분할되었다. 이때, 제1 영역(801)에 포함된 제1 건물(803) 은 일부분이 제거되어 밑부분만이 표시되고, 제2 영역(802)에 포함된 제2 건물(804)은 블렌딩 처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적으로 상기 컬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마다 서로 다른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물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9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링 영역 결정부(910), 데이터 변환부(920) 및 표시부(930)를 포함한다. 이때, 영역 분할부(미도시)가 선택적으로 표시 시스템(900)에 포함될 수 있다.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너비 및 도로의 차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상기 도로의 너비나 상기 도로의 차선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로의 너비가 넓을수록 또는 상기 도로의 차선 수가 많을수록 더 넓은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상기 도로의 너비에 기선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 내의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컬링 영역 또한 3차원으로 가정하여 상기 가중치를 부여한 길이를 한 변으로 하 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정육면체나, 상기 가중치를 부여한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반구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모든 가상의 도형이 상기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링 영역은 일례로, 내비게이션 환경에서 자차의 위치와 같은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컬링 영역은 상기 도로 정보 및 자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자차의 위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내비게이션 환경에서 상기 자차의 위치는 시시각각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자차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컬링 영역도 함께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컬링 영역 결정부(9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 확인부(911) 및 가중치 부여부(912)가 포함될 수 있다.
너비 확인부(911)는 현재 주행중인 도로의 너비를 확인한다. 이때, 너비 확인부(911)는 도로의 너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통해 직접적으로 상기 도로의 너비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를 통해 얻은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의 너비를 계산할 수 있다.
가중치 부여부(912)는 상기 확인된 너비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때,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와 상기 자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인된 너비가 '18 미터'인 경우,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상기 너비에 가중치로서 미리 설정된 '10 미터'를 더한 '28 미터'의 길이를 한 변으로 하고, 상기 자차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사각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컬링 영역 결정부(910)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한 변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간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도형에 기초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간도형의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에 해당하는 모든 영역이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920)는 상기 컬링 영역에 표시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은 도로에 대해 시야를 제한하는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컬링 영역에 포함된 모든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할 수도 있지만, 상기 모든 사물 중에서 상기 도로에 대한 시야를 제한하는 사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사물의 데이터만을 변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변환부(920)는 상기 사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컬링 영역에 포함된 사물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사물의 일부분만을 제거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링 영역에 포함된 하나의 건물을 모두 제거할 수도 있지만, 상기 건물에서 도로에 대한 시야를 제한하는 부분만을 제 거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920)는 상기 사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지 않고, 블렌딩 처리되도록 상기 사물의 데이터를 변환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표시 방법은 상기 컬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상기 영역 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컬링 영역이 분할된 경우, 상기 영역 분할부는 분할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변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링 영역이 두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하나의 영역에는 사물의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을 적용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사물의 일부분에 대한 블렌딩 처리를 위한 데이터 변환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도로의 너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성되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링 영역이 도로의 너비에 '10 미터'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정된 사각 영역인 경우, 상기 컬링 영역은 상기 도로의 너비에 '5 미터'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성된 사각 영역에 의해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표시부(930)는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930)는 특정 정보의 표현을 제한하는 사물의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지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특정 정보가 제한 없이 표현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상기 사물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법 또는 표시 시스템을 이용하면, 도로의 너비, 상기 도로의 차선과 같은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컬링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이 제거 또는 블렌딩 처리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안내 정보의 표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고, 효율적으로 사물들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을 통해 동적으로 도로의 크기에 따라 건물 등의 사물에 대한 처리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사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링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에 따라 도로에 가까운 영역에 대해서는 사물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도로에서 먼 영역에 대해서는 사물의 일부를 블렌딩 처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사물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파일 데이터,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일례이다.
도 4는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다른 예이다.
도 5는 도로의 너비에 따라 결정된 컬링 영역의 일례이다.
도 6은 컬링 영역에 포함된 사물들 각각의 일부가 제거된 화면의 일례이다.
도 7은 컬링 영역에 포함된 사물을 블렌딩 처리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8은 분할된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변환이 적용된 화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4, 404: 컬링 영역
900: 표시 시스템
910: 컬링 영역 결정부
920: 데이터 변환부
930: 표시부

Claims (31)

  1. 도로(road)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컬링 영역 결정부;
    상기 컬링 영역에 표시(display)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너비(width) 및 도로의 차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의 너비가 넓을수록 또는 상기 도로의 차선 수가 많을수록 더 넓은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표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표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도로의 너비를 확인하는 너비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너비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부
    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한 변으로 하는 사각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표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표시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한 변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간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표시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도형에 기초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간도형의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표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은 상기 도로 정보 및 자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컬링 영역 결정부는,
    자차의 위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영역을 변경하는, 표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하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환하는, 표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하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블렌딩(blending) 처리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환하는, 표시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에 따라 사물의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변환을 적용하는, 표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변환은 사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거를 위한 데이터 변환 및 상기 사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블렌딩 처리를 위한 데이터 변환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너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분할부는,
    상기 도로의 너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역으로 상기 컬링 영역을 분할하는, 표시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은 도로에 대해 시야를 제한하는 사물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16.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컬링 영역에 표시되는 사물 중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너비(width) 및 도로의 차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의 너비가 넓을수록 또는 상기 도로의 차선 수가 많을수록 더 넓은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표시 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가능한 가상의 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도로의 너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너비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한 변으로 하는 사각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시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한 변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간도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너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도형에 기초하고, 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간도형의 영역을 상기 컬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은 상기 도로 정보 및 자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컬링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자차의 위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하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하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블렌딩(blending) 처리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7. 제16항 또는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의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분할된 영역에 따라 사물의 데이터에 서로 다른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변환은 사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거를 위한 데이터 변환 및 상기 사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블렌딩 처리를 위한 데이터 변환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너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컬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도로의 너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역으로 상기 컬링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사물은 도로에 대해 시야를 제한하는 사물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31. 제16항 또는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37765A 2008-04-23 2008-04-23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KR10088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65A KR100889469B1 (ko) 2008-04-23 2008-04-23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US12/988,972 US8803874B2 (en) 2008-04-23 2008-06-29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map based on road information
EP08778461.7A EP2274574B1 (en) 2008-04-23 2008-06-29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map based on road information
CN200880128753.3A CN102016503B (zh) 2008-04-23 2008-06-29 基于道路信息显示三维地图的系统及方法
PCT/KR2008/003791 WO2009131276A1 (en) 2008-04-23 2008-06-29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map based on road information
US14/341,363 US9885581B2 (en) 2008-04-23 2014-07-25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map based on road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65A KR100889469B1 (ko) 2008-04-23 2008-04-23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469B1 true KR100889469B1 (ko) 2009-03-19

Family

ID=4069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765A KR100889469B1 (ko) 2008-04-23 2008-04-23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03874B2 (ko)
EP (1) EP2274574B1 (ko)
KR (1) KR100889469B1 (ko)
CN (1) CN102016503B (ko)
WO (1) WO2009131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69B1 (ko) * 2008-04-23 2009-03-19 팅크웨어(주)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US9116011B2 (en) 2011-10-21 2015-08-25 Here Global B.V. Three dimensional routing
US9047688B2 (en) 2011-10-21 2015-06-02 Here Global B.V. Depth cursor and depth measurement in images
US8553942B2 (en) 2011-10-21 2013-10-08 Navteq B.V. Reimaging based on depthmap information
US9404764B2 (en) 2011-12-30 2016-08-02 Here Global B.V. Path side imagery
US9024970B2 (en) 2011-12-30 2015-05-05 Here Global B.V. Path side image on map overlay
US20150029214A1 (en) * 2012-01-19 2015-01-29 Pioneer Corporatio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150325040A1 (en) * 2012-12-27 2015-11-12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age rendering
DE102013000879A1 (de) * 2013-01-10 2014-07-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Navigationsvor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Objekt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Anzeigesignals für eine Navigationsvor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Objekt
CN104075719A (zh) * 2013-03-26 2014-10-01 高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三维导航方法和装置
CN108428254A (zh) * 2018-03-15 2018-08-21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三维地图的构建方法及装置
CN111275807A (zh) * 2018-12-05 2020-06-12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3d道路建模的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7535A (ja) * 1999-05-12 2001-01-30 Denso Corp 地図表示装置
JP2001209301A (ja) * 2000-01-28 2001-08-03 Clari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並びにナビゲーション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010356A (ja) 2005-06-28 2007-01-18 Denso Corp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026201A (ja) 2005-07-19 2007-02-01 Sega Corp 画像処理装置、道路画像描画方法および道路画像描画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25234T2 (de) * 1993-12-27 2000-11-30 Nissan Motor Fahrzeugzielfüh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unter Verwendung einer Anzeigeeinheit
KR100256620B1 (ko) * 1995-10-30 2000-05-15 모리 하루오 네비게이션장치
US6169552B1 (en) * 1996-04-16 2001-01-02 Xanavi Informatics Corporation Map display device, navigation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JP3798469B2 (ja) * 1996-04-26 2006-07-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710774B1 (en) * 1999-05-12 2004-03-23 Denso Corporation Map display device
EP1126245B1 (en) 2000-02-14 2006-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map information
JP4468076B2 (ja) 2004-06-03 2010-05-26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
JP4640011B2 (ja) * 2005-07-19 2011-03-02 株式会社セガ 画像処理装置、遠景画像表示方法および遠景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057809A (ja) * 2005-08-24 2007-03-08 Denso Corp 地図表示装置
JP4257661B2 (ja) * 2006-06-30 2009-04-2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333704B2 (ja) * 2006-06-30 2009-09-1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889469B1 (ko) * 2008-04-23 2009-03-19 팅크웨어(주)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US8913300B2 (en) * 2011-10-04 2014-12-16 Google Inc. Occlusion of vector image data
US20140071119A1 (en) * 2012-09-11 2014-03-13 Apple Inc. Displaying 3D Objects in a 3D Map Presen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7535A (ja) * 1999-05-12 2001-01-30 Denso Corp 地図表示装置
JP2001209301A (ja) * 2000-01-28 2001-08-03 Clari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並びにナビゲーション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010356A (ja) 2005-06-28 2007-01-18 Denso Corp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026201A (ja) 2005-07-19 2007-02-01 Sega Corp 画像処理装置、道路画像描画方法および道路画像描画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4574A4 (en) 2012-01-18
US8803874B2 (en) 2014-08-12
CN102016503A (zh) 2011-04-13
WO2009131276A1 (en) 2009-10-29
EP2274574A1 (en) 2011-01-19
US20110043519A1 (en) 2011-02-24
US9885581B2 (en) 2018-02-06
US20160025512A1 (en) 2016-01-28
EP2274574B1 (en) 2016-06-15
CN102016503B (zh)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69B1 (ko)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CN107063711B (zh) 用于测试无人车的方法和装置
CN110155053B (zh) 提供用于驾驶车辆的信息的方法和设备
EP2689213B1 (en) Management of icons for digital maps
US10109106B2 (en) Scalable curve visualization for conformance testing in vehicle simulation
JP5777735B2 (ja) 地図描画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描画方法
US20060152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two-dimensional building data to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in real ti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ly visualizing two-dimensional building data in real time
JP2020201649A (ja) 地図生成装置、地図生成方法及び地図生成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43697B1 (ko) 경로 스트로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140756A1 (en) 3d map display system
EP2589933B1 (en) Navigation device, method of predicting a visibility of a triangular face in an electronic map view
JP200713297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466565A1 (en) Simulator
KR101331111B1 (ko) 3차원 내비게이션에서 경로선 시인성 강화를 위한 선택적 건물 블렌딩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361127B2 (en) Simulation device, simul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685906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4291360B2 (ja) 地図データ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処理装置
US11908095B2 (en) 2-D image reconstruction in a 3-D simulation
KR102427961B1 (ko) 정밀지도 데이터 기반 가상환경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7070531B2 (ja) 都市構造設計装置及び都市構造設計プログラム
CN112907741B (zh) 地形场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546681A (zh) 远近法对应图像校正方法及装置
KR101086443B1 (ko) 3차원 도로 패턴 자동 생성 방법
KR20090067536A (ko) 3d 지도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JP3911182B2 (ja) 地図データ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処理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