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092B1 -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092B1
KR100889092B1 KR1020020074937A KR20020074937A KR100889092B1 KR 100889092 B1 KR100889092 B1 KR 100889092B1 KR 1020020074937 A KR1020020074937 A KR 1020020074937A KR 20020074937 A KR20020074937 A KR 20020074937A KR 100889092 B1 KR100889092 B1 KR 10088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signal
inverted
i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893A (ko
Inventor
정영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전화기의 영상 효과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전화기에 표시되는 송화자의 영상에 영상 반전 효과를 부여하여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영상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디오 코덱(VIDEO CODEC)을 통해서 디코딩된 송화자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반전 영상 처리수단을 이용한 영상 반전 효과를 주고, 반전된 송화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해 준다. 상기 반전 영상 처리는 출력 화소 = Clip[W ×(255 - 입력화소)]의 신호처리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여기서 W는 콘트라스트(contrast)를 위한 변수로 1 내지 10 사이의 값으로 콘트라스트를 높이거나 줄이는 변수이며, Clip은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화소의 값을 0 내지 255 사이의 값을 갖도록 제한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화자의 영상에 대한 반전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상 특수 효과를 갖는 영상 전화 시스템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영상 전화기, 특수효과, 영상 반전

Description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INVERT VIDEO DISPLAY SERVICE IN VIDEO TELEPHONY SYSTEM}
도1은 일반적인 영상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반전 영상 서비스에 따른 영상 전화기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반전 영상 서비스에 따른 영상 전화기의 동작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전 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카메라 202: 카메라 구동 및 신호입력부
203: 디지털 신호처리부 204: 압축 및 복원부
205: 시스템 제어부 206: 디스플레이부
207: 송수신부 208: 키입력부
209: 메모리부
본 발명은 영상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화자의 영상에 반전 효과를 주고 이 반전된 영상을 수화자의 단말기 상에 표시해 줄 수 있도록 한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개인간의 통신수단은 기존의 단순한 음성 통신의 벽을 뛰어넘어 서로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 전화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고 풍부한 개인간 통신 시스템이 출현하고 있다. 특히 영상 통신 시스템은 유선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는 물론, 무선을 기반으로 하여 영상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그 연구 성과는 우리의 실 생활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전화기는 송화자와 수화자 양자의 영상을 각각의 유/무선 단말기에서 카메라로 취득하고, 취득한 이미지를 적절하게 압축 코딩/디코딩하여 송수신하는 기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영상 전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유선 영상 전화기 또는 무선 영상 전화기(이동통신 단말기: 셀룰러폰, PCS 폰 등)에 공히 적용 가능한 시스템이다. 도1을 살펴보면 기존의 영상 전화기는 송화자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101)와, 상기 카메라(101)의 구동 및 취득한 영상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 및 신호 입력부(102)와, 상기 카메라 구동 및 신호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거나 수신 및 복원된 상대방의 영상신호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에 의해 취득된 영상신호 또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적절한 압축/복원 포맷(H.26x, MPEGx)을 기반으로 하여 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코덱으로서 의 영상 압축/복원부(104)와, 상기 영상의 취득과 신호처리 및 압축 복원,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105)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6)와, 상기 압축/복원부와 연결되어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통신의 제어 및 신호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107)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105)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08)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105)의 제어정보나 영상정보 등이 저장 및 출력되는 메모리부(1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을 참조하여 기존의 영상 전화기 동작을 살펴본다. 카메라(101)는 렌즈와 CCD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구동 및 신호 입력부(102)는 상기 카메라(101)의 CCD를 구동하여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게 하며 또한 그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에 공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는 시스템 제어부(105)의 제어를 받아 휘도신호와 칼라신호의 처리를 수행하여 압축 및 복원부(104)에 공급하고, 영상 압축 및 복원부(104)에서 복원된 상대방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6)에 공급해 준다. 디스플레이부(106)는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영상이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압축 및 복원부(104)는 시스템 제어부(105)의 제어를 받아 상기 촬영된 영상의 디지털 신호를 H.26x, MPEGx 등의 적당한 신호 포맷으로 압축하여 송/수신부(107)를 통해서 상대방 단말기(영상 전화기)로 전송해 주거나, 송/수신부(107)를 통해서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복원하여 디스플레이부(106)에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 해준다. 송/수신부(107)는 시스템 제어부(105)의 제어를 받아 상대방 영상 전화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선로의 접속(구축), 영상정보를 포함한 제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105)는 영상 통신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108)를 통해서 입력하는 정보들을 인식하게 되며, 이 때 필요한 정보들이나 영상정보 등은 메모리부(109)를 이용해서 저장하기도 하고,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내서 처리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영상 전화기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그대로 전송하고, 또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복원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양자간의 영상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는 단순히 송화자의 영상을 송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 또는 수신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에 있어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어렵고, 수신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수신된 상대방 영상 그 자체에 대해서만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때문에 다양한 영상 편집 효과의 구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송신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현재 모습이 상대방에게 전송되지 않기를 바라는 경우 즉, 프라이버시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기존에는 이러한 경우 단지 카메라를 오프시키고 음성만으로 통화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자신의 어지러운 방안 모습이 배경으로 함께 전송된다던가, 혹은 아직 정돈되지 않은 자신의 모습이라던 가, 특히 여성의 경우는 화장을 하지 않은 맨 모습의 전송을 꺼려한다던가, 하는 등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고려해야 할 때, 기존에는 영상 통신을 포기하고 단지 음성 통신만을 선택해야 하며, 이와 같이 음성만으로 상대방과 통화하는 경우에는 상대방은 자신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보내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의 모습을 보지 못하게 하는 무례를 범하게 되어 오해의 소지가 있다.
본 발명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화자의 영상을 반전시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기존의 단조로운 영상통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다양한 영상 편집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풍부하고 다채로운 영상 통신 사용자 환경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단말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의 영상을 반전시켜 표시하는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기존의 단조로운 영상통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다양한 영상 편집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풍부하고 다채로운 영상 통신 사용자 환경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기에서 상대방으로 송신할 자신의 영상을 반전시켜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하는 상대방은 통화하는 상대방의 얼굴을 반전 효과 처리된 영상으로 보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여 송신자의 입장에서는 프라이버시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자의 입장에서는 송 신자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이해하며 상대방의 얼굴 영상을 반전된 영상으로라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는, 영상신호 수신을 위한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 상기 복원된 영상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영상 반전수단 및, 상기 영상 수신과 복원 및 반전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수단, 상기 수신된 원영상 또는 반전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는, 영상취득을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영상 압축수단,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압축 및 전송될 영상을 반전시키는 영상 반전수단,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압축된 원 영상 또는 반전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수단 및, 상기 원영상 또는 반전 영상의 전송 처리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방법은,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대방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는 단계, 상기 복원된 영상신호를 반전시키는 단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원영상 또는 반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방법은, 카메라로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 취득되어 압축 전송될 영상을 반전시키는 단계, 상기 압축된 원영상 또는 반전된 영상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영상 전화 시스템의 구성과 그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반전 영상 서비스를 적용한 영상 전화기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화기는, 유선 영상 전화기 또는 무선 영상 전화기(이동통신 단말기: 셀룰러폰, PCS 폰 등)에 공히 적용 가능한 시스템이다. 도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화기는 송화자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201)와, 상기 카메라(201)의 구동 및 취득한 영상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 및 신호 입력부(202)와, 상기 카메라 구동 및 신호 입력부(202)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거나 수신 및 복원된 상대방의 영상신호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 및 영상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영상 처리기(203a)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에 의해 취득된 영상신호 또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적절한 압축/복원 포맷(H.26x, MPEGx)을 기반으로 하여 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코덱으로서의 영상 압축/복원부(204)와, 상기 영상의 취득과 신호처리 및 압축 복원,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205)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6)와, 상기 압축/복원부와 연결되어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통신의 제어 및 신호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207)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205)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08)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205)의 제어정보나 영상정보 등이 저장 및 출력되는 메모리부(2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화기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반전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전송할 자신의 영상신호를 미리 반전시켜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동작이 모두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에 대해서만 반전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영상 전화기)나, 혹은 전송할 자신의 영상신호에 대해서 반전처리를 미리 수행하여 전송하는 단말기(영상 전화기)의 응용도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한 자명한 수준이므로, 이러한 변형의 예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것이다.
[실시예1]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 전화기 동작을 수신 영상의 반전 디스플레이 동작부터 살펴본다. 즉, 이 실시예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영상 전화기)로 수신한 상대방 영상에 대하여 일종의 특수효과 처리(반전)된 영상으로 표현하여 보고자 할 경우에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송/수신부(107)를 통해서 수신된 상대방의 영상신호는 영상 압축 및 복원부(204)에 의해서 복원(decoding)되고, 시스템 제어부(205)의 제어를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로 전달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포맷에 적합하게 포맷 변환 및 신호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06)에 상대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가 키입력부(208)를 이용해서 '영상 반전'을 선택하면, 상기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는 반전 영상 처리기(203a)에서 반전되어 디스플레이부(206)에 표시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는 반전 영상 처리기(203a)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반전 영상 처리기(203a)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 내장할 수도 있지만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른 응용의 예도 가능하다.
도3은 이와 같은 수신 영상의 반전 디스플레이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서, 첫번째 단계(S301)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H.263이나 MPEG4 등의 압축/복원 포맷을 기반으로 해서 디코딩하는 단계이고, 다음 단계(S302)는 상기 디코딩된 상대방 영상신호 즉, 재구성된 영상을 반전 처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영상의 반전은 반전 영상 처리기(203a)에 입력된 화소에 대하여, 반전 영상의 출력 화소 = Clip[W ×(255 - 입력화소)]의 처리를 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W는 콘트라스트(contrast)를 결정하는 변수를 의미하는데 그 값은 1 내지 10 사이의 값이고 반전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거나 낮추는 변수로 작용하고, Clip은 최종적으로 반전되어 출력될 화소의 값을 0 내지 255 사이의 값으로 제한을 두는 함수이다. 즉, Clip(x) = max(0, min(255,x))가 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코딩시 재구성 영상 메모리에 있는 내용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다음 프레임의 디코딩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단지 디스플레이 메모리에 있는 내용만을 변화시켜 반전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단계(S303)는 상기 반전 처리된 영상의 칼라 변환(RGB 변환) 단계이며, 이 단계 를 거친 반전 영상은 디스플레이 단계(S304)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반전 영상의 디스플레이 여부는 사용자의 키입력부(208)를 이용한 선택에 따라 실행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키입력부(208)를 이용해서 원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선택한다면 상기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가 그대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에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206)에 디스플레이되며, 반전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반전 영상 처리기(203a)에서 처리된 반전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6)에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2]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 전화기 동작을 송신 영상신호의 반전 전송 동작을 살펴본다. 즉, 이 경우는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보호 등을 이유로 처음부터 자신의 영상을 반전시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이다.
카메라(201)는 렌즈와 CCD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구동 및 신호 입력부(202)는 상기 카메라(201)의 CCD를 구동하여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게 하며 또한 그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에 공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는 반전 영상 처리기(203a)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반전 영상 처리기(203a)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 내장할 수도 있지만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른 응용의 예도 가능하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는 시스템 제어부(205)의 제어를 받아 휘도신호와 칼라신호의 처리를 수행하여 압축 및 복원부(204)에 공급하고, 영상 압축 및 복원부(204)에서 압축된 사용자 영상신호는 송/수신부(207)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이 때 사용자가 키입력부(208)를 이용해서 반전 영상 처리기(203a)를 동작시키거나, 혹은 반전 영상 처리기(203a)에 의해서 반전된 자신의 영상 전송을 선택하면 시스템 제어부(205)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3) 및 반전 영상 처리기(203a)를 제어하여 반전된 사용자 영상(카메라로 취득한 영상)을 압축 부호화하여 송/수신부(207)를 통해서 전송시킨다.
여기서 영상의 반전은 반전 영상 처리기(203a)에 입력된 화소에 대하여, 반전 영상의 출력 화소 = Clip[W ×(255 - 입력화소)]의 처리를 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W는 콘트라스트를 결정하는 변수를 의미하는데 그 값은 1 내지 10 사이의 값이고 반전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거나 낮추는 변수로 작용하고, Clip은 최종적으로 반전되어 출력될 화소의 값을 0 내지 255 사이의 값으로 제한을 두는 함수이다. 즉, Clip(x) = max(0, min(255,x))가 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인코딩시 재구성 영상 메모리에 있는 내용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다음 프레임의 인코딩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단지 디스플레이 메모리에 있는 내용만의 변화를 통해 반전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방은 반전된 영상을 수신하여 복원하고 디스플레이하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등을 고려한 영상 통신 기반이 확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6)는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영상이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압축 및 복원부(204)는 시스템 제어부(205)의 제어를 받아 상기 촬영된 영상의 디지털 신호를 H.26x, MPEGx 등의 적당한 신호 포맷으로 압축하여 송/수신부(207)를 통해서 상대방 단말기(영상 전화기)로 전송해 주거나, 송/수신부(207)를 통해서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복원하여 디스플레이부(206)에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 해준다. 송/수신부(207)는 시스템 제어부(205)의 제어를 받아 상대방 영상 전화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선로의 접속(구축), 영상정보를 포함한 제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205)는 영상 통신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208)를 통해서 입력하는 정보들을 인식하게 되며, 이 때 필요한 정보들이나 영상정보 등은 메모리부(209)를 이용해서 저장하기도 하고, 메모리부(209)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내서 처리하게 된다.
도4는 원영상과 반전된 영상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원 영상(401)은 전송할 자신의 원영상이거나 혹은 수신된 상대방의 원 영상이고, 반전 영상(402)은 전송할 자신의 원영상을 반전시킨 영상이거나, 혹은 수신된 상대방의 원영상을 반전시켜 디스플레이할 때 나타나는 영상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 영상(401)에 대하여 반전된 영상(402)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영상 편집 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수화자의 단말기 상에서 송화자의 영상을 원 영상 그래도 디스플 레이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반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마치 사진 필름의 네가티브 화면처럼 처리된 반전 영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영상의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반전 처리가 송신측에서 미리 반전시킨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는 물론,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원 영상에 대하여 희망하는 반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모두가 구현 가능하므로, 기존의 영상 전화 시스템에 비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종류의 영상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화기는 프라이버시 등을 고려하는 반전 영상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 영상 통신 단말 시스템의 품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반전 영상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은 다양한 영상 편집의 욕구를 갖는 사용자의 희망에 부응할 수 있는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고, 간단한 신호처리만으로 반전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시스템 적용에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영상 통신을 위하여 전송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
    상기 복원된 상대방 영상신호에 포함된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반전시키기 위한 영상 반전수단;
    상기 영상 수신과 복원 및 반전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수단; 및
    상기 수신된 상대방의 원영상 또는 반전처리된 상대방의 반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2. 영상 통신을 위하여 전송할 사용자 영상취득을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영상 압축수단;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압축 및 전송될 영상 전체의 콘트라스트를 반전시키는 영상 반전수단;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압축된 원 영상 또는 반전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수단; 및
    상기 원영상 또는 반전 영상의 전송 처리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반전수단은, 반전 영상의 출력 화소 = Clip[W ×(255 - 입력화소)] (단, W는 콘트라스트를 결정하는 변수, Clip(x) = max(0, min(255,x))의 신호처리를 통해서 영상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W는 1 내지 10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5. 영상 통신을 위하여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대방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는 단계;
    상기 복원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원영상 또는 반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방법.
  6. 영상 통신을 위하여 전송할 사용자 영상을 카메라로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사용자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 취득되어 압축 전송될 영상 전체의 콘트라스트를 반전시키는 단계;
    상기 압축된 원영상 또는 반전된 영상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반전은, 반전 영상의 출력 화소 = Clip[W ×(255 - 입력화소)] (단, W는 콘트라스트를 결정하는 변수, Clip(x) = max(0, min(255,x))의 신호처리를 통해서 영상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W는 1 내지 10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방법.
  9. 영상 취득을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 영상 또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신호를 압축/복원하는 영상 압축 및 복원수단;
    상기 촬영된 사용자 영상 또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반전시키는 영상 반전수단;
    상기 원영상 또는 반전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수단;
    영상 통신을 위하여 사용자 영상이나 상대방 영상신호를 송,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수단;
    상기 영상 송수신 제어 및 원영상이나 반전된 영상의 처리와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시스템 제어수단; 및
    상기 원영상 또는 반전 영상의 선택을 위한 키입력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반전은, 반전 영상의 출력 화소 = Clip[W ×(255 - 입력화소)] (단, W는 콘트라스트를 결정하는 변수, Clip(x) = max(0, min(255,x))의 신호처리를 통해서 영상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W는 1 내지 10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KR1020020074937A 2002-11-28 2002-11-28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88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937A KR100889092B1 (ko) 2002-11-28 2002-11-28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937A KR100889092B1 (ko) 2002-11-28 2002-11-28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893A KR20040046893A (ko) 2004-06-05
KR100889092B1 true KR100889092B1 (ko) 2009-03-17

Family

ID=3734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937A KR100889092B1 (ko) 2002-11-28 2002-11-28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27B1 (ko) * 2006-01-31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표시방법
KR101375982B1 (ko) * 2012-09-04 2014-03-19 이지성 풀컬러 표시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414A (ja) * 1992-07-23 1994-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電話
KR20010067992A (ko) * 2001-04-13 2001-07-13 장민근 배경화상 추출 및 삽입이 가능한 동화상 제공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경화상 분리 방법
KR20010067993A (ko) * 2001-04-13 2001-07-13 장민근 배경화상 제거 또는 의사 배경화상 삽입 서비스가 가능한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10073607A (ko) * 2000-01-19 2001-08-01 구자홍 화상통신기기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414A (ja) * 1992-07-23 1994-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電話
KR20010073607A (ko) * 2000-01-19 2001-08-01 구자홍 화상통신기기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KR20010067992A (ko) * 2001-04-13 2001-07-13 장민근 배경화상 추출 및 삽입이 가능한 동화상 제공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경화상 분리 방법
KR20010067993A (ko) * 2001-04-13 2001-07-13 장민근 배경화상 제거 또는 의사 배경화상 삽입 서비스가 가능한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893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1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화 화면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350247B1 (ko)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606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umbnail image data on a mobile terminal
JPH11341456A (ja) 家庭用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
KR100889092B1 (ko)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H1146361A (ja) 画像圧縮方法、画像圧縮装置、デジタルカメラ、携帯情報端末、画像伸張装置、並びに、画像伝送システム
JP2005168012A (ja) テレビ電話対応型インターネット電話機
JP3062080U (ja) 画面付き電話装置
KR100879648B1 (ko) 절전형 화상통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절전형 화상통화 방법
KR101232537B1 (ko) 화상통신 단말기 및 화상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신 방법
JP2000004304A (ja) 異なる手段での会話が可能な通話装置
KR20000039400A (ko) 영상 전화에서 인트라 영상 전송 방법
JP2006157650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01077029B1 (ko) 비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2155761A1 (zh) 一种可视电话动态相框实现方法及移动终端
JP3512828B2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3072901B2 (ja) 静止画伝送機
KR100539793B1 (ko) 휴대폰의 폰북영상 처리 방법
JPH10285565A (ja) 画像転送装置
JPH05161131A (ja) 映像通信装置
Whybray Moving picture transmission at low bitrates for sign language communication
JP3475541B2 (ja) 画像通信端末装置
KR100498362B1 (ko) 휴대폰의 복원영상 후처리 방법
KR20040046906A (ko)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H10145760A (ja) 画像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