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927B1 -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927B1
KR100736927B1 KR1020060009246A KR20060009246A KR100736927B1 KR 100736927 B1 KR100736927 B1 KR 100736927B1 KR 1020060009246 A KR1020060009246 A KR 1020060009246A KR 20060009246 A KR20060009246 A KR 20060009246A KR 100736927 B1 KR100736927 B1 KR 10073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d
inversion
displa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동천
조주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 표시방법이 개시된다. 본 호스트장치는 복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제1조작수신부,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제1LED(Light Emitting Diode)부,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뒤집어져 표시되도록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제2LED부,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명령에 따라 선택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스케일러부,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전모드로 표시하라는 반전명령(Inverse)을 입력받는 제2조작수신부, 반전명령에 따라 영상 및 OSD(On Screen Data)메뉴 중 적어도 하나가 뒤집어진 상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스케일러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그리고, 반전명령이 수신되면, 제2LED부가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싱크대 선반으로부터 분리된 호스트장치를 테이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영상수신장치, 반전모드, 싱크대 선반, LED, 셋탑박스, 스케일링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 표시방법 { Host apparatus mounted with display device and representation method of inverse mode }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OSD메뉴를 예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의 제1조작수신부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의 반전모드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수신장치 110 : 튜너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외부신호입력부
140 : 제1조작수신부 150 : 제1제어부
160 : 스위치부 165 : 스피커부
170 : 제1인터페이스부 180 : 전원공급부
190 : 제1LED부 195 : 제2LED부
200 : 디스플레이장치 210 : 제2인터페이스부
220 : 비디오디코더부 230 : OSD생성부
240 : 스케일러부 250 : 제2조작수신부
260 : 제2제어부 300 : 외부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신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수신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된 호스트장치를 싱크대 선반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책상이나 식탁 위에 두고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나 OSD메뉴 및 영상수신장치의 조작수신부를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도록 반전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셋탑박스와 같은 영상수신장치에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장착한 호스트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싱크대 선반에 영상수신장치가 부착되고, 이 영상수신장치의 하부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상하로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영상수 신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를 필요에 따라 싱크대 선반으로부터 분리하여 책상이나 식탁 위에 두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도 1a및 도 1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싱크대 선반에 부착되는 경우의 영상수신장치(10) 및 영상수신장치(1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영상수신장치(10)는 전면에 로고(12) 및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제1조작수신부(14)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제1조작수신부(14)에 구비된 각종 키를 조작하여, 채널을 변경하거나 음향을 조절한다.
영상수신장치(1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20)는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21), 화면(21)에 표시된 영상에 대한 밝기, 휘도, 및 색상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작수신부(25)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제2조작수신부(25)를 조작하면, 화면(21)에 OSD메뉴(23)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OSD메뉴(23)를 참조하여, 화면(21)에 표시된 영상의 밝기, 휘도, 및 색상 등을 조절한다.
도 1b는 싱크대 선반으로부터 호스트장치(10,20)를 분리하여 테이블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방용으로 사용하던 호스트장치(10,20)를 싱크대 선반으로부터 분리하여, 책상이나 식탁에 두고 사용하게 되는 경우, 화면(21) 및 화면(21)에 표시된 OSD메뉴(23)가 뒤집어져 보이게 되고, 영상수신장치(10)의 로고(12) 및 제1조작수신부(14)의 기능을 안내하는 문자 및 기호가 뒤집어져 보이게 된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는 싱크대 선반에 부착된 호스트장치(10,20)를 테이블용으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 선반에 부착된 호스트장치를 테이블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및 영상수신장치의 로고나 조작키의 기능을 안내하는 문자 및 기호를 반전시켜 표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장치는 복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제1조작수신부, 상기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제1LED(Light Emitting Diode)부, 상기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뒤집어져 표시되도록 상기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제2LED부, 상기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명령에 따라 선택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스케일러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전모드로 표시하라는 반전명령(Inverse)을 입력받는 제2조작수신부, 상기 반전명령에 따라 영상 및 OSD(On Screen Data)메뉴 중 적어도 하나가 뒤집어진 상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스케일러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반전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LED부가 상기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장치는 상기 제1LED부 및 상기 제2LED부 중, 어느 하나의 LED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반전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LED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LED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조작수신부는 상기 제1LED부의 빛의 발산에 의해 표시되는 소정 로고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고는 상기 제2LED부의 빛의 발산에 의해 뒤집어져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LED부 및 상기 제2LED부 중, 어느 하나의 LED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상기 LED에서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장치는 소정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선국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장치의 반전모드 표시방법은 화면모드를 반전모드로 전환하라는 반전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반전명령에 따라 상기 화면모드를 반전모드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반전명령에 따라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뒤집어진 문자 및 뒤집어진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호스트장치는 영상수신장치(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포함한다. 영상수신장치(100)는 튜너부(110), 신호처리부(120), 외부신호입력부(130), 제1조작수신부(140), 제1제어부(150), 스위치부(160), 스피커부(165), 제1인터페이스부(170), 전원공급부(180), 제1LED(Light Emitting Diode)부(190), 및 제2LED부(195)를 포함한다.
튜너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위성, 케이블, 및 지상파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후술 되는 제1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튜닝(tuning)한다. 신호처리부(120)는 튜닝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디코딩한 후,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로 분리하여 신호처리한다. 외부신호입력부(130)는 외부장치(300)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입력받는다.
스위치부(160)는 제1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외부신호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제1인터페이스부(170)로 출력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 및 외부신호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향신호를 스피커부(165)로 출력한다. 스피커부(165)는 스위치부(16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소정 크기의 음향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1조작수신부(140)는 호스트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조작키(미도시)를 구비하며, 각각의 조작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명령은 제1제어부(150)에 전달된다. 또한, 제1조작수신부(140)는 각각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이 문자나 기호로 표시되는 제1 및 제2버튼표시부(미도시) 및 호스트장치(100)의 로고가 표시되는 제1 및 제2로고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LED부(190)는 제1조작수신부(140)에 구비된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이 문자나 기호로 표시되도록 제1버튼표시부 및 제1로고표시부를 통해 빛을 발산한다. 제2LED부(195)는 제1조작수신부(140)에 구비된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이 뒤집어진 문자나 뒤집어진 기호로 표시되도록 제2버튼표시부 및 제2로고표시부를 통해 빛을 발산한다. 전원공급부(180)는 제1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제1LED부(190) 혹은 제2LED부(195)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인터페이스부(170)는 스위치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입력된 사용자명령을 수신하여 제1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제1제어부(150)는 제1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명령 중, 제1조작수신부(140)에 포함된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뒤집어진 문자 및 뒤집어진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표시하라는 반전(Inverse)명령에 따라, 제1LED부 (19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제2LED부(19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
영상수신장치(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제2인터페이스부(210), 비디오디코더부(220), OSD(On Screen Display)생성부(230), 스케일러부(240), 제2조작수신부(250), 및 제2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제2인터페이스부(210)는 영상수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제2제어부(26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명령을 영상수신장치(100)로 전송한다. 비디오디코더부(220)는 제2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OSD생성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 화면의 밝기, 휘도, 및 색상 등을 조절하기 위한 OSD메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OSD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케일러부(240)는 비디오디코더부(220)에서 디코딩된 영상신호 및 OSD생성부(230)에서 생성된 OSD데이터를 화면모드에 대응되도록 스케일링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제2조작수신부(250)는 화면의 밝기, 휘도, 및 색상 등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명령을 입력받는 각종 조작키(미도시)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제2조작수신부(250)의 조작키를 조작하여 영상 및 OSD메뉴를 뒤집어진 상태로 표시하라는 반전명령을 입력한다.
제2조작수신부(250)를 통해 입력된 반전명령은 제2제어부(260)에 전달되고, 제2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반전모드가 되도록 스케일러부(240)를 제어한다. 즉, 영상신호 및 OSD데이터를 좌/우 및 상/하가 반전되도록 스케일링하여, 뒤집어진 영상 및 뒤집어진 OSD메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스케일러부(240)를 제어한다. 또한, 제2제어부(260)는 반전명령을 제2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영상수신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호스트장치(100,200)를 싱크대 선반으로부터 분리하여 테이블용으로 사용할 경우, 제2조작수신부(250)를 조작하여 반전명령을 입력하게 되고, 반전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는 영상 및 OSD메뉴가 뒤집어져 화면에 표시되고, 방송수신장치(100)에서는 제2LED부(195)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2버튼표시부 및 제2로고표시부가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OSD메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 OSD메뉴(400)는 밝기(401), 명암(402), 바탕색(403), RGB색상(404), 주파수(405), 및 스케일링(406) 조절기능을 구비하며, OSD메뉴(400)를 끝내는 종료(407)기능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제2조작수신부(250)를 조작하여 스케일링(406)을 선택하면, 스케일링조절창(450)이 표시된다. 스케일링조절창(450)은 와이드모드(WIDE), 제1파노라마모드(PANO1), 제2파노라마모드(PANO2), 일반모드(NORM), 반전모드(INVS), 및 스케일링조절창(450)을 끝내는 종료(EXIT)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2조작수신부(250)의 조작키를 조작하여, 반전모드(INVS)를 선택할 수 있고, 반전모드(INVS)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 영상 및 OSD메뉴가 뒤집어져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영상수신장치(100)의 제2LED부(195)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2버튼표시부 및 제2로고표시부가 표시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의 제1조작수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호스트장치를 싱크대 선반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제1제어부(150)는 제1LED부(19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하며, 제1로고표시부(a) 및 제1버튼표시부(b,c,d,e,f,g,h)가 표시된다.
도 4b는 호스트장치를 싱크대 선반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제1제어부(150)는 제2LED부(19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하며, 제2로고표시부(a') 및 제2버튼표시부(b',c',d',e', f',g',h')가 표시된다.
여기서, 제1LED부(190) 및 제2LED부(195) 각각은 하나의 LED 및 이 LED에서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을 구비함으로써, 제1조작수신부(140)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제1 및 제2로고표시부(a,a') 및 제1 및 제2버튼표시부(b,c,d,e,f,g,h,b',c',d',e',f',g',h')가 표시된다. 즉, 두 개의 LED가 본 발명의 호스트장치에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의 반전모드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가 제2조작수신부(250)를 조작하여 반전명령을 입력하면(S500), 제2제어부(260)는 화면의 좌/우 및 상/하를 반전하여 스케일링하 도록 스케일러부(240)를 제어한다(S520). 그러면, 영상 및 OSD메뉴가 뒤집어져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제2제어부(260)는 반전명령을 영상수신장치(100)로 전송한다(S540). 그러면, 제1제어부(150)가 제1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반전명령을 수신하여, 제1LED부(190)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제2LED부(19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S560). 그러면, 제1조작수신부(140)에 구비된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제2버튼표시부(b',c',d',e',f',g',h') 및 로고를 나타내는 제2로고표시부(a')가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화면을 반전시켜 나타낼 뿐만 아니라, 영상수신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 및 로고를 뒤집어진 상태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및 영상수신장치의 로고나 조작키의 기능을 반전시켜 표시함으로써, 싱크대 선반으로부터 분리된 호스트장치를 테이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복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제1조작수신부;
    상기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제1LED(Light Emitting Diode)부;
    상기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뒤집어져 표시되도록 상기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제2LED부;
    상기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명령에 따라 선택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스케일러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전모드로 표시하라는 반전명령(Inverse)을 입력받는 제2조작수신부;
    상기 반전명령에 따라 영상 및 OSD(On Screen Data)메뉴 중 적어도 하나가 뒤집어진 상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스케일러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반전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LED부가 상기 제1조작수신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제1LED부 및 상기 제2LED부 중, 어느 하나의 LED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반전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LED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LED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수신부는 상기 제1LED부의 빛의 발산에 의해 표시되는 소정 로고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고는 상기 제2LED부의 빛의 발산에 의해 뒤집어져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LED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상기 LED에서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2LED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상기 LED에서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소정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선국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6. 화면모드를 반전모드로 전환하라는 반전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반전명령에 따라 상기 화면모드를 반전모드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반전명령에 따라 복수의 조작키에 대한 기능을 안내하는 뒤집어진 문자 및 뒤집어진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모드 표시방법.
KR1020060009246A 2006-01-31 2006-01-31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표시방법 KR10073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46A KR100736927B1 (ko) 2006-01-31 2006-01-31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46A KR100736927B1 (ko) 2006-01-31 2006-01-31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927B1 true KR100736927B1 (ko) 2007-07-10

Family

ID=3850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246A KR100736927B1 (ko) 2006-01-31 2006-01-31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9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93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93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전화기의 반전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5719B2 (en)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531814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
JP2007037090A (ja) 電子機器及びこれに用いるリモコン送信機の操作ボタンガイド方法
KR20080066379A (ko)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외부기기 제어방법
US117985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9218115B2 (en)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461239A2 (en)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80186411A1 (en) Television receiv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0529525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130093728A1 (en)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736927B1 (ko)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반전모드표시방법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JP2009118423A (ja) 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079589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KR2008001633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030010320A (ko) 스크린 방향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해진 투사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291592B1 (ko) 영상표시장치
JP2007251418A (ja) 映像表示装置
JP200523652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70003099A (ko) 터치 스크린 리모콘
JPH07274087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KR2021008624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7074384A (ja)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システム
JP2010078874A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114311A (ko)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