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978B1 - 커스토머 트레이 - Google Patents

커스토머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978B1
KR100888978B1 KR1020080021462A KR20080021462A KR100888978B1 KR 100888978 B1 KR100888978 B1 KR 100888978B1 KR 1020080021462 A KR1020080021462 A KR 1020080021462A KR 20080021462 A KR20080021462 A KR 20080021462A KR 100888978 B1 KR100888978 B1 KR 100888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stomer tray
guide
inclined por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길
김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스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스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스나
Priority to KR102008002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스토머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판상의 플레이트; 디바이스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요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트레이, 가이드

Description

커스토머 트레이{A CUSTOMER TRAY}
본 발명은 CSP(Chip Scale Package) & TSV(Through Silicon Via) 커스토머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이 완료된 반도체 패키지 또는 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테스트 핸들러에 사용하는 커스토머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스트 핸들러는 소정의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반도체 소자 또는 디바이스 등을 일정한 경로로 이동시키면서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반도체 소자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기기를 말한다.
상기 테스트 핸들러에서 테스트가 진행될 때, 테스트할 대상 즉 반도체 소자 및 디바이스(이하 상기 반도체 소자 및 디바이스를 통칭하여 디바이스라 한다)를 적재할 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것이 커스토머 트레이이다.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플레이트(2)가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2)에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4)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부(4)는 상기 플레이트(2)의 면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된 안착부(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부(4)가 돌출된 방향으로 더 돌출된 가이드(6)가 다수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6)는 상기 안착부(4)에 안착 되는 디바이스를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디바이스가 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안착부에 면접하지 않고, 비스듬이 걸쳐지는 빈도수가 높아져 작업오류가 증가하고, 작업공정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커스토머 트레이의 플레이트에서 한 면에만 안착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가 CSP & TSV타입인 경우 볼이 형성된 바닥면을 테스트 해야 되므로,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에 놓인 디바이스의 상하면이 교체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다른 커스토머 트레이로 이송시켜야 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가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테스트시 오류가 발생되는 않는 커스토머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의 양면에 디바이스를 모두 적재할 수 있는 커스토머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커스토머 트레이는, 판상의 플레이트; 디바이스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요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상기 가이드가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직교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경사진 제 1경사부; 그리고, 상기 제 1경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경사진 제 2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양면에 상기 안착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요입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크기의 1/4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스토머 트레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에 디바이스가 안내되도록 가이드가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에는 소정의 각도로 2단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안착부에 오류없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커스토머 트레이에는 양면에 디바이스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의 양면에 디바이스를 모두 안착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바닥면의 테스트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스토머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커스토머 트레이에는, 몸체를 형성하는 판상의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판상의 면에 디바이스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20)가 돌출되어 상기 디바이스(D)가 안착되는 안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스토머 트레이의 몸체를 형성하는 판상의 플레이트(10)가 마련된다. 상기 판상의 플레이트(10) 상에 테스트할 디바이스(D)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여러 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연을 위한 절연재질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레이트(10)에 안착되는 디바이스(D)가 상기 플레이트(10)에 의해 단락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플레이트(10)에는 상기 플레이트(10)의 면 상에 돌출된 가이드(20)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20)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여러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플레이트(10)에 안착되는 디바이스(D)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된 가이드(20)들은 상기 디바이스(D)의 각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플레이트(10) 상에서 상기 디바이스(D)가 유동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0)에 상기 디바이스(D)가 안착되는 공간이 안착부(30)이다. 상기 안착부(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30)의 면에 상기 디바이스(D)의 면이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0)에 상기 디바이스(D)의 측면이 접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디바이스(D)가 CSP & TSV 타입의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볼이 상기 안착부(30)의 면에 접촉된다. 이는 상기 디바이스(D)를 픽업할 때, 픽업장치(미도시)가 일반적으로 흡착 등의 방식을 채택하므로, 상기 디바이스(D)에서 볼이 형성된 면을 흡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안착부(30)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20)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디바이스(D)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안착부(30)로 상기 디바이스(D)가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안착부(30)에 상기 디바이스(D)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가이드(20)의 선단에 상기 가이드(20)가 상기 플레 이트(10)에 대해 직교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경사진 제 1경사부(22)와, 상기 제 1경사부(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경사진 제 2경사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0)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경사부(22)는 상기 디바이스(D)가 상기 안착부(30)로 안내될 때, 상기 디바이스(D)가 튕겨져 나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0)에는 제 2경사부(2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경사부(24)는 상기 제 1경사부(22)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 경사정도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경사부(22)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D)가 안착부(30)로 안내된 후, 상기 안착부(30)로 접근될수록, 상기 디바이스(D)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경사부(22)의 최하단은 상기 디바이스(D)의 측면에 완전히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디바이스(D)가 고정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디바이스(D)가 픽커장치에 의해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로 놓여질 때, 상기 가이드(20)의 선단에서 상기 디바이스(D)가 상기 제 1경사부(22)에 의해 여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디바이스(D)가 자중 및 상기 픽커장치에 의해 상기 제 2경사부(24)로 안내되면서 서서히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경사부(22)와 상기 제 2경사부(24)는 여러가지 각도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 1경사부(22)는 상기 제 2경사부(24)보다 그 각도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경사부(22) 및 제 2경사부(24)의 각도의 구성조합을 구체적으로 예로 들면, 상기 제 1경사부(22)는 30도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경사부(24)는 5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0)에 상기 디바이스(D)가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 1경사부(22)의 상단과 상기 디바이스(D)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착부(30)에 상기 디바이스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경사부(22)의 상단과 상기 디바이스(D) 사이의 거리는 0.05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착부(30)에는 요입부(3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요입부(32)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부(32)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안착부(30)에 상기 디바이스(D)가 안착될 때, 기울어져 안착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D)의 일측의 모서리가 상기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요입부(32)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다시 상기 플레이트(10)에 평행한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요입부(32)는 상기 디바이스(D)의 외각 디멘젼(Dimension)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요입부(32)는 상기 디바이스(D)의 외각 디멘젼의 1/4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가이드(20) 및 안착부(30)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양면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에 안착되는 디바이스(D)가 BGA타입인 경우 디바이스(D)에 볼이 형성된 바닥면을 테스트해야 되므로,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 상측에 다른 커스토머 트레이를 안착시킨 후 뒤집은 후 다시 상측에 위치하는 커스토머 트레이를 제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바이 스(D)의 바닥면 즉 볼이 형성된 부분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때, 상기 플레이트(10) 양면에 상기 가이드(20) 및 안착부(30)가 형성되어야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를 뒤집어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의 양면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20) 및 안착부(3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에 안착된 디바이스(D)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커스토머 트레이를 뒤집을 때,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를 뒤집는 장치가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를 파지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의 상하의 위치에 홈(12)이 마련된다. 물론, 상기 홈(12)이 상기 플레이트의 상하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스토머 트레이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공이 완료된 디바이스(D)를 픽커장치가 픽업하여, 본 발명인 커스토머 트레이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픽커장치는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의 안착부(30)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픽커장치는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의 안착부(30) 상방으로 이동 후, 상기 픽커장치는 상기 커스토머 트레이 방향으로 하강하기 시작한다. 상기 픽커장치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픽커장치가 픽업하고 있는 디바이스(D)의 바닥면이 안착 부(30)의 가이드(20)의 선단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 디바이스(D)의 위치가 상기 안착부(30)와는 일치되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20)의 제 1경사부(22)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기 안착부(30) 방향으로 안내된다.
물론, 상기 픽커장치는 상기 디바이스(D)가 상기 안착부(30)의 면에 접촉될 때가지 하강한 후 상기 디바이스(D)를 해제하여 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픽커장치와 상기 디바이스(D) 사이에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상기 디바이스(D)가 상기 픽커장치에서 바로 해제되지 않고 붙어서 상승하다가 다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디바이스(D)가 상기 가이드(20) 선단에 접촉시 해제될 때와 동일한 경우가 된다.
상기 디바이스(D)가 상기 제 1경사부(22)에 의해 안내될 때, 상기 픽커장치는 상기 디바이스(D)를 해제하여, 상기 디바이스(D)가 상기 제 1경사부(22)로 자중에 의해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D)는 상기 제 1경사부(22)에 의해, 제 2경사부(24)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경사부(22)가 상기 제 2경사부(24)보다 각도가 크므로, 상기 디바이스(D)는 상기 제 1경사부(22)에 의해 튕겨져 나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후, 상기 제 2경사부(24)를 따라 상기 안착부(30)로 안내되게 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D)가 상기 안착부(30)에 안착될 때, 상기 제 1경사부(22)에 부딪쳐 튕겨져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안착부(30)에 형성된 원형의 요입부(32)로 상기 디바이스(D)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상기 요입부(32)의 가장자리를 따 라 이동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디바이스(D)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상기 제 1경사부(22) 및 제 2경사부(24)를 따라 상기 안착부(30)로 안내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스토머 트레이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스토머 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커스토머 트레이의 상하면 중 어느 일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커스토머 트레이의 상하면 중 다른 일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커스토머 트레이에 디바이스가 안착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2의 커스토머 트레이가 회전하여 상하면이 바뀐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도 2의 커스토머 트레이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플레이트 12: 홈
20: 가이드 22: 제 1가이드
24: 제 2가이드 30: 안착부
32: 요입부

Claims (4)

  1. 판상의 플레이트;
    디바이스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요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플레이트의 양면에 상기 안착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스토머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상기 가이드가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직교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경사진 제 1경사부; 그리고,
    상기 제 1경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경사진 제 2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스토머 트레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크기의 1/4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스토머 트레이.
KR1020080021462A 2008-03-07 2008-03-07 커스토머 트레이 KR10088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62A KR100888978B1 (ko) 2008-03-07 2008-03-07 커스토머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62A KR100888978B1 (ko) 2008-03-07 2008-03-07 커스토머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978B1 true KR100888978B1 (ko) 2009-03-17

Family

ID=4069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62A KR100888978B1 (ko) 2008-03-07 2008-03-07 커스토머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9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2944A (zh) * 2014-02-14 2014-04-30 苏州众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聚光型便携光源的led测试高倍聚光电池片装置
CN104300909A (zh) * 2014-10-10 2015-01-21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带便携光源的led 测试高倍聚光光伏光电转换器装置
CN104300908A (zh) * 2014-10-09 2015-01-21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倍聚光太阳能电池片快速简易led测试装置
CN104300904A (zh) * 2014-10-08 2015-01-21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测试聚光太阳能电池片便携led光源装置
CN104300903A (zh) * 2014-10-08 2015-01-21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测试高倍聚光太阳能电池的增强型便携led光源装置
CN104378069A (zh) * 2014-10-09 2015-02-25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倍聚光太阳能电池片测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098B1 (ko) * 1995-11-20 2000-04-01 오우라 히로시 Ic소켓 및 가이드부재
KR100495819B1 (ko) * 2003-06-14 2005-06-16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안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098B1 (ko) * 1995-11-20 2000-04-01 오우라 히로시 Ic소켓 및 가이드부재
KR100495819B1 (ko) * 2003-06-14 2005-06-16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안착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2944A (zh) * 2014-02-14 2014-04-30 苏州众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聚光型便携光源的led测试高倍聚光电池片装置
CN104300904A (zh) * 2014-10-08 2015-01-21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测试聚光太阳能电池片便携led光源装置
CN104300903A (zh) * 2014-10-08 2015-01-21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测试高倍聚光太阳能电池的增强型便携led光源装置
CN104300908A (zh) * 2014-10-09 2015-01-21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倍聚光太阳能电池片快速简易led测试装置
CN104378069A (zh) * 2014-10-09 2015-02-25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倍聚光太阳能电池片测试装置
CN104300909A (zh) * 2014-10-10 2015-01-21 昆山诃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带便携光源的led 测试高倍聚光光伏光电转换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78B1 (ko) 커스토머 트레이
KR101859388B1 (ko) 수직 프로브 카드
KR20080038042A (ko) 워크 유지기구
TWI605254B (zh) 測試裝置
WO1999052139A1 (fr) Sonde
KR101350606B1 (ko) 인서트 조립체
US102224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changing probe
JP7267058B2 (ja) 検査装置
US1078234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ndler with a floating clamp
US6889841B2 (en) Interface apparatus for reception and delivery of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JP5103596B2 (ja) 基板収容容器およびその位置決め構造
TWI471969B (zh) 插入件組合及包含該組合之電子元件收容裝置
TWI737967B (zh) 晶片承載座
KR101743667B1 (ko) 반도체 디바이스 장착 가이더
US6566751B1 (en) Carrier module for holding a μ-BGU type device for testing
US11408913B2 (en)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JPWO2006006248A1 (ja) 電気的接続装置
KR100889591B1 (ko) 반도체 패키지 이송장치용 흡착패드
JP2014165451A (ja) コレットならびにチップ部品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101156800B1 (ko) 기판검사테이블
KR102012439B1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KR102107293B1 (ko) 솔더볼 어태치방법
KR20240035345A (ko) 테스트 핸들러
TW201248772A (en) Jig for transporting semiconductor
KR200177290Y1 (ko) 반도체 패키지용 테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