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098B1 - Ic소켓 및 가이드부재 - Google Patents

Ic소켓 및 가이드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098B1
KR100249098B1 KR1019960055521A KR19960055521A KR100249098B1 KR 100249098 B1 KR100249098 B1 KR 100249098B1 KR 1019960055521 A KR1019960055521 A KR 1019960055521A KR 19960055521 A KR19960055521 A KR 19960055521A KR 100249098 B1 KR100249098 B1 KR 10024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ocket
blocks
contact
insulating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862A (ko
Inventor
시게루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오우라 히로시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우라 히로시,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filed Critical 오우라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8003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15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 H05K7/102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e.g. flat p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사이즈가 다른 IC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가능한 IC소켓을 제공한다. 대략 4각형 틀체를 형성하도록 조합시킬 수 있는 4개의 절연블록(12A,12B,12C,12D)을 준비하고, 패키지 4변에서 리드가 돌출해 있는 표면실장형 IC의 각 리드와 접촉하는 IC소켓(10)의 콘택트를 이 IC의 각변의 리드와 접촉하는 콘택트배열(11A,11B,11C,11D)마다 이들 4개의 절연블록으로 나뉘어서 절연지지시킨다. 이들 4개의 절연블록에 위치결정용 돌기(15)를 설치하고, 절연기판(13)에 형성된 대응하는 관통구멍(14)에 각 절연블록의 돌기를 결합시켜서 4개의 절연블록을 대략 틀체를 형성하도록 절연기판(13)에 장착한다.

Description

IC소켓 및 가이드부재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IC소켓 및 가이드부재의 1실시예 구조 설명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IC소켓의 절연기판에 형성하는 개구간 치수 설명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IC소켓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발명의 배경]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령 IC(반도체 집적회로) 시험장치(일반적으로, IC테스터라 함)에 있어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IC소켓, 및 이 IC소켓에 덮어씌워 사용되고, IC를 IC소켓에 대하여 확실하게 위치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가이드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패키지 4변에 리드를 돌출시킨, 가령 QFP(Quad Flat Package)를 대표로 하는 표면실장형 IC가 다수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이 표면실장 형식의 IC를, 가령 IC시험장치에 있어서 시험할 경우에는, 수평자세로 있는 피시험 IC의 패키지를 진공흡착수단으로 흡착하고, 이 진공흡착수단으로 흡착된 상태로 X-Y이송수단(수평면내에서 X 및 Y방향으로 부재를 이송하는 수평이송수단)에 의해 피시험 IC를 테스트부에 이송하고, 테스트부에 배치된 IC소켓에 재치하여 피시험 IC의 리드를 IC소켓의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시험을 행하고 있다.
제3도에 IC시험장치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IC소켓 구조의 1예를 도시한다.
이 IC소켓은 평면이 대량 장방형의 절연보디(2)를 가지고, 이 절연보디(2)에 형성된 오목부내에, 대략 장방형으로 4개의 융기부를 형성하고, 이들 융기부에 걸쳐 상기 오목부내에 다수개의 콘택트를 설치하여 각 융기부에 소정간격(피치)으로 배열된 소정개수의 콘택트로 되는 콘택트배열(1)을 각각 설치하고, 각 융기부의 콘택트배열 단부에 인접한 절연보디(2) 부분(대략 장방형의 콘택트 배열의 각 모서리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3)를 설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융기부는 절연보디(2) 표면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각 콘택트배열(1)은 절연보디(2)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또, 각 콘택트배열(1)의 콘택트간 피치는 이 콘택트 배열에 접촉되는 IC의 리드간 간격(피치)와 같도록 선정되어 있다.
IC의 각변의 리드 피치는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으나, 패키지의 사이즈(치수)에는 허용폭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허용폭 범위내에서 각 IC제조회사는 패키지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있다. 한편, IC소켓의 가이드(3)는 패키지의 사이드에 정밀도 좋게 위치맞춤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규격의 허용폭 범위내에서 사이즈가 다른 IC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각 사이즈마다 가이드(3) 위치를 규정한 IC소켓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패키지에 사이즈차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리드수 및 동일한 피치의 IC의 경우라도 IC소켓의 콘택트배열(1)의 대향 간격(L1,L2)을 약간씩 다르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동일 리드수 및 피치의 IC에 대해서도 IC소켓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IC소켓 종류가 대단히 많아져서 제조비가 상승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IC소켓은, 절연보디(2)에 콘택트배열(1)을 조립하여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콘택트배열(1) 중의 콘택트 일부가 가령 접촉불량을 일으키거나, 꺾어졌을 경우에는 수리할 수 없다. 따라서, IC소켓 전체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기때문에 가동비용이 상승한다. 이때문에, 이 종류의 IC소켓을 사용하는 IC시험장치나 기타장치의 유지비용(메인티넌스비용)이 상승하는 결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IC 패키지의 사이즈의 다름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염가의 IC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C소켓에 덮어씌워 사용되고, IC소켓에 대하여 IC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는 염가의 가이드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패키지 4변에서 리드가 돌출해 있는 표면실장형 IC의 각 리드와 접촉하는 콘택트를 갖는 IC소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표면실장형 IC의 각 리드와 접촉하는 상기 콘택트를 이 IC의 각변의 리드와 접촉하는 콘택트마다 분할되고, 각각 별개체인 4개의 절연블록에 의해 절연지지시킨다. 이들 4개의 절연블록은 조합되었을 때에 대략 틀체를 형성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들 4개의 절연블록에는 위치결정수단이 그들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위치결정수단을 절연기판에 형성된 대응하는 위치결정수단과 결합시켜서 이 절연기판에 장착함으로써 IC의 각변의 리드와 접촉하는 대략 틀체의 콘택트 배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연기판에 대한 상기 4개의 절연블록의 장치위치를 바꿈으로써 상기 표면 실장형 IC의 사이즈가 약간 달라도 IC의 각변의 리드와 IC소켓의 콘택트를 확실하게 접촉시킬수 있다. 따라서, 상기 4개의 절연블록은 IC사이즈가 약간 다르더라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환언하면, 공통 구조의 4개의 절연블록에 의해 치수가 다른 IC용 소켓을 만들 수 있다.
또, IC의 각변의 리드와 접촉하는 콘택트배열을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절연블록에 지지했기 때문에, 일부 콘택트가 접촉불량을 일으키거나 파손하더라도 그 불량이 된 절연블록만을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의 IC소켓에 덮어씌워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제공된다. 이 가이드부재는 파상 절연부재와, 이 절연부재 저면에서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IC소켓의 절연기판에 틀체형상으로 장착된 4개의 절연블록을 수납하는 대략 4각형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절연블록에 절연지지된 콘택트배열의 적어도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대략 4각형 개구와, 이 개구 네모서리에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IC소켓에 재치되는 IC의 위치를 규정하는 가이드가 절연수지재의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의 가이드부재는 염가로 제조되므로, 여러 사이즈의 IC에 대하여 절연블록의 장착위치를 바꾸어 구성된 다수 개의 IC소켓에 각각 적합한 다수개의 가이드부재를 준비하여도 비용면에서의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 가이드부재를 IC소켓에 덮어씌움으로써 IC를 정확하게 IC소켓에 가이드할 수 있다고 하는 큰 이점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IC소켓 및 가이드 부재의 1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IC소켓(10)은, 대충 말하면 대략 장방형 틀체에 조합시킬수 있는 평면 대략 등각대형(等脚形)의 4개의 절연블록(12A,12B,12C,12D)과, 이들 절연블록(12A,12B,12C,12D)의 각 상하(上)방향을 따라 소정간격(피치)으로 배열되고, 각 절연블록에 절연지지되어 있는 다수개의 콘택트로 되는 콘택트배열(11A,11B,11C,11D)과, 상기 4개의 절연블록(12A∼12D)을 대략 장방형 틀체를 형성하는 상태로 지지하는 절연기판(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절연블록(12A∼12D)에는 틀체를 형성했을 때의 내측(이 실시예에서는 대형의 상하측)에 길이방향에 따라 가늘고 긴 오목부(16A,16B,16C,16D); 16B와 16C는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16A∼16D)에 콘택트배열(11A∼11D)의 콘택트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콘택트배열(11A∼11D)의 각 콘택트는 상부가 절연블록(12A∼12D)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IC가 이 IC소켓(10)에 재치되었을 때에 각 콘택트 선단부에 IC의 리드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절연블록(12A∼12D)의 단일체로 절연기판(13)에 장착되어 대략 장방형의 틀체를 형성한다. 이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절연블록(12A∼12D)을 부착하는 절연기판(13)의 소정위치에 관통구멍(14)을 형성하고, 한편, 제2도에는 대표예로서 절연블록(12A)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각 절연블록(12A∼12D)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한 돌기(15)를 형성한다. 이들 돌기(15)를 절연기판(13)에 형성한 관통구멍(14)에 결합하여 가령 접착제로 고정한다.
절연기판(13)에 형성한 각 절연블록마다의 관통구멍(14)은, 이 실시예에서는, 대향하는 한쌍의 절연블록((12B,12D), (12A,12C))에 대한 관통구멍간의 거리(W1,W2)가 시험하고자 하는 IC의 대향하는 리드간의 거리와 같아지도록 위치를 선정하여 형성한다.
또, 각 절연블록(12A∼12D)저면에 형성되는 돌기(15)는 각 콘택트배열(11A∼11D)과 대향하는 위치에(콘택트 배열 바로밑에) 형성된다. 따라서, 각 절연블록(12A∼12D)을 절연기판(13)에 장착된 상태(제1도에 도시한 대략 장방형 틀체가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각 콘택트 배열(11A∼11D)은 IC패키지의 각 변의 리드의 피치와 같은 피치를 가지고, 또한 대향하는 콘택트 배열간의 간격도 IC패키지의 대향하는 리드간 간격과 같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절연블록 저면에 2개의 돌기(15)를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절연기판(13)에 각 절연블록의 돌기(15)수와 대응하는 2개의 관통구멍(14)을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형성하였으나, 돌기(15) 및 관통구멍(14)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 각 절연블록 저면에 형성된 돌기(15)는 반드시 각 콘택트배열(11A∼11D)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임의의 위치에 형성가능하다. 또한, 절연기판(13)에 돌기를 형성하고, 각 절연블록에 블라인드구멍을 형성하여도 되고, 돌기 및 관통구멍 이외의 다른 결합수단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절연블록(12A∼12D)을 절연기판(13)에 부착하여 대략 장방형 틀체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IC소켓(10)이 완성된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소켓(10)위에 다시 가이드부재(20)를 덮어씌워 IC소켓(10)에 장착되는 IC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다음에, 이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는, 평면 대략 장방형이고 또한 양단부가 얇게 형성된 평판상 부재에 그 두꺼운 부분의 저면측에서 대략 장방형 오목부(21)를 형성한 구성을 가지며, 이 오목부(21)의 치수 및 형상은 절연기판(13)상의 4개의 절연블록(12A∼12D)으로 되는 틀체가 수납되는 치수 및 형상으로 선정되어 있다.
각 절연블록(12A∼12D)에서 돌출하는 콘택트 배열(11A∼11D)상부를 오목부(21)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오목부(21)에는 이들 콘택트 배열의 돌출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장방형 틀체의 바깥길이에 대응한 개구(22)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재(20)를 IC소켓(10)에 피복하였을 때의 개구(22)를 통하여 콘택트 배열(11A∼11D)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략 장방형 개구(22)의 4모서리 내측에는 IC소켓(10)에 재치되는 IC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기 위한 가이드(23)가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재(20)는 IC소켓(10)에 재치된 각 IC사이즈마다, 가령 수지재로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다종류의 IC에 대응하는 다종류의 사이즈의 가이드 부재를 미리 준비해 둔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령 IC소켓(10)에 재치된 새로운 IC의 리드 수나 피치는 앞의 IC와 같으나, 약간 사이즈가 다른(따라서, 대향하는 리드 배열간 간격이 다른) 경우에는, 각 절연블록(12A∼12D)을 절연기판(13)에 부착하는 위치를 그 새로운 IC사이즈에 맞춘다. 환언하면, 그 새로운 IC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14)을 설치한 절연기판(13)에 각 절연블록(12A∼12D)을 부착한다. 이에 따라, 동일 리드수 및 피치로, 또한 사이즈가 약간 다른 IC는 단순히 절연기판을 바꾸는 것만으로 같은 절연블록(12A∼12D)을 사용하여 구성한 IC소켓에 의해 소요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C 사이즈가 약간 다른 사례는 IC 제조메이커가 상위하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이기 때문에, 염가의 절연기판을 여분으로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족한 본 발명에 의한 IC소켓은 제조면 및 비용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절연블록(12A∼12D)에 의해 대략 장방형 틀체를 형성하였으나, 틀체형상은 IC의 형상이 정방형이면 정방향으로 형성하는, IC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료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C의 4변의 리드와 각각 접촉하기 위한 4개의 콘택트 배열(11A∼11D)을 별개체로 형성한 절연블록(12A∼12D)에 각각 절연지지시키고, 이들 4개의 절연블록(12A∼12D)을 절연기판(13)에 위치결정하여 부착함으로써 IC소켓(10)을 구성했기 때문에, 4개의 절연블록(12A∼12D)의 부착위치를 단순히 다르게 하는 것만으로 IC의 여러가지 사이즈에 대응한 IC소켓(10)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절연블록(12A∼12D)은 각 사이즈의 IC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IC소켓(10)의 제조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 각 절연블록(12A∼12D)은 독립해 있기 때문에 각 콘택트 배열(11A∼11D) 중의 일부 콘택트가 접촉불량을 일으키거나 파손될 경우에는 이 불량 콘택트배열을 지지하는 절연블록만을 교환하면 된다. 따라서, IC소켓(10)의 수리가 가능해지고, 가동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IC소켓을 사용하는 IC시험장치를 비롯한 각종 장치의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IC의 사이즈가 상당히 다를 경우라도, IC의 각 변에서 돌출하는 리드수와 피치가 같으면, 같은 4개의 절연블록이 사용되며, 대향하는 절연블록은 동일 구성과 구조이므로, 2종류의 절연블록을 제조하는 것만으로 된다. 또, IC의 모든 변에서 돌출하는 리드수와 피치가 같지 않더라도 어느 한 변에서 돌출하는 리드수와 피치가 같으면 거기에 대응하는 절연블록이 사용가능하므로 다종류의 절연블록을 제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동일 구성 및 구조의 절연블록을 다량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의 대폭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0)는 IC 사이즈별로 준비하게 되지만, 가이드부재(20)는 수지성형만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사이즈를 달리하는 IC종류가 많더라도 가이드부재(20)의 제조비는 염가로 끝낼수 있다.

Claims (5)

  1. 패키지의 4변으로부터 리드가 돌출해 있는 표면실장형 IC의 각 리드와 접촉하는 콘택트를 갖는 IC소켓에 있어서, 상기 IC소켓의 콘택트를, 상기 표면실장형 IC의 각변의 리드와 접촉하는 콘택트마다, 각각 별개체로 지지하는 4개의 절연블록으로서, 대략 틀체를 형성하도록 조합시킬수 있는 4개의 절연블록과, 이들 4개의 절연블록을, 대략 틀체를 형성하도록 소정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절연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기판에 대한 상기 절연블록의 장착위치를 바꿈으로써 상기 표면실장형 IC의 사이즈가 다름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절연블록은 각각 평면이 대략 등각대형 형상을 가지고, 또한 각 저면에 상기 절연기판에 대한 위치결정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연블록의 각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콘택트가 소정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의 소정위치에, 상기 각 절연블록의 돌기가 끼워맞춤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절연블록의 돌기를 상기 절연기판의 관통구멍에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각 절연블록이 상기 절연기판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되어, 대략 장방형의 틀체형상 소켓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소켓.
  4. 제1항의 IC소켓에 덮어씌워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로서, 판형상 절연부재와, 이 절연부재 저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IC소켓의 절연기판에 틀체형상으로 장착된 4개의 절연블록을 수납하기 위한 대략 4각형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절연블록에 절연지지된 콘택트 배열의 적어도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대략 4각형 개구와, 이 개구 네모서리에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IC소켓에 재치되는 IC의 위치를 규정하는 가이드가 절연수지재의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제4항의 가이드부재가 덮어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소켓.
KR1019960055521A 1995-11-20 1996-11-20 Ic소켓 및 가이드부재 KR100249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01402 1995-11-20
JP30140295A JP3644553B2 (ja) 1995-11-20 1995-11-20 Icソ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862A KR19980036862A (ko) 1998-08-05
KR100249098B1 true KR100249098B1 (ko) 2000-04-01

Family

ID=1789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521A KR100249098B1 (ko) 1995-11-20 1996-11-20 Ic소켓 및 가이드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3869A (ko)
JP (1) JP3644553B2 (ko)
KR (1) KR100249098B1 (ko)
TW (1) TW3687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78B1 (ko) * 2008-03-07 2009-03-17 주식회사 테스나 커스토머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1436B2 (ja) * 1998-04-01 2007-08-01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Ic試験装置
JPH11287842A (ja) * 1998-04-02 1999-10-19 Advantest Corp Ic試験装置
US6217341B1 (en) * 1999-04-01 2001-04-17 Wells-Cti, Inc. Integrated circuit test socket having torsion wire contacts
JP3683475B2 (ja) * 2000-06-19 2005-08-1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6190582A (ja) * 2005-01-07 2006-07-20 Molex Inc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を方形に半田実装する方法
TWM357780U (en) * 2008-10-28 2009-05-21 Hon Hai Prec Ind Co Ltd Housing of electrical connector
US9007783B2 (en) * 2011-05-31 2015-04-14 Sony Corporation Memory device and receptacle for electronic devices
KR101999623B1 (ko) * 2013-05-10 2019-07-16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트레이 적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3886A (en) * 1981-12-17 1984-02-28 Elco Corporation Connector mounting for integrated circuit chip packages
US4552422A (en) * 1983-03-14 1985-11-12 Amp Incorporated Modular receptacle pin grid array
JP2681109B2 (ja) * 1989-11-14 1997-11-26 山一電機株式会社 電気部品用接続器
JP3302045B2 (ja) * 1992-06-02 2002-07-15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Icソケット
US5273442A (en) * 1992-12-24 1993-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chip carrier so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78B1 (ko) * 2008-03-07 2009-03-17 주식회사 테스나 커스토머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44553B2 (ja) 2005-04-27
KR19980036862A (ko) 1998-08-05
JPH09148017A (ja) 1997-06-06
US5813869A (en) 1998-09-29
TW368770B (en)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316B1 (ko) 반도체디바이스시험장치
US5205741A (en) Connector assembly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 packages
US6847221B2 (en) Probe pin assembly
US4766371A (en) Test board for semiconductor packages
US4329642A (en) Carrier and test socket for leadless integrated circuit
EP0074816B1 (en) High terminal count integrated circuit device package
US6069481A (en) Socket for measuring a ball grid array semiconductor
JPH10185947A (ja) プローブ・アダプタ
US6407566B1 (en) Test module for multi-chip module simulation testing of integrated circuit packages
US5879172A (en) Surface mounted adapter using elastomeric conductors
KR100249098B1 (ko) Ic소켓 및 가이드부재
JPH07239363A (ja) 集積回路の試験アセンブリ、導電性ブリッジ装置および集積回路の試験方法
JP2598482B2 (ja) 集積回路試験装置
KR20030022736A (ko) 번인 시험 소켓
JPH0519662B2 (ko)
US4200347A (en) Socket for vertically mounting multi-pin device
JP2002527868A (ja) テスト・ソケット
JP2819433B2 (ja) 集積回路をベースに装着する装置
US5652523A (en) Structure of IC device interface unit
KR20100098584A (ko)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JPS6313666Y2 (ko)
JP2004178951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2145239B1 (ko) 3d 프린트된 벤딩 가이드 어댑터 블럭을 포함하는 폴더블 벤딩 타입 테스트 커넥터 모듈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소켓
US6191369B1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marker trace for component alignment
JPH05218154A (ja) Ic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