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083B1 - 절연전선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절연전선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083B1
KR100888083B1 KR1020070105867A KR20070105867A KR100888083B1 KR 100888083 B1 KR100888083 B1 KR 100888083B1 KR 1020070105867 A KR1020070105867 A KR 1020070105867A KR 20070105867 A KR20070105867 A KR 20070105867A KR 100888083 B1 KR100888083 B1 KR 10088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ire
motors
uncoiler
core
insula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대영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전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절연지를 해권시키는 절연지 언코일러부의 구동부와 심선을 인출/공급하는 심선 인출/공급부의 구동부를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지를 해권시키는 절연지 언코일러부의 구동부와 심선을 인출/공급하는 심선 인출/공급부의 구동부를 별도의 구동모터(제1 및 제2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시키는 절연전선 제조장치로서, 심선의 리드속도와 절연지의 해권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및 제2 구동모터에 접속되어 이들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별개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Figure R1020070105867
언코일러부, 심선, 절연지

Description

절연전선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sulated wire}
본 발명은 도체인 심선을 절연지로 피복하는 절연전선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인 심선(1)을 해권하는 심선 언코일러(2), 테이핑처리된 상기 심선(1)을 권취하는 심선 코일러부(3), 및 상기 심선 언코일러(2)와 상기 코일러부(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심선 언코일러(2)에서 해권되어 전진되어 오는 심선에, 절연지를 해권/공급하는 절연지 언코일러부(4)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지 언코일러부(4)는 언코일러를 장전하고 하고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기계기구, 상기 기계기구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서, 프레임이 회전함에 따라 언코일러에 감겨진 절연지가 해권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심선 코일러부(3)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계기구를 포함하고서, 상기 기계기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심선 언코일러(2)에서 해권되는 심선(1)에 절연지가 감겨진 심선을 권취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는, 심선의 폭 또는 두께에 따라 또는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심선에 나선으로 감겨지는 절연지의 피치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수단에는 PIV(positive infinitely variable drive) 변속기가 있다.
이 변속기는 원동축과 종동축에 각기 1쌍의 마주보는 원뿔형 도르래를 장치하고, 양쪽의 도르래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접동(摺動)하여, 윤형(輪形) 벨트의 어느 길이의 부분이 서로 접촉해서 각속도비(角速度比)를 무단계로 변화시킨다. 도르래의 원뿔면에는 베벨기어 모양으로 홈을 만들어, 벨트 대신에 얇은 판의 특수한 체인이 홈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미끄러지지 않는다.
이러한 변속기를 가지고서,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는 심선을 권취하는 속도를 가변하지 않고, 단지 절연지의 해권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심선에 나선으로 감겨지는 절연지의 피치를 조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변속기를 구비한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절연전선 제조장치는 도체인 심선(10)을 해권하는 심선 언코일러(도시생략), 테이핑처리된 상기 심선(10)을 권취하는 심선 코일러부(도시생략), 상기 심선 언코일러와 상기 코일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심선 언코일러에서 해권되어 전진되어 오는 심선에, 절연지(41)를 해권/공급하는 절연지 언코일러부(40), 및 상기 절연지 언코일러부(40)와 상기 심선 코일러부 사이에 배치되어 심선을 복수회 감은 상태에서 상기 심선 코일러부에 테이핑처리된 심선(10')을 공급하는 심선 인출/공급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절연지 언코일러부(40)는 심선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모터(M)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되는 회전판(61), 상기 회전판(61)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판(61)에서 회전될 수 있게 장착된 절연지보빈(6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심선 인출/공급부(50)는 상기 모터(M)의 구동력에 연동되어 PIV무단변속기(71), 감속기(72)를 경유하여 심선 당김휠(51)과 아이들휠(52)을 구동시는 기구적 연동부(8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심선 당김휠(51)과 상기 아이들휠(52)에는 복수회 테이핑처리된 심선(10')이 감겨져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된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에서 절연지 피치 조정작업을 수행하려면, 눈대중으로 심선에 감겨지는 절연지의 나선 피치를 보면서 PIV 무단변속기의 레버(L)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세팅하는 성가신 작업단계가 필요하게 된다.
즉, PIV 무단변속기의 구동적 배치로 인하여, PIV 무단변속기의 레버 위치와 절연지로 감겨지는 심선의 부위 간에 거리가 있어 동시에 작업자가 PIV 무단변속기의 레버 위치와 절연지로 감겨지는 심선의 부위를 볼 수 없어서, 일단 상기 레버를 세팅하고, 그 다음 절연지로 감겨지는 심선의 부위의 절연지의 피치를 보고 나서 그 세팅된 결과를 판단하게 되는 반복적인 세팅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절연지 언코일러부(40)와 심선 인출/공급부(50)를 구동하고 있어서, 절연지 언코일러부(40)와 심선 인출/공급부(50) 간에 기계적 연동부(80), PIV 무단변속기(71) 및 감속기(72)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절연지 언코일러부와 상기 심선 인출/공급부 간에는 상당한 이 격거리가 있고, 이 이격거리에 상기 기계적 연동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즉 심선(10)이 장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통행을 방해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절연지를 해권시키는 절연지 언코일러부의 구동부와 심선을 인출/공급하는 심선 인출/공급부의 구동부를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절연지를 해권시키는 절연지 언코일러부의 구동부와 심선을 인출/공급하는 심선 인출/공급부의 구동부를 별도의 구동모터(제1 및 제2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시키는 절연전선 제조장치로서, 심선의 리드속도와 절연지의 해권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및 제2 구동모터에 접속되어 이들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별개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절연전선 제조장치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심선의 리드속도와 절연지의 해권속도를 조정할 수가 있어서, 심선에 나선으로 감겨지는 절연지의 피치가 조정되는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절연지 언코일러와 심선 코일러 간에 기계적 연동부, PIV무단변속기 및 감속기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의 통행이 방해받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절연전선제조장치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연전선제조장치는 도체인 심선(10)을 해권하는 심선 언코일러(도시생략), 테이핑처리된 상기 심선(10)을 권취하는 심선 코일러부(도시생략), 상기 심선 언코일러와 상기 코일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심선 언코일러에서 해권되어 전진되어 오는 심선에, 절연지(41)를 해권/공급하는 절연지 언코일러부(40), 및 상기 절연지 언코일러부(40)와 상기 심선 코일러부 사이에 배치되어 심선을 복수회 감은 상태에서 상기 심선 코일러부에 테이핑처리된 심선(10')을 공급하는 심선 인출/공급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절연지 언코일러부(40)는 심선이 관통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전판(61), 상기 회전판(61)의 외주측 부근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절연지 보빈(62), 상기 관통구멍에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회전판(61)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중심으로 가지고서 상기 회전판(61)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중공의 슬리브(63), 상기 슬리브(63)에 고정적으로 외접되된 피동기어(64), 제 1모터(M1)의 출력축(S1)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65), 및 상기 구동기어(65)와 상기 피동기어(64)를 서로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제 1체인(6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심선 인출/공급부(50)는 심선 당김휠(51), 제 2모터(M2)의 출력축(S2)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55), 상기 심선 담김휠(51)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피동축(S3), 상기 피동축(S3)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동기어(54),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를 서로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제 2체인(56), 및 상기 심선 담김휠(51)과 협력하여 상기 절연지로 테이핑된 심선(10')을 복수회 권취하고 있어 서, 상기 심선 담김휠(51)의 회전에 종속하여 회전하게 되는 아이들휠(5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는 제어부(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각각의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따라 심선의 리드속도와 절연지의 해권속도가 조정가능하여 심선에 나선으로 감겨지는 절연지의 피치가 조정되는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감지부(91, 92), 연산부(93), 설정치 저장부(94) 및 디스플레이부(95)로 구성된다.
상기 설정치 저장부(94)는 사용자가 상기 절연지(41)와 테이핑 처리되지 않은 심선(10)의 종류 또는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분당 회전수를 설정하면 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참고로, 상술한 절연지(41)와 심선(10)의 종류 또는 상태란 상기 절연지(41)의 두께나 너비 또는 상기 심선(10)의 두께일 수 있다.
상기 설정치 저장부(94)에 설정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분당 회전수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연산부(93)로 입력된다.
상기 연산부(93)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분당 회전수를 인식하고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분당 회전수에 필요한 전원을 각각 제 1모터(M1)와 제 2모터(M2)에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감지부(91, 92)는 각각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 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감지한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산부(93)에 전달한다.
이후, 상기 연산부(93)는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부(91, 92)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분당 회전수에 대한 정보와 최초 사용자가 설정하여 입력한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분당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93)는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부(91, 92)가 감지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분당 회전수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분당회전수가 허용가능한 오차범위 안에 있는지 판단하고, 허용가능한 오차범위에 있을 때, 상기 절연지(41)가 상기 심선(10)에 정상적으로 테이핑되고 있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95)에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부(91, 92)가 감지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분당 회전수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분당회전수가 허용가능한 오차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연산부(93)는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허용가능한 오차범위 내로 들어오도록 한다.
즉, 상기 연산부(93)는 상기 제 1 감지부(91)에 의해서 감지된 제 1 모터의 실제 회전수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어 입력된 제 1 모터의 이론적인 회전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 1 모터(M1)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전 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감지부(91)에 의해서 감지된 제 1 모터의 실제 회전수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어 입력된 제 1 모터의 이론적인 회전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 1 모터(M1)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한다.
상술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 2 모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종래의 절연전선 제조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전선 제조장치에 대한 배치관점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전선 제조장치의 제어부 내부에 대한 블록도.

Claims (2)

  1. 도체인 심선(10)을 해권하는 심선 언코일러, 테이핑처리된 상기 심선(10)을 권취하는 심선 코일러부, 상기 심선 언코일러와 상기 코일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심선 언코일러에서 해권되어 전진되어 오는 심선에, 절연지(41)를 해권/공급하는 절연지 언코일러부(40), 및 상기 절연지 언코일러부(40)와 상기 심선 코일러부 사이에 배치되어 심선을 복수회 감은 상태에서 상기 심선 코일러부에 테이핑처리된 심선(10')을 공급하는 심선 인출/공급부(50)를 포함하고 있는 절연전선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지 언코일러부(40)는 심선이 관통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전판(61), 상기 회전판(61)의 외주측 부근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절연지 보빈(62), 상기 관통구멍에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회전판(61)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중심으로 가지고서 상기 회전판(61)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중공의 슬리브(63), 상기 슬리브(63)에 고정적으로 외접되된 피동기어(64), 제 1모터(M1)의 출력축(S1)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65), 및 상기 구동기어(65)와 상기 피동기어(64)를 서로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제 1체인(66)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심선 인출/공급부(50)는 심선 당김휠(51), 제 2모터(M2)의 출력축(S2)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55), 상기 심선 담김휠(51)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피동축(S3), 상기 피동축(S3)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동기어(54), 상기 구동기 어(55)와 상기 피동기어(54)를 서로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제 2체인(56), 및 상기 심선 담김휠(51)과 협력하여 상기 절연지로 테이핑된 심선(10')을 복수회 권취하고 있어서, 상기 심선 담김휠(51)의 회전에 종속하여 회전하게 되는 아이들휠(5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는 제어부(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의 각각의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전선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회전속도에 대한 설정치가 저장된 설정치 저장부(94), 상기 설정치 저장부(94)에 저장된 회전속도대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M1, M2)가 회전하도록 해당 제 1 및 제 2 모터(M1, M2)를 제어하는 연산부(93),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회전속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감지부(91, 92)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93)가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부(91, 92)에 의해서 감지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회전속도와 설정치 저장부(94)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M1, M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모터(M1, M2) 각각의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전선제조장치.
KR1020070105867A 2007-10-22 2007-10-22 절연전선 제조장치 KR100888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867A KR100888083B1 (ko) 2007-10-22 2007-10-22 절연전선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867A KR100888083B1 (ko) 2007-10-22 2007-10-22 절연전선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083B1 true KR100888083B1 (ko) 2009-03-11

Family

ID=4069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867A KR100888083B1 (ko) 2007-10-22 2007-10-22 절연전선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732B1 (ko) 2019-03-26 2019-10-01 백옥현 케이블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614A (ja) * 1992-10-08 1994-05-06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材のテープ巻装置
JPH09288920A (ja) * 1996-04-22 1997-11-04 Mitsubishi Cable Ind Ltd 波付き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3051220A (ja) 2001-08-08 2003-02-21 Mitsubishi Cable Ind Ltd 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02495A (ja) 2005-01-17 2006-08-03 Hirakawa Hewtech Corp テープ巻付装置及びテープ巻付張力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614A (ja) * 1992-10-08 1994-05-06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材のテープ巻装置
JPH09288920A (ja) * 1996-04-22 1997-11-04 Mitsubishi Cable Ind Ltd 波付き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3051220A (ja) 2001-08-08 2003-02-21 Mitsubishi Cable Ind Ltd 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02495A (ja) 2005-01-17 2006-08-03 Hirakawa Hewtech Corp テープ巻付装置及びテープ巻付張力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732B1 (ko) 2019-03-26 2019-10-01 백옥현 케이블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677B2 (en) Automatic cable spooling device
WO2006075762A1 (ja) テープ巻絶縁線心製造装置及びテープ巻回張力の制御方法
CN206711676U (zh) 一种束丝机的收线装置
KR20170095751A (ko) 권선 장치 및 방법
US3635415A (en) Winding apparatus
US11548753B2 (en) Automatic cut and transfer coiler and or spooler
KR100888083B1 (ko) 절연전선 제조장치
CN106059218B (zh) 绕线机的绕线和绝缘带包扎连续同步作业方法及装置
US3593558A (en) Payoff reel controller
JP2000265382A (ja) 撚り線における撚り線のテンション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00007099U (ko) 권선기 리프트 장치
KR0122327B1 (ko) 신,연선기의 권취조절장치
JP6076826B2 (ja) フライヤー式巻線装置
JPH0632589A (ja) 同期昇降装置
JPH11171382A (ja) 巻取装置
JPH021307Y2 (ko)
CN210126955U (zh) 应用于极薄薄膜生产的微张力收卷系统
JPH06158569A (ja) 撚線機
CN202897653U (zh) 精密光杆排线装置
JP3149854U (ja) 2軸ターレット巻取機における巻取原動装置
KR200430004Y1 (ko) 전열선 권선장치
JP2641024B2 (ja) 撚線機
JPS5842353Y2 (ja) 巻取機
JPS621176Y2 (ko)
CN117963632A (zh) 一种电缆恒张力绕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