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552B1 - 병따개 - Google Patents

병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552B1
KR100887552B1 KR1020070060271A KR20070060271A KR100887552B1 KR 100887552 B1 KR100887552 B1 KR 100887552B1 KR 1020070060271 A KR1020070060271 A KR 1020070060271A KR 20070060271 A KR20070060271 A KR 20070060271A KR 100887552 B1 KR100887552 B1 KR 10088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force storage
bottle cap
bottl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835A (ko
Inventor
이동율
Original Assignee
이동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율 filed Critical 이동율
Priority to KR102007006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552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따개에 관한 것으로, 밀봉된 음료의 마개를 개방할 때 탄성변형하는 힘저장 변형부를 이용하여 경쾌한 개방 음을 생성하는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100)과 상기 핸들(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200)와 상기 바디(200)에 형성되며, 병뚜껑(C)의 일측과 접하는 뚜껑걸림부(220)와 상기 바디(200)에 구비되며, 외압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힘저장 변형부(240)와 상기 바디(200)에 끼움 장착되고 상기 핸들(100)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일부를 수용하여 탄성 변형 범위를 조절하는 거리제한부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걸림부(220)는 상기 병뚜껑(C)의 상단 일측과 접하고,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는 상기 병뚜껑(C)의 하단 일측과 접하여 개방력이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에 가해지는 임계힘을 넘어설 때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탄성복원되며 병뚜껑(C)을 개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병뚜껑의 개방시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병뚜껑, 병따개, 오프너, 바디, 핸들, 탄산음료

Description

병따개 {An opener}
도 1 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채용된 일실시 예인 병따개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병따개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거리제한부재가 바디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 상면 및 하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채용된 다른 실시 예인 병따개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병따개의 사용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핸들 120..... 장착홀
140..... 체결홈 160..... 커버
200..... 바디 220..... 뚜껑걸림부
240..... 힘저장 변형부 260..... 힘살부
262..... 제한돌기 264..... 걸림홈
280..... 강도보강리브 300..... 거리제한부재
320..... 걸림부 322..... 관통홀
340..... 돌기부 C....... 병뚜껑
B....... 음료수병
본 발명은 병따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된 음료의 마개를 개방할 때, 고정된 일측은 병뚜껑의 상단과 접하고, 탄성변형하는 힘저장 변형부는 병뚜껑의 하단과 접하여 탄성력이 임계치에 다다랐을 때,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병뚜껑을 개방함으로써 경쾌한 개방 음을 생성하는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따개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밀봉된 음료의 뚜껑을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오프너(Opener)라고도 불린다.
종래기술에 의한 병따개는 스틸재질의 몸체에 걸이부와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는 병뚜껑의 상면 중앙부분과 하단 일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가 병뚜껑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병뚜껑의 중앙 부분이 절곡되면서 하단 일측으로 내부에 수용된 기체가 토출되며 병뚜껑이 개방된다.
또한, 이때, 토출되는 기체에 의해“치~익”하는 토출음이 발생된다.
한편, 별도의 병따개가 없는 상태에서는 종종 능숙한 손기술을 바탕으로 숟가락이나 라이터 등의 생활도구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개방하는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병뚜껑의 하측을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병뚜껑을 파지한 손의 상측과 병뚜껑의 하단에 생활도구가 걸리도록 위치시키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게 될 경우 병뚜껑은“뻥”하는 경쾌한 소리와 함께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병따개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개방하게 되면, 개방시 병뚜껑이 절곡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기체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토출되는 기체와 함께 수용된 음료가 일방향으로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생활도구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개방하게 될 경우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면 적용하기 어려우며, 미숙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병뚜껑을 파지하는 손에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병따개와 동일한 사용법으로 병뚜껑을 개방하면서, 병뚜껑의 개방 시 경쾌한 개방 음(音)을 창출하는 병따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 상 기 핸들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며, 병뚜껑의 일측과 접하는 뚜껑걸림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외압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힘저장 변형부,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일부를 수용하여 탄성 변형 범위를 조절하는 거리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걸림부는 상기 병뚜껑의 상단 일측과 접하고, 상기 힘저장 변형부는 상기 병뚜껑의 하단 일측과 접하여 개방력이 상기 힘저장 변형부에 가해지는 임계힘을 넘어설 때 상기 힘저장 변형부가 탄성복원되며 병뚜껑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골격을 형성하는 힘살부와, 상기 힘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조금 이격된 위치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강도보강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는 상기 거리제한부재를 고정시키는 제한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는 상기 핸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끼움 장착되도록 걸림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제한부재는 상기 제한돌기와 간섭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핸들의 전단부와 간섭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병뚜껑의 일측을 수용하는 뚜껑걸림부와, 상기 뚜껑걸림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바디와, 상기 병뚜껑과 접하는 부분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개방력에 의해 탄성변형 되는 힘저장 변형부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거리제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 또는 상기 거리제한부가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거리제한부는 별도 제작되어 상기 바디에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리벳 또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힘저장 변형부는 상기 바디에 용접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제한부는 상기 바디에 용접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병뚜껑의 개방 시 사용자가 보다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채용된 일실시 예인 병따개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병따개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병따개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핸들(100)과, 상기 핸들(100)의 내부에 끼움 장착되며, 병뚜껑(C)의 일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뚜껑걸림부(220)가 구비되는 바디(200)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힘저장 변형부(240)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탄성 변형 정도를 조절하는 거리제한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핸들(100)은 가로방향 길이가 긴 직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중공 형성되어 상기 바디(200)가 삽입되는 입구인 장착홀(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중공형성된 핸들(100)의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측으로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200)에 형성되는 걸림홈(264)에 끼움 장착된다.
상기 바디(200)는 금속재질의 힘살부(260)에 의해 골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힘살부(26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조금 이격된 위치에는 강도보강리브(280)가 구비된다.
상기 강도보강리브(280)는 상기 힘살부(26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힘살부(260)의 상면 후측을 제외한 부분에 일정한 경로를 형성하며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힘살부(260)의 상면 후측에도 강도보강리브(28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나 후측은 압력이 가해지는 정도가 미비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을 제외하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힘살부(260)의 전측 중앙부분에는 병뚜껑(C)의 상단 일측이 걸리도록 병뚜껑(C)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뚜껑걸림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걸림부(220)의 후측에는 병뚜껑(C)의 하단 일측과 접하도록 힘저장 변형부(240)가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뚜껑걸림부(220)는 병뚜껑(C)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후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걸림부(220)의 개방된 후측에는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단부가 위치한다. 즉,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는 상기 힘살부(260)의 후측에서 상기 뚜껑걸림부(220)의 개방된 후측에 이르기까지 연장형성되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은 힘저장 변형부(260)의 탄성 및 강성을 고려하면서 일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특성에 따라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바디(200) 즉, 힘살부(260)에는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전단부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한돌기(26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한돌기(262)는 전술한 거리제한부재(300)가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일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거리제한부재(300)의 상세 구성과 바디(200)와의 체결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거리제한부재가 바디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 도 3 은 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 는 하측에서 상기 거리제한 부재와 바디의 체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거리제한부재(300)는 대략 가로로 누운“H”자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한돌기(262)와 간섭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일부가 관통가능하도록 천공형성되는 관통홀(322)이 구비되는 걸림부(3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22)은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 되어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상/하방으로 유동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320)의 양측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4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340)는 상기 핸들(100)의 전단부와 접하여 거리제한부재(300)가 후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돌기부(340)는 상기 핸들(100)의 전단부가 충분히 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나, 외관을 고려한다면 상기 핸들(100)의 전단부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거리제한부재(300)는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전단부와 상기 제한돌기(26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일측이 먼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320)의 중앙에 구비되는 관통홀(322)에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관통되고, 나머지 타측이 먼저 삽입된 일측과 수평을 이루도록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320)의 상면이 상기 제한돌기(262)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거리제한부재(300)가 장착되고나면 상기 핸들(100)을 바디(200)에 끼움 장착한다.
즉, 상기 핸들(100)의 전단부에 형성된 장착홀(120)에 상기 바디(200)의 후측부터 밀어넣으면서 상기 핸들(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상기 바디(200)에 형성된 걸림홈(264)에 끼움장착되고, 상기 핸들(100)의 전단부가 상기 거리제한부재(300)의 후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병따개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100)과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20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바디가 수용되는 별도의 핸들을 구성하지 않고, 금속재질의 바(Bar)에 전측은 병뚜껑이 수용되는 뚜껑걸림부를 형성하고, 후측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개방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힘저장 변형부 및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거리제한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뚜껑걸림부는 병뚜껑의 일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그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개방력을 가하게 되므로 상기 뚜껑걸림부보다 두께가 크게 형성되며, 중앙 부분은 양측이 대략 호상(弧狀)으로 절제되어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힘저장 변형부가 형성되며, 개방력에 의해 변형되는 힘저장 변형부와 간섭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하측까지 돌출 형성되는 거리제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힘저장 변형부 또는 거리제한부 둘 중에 하나를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개별적으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힘저장 변형부는 상기 거리제한부가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전측이 상기 거리제한부에 일정부분 수용되고, 후 측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체결부재가 리벳일 경우 상기 바디와 힘저장 변형부에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홀이 천공형성되고, 상기 바디와 힘저장 변형부에 형성된 홀이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와 힘저장 변형부를 겹친 상태에서 리벳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가 나사일 경우에도 상기 바디와 힘저장 변형부에 내부강선이 형성되는 홀을 형성하고, 이러한 홀이 서로 겹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를 회전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힘저장 변형부가 용접에 의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힘저장 변형부가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제한부의 중앙 부분이 천공되도록 별도 제작한 다음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전측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바디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에 거리제한부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고정방식과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부재가 리벳일 경우, 상기 거리제한부 및 바디에 서로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홀을 천공형성하고, 상기 홀이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거리제한부의 측면과 바디의 일측을 대응시켜 리벳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 거리제한부의 측면과 바디의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을 구비하여 나사를 이용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채용된 다른 실시 예인 병따개의 구 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병따개는 상기 힘저장 변형부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힘저장 변형부가 끼움 장착가능하도록 바디에 상기 힘저장 변형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홈을 형성하여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바디(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뚜껑걸림부(220)와 힘살부(260) 등이 형성되어 기본 골격을 이루며, 상면 중앙에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40)은 별도로 형성된 힘저장 변형부(240)가 끼움 장착되는 곳으로,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140)의 상측에는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끼움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16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60)는 상기 체결홈(140)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축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160)의 하면 전측에는 상기 바디(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미도시)에 끼움 장착가능한 후크(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60)는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끼움 장착될 때에는 후단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체결홈(140)이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상기 체결홈(140)에 끼움 장착된 상태에서는 후단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림홈(미도시)에 상기 후크(미도시)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상방향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커버(16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160)의 후단부와 바디(200)를 연결하는 경첩이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160)가 후단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구성이며 경첩 이외에도 힌지와 같은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홈(140)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함몰 깊이가 깊어져 전방 하측을 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끼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140)의 경사 정도에 따라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가 하방으로 일정 범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조립방법을 가지는 발명에 의한 병따개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병따개의 사용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병따개를 이용하여 밀폐된 음료수병(B)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뚜껑걸림부(220)의 상단이 음료수병(B)을 밀봉하고 있는 병뚜껑(C)의 상단 가장자리 일측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단부가 상기 뚜껑걸림부(220)의 상단이 접한 위치와 일직선상에서 상기 병뚜껑(C)의 가장자리 하단에 접하도록 위치시켜 도 5 의 a 와 같은 형태로 병뚜껑(C)을 파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병뚜껑(C)이 파지되면 사용자는 한손으로 음료수병(B)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상기 핸들(100)을 파지하여 파지한 핸들(100)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탄성에 의해 힘저장 변형부(240)의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부분까지는 핸들(100)이 상방으로 쉽게 회동하고, 그 이후에는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하면이 상기 관통홀(322)과 접하게 되면서 핸들(100)의 회동에 소요되는 힘이 더 가중된다.
즉,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돌기(262) 및 핸들(100)의 전단부로 인하여 위치가 구속된 거리제한부재(300)에 의해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의 탄성변형 범위가 제한되면서 탄성력이 응축되고, 응축된 탄성력이 임계점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병뚜껑(C)과 음료수병(B)의 체결력이 해지되면서 병뚜껑(C)이 개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방되는 병뚜껑(C)은 상기 힘저장 변형부(240)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음료수병(B) 내부에 밀폐된 공기가 순간적으로 빠져나가“뻥”하는 경쾌한 개방음을 창출하게 되며, 상기 뚜껑걸림부(220)와 힘저장 변형부(240)가 상기 병뚜껑(C)의 가장자리와 접하여 개방시키므로 거의 원형 그대로 병뚜껑(C)이 보존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힘살부와 핸들의 형상을 직사각 형상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서 이중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하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거리제한부재의 형상을 가로로 누운“H”자 형상이 아니라“ㅁ”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인 힘저장 변형부, 즉 탄성변형을 통해 탄성력을 일정 정도 저장한 상태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임계점을 벗어나게 되었을 때,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병뚜껑을 순간적으로 개방하여 경쾌한 개방음을 창출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뚜껑걸림부와 힘저장 변형부를 통해 병뚜껑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을 회동시켜 힘저장 변형부의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병뚜껑을 순간적으로 개방시킨다.
따라서, 병뚜껑의 개방시점에서 음료수병의 내부에 밀폐된 기체가 순간적으로 방출되어 경쾌한 개방음을 창출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병뚜껑을 개방함과 동시에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형상이 좌우 대칭으로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거리재한부재에 의해 탄성변형 범위가 제한됨으로 인하여 응력이 특정 장소에 집중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힘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도보강리브가 더 형성되어 병따개의 강도가 증가하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병따개의 수명이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제품만족도가 상승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
    상기 핸들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며, 병뚜껑의 일측과 접하는 뚜껑걸림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외압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힘저장 변형부;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일부를 수용하여 탄성 변형 범위를 조절하는 거리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걸림부는 상기 병뚜껑의 상단 일측과 접하고, 상기 힘저장 변형부는 상기 병뚜껑의 하단 일측과 접하여 개방력이 상기 힘저장 변형부에 가해지는 임계힘을 넘어설 때 상기 힘저장 변형부가 탄성 복원되며 병뚜껑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골격을 형성하는 힘살부와,
    상기 힘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강도보강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거리제한부재를 고정시키는 제한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핸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끼움 장착되도록 걸림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제한부재는,
    상기 제한돌기와 간섭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핸들의 전단부와 간섭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6. 삭제
  7. 병뚜껑의 일측을 수용하는 뚜껑걸림부,
    상기 뚜껑걸림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바디,
    상기 병뚜껑과 접하는 부분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개방력에 의해 탄성변형 되는 힘저장 변형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거리제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힘저장 변형부 또는 상기 거리제한부가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제한부는,
    별도 제작되어 상기 바디에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리벳 또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힘저장 변형부 또는 상기 거리제한부는,
    상기 바디에 용접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60271A 2007-06-20 2007-06-20 병따개 KR100887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71A KR100887552B1 (ko) 2007-06-20 2007-06-20 병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71A KR100887552B1 (ko) 2007-06-20 2007-06-20 병따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35A KR20080111835A (ko) 2008-12-24
KR100887552B1 true KR100887552B1 (ko) 2009-03-09

Family

ID=4036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271A KR100887552B1 (ko) 2007-06-20 2007-06-20 병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5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792U (ko) * 1988-07-18 1990-02-02
JPH0216793U (ko) * 1988-07-21 1990-02-0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792U (ko) * 1988-07-18 1990-02-02
JPH0216793U (ko) * 1988-07-21 1990-02-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35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977B2 (en) Cap for mounting on aerosol container
MX2010012879A (es) Elemento de seguridad para un elemento obturador.
KR100887552B1 (ko) 병따개
GB2197844A (en) Container with handle
JP4386033B2 (ja) 飲料用容器
CN107529925B (zh) 具有拆装式把手的烹调容器
JP5367394B2 (ja) 容器用ポンプのストッパー
US20040035869A1 (en) Resealing arrangement with anti-rotation and other features
US8511205B2 (en) Opener
AU2002304138B2 (en) Capped aerosol container
KR20090043694A (ko) 금속용기의 핸들 체결구조
JP2011093593A (ja) ポンプのノズルヘッド
JP4675819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機構
JP4683291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オーバーキャップ
KR200487648Y1 (ko) 가변 오프너
JP6123245B2 (ja) 飲料用容器
KR200341591Y1 (ko) 캔 뚜껑
KR200430060Y1 (ko) 캔 오프너
KR200251096Y1 (ko) 다용도 오프너
JPH111239A (ja) 缶用の把手
KR200253402Y1 (ko) 병마개
JP6169535B2 (ja) エアゾール缶用吐出具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JP3102599U (ja) 景品ホルダー
KR200231736Y1 (ko) 뚜껑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