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096Y1 - 다용도 오프너 - Google Patents

다용도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096Y1
KR200251096Y1 KR2020010019985U KR20010019985U KR200251096Y1 KR 200251096 Y1 KR200251096 Y1 KR 200251096Y1 KR 2020010019985 U KR2020010019985 U KR 2020010019985U KR 20010019985 U KR20010019985 U KR 20010019985U KR 200251096 Y1 KR200251096 Y1 KR 200251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opening
cap
versatile
to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미성
Original Assignee
권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미성 filed Critical 권미성
Priority to KR2020010019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096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프너는,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내측에 돌출토록 설치되는 따개및, 상기 따개에 밀착되면서 개구에서 이격되어 고정되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오프너 본체; 및
상기 개구의 내측및 오프너 본체의 외경측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오프너 본체의 내측에 탄성 설치되는 비틀림캡 동작편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왕관형 뚜겅및 회전 분리형 뚜껑등에 동시에 적용가능하도록 하고, 분리되는 뚜껑을 부착하여 뚜껑의 수거작업이 불필요한 다용도 오프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오프너{A Multipurpose Opener}
본 고안은 왕관형 캡및 비틀림 개방형 캡의 개방에 적용하는 다용도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왕관형 캡을 개방하는 따개와 비틀림캡을 개방하는 비틀림캡 동작편이 설치되고, 상기 따개가 자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왕관형및 비틀림캡을 용이하게 개방함은 물론 캡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용도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용기나 플라스틱용기의 주둥이에 밀착되어 용기 내측의 내용물을 장기보관 하도록 밀폐용 캡이 장착되고, 상기 캡을 개방하기 위하여 전용 오프너가 사용되며, 상기 오프너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캡을 개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오프너는, 저장용기의 특성에 따라 일치되는 각각의 오프너를 준비하여야 하여 그 사용이 불편하였으며, 각각의 오프너를 보관하는것 또한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용도 오프너(공개번호 92-720호)가 개시되어 있다.
즉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1에서와 같이, 따개홈(1)과 자석(2)이 설치된 오프너(A)의 양측단중 그 일측단에 삽입홈(5)을 갖는 삽입부(4)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후크(3)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4)를 통하여 들어올려지는 캔용기의 개방편(미도시)을 후크(3)를 이용하여 잡아당겨 분리토록 하고, 상기 따개홈(1)에 의해서는 일반적인 왕관형 캡의 분리가 가능토록 되며, 상기 자석(2)에 의해 오프너를 금속판등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용도 오프너는, 따개홈(1)에 의해 개방되는 캡이 자유롭게 이탈토록 되어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청소가 힘들게 되며, 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용기의 개방부에 고정되는 비틀림 개방형 캡에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왕관형및 비틀림캡을 용이하게 개방하게 하고, 캡이 오프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용도 오프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다용도 오프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2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오프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오프너의 분해 상태도
도4a,b는 각각 도2a의 B-B 부분및 A-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오프너 본체 120...개구
130...상부커버 150...하부커버
160...자석 200...비틀림캡 동작편
220..스프링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따개홈과 상기 따개홈의 내측에 돌출토록 일체로 성형되는 따개및 상기 따개에 밀착되며 따개홈과 분리 고정되는 자성체로서 구성되는 오프너 본체; 및
상기 따개홈의 내측에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오프너의 본체의 내측에 탄성지지되는 비틀림캡 동작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오프너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오프너는, 오프너본체(100)와 비틀림캡 동작편(20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오프너 본체(100)는, 내측 중앙부에 금속재의 따개(110)가 개방되도록일측에 개구(120)가 형성되는 상부커버(130)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상부커버(130)의 하측에 스크류(미도시)등으로서 상호 고정되며 내측에 개구(120)가 관통 형성되는 하부커버(150)로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커버(130)(150)는, 내측면에 스프링(220)이 주연에 삽입되는 비틀림 동작편(200)의 삽입공간(140)을 형성하도록 내경및 외경측에 지지턱(130a)(150a)이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30)의 일측면에 자석(160)이 일체로 사출되며, 상기 자석(160)은 그 일측면이 상부커버(130)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고정되는 따개(110)에 밀착토록 장착된다.
또한, 일측면에 경사면(170a)과 요홀(170b)이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편(170)이 돌출설치된다.
상기 삽입공간(140)에 삽입되는 비틀림캡 동작편(200)은, 양단부가 개구(120)와 오프너 본체(100)의 외경측에 각각 돌출토록 형성되고, 내측면에 스프링지지턱(210)이 형성되어 그 일측에 스프링(220)이 탄성 설치된다.
또한, 상기 비틀림캡 동작편(200)의 내측단부에 요철부(200a)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비틀림캡 동작편(200)의 내측단부에 미끄럼방지 패드(200b)가 일체로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틀림캡 동작편(200)을 삽입한후 상부커버(130)와 하부커버(150)를 스크류 결합하면 오프너(미도시)가 완성된다.
상기 상,하부커버(130)(150)의 내측에 삽입되는 비틀림캡 동작편(200)은, 그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턱(210)과 상,하부커버(130)(150)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턱(130a)(150a)을 통하여 스프링(220)이 지지되어 오프너 본체(100)의 외측으로 항상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동작편(200)의 일단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요철부(200a)가 형성되거나 미끄럼방지 패드(200b)가 부착되어 이에 비틀림 개방형 캡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30)에는 수지재의 인서트 사출에 의해 따개(110)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따개(110)는 개구(120)를 통하여 외측에 노출토록 형성되며, 상기 따개(110)는 상부커버(130)에 일체로 성형될때 상기 상부커버(130)에 일면에 노출되면서 상부커버(130)와 일체로 성형되는 자석(160)의 타측면에 접촉토록 된다.
이와같은 오프너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왕관형 캡을 개방할때는 개구(120)를 통하여 캡을 삽입할때 따개(110)의 형상에 의해 적용되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개방되고, 이때 상기 따개(110)는 그 일측에 밀착되는 자석(160)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어 개방되는 금속성의 따개(110)가 부착됨으로써 따개가 자유롭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비틀림 개방형 캡을 개방할때는 상기 캡을 개구(120)의 내측에 삽입한상태에서 오프너 본체(100)의 양측에 돌출되는 비틀림캡 동작편(200)을 압입하면 상기 동작편(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요철부(200a)가 캡의 외측에 밀착되어 캡을 용이하게 회전시킬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편(200)의 내경측에 미끄럼방지 패드(200b)가 부착될 경우에도 요철부(200a)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와 캡의 개방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절개식 캔용기의 경우 손잡이가 용기에 밀착되어 그 개봉이 힘들게 되나 본 고안의 돌기편(170)의 경사면(170a)을 통하여 손잡이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더욱 압입하면 손잡이가 요홀(170a)에 지지되어 손잡이를 용이하게 개봉토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오프너에 의하면, 왕관형및 비틀림캡을 용이하게 개방하고, 절개 개방식 캔용기의 손잡이를 용이하게 개방하며, 자성을 갖는 따개에 의해 금속성의 캡이 오프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개의 바닥에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개구(120)와, 상기 개구(120)의 내측에 돌출토록 설치되는 따개(110)및, 상기 따개(110)에 밀착되면서 개구(120)에서 이격되어 고정되는 자석(160)으로 구성되는 오프너 본체(100); 및
    상기 개구(120) 및 오프너 본체(100)의 외경측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오프너 본체(100)의 내측에 탄성 설치되는 비틀림캡 동작편(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오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본체(100)에 탄성 설치되는 비틀림캡 작동편(200)은, 상기 개구(120)의 내측에 돌출되는 내측면에 요철부(20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오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본체(100)에 탄성 설치되는 비틀림캡 작동편(200)은, 상기 개구(120)의 내측에 돌출되는 내측면에 미끄럼 방지패드(200b)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오프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본체(100)는, 그 외경측 일측면에 경사면(170a)과 요홀(170b)이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편(170)이 돌출설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오프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본체(100)는, 수지재의 인서트 사출에 의해 따개(110)와 상기 따개(110)에 밀착되는 자석(160)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따개(110)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중앙부에 개구(120)이 형성되는 상부커버(130)와, 상기 상부커버(130)에 고정되며 개구(120)가 형성되는 하부커버(15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오프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본체(100)에 탄성 설치되는 비틀림캡 동작편(200)은, 그 일측에 돌출 설치되는 스프링지지턱(210)과 상,하부커버(130)(150)의 삽입공간(14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턱(130a)(150a)을 통하여 지지되는 스프링(220)에 의해 오프너 본체(100)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오프너
KR2020010019985U 2001-07-03 2001-07-03 다용도 오프너 KR200251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985U KR200251096Y1 (ko) 2001-07-03 2001-07-03 다용도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985U KR200251096Y1 (ko) 2001-07-03 2001-07-03 다용도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096Y1 true KR200251096Y1 (ko) 2001-11-16

Family

ID=7308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985U KR200251096Y1 (ko) 2001-07-03 2001-07-03 다용도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0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8668C (en) Multi-purpose opener
EP1072532B1 (en) Combination container
CA2472978A1 (en) Container with double lids
KR20040096089A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WO2006020781B1 (en) Container with lid prop and/or lid latch
KR102386380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0251096Y1 (ko) 다용도 오프너
US20080011127A1 (en) Multi-purpose container opener
KR200419638Y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200341792Y1 (ko) 파레트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101799243B1 (ko) 주걱 내장형 화장품 용기
KR940006899Y1 (ko) 오프너 겸용 보조뚜껑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JP3362252B2 (ja) 液体容器の口部栓体
KR200236868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286570Y1 (ko) 위조 방지용 캔마개
KR200206827Y1 (ko) 음료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200186702Y1 (ko) 물통뚜껑
JPS6013801Y2 (ja) 軟質合成樹脂製の瓶栓
KR200232134Y1 (ko)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KR200281841Y1 (ko) 오프너
JPH0354676Y2 (ko)
KR200191113Y1 (ko) 오프너
JPH0727000Y2 (ja) 上蓋を有する魔法瓶
KR100523094B1 (ko) 병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