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134Y1 -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134Y1
KR200232134Y1 KR2020010003502U KR20010003502U KR200232134Y1 KR 200232134 Y1 KR200232134 Y1 KR 200232134Y1 KR 2020010003502 U KR2020010003502 U KR 2020010003502U KR 20010003502 U KR20010003502 U KR 20010003502U KR 200232134 Y1 KR200232134 Y1 KR 200232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bottle cap
holder
sealing stopp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호
김석호
Original Assignee
조진호
김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호, 김석호 filed Critical 조진호
Priority to KR2020010003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13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용기(1)의 출구를 여닫을 수 있는 병마개 대용 홀더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음료 용기(1)의 출구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결합부(11)와, 상기 나사결합부(11)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파지부(12)가 구비되는 제 1 부재(10)와; 상기 음료 용기(1)의 출구를 밀봉시키는 밀봉마개(21)와, 상기 밀봉마개(21)가 설치되는 밀봉마개 설치부(22)와, 상기 밀봉마개 설치부(2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파지부(23)가 구비되는 제 2 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마개(21)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힌지 결합부(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파지부(12)와 제 2 파지부(23) 사이에 탄성부재(31)가 결합되는 것으로, 병마개를 대신해 병마개와 호환성이 있으며 손쉽게 음료 용기의 출구를 여닫을 수 있어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HOLDER USING AS A SUBSTITUTE FOR A BOTTLE CAP OF A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마개를 대신하여 손쉽게 여닫을 수 있으며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는 병마개 대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음료는 상당부분 플라스틱 재질의 소위, 페트(PET)이라고 일컫는 용기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페트용기는 저장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나, 용기의 출구 및 병마개는 동일한 사이즈로 통일되어 있다. 즉, 용기의 출구 외주연과, 병마개 내주연에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료 용기(1)의 병마개는 캔 또는 코크 타입 마개와는 달리 병마개를 개방한 후에도 다시 닫을 수 있어 내용물이 남더라도 다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수차례 걸쳐 나눠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 용기 병마개는 1회 사용 시마다 나사 결합된 병마개를 서너 바퀴 이상 회전시켜 해제시키고 사용 후에는 다시 반대로 그만큼 회전시켜야 하므로 일정한 공간에서 자주 여닫아야 하는 경우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병마개를 대신해 병마개와 호환성이 있으며 손쉽게 음료 용기의 출구를 여닫을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음료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손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홀더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따른 목적은 음료 용기의 병마개를 손쉽게 열 수 있는 개방수단을 구비한 홀더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 대용 홀더의 내부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수단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오프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오프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 대용 홀더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부재 11 ; 나사 결합부
12 ; 제 1 파지부 13 ; 유도홈
14 ; 원통부재 15 ; 파지홈부
20 ; 제 2 부재 21 ; 밀봉마개
22 ; 밀봉마개 설치부 23 ; 제 2 파지부
30 ; 힌지 결합부 31 ; 탄성부재
40 ; 잠금수단 41 ; 잠금핀
42 ; 오목부 43 ; 잠금 브라켓
50 ; 보조 오프너 51 ; 병마개 삽입홈
52 ; 제 1 지지부 53 ; 제 2 지지부
54 ; 제 1 돌출부 55 ; 제 2 돌출부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료 용기(1)의 출구를 여닫을 수 있는 병마개 대용 홀더에 있어서, 음료 용기(1)의 출구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결합부(11)와, 상기 나사결합부(11)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파지부(12)가 구비되는 제 1 부재(10)와; 상기 음료 용기(1)의 출구를 밀봉시키는 밀봉마개(21)와, 상기 밀봉마개(21)가 설치되는 밀봉마개 설치부(22)와, 상기 밀봉마개 설치부(2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파지부(23)가 구비되는 제 2 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마개(21)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힌지 결합부(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파지부(12)와 제 2 파지부(23) 사이에 탄성부재(3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 대용 홀더의 내부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료 용기(1)의 출구에 결합되는 병마개와 호환성을 가지며, 병마개보다 손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로 구성되며, 이들은 힌지 결합부(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탄성부재(31)에 의해 탄성 결합된다.
제 1 부재(10)는 수지재질의 사출물로써, 음료 용기(1)의 출구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어 홀더를 음료 용기(1)의 일단에 결합시키는 나사결합부(11)와, 나사결합부(11)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파지부(12)로 형성된다. 여기서 나사 결합부(11)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이룬다.
제 2 부재(20)는 제 1 부재(10)에 의해 결합된 음료 용기(1)의 출구 내부에 삽입되어 밀봉시키는 밀봉마개(21)와, 밀봉마개(21)가 설치되는 밀봉마개 설치부(22)와, 밀봉마개 설치부(2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파지부(23)로 형성된다.
제 2 부재(20)의 밀봉마개 설치부(22)와 제 2 파지부(23)는 수지재질의 사출물로써 일체로 형성되며, 밀봉마개(21)는 기밀유지를 위해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힌지결합 및 탄성 결합된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의 제 1 파지부(12)와 제 2 파지부(23)는 손잡이를 제공하며, 실질적으로 손잡이에 악력(握力)을 가함에 따라 밀봉마개(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음료 용기(1)의 출구를 개방시킨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부재(10)의 나사결합부(11) 바깥 둘레에 음료 용기(1)의 목부분을 에워쌀 수 있도록 원통부재(14)가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결합부(11)와 제 1 파지부(12)를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하는데 안정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 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원통부재(14)와 나사결합부(11) 사이에 음료 용기(1)의 내용물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홈(13)을 형성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파지부(12)의 하단부에는 손가락 부분이 접하게 되는 바, 파지홈부(15)를 형성하여 손가락들과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유용한 수단 예를 들면, 잠금수단(40) 및 보조 오프너(50) 등이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잠금수단(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재(20)로부터 연장된 잠금브라켓(43)과, 제 1 부재(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잠금핀(41)으로 구성된다. 잠금핀(41)은 측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1 부재(10)에 결합되며 잠금핀(41)의 일단에는 오목부(42)가 형성된다. 잠금브라켓(43)은 제 2 부재(20)와 함께 연동되며, 잠금브라켓(43)의 끝단부가 잠금핀(41)과 가깝게 대응하고 있어서, 잠금핀(41)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서 잠금브라켓(43)의 끝단부는 오목부(42)와 대응하거나 혹은 오목부(42)가 형성되지 않은 잠금핀(41)과 대응하게 된다. 즉, 잠금브라켓(43)의 끝단이 오목부(42)와 대응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 2 부재(20)와 연동되는 잠금브라켓(43)이 잠금핀(41)에 의해 간섭받지 않으므로 밀봉마개(21)가 원활하게 개방되지만(도 3 참조), 잠금핀(41)을 이동하여 잠금브라켓(43)의 끝단이 오목부(42)와 대응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잠금브라켓(43)이 잠금핀(41)에 의해 간섭받게 되어 제 2 부재(20)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즉, 제 1 파지부(12)와 제 2 파지부(23)에 악력을 가하더라도 밀봉마개(21)가 열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도 4참조).
한편, 보조 오프너(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의 일단에 표준화된 음료 용기(1)의 병마개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된 병마개 삽입홈(51)과, 제 1 부재(10)의 병마개 삽입홈(51)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부(52)와, 제 2 부재(20)의 병마개 삽입홈(51)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부(53)로 형성된다. 제 2 지지부(53)는 제 2 부재(20)가 힌지 결합부(30)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것과 함께 연동되므로 제 1 파지부(12)와 제 2 파지부(23)를 움켜쥐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제 2 지지부(53)가 병마개 삽입홈(51)의 사이즈를 축소시키게 된다.
즉, 음료 용기(1)의 병마개가 잘 열리지 않는 경우 보조 오프너(50)의 병마개 삽입홈(51)에 삽입한 후 홀더를 움켜쥐면 병마개의 외주연이 제 1 지지부(52)와 제 2 지지부(53) 사이에 강한 힘으로 밀착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홀더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쉽게 병마개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표준화된 음료 용기(1)의 병마개 외주연 둘레에는 힘을 가하기 용이하도록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제 1 지지부(52)와 제 2 지지부(53) 내측면에도 이와 대응하는 톱니부를 형성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조 오프너(50)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지지수단(54,55)을 부가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와 같은 또 다른 지지수단(54,55)은 제 1 부재(10)의 내측 공간에 그 끝단부가 병마개 삽입홈(51) 외주연 일단과 일치하도록 돌출되는 제 1 돌출부(54)와, 제 2 부재(20)의 내측 공간에 그 끝단부가 제 1 돌출부(54)와 대응하는 위치의 병마개 삽입홈(51) 외주연 일단과 일치하도록 돌출되는 제 2 돌출부(55)로 형성된다. 제 2 지지부(53)와 마찬가지로 제 2 돌출부(55)는 제 2 부재(20)가 힌지 결합부(30)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것과 함께 연동되므로 제 1 파지부(12)와 제 2 파지부(23)를 움켜쥐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제 2 돌출부(55)가 병마개 삽입홈(51)의 중심부를 향해 움직이게 된다.
즉, 보조 오프너(50)의 병마개 삽입홈(51)에 삽입한 후 홀더를 움켜쥐면 병마개의 외주연이 제 1 돌출부(54)와 제 2 돌출부(55)에 의해 강한 힘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이처럼, 보조 오프너(50)는 제 1 돌출부(54) 및 제 2 돌출부(55)의 지지력으로 훨씬 더 안정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 대용 홀더가 음료용기에 장착된 사용상태도를나타낸 것으로, 제 1 파지부(12)와 제 2 파지부(23)을 움켜 쥐고 악력을 가하면, 힌지 결합부(30)를 중심으로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회동하게 되어 밀봉마개(21)가 음료 용기(1)의 출구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료 용기(1)를 적당히 기울이면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나오게 된다. 반대로, 가해진 악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1)에 의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초기상태로 복원되면서 밀봉마개(21)는 다시 음료 용기(1)의 출구를 밀폐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 대용 홀더는 다양한 업체나 그 업체의 브랜드를 판촉하기 위한 판촉용 물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업체 및 브랜드의 광고를 위해 소비자 혹은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업체명, 브랜드 혹은 상표 등을 부착하거나 새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부재(14)의 외주연, 제 2 부재(20)의 파지부(23) 혹은 제 2 부재(20)의 밀봉마개(21) 상부의 덮개부분 등이 부착하거나 새기기에 바람직한 위치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병마개를 대신해 병마개와 호환성이 있으며 손쉽게 음료 용기의 출구를 여닫을 수 있어 종래처럼 1회 사용 시마다 나사 결합된 병마개를 서너 바퀴 이상 회전시켜 해제시키고 사용 후에는 다시 반대로 그만큼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홀더에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음료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손쉽게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부가적으로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음료 용기에 남은 내용물을 장기보관 하는 등의 경우에는 개방되는 것을 1 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부가적으로 보조 오프너를 구비하고 있어 음료 용기의 병마개를 손쉽게 열 수 있다.

Claims (10)

  1. 음료 용기(1)의 출구를 여닫을 수 있는 병마개 대용 홀더에 있어서,
    음료 용기(1)의 출구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11)와, 상기 나사결합부(11)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파지부(12)가 구비되는 제 1 부재(10)와;
    상기 음료 용기(1)의 출구를 밀봉시키는 밀봉마개(21)와, 상기 밀봉마개(21)가 설치되는 밀봉마개 설치부(22)와, 상기 밀봉마개 설치부(2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파지부(23)가 구비되는 제 2 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마개(21)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힌지 결합부(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파지부(12)와 제 2 파지부(23) 사이에 탄성부재(3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10)의 나사결합부(11) 바깥 둘레에 상기 음료 용기(1)의 목부분을 에워쌀 수 있도록 원통부재(1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재(14)와 나사결합부(11) 사이에 음료 용기(1)의 내용물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홈(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지부(12)의 하단부에 파지홈부(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20)로부터 연장된 잠금브라켓(43)과, 상기 제 1 부재(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잠금핀(41)으로 구성된 잠금수단(40)이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41)은 측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부재(10)에 결합되며 상기 잠금핀(41)의 일단에 오목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브라켓(43)은 상기 제 2 부재(20)와 함께 연동되며, 상기잠금핀(41)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서 상기 잠금브라켓(43)의 끝단부가 상기 오목부(42)와 선택적으로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의 일단에 표준화된 상기 음료 용기(1)의 병마개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된 병마개 삽입홈(51)과, 상기 제 1 부재(10)의 병마개 삽입홈(51)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부(52)와, 상기 제 2 부재(20)의 병마개 삽입홈(51)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부(53)로 형성되는 보조 오프너(50)가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52)와 제 2 지지부(53) 내측면에 톱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병마개 대용 홀더.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10)의 내측 공간에 그 끝단부가 병마개 삽입홈(51) 외주연 일단과 일치하도록 돌출되는 제 1 돌출부(54)와, 상기 제 2 부재(20)의 내측 공간에 그 끝단부가 상기 제 1 돌출부(54)와 대응하는 위치의 병마개 삽입홈(51) 외주연 일단과 일치하도록 돌출되는 제 2 돌출부(55)로 형성되는 지지수단이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병마개 대용 홀더.
KR2020010003502U 2001-02-13 2001-02-13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KR200232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02U KR200232134Y1 (ko) 2001-02-13 2001-02-13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02U KR200232134Y1 (ko) 2001-02-13 2001-02-13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134Y1 true KR200232134Y1 (ko) 2001-07-19

Family

ID=7309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502U KR200232134Y1 (ko) 2001-02-13 2001-02-13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1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9386B1 (en) One piece, push button, flip top closure
US3419198A (en) Covering cap with closable opening for bottle or other container
US6050433A (en) Container closure
EP2032455B1 (en)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US20120260487A1 (en) Replaceable bottle cap assembly
WO2006076747A3 (en) Screw cap for bottle with non slip rin
US20090188885A1 (en) Replaceable bottle cap assembly
HUP0303572A2 (hu) Flexibilis műanyag záróelem, főként palackokhoz
AU2151499A (en) Closure cap interacting with a bottle receptacle
US5022288A (en) Crimped cap removal and return assist device
WO2004010038A3 (en) Sealing mechanisms for use in liquid-storage containers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KR200232134Y1 (ko) 음료용기의 병마개 대용 홀더
US7513388B2 (en) Retractable straw device
GB2454926A (en) A flip-top dispensing closure with latch
JP3074173B1 (ja) ボトル容器蓋体の開閉構造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KR200435197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GB2453205A (en) A flip-top dispensing closure
KR200251096Y1 (ko) 다용도 오프너
JP4030159B2 (ja) 液体化粧料の収納容器
KR200236489Y1 (ko) 플라스틱병용 고리손잡이
CN116723988A (zh) 合成树脂盖
KR940006899Y1 (ko) 오프너 겸용 보조뚜껑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