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835Y1 -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835Y1
KR200207835Y1 KR2020000019835U KR20000019835U KR200207835Y1 KR 200207835 Y1 KR200207835 Y1 KR 200207835Y1 KR 2020000019835 U KR2020000019835 U KR 2020000019835U KR 20000019835 U KR20000019835 U KR 20000019835U KR 200207835 Y1 KR200207835 Y1 KR 200207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clined portion
lid
ja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옥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옥야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옥야
Priority to KR2020000019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6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bayonet cams, i.e. removed by first pushing axially to disengage the cams and then rotating
    • B65D41/06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bayonet cams, i.e. removed by first pushing axially to disengage the cams and then rotating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량의 수용공간이 구비된 용기와, 그 용기의 입구를 결합, 분리하도록 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용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의 입구 외주연에 돌출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대경사부와, 그 대경사부의 일측에는 평면부가 구비되고, 그 평면부의 선단에는 상기의 대경사부보다는 작게 형성되데, 동일한 각도를 가진 소경사부와, 그 소경사부의 일측에는 단턱으로 걸림턱과 고정홈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용기 뚜껑은 내부에 다수개가 돌출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에 다수개가 형성된 결합돌기의 걸림턱을 넘어 고정홈에 안착되도록 하여 일측방향의 원터치 회동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터치로 결합과 분리할 때 적당한 마찰력을 구비하여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뚜껑처럼 수차례 회전하여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하지 않고, 일측으로 적어도 5도 이하의 회동만으로 그 밀폐성을 유지하여 수시로 열고 닫기를 반복하는 용기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 Combination Structure of Container and Cap }
본 고안은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의 원터치식 회동만으로 뚜껑내부에 형성된 돌출턱과 용기입구 외주연에 돌츨로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 분리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뚜껑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용기뚜껑 상부에 구비된 탄성체에 의해 뚜껑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탄성체가 패킹의 역할을 하여 액상 내용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고, 상기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홈에 용이하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 등록번호 실0127254로 '조립식 손잡이를 가진 병뚜껑'중에서 특히 용기뚜껑과 용기입구에 형성된 돌기의 형상을 개선하여 출원하는 것이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상기의 뚜껑은 내부에 형성된 나사 돌기가 용기의 입구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여 약 2 ~ 3회 돌림으로써 결합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고, 최종적으로는 더 큰 힘으로 회전력을 가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같은 뚜껑의 경우 여러 가지의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으므로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성을 잃은 문제가 있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내부에 나선으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서 용기와 결합, 분리를 거듭하는 가운데 하루에도 수차례여닫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불편을 느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차례 반복하여 여닫는 가운데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의 형상이 변하여 그 수밀성(水密性)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누수가 발생하여 더 큰힘으로 회동하여 뚜껑을 닫는 과정에 서 나선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파손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결합, 분리를 거듭하는 가운데 하루에도 수차례 여닫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불편을 느끼지 않고 편하게 용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복하여 여닫는 가운데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물품, 즉, 액상(液狀)의 물품이 외부로 누출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돌출부를 다수개 형성하므로 응력을 분산하여 파손을 방지하여 그 수밀성을 유지하는 기능은 더욱 좋게 하여 사용자들에게 신뢰감을 주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용기와 뚜껑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뚜껑을 도시한 외관도로써, 가)는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본 고안의 돌출턱과 용기 입구의 고정턱과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용기 뚜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 뚜껑 11;외부단턱
12; 축공 20; 손잡이
21; 회전돌기 100; 돌출턱
200;결합돌기 210; 걸림턱
211; 경사면 220;고정 홈
300; 탄성체
본 고안은 일정량의 수용공간이 구비된 용기와, 그 용기의 입구를 결합, 분리하도록 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용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의 입구 외주연에 돌출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대경사부와, 그 대경사부의 일측에는 평면부가 구비되고, 그 평면부의 선단에는 상기의 대경사부보다는 작게 형성되데, 동일한 각도를 가진 소경사부와, 그 소경사부의 일측에는 단턱으로 걸림턱과 고정홈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용기 뚜껑은 내부에 다수개가 돌출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에 다수개가 형성된 결합돌기의 걸림턱을 넘어 고정홈에 안착되도록 하여 일측방향의 원터치 회동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터치로 결합과 분리할 때 적당한 마찰력을 구비하여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뚜껑을 도시한 외관도로써, 가)는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본 고안의 돌출턱과 용기 입구의 고정턱과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용기 뚜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원형의 용기입구(G)의 외주연에 돌출로 다수개의 결합돌기(2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00)는 상호 연결된 구조이고, 상호 연결된 일측에는 대경사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대경사부(211)의 일측에는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213)가 구비되고, 그 평면부(213)의 선단에는 상기의 대경사부(211)보다는 작게 형성되데, 동일한 각도를 가진 소경사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경사부(212)의 후단에는 2단의 단턱으로 걸림턱(210)과 고정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돌기(200)가 용기입구(G)의 외주연에 다수개 동일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인데, 상술한, 소경사부(212)와 대경사부(211)의 사이에 본 고안 용기 뚜껑(10)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턱(100)이 상기의 대경사부(211) 또는 소경사부(212)를 따라 미끄러지며 일측으로 회동하여 결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상부에서 누르지 않고도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용기뚜껑(10)을 상기의 용기입구(G)에 자연스럽게 얹어 놓았을 때 용기뚜껑(10) 내부에 형성된 돌출턱(100)이 대, 소경사부(211)(212)중 어느 한부분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돌출턱(100)이 대경사부(211)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슬라이딩되며 결합이 용이하도록 소경사부(212)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경사부(212)의 일측에 돌출턱(100)이 구비되면 본 고안의 용기뚜껑(10)을 일측으로 회동시켜 돌출턱(100)이 소경사부(212)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턱(100)이 하부로 위치가 변하며 걸림턱(210)을 타고 넘어 일측에 단턱으로 형성된 고정홈(220)의 내부에 돌출턱(100)이 안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턱(100)이 소경사부(212)를 따라 걸림턱(210)을 타고 넘을 때 하부로 위치가 변동되었다가 고정홈(22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구비되어도 수밀유지가 가능한 것은 도 3의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할 탄성체(300)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턱(100)의 각 모서리에는 라운드(R)가 형성되어 상술한 대, 소경사부(211)(212)의 경사면과 접촉시 경사면에 박히듯이 접촉하면 슬라이딩이 용이하지 못한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탄성체(300)는 적당한 경도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하는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탄성력에 의해 상세도시한 바와 같은 압축상태가 해제, 즉, 뚜껑의 개방될 경우 원래대로 복귀되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턱(210)에 의해 용기입구(G)와 용기뚜껑(10)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300)는 압축되며 용기뚜껑(10)의 밀폐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상기 용기뚜껑(10)의 위치가 상, 하 유동이 발생하여도 내부에 수장된 액상(液狀)내용물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 패킹(Packing)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용기뚜껑(10)의 분리는 결합의 반대방향, 즉, 타측으로 회동하여 뚜껑을 개방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홈(220)과 걸림턱(210)사이에 형성된 단턱과 접하고 있는 부위에는 라운드(R)를 형성하여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 다. 즉, 본 고안 돌출턱(10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라운드(R)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의 결합, 분리를 거듭하는 가운데 하루에도 수차례여닫는 과정에서 2 ~ 3회전 하는 것이 아니고, 일측과 타측으로 최소한 5도 이하의 각도로 회동하는 것만으로도 뚜껑의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반복하여 여닫는 가운데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내부에 구비된 액상(液狀)의 물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다수개 형성된 돌출턱의 잠김상태를 견고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응력을 분산하여 파손을 방지하므로 더욱 향상된 수밀성으로 사용자들에게 신뢰감을 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정량의 수용공간이 구비된 용기와, 그 용기의 입구를 결합, 분리하도록 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 외주연에 돌출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대경사부와, 그 대경사부의 일측에는 평면부가 구비되고, 그 평면부의 선단에는 상기의 대경사부보다는 작게 형성되데, 동일한 각도를 가진 소경사부와, 그 소경사부의 일측에는 단턱으로 걸림턱과 고정홈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용기 뚜껑은 내부에 다수개가 돌출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에 다수개가 형성된 결합돌기의 걸림턱을 넘어 고정홈에 안착되도록 하여 일측방향의 원터치 회동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터치로 결합과 분리할 때 적당한 마찰력을 구비하여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의 결합은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며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KR2020000019835U 2000-07-11 2000-07-11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KR200207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835U KR200207835Y1 (ko) 2000-07-11 2000-07-11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835U KR200207835Y1 (ko) 2000-07-11 2000-07-11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835Y1 true KR200207835Y1 (ko) 2000-12-15

Family

ID=1966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835U KR200207835Y1 (ko) 2000-07-11 2000-07-11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8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70A (ko) * 2019-02-12 2020-08-20 국립생태원 피트폴 트랩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70A (ko) * 2019-02-12 2020-08-20 국립생태원 피트폴 트랩 및 그 시스템
KR102200321B1 (ko) * 2019-02-12 2021-01-07 국립생태원 피트폴 트랩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9176C (en) Cap for a receptacle such as a bottle
US6981607B2 (en) Container cap assembly
KR20210010485A (ko) 버튼 해제 및 잠금 장치를 갖는 용기 뚜껑
JP2017159957A (ja) 飲料容器及びその関連方法
KR200423018Y1 (ko) 화장품용기
EP0404841A1 (en) CLOSURE WITH DISPENSING APPLICATOR.
US11673720B2 (en) Container lid with rotatable sipper and flexible handle
US10154719B2 (en) Device for preventing evaporation of cosmetic contents in cosmetic refill case
KR200409415Y1 (ko) 화장품용기
KR102386380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EA019743B1 (ru) Тумблерное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шарнирным задним краем
US20200397121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sealing ability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KR101659288B1 (ko) 개폐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JP3836538B2 (ja) 化粧料容器
GB2460933A (en) Fluid container having two compartments
KR200389430Y1 (ko) 보조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 뚜껑
KR20120131012A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436889Y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3747960B2 (ja) 蓋付き密封容器
KR102377321B1 (ko) 내부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236868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321744Y1 (ko) 용기 뚜껑
KR200259215Y1 (ko) 밀폐용기용 잠금장치
KR101961358B1 (ko) 밀폐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