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094B1 - 병따개 - Google Patents

병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094B1
KR100523094B1 KR10-2003-0059697A KR20030059697A KR100523094B1 KR 100523094 B1 KR100523094 B1 KR 100523094B1 KR 20030059697 A KR20030059697 A KR 20030059697A KR 100523094 B1 KR100523094 B1 KR 10052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vity
bottle
bottle opener
clo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470A (ko
Inventor
박성희
Original Assignee
박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희 filed Critical 박성희
Priority to KR10-2003-005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0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4Combination tools, e.g. comprising cork-screws, can piercers, crowncap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에 병뚜껑을 분리하는 제1 개폐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투시용 홀이 형성된 원형의 캐비티가 구비되며 한쪽 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투시용 홀의 근방에 위치되는 캐비티의 바닥 면에 돌출 구비되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부;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원형의 지지부; 및 개방된 상기 본체의 한쪽 면을 밀폐하며 상기 캐비티와 상응하는 위치에 부채꼴 형상을 갖는 제2 개폐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농약병이나 실험실의 위험한 약품을 취급할 때에 손에 묻지 않고 안전하게 속 뚜껑을 열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병따개 {a bottle opener}
본 발명은 병따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이 작은 원과 직경이 큰 원의 외주 면을 서로 연결한 형상으로 병의 내부 뚜껑을 용이하게 열수 있도록 한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병따개는 병의 주둥이를 밀폐하고 있는 뚜껑을 병으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되고 있는 병따개는 음료수 병을 밀폐하는 뚜껑을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따는 도구로서 그 근본적인 단일의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농약 병이나 인체에 해를 줄 수 있는 실험용 의약품 등이 담겨진 용기는 안전을 고려하여 이중의 마개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제안되고 있는 병따개는 그러한 이중의 마개 구조를 갖는 병의 뚜껑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의 뚜껑을 분리한 후 억지로 끼워진 속 뚜껑을 제거하기 위하여 끝이 날카로운 도구나 손톱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중의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병의 속 뚜껑을 제거할 때에는 그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이 외부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를 항상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단일의 기능을 갖는 병따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사용범위를 확대하는 병따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의 마개 구조를 갖는 병뚜껑을 분리할 때 특히 속 뚜껑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서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병따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에 병뚜껑을 분리하는 제1 개폐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투시용 홀이 형성된 원형의 캐비티가 구비되며 한쪽 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투시용 홀의 근방에 위치되는 캐비티의 바닥 면에 돌출 구비되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부;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원형의 지지부; 및 개방된 상기 본체의 한쪽 면을 밀폐하며 상기 캐비티와 상응하는 위치에 부채꼴 형상을 갖는 제2 개폐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병따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 수평 중심선상에 그 중심점이 일치하며, 직경이 작은 원과 직경이 큰 원의 외주 면을 서로 연결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대략적인 중앙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자석이 매입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투명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개폐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을 향해 뾰족하게 돌출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도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내지 도 2b에는 본 발명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뚜껑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따개는 일 측에 병뚜껑을 분리하는 제1 개폐부(12)가 형성되고 타 측에 투시용 홀(17)이 형성된 원형의 캐비티(11)가 구비되며 한쪽 면이 개방된 본체(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투시용 홀(17)의 근방에 위치되는 상기 캐비티(11)의 바닥 면에 돌출 구비되며 탄성부재(14)가 끼워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캐비티(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원형의 지지부(20) 및 개방된 상기 본체(10)의 한쪽 면을 밀폐하며 상기 캐비티(11)와 상응하는 위치에 부채꼴 형상을 갖는 제2 개폐부(31)가 형성된 커버(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개폐부(31)는 상기 커버(30)의 길이방향 수평 중심선상에 그 중심점이 일치하며, 직경이 작은 원과 직경이 큰 원의 외주 면을 서로 연결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의 대략적인 중앙부에는 홈(15)이 형성되고, 상기 홈(15)에는 자석(16)이 매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투시용 홀(17)을 통해 걸림부(32)가 병과 속 뚜껑사이에 잘 끼워지는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개폐부(32)를 형성하는 내 주면은 병과 속 뚜껑 사이게 잘 끼워지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을 향해 뾰족하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이 적용되기 전의 상태는 도 2a와 같이 속 뚜껑이 병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제2 개폐부(31)의 내 주면의 일부를 병과 속 뚜껑 사이에 끼운다.
이때 병과 속 뚜껑 사이에 상기 제2 개폐부(31)의 내주 면이 잘 맞지 않을 때에는 상기 투시용 홀(17)과 상기 투명한 재질의 지지부(18)를 통해 상기 제2 개폐부(31) 내주면의 상기 걸림부(32)가 병과 속 뚜껑사이에 맞도록 육안으로 보면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병과 속 뚜껑사이에 상기 제2 개폐부(31)의 상기 걸림부(32)를 끼운 다음 상기 도 2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본체(10)를 밀면 상기 제2 개폐부(31)의 지름이 큰 부분에서 지름이 작은 방향으로 이동 하면서 속 뚜껑의 상단부가 상기 덮개부(30)와 상기 지지부(20)사이에 끼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속 뚜껑의 상단부가 상기 덮개부(30)와 상기 지지부(20)에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본체(10)를 도 2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속 뚜껑이 개폐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0)를 누르는 상기 탄성부재(14)에 의해 속 뚜껑이 상기 제2 개폐부에 고정되게 되어 병따개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속 뚜껑을 다시 닫고자 할 때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결합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품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걸이부(19)를 이용해 측벽에 걸어 놓거나 상기 자석(16)을 이용해 금속판에 고정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를 이용해 병 외부에 형성된 크라운 병뚜껑을 딸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따개에 의하면, 농약 병이나 인체에 해를 줄 수 있는 실험용 의약품 등이 담겨진 용기의 속 뚜껑을 안전하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뚜껑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캐비티
12; 제1 개폐부 13; 돌기부
14; 탄성부재 15; 홈
16; 자석 17; 투시용 홀
18; 걸이부 20; 지지부
30; 덮개부 31; 제2 개폐부
32; 걸림부

Claims (5)

  1. 일 측에 병뚜껑을 분리하는 제1 개폐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투시용 홀이 형성된 원형의 캐비티가 구비되며 한쪽 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투시용 홀의 근방에 위치되는 캐비티의 바닥 면에 돌출 구비되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부;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원형의 지지부; 및
    개방된 상기 본체의 한쪽 면을 밀폐하며 상기 캐비티와 상응하는 위치에 부채꼴 형상을 갖는 제2 개폐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병따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 수평 중심선상에 그 중심점이 일치하며, 직경이 작은 원과 직경이 큰 원의 외주 면을 서로 연결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대략적인 중앙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자석이 매입된 것을 포함하는 병따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투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을 향해 뾰족하게 돌출된 것을 포함하는 병따개.
KR10-2003-0059697A 2003-08-27 2003-08-27 병따개 KR10052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697A KR100523094B1 (ko) 2003-08-27 2003-08-27 병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697A KR100523094B1 (ko) 2003-08-27 2003-08-27 병따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470A KR20050023470A (ko) 2005-03-10
KR100523094B1 true KR100523094B1 (ko) 2005-10-19

Family

ID=3723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697A KR100523094B1 (ko) 2003-08-27 2003-08-27 병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0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470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9792B1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movable working member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US5865354A (en) Easy open dispensing cap
KR100523094B1 (ko) 병따개
KR20010111073A (ko) 펫트병 뚜껑의 보조장치
JPH1143168A (ja) 蓋付き飲料用容器
JP5171299B2 (ja) ワンピーススパウト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KR200326387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200358245Y1 (ko) 병뚜껑 내부마개 구조
KR20039609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JPS5849942Y2 (ja) カツトリングを備えた瓶栓
KR200326459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200273105Y1 (ko) 포장용기용 캡
JP3077071U (ja) マルチオープナー
JP3018984U (ja) オープナー
KR200235855Y1 (ko) 버튼식 용기마개
KR200198825Y1 (ko) 오프너
KR200167208Y1 (ko) 토출용 마개
KR20010007912A (ko) 병따개
KR20220016656A (ko) 화장품 앰플 용기
KR200340196Y1 (ko) 실리카팩킹을 구비한 용기마개
KR20130116997A (ko) 용기뚜껑 오프너
KR200283728Y1 (ko) 개량 오프너
KR20020080520A (ko) 용기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