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224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224B1
KR100887224B1 KR1020070034011A KR20070034011A KR100887224B1 KR 100887224 B1 KR100887224 B1 KR 100887224B1 KR 1020070034011 A KR1020070034011 A KR 1020070034011A KR 20070034011 A KR20070034011 A KR 20070034011A KR 100887224 B1 KR100887224 B1 KR 10088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leaning
charging roller
cor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0422A (ko
Inventor
미츠히로 마츠모토
미츠오 야마모토
시게루 다나카
히데아키 오이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2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the charging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와, 상기 상담지체에 압접(壓接)하여 종동(從動) 회전하여 상담지체를 대전(帶電)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대전 롤러에 압접하여 종동 회전하여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롤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클리닝 롤러는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 주면(周面)에 설치된 롤러 형상의 다공질(多孔質)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부재를 갖는 동시에, 상기 클리닝 부재의 축방향 단부(端部) 측이 중앙부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담지체, 감광체 드럼, 대전 롤러, 클리닝 롤러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된 감광체 드럼, 대전(帶電) 롤러, 및 클리닝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감광체 드럼, 대전 롤러, 클리닝 롤러, 및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대전 롤러 및 클리닝 롤러가 축받이 부재에 축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닝 롤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의 (b)는 종래 클리닝 롤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닝 롤러에 이용된 스펀지층 재료의 응력-변형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샤프트 직경이 상이한 클리닝 롤러에 형성된 스펀지층 중앙부와 단부(端部) 식입량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닝 롤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 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닝 롤러의 휘어짐 상태, 대전 롤러로의 식입 상태와 압접력, 및 대전 롤러에 의한 감광체 드럼으로의 압접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종래 클리닝 롤러의 휘어짐 상태, 및 대전 롤러로의 식입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감광체 드럼
14 : 대전(帶電) 롤러 16 : 노광(露光) 장치
18 : 회전식 현상(現像)기 18Y, 18M, 18C, 18K : 현상기
20 : 중간 전사(轉寫) 벨트 22 : 1차 전사 롤러
24: 기록 장치 26 : 2차 전사 롤러
30 : 픽업 롤러 32 : 공급 롤러
34 : 지연 롤러 36 :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38 : 권취 롤러 40 : 권출 롤러
42 : 백업 롤러 46 : 제 1 클리닝 백업 롤러
48 : 제 2 클리닝 백업 롤러 52 : 화상 형성 유닛
60 : 클리닝 브러시 64 : 정착 장치
66 : 배출(排出) 롤러 68 : 배출 트레이
72 : 반송 롤러 74 : 수동 트레이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채용한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 구동되는 상담지체(像擔持體)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상담지체 표면을 대전(帶電)시키는 접촉 대전 방식의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롤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장치로서, 최근에는 오존 배출 억제, 장치의 소형화, 및 고압 전원 비용의 저감 등을 도모하기 위해, 종래 스코로트론 등의 비(非)접촉형 대전기 대신에, 상담지체에 접촉 또는 근접 배치되는 롤러 대전기(BCR)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촉 대전 방식의 대전 장치에서는 대전 롤러가 상담지체에 상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대전 롤러 표면에 이물(異物)의 부착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화상 형성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는 상담지체 표면은 전사(轉寫) 공정의 하류 측에서, 전사 후의 잔류 토너 등의 이물 제거를 행하는 클리닝 공정을 거친 후, 대전 공정 영역으로 진입해 오지만, 클리닝 공정을 거쳐도 토너의 일부나 토너 외부 첨가제 등, 토너보다도 미소(微小)한 입자가 클리닝되지 않고 상담지체 상에 잔류하여, 대전 롤러 표면에 부착되어 버린다. 대전 롤러 표면에 부착된 이물은 대전 롤러 표면 저항값에 불균일을 발생시켜, 이상(異常) 방전(放電)이나 불안정한 방전으로 되어 대전 균일성을 악화시켜 버린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회전하는 대전 롤러 표면에 롤러 형상의 스펀지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를 압접시켜 종동 회전시킴으로써, 대전 롤러의 파괴나 표면 필르밍(filming)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 대전 롤러 표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평8-95350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펀지 부재 등의 다공질(多孔質)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를 대전 롤러에 압접시키는 구성에서는, 압접에 따른 클리닝 롤러의 샤프트의 휘어짐, 또는 다공질 탄성체의 반발력으로, 대전 롤러에 대한 클리닝 롤러의 식입량이 양단부에 비해 중앙부에서 저하하고, 중앙부에서의 클리닝 능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중앙부의 식입량을 클리닝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는 적정값으로 설정하면, 단부(端部)의 식입량이 과대(過大)하게 되고, 대전 롤러 단부에서 토너 외부 첨가제가 롤러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외부 첨가제 필르밍이 발생하거나 또는 롤러 표면 코트층이 마모하는 등으로 하여, 대전 불균일이 발생해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어 스펀지 부재 두께를 축방향으로 변화시켜 클리닝 롤러 외경(外徑)을 양단부보다도 중앙부에서 확대하고, 대전 롤러로의 식입량이 축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문제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스펀지(다공질 탄성체)는 성형성이 나쁘고 높은 형상 정밀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특수 형상의 스펀지 부재를 이용하는 클 리닝 롤러에서는 성형 후에 원하는 형상으로 완료하기 위해 많은 가공 시간을 요하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간단한 구성의 클리닝 롤러에 의해 대전(帶電) 롤러를 양호하게 클리닝할 수 있고, 고품질의 화상 형성을 실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압접(壓接)하여 종동(從動) 회전하여 상담지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대전 롤러에 압접하여 종동 회전하여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닝 롤러는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 주면(周面)에 설치된 롤러 형상의 다공질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부재를 갖는 동시에, 상기 클리닝 부재의 축방향 단부 측이 중앙부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안출되는 하기(下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는 4사이클 방식의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내에는 중앙보다도 약간 우측 상부 에 감광체 드럼(12)이 회전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감광체 드럼(12)으로서는 예를 들어 표면에 OPC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체층이 피복된 도전성(導電性) 원통체로 이루어진 것이 이용되고,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소정 프로세스 스피드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체 드럼(12) 표면은 감광체 드럼(12)의 거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대전(帶電) 롤러(14)에 의해 소정 전위(電位)로 대전된 후, 대전 롤러(14) 하방(下方)에 배치된 노광(露光) 장치(16)에 의해, 레이저 빔(LB)에 의한 화상 노광이 실시되고,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靜電) 잠상(潛像)이 형성된다.
이 감광체 드럼(12)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의 현상기(18Y, 18M, 18C, 18K)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식 현상기(18)에 의해 현상(現像)되어, 소정 색의 토너 화상으로 된다.
이 때, 감광체 드럼(12) 표면에는 형성하는 화상의 색에 따라, 대전·노광·현상의 각 공정이 소정 횟수만큼 반복된다. 현상 공정에서는 회전식 현상기(18)가 회전하고, 대응하는 색의 현상기(18Y, 18M, 18C, 18K)가 감광체 드럼(12)과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감광체 드럼(12) 표면에는 대전·노광·현상 각 공정이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에 대응하여 4회 반복되고, 감광체 드럼(12) 표면에는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에 대응한 토너 화상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토너 화상이 형성됨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12)이 회전하는 횟수는 화상 사이즈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A4 사이즈이면, 감광체 드럼(12)이 3회전함으로써, 1개의 화상이 형성된다. 즉, 감광체 드럼(12) 표면에는 감광체 드럼(12)이 3회전 할 때마다,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에 대응한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12) 상에 순서대로 형성되는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 화상은 감광체 드럼(12) 외주(外周)에 중간 전사(轉寫) 벨트가 감겨진 1차 전사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20) 상에 서로 중첩된 상태로 1차 전사 롤러(22)에 의해 전사된다.
이 중간 전사 벨트(20) 상에 다중(多重)으로 전사된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토너 화상은 소정 타이밍에서 급지되는 기록 용지(24) 상에 2차 전사 롤러(26)에 의해 일괄하여 전사된다.
한편, 기록 용지(24)는 화상 형성 장치(10) 하부에 배치된 급지 카세트(28)로부터 픽업 롤러(30)에 의해 송출되는 동시에, 공급 롤러(32) 및 지연 롤러(34)에 의해 1매씩 분리된 상태로 급지되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6)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0)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과 동기(同期)한 상태로 중간 전사 벨트(20)의 2차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중간 전사 벨트(20)는 감광체 드럼(12)에서의 회동 방향 상류 측에서 중간 전사 벨트(20)의 래핑(wraping) 위치를 특정하는 권취 롤러(38)와, 감광체 드럼(1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20) 상에 전사하는 1차 전사 롤러(22)와, 랩 위치의 하류 측에서 중간 전사 벨트(20)의 랩 위치를 특정하는 권출 롤러(40)와, 2차 전사 롤러(26)에 중간 전사 벨트(20)를 통하여 맞닿는 백업 롤 러(42)와, 중간 전사 벨트(20)의 클리닝 장치(44)에 대향하는 제 1 클리닝 백업 롤러(46)와, 제 2 클리닝 백업 롤러(48)에 의해 소정 장력(張力)으로 걸쳐져 있으며, 소정 프로세스 스피드로 순환 이동하도록 예를 들어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에 따라 종동된다.
여기서, 중간 전사 벨트(2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중간 전사 벨트(20)가 걸쳐지는 단면 형상이 편평하고 가늘고 긴 거의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20)는 감광체 드럼(12)과 대전 롤러(14)와 중간 전사 벨트(20)와 중간 전사 벨트(20)를 걸치는 복수의 롤러(22, 38, 40, 42, 46, 48)와 중간 전사 벨트(20)용 클리닝 장치(44)와 후술하는 감광체 드럼(12)용 클리닝 장치(78)로 일체적으로 화상 형성 유닛(52)을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부 커버(54)를 열고, 화상 형성 유닛(52) 상부에 설치된 핸들(도시 생략)을 손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화상 형성 유닛(52) 전체를 화상 형성 장치(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20)의 클리닝 장치(44)는 제 1 클리닝 백업 롤러(46)에 의해 걸쳐진 중간 전사 벨트(20) 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스크레이퍼(scraper)(58)와, 제 2 클리닝 백업 롤러(48)에 의해 걸쳐진 중간 전사 벨트(20) 표면에 압접하도록 배치된 클리닝 브러시(60)를 구비하고, 이들 스크레이퍼(58)나 클리닝 브러시(60)에 의해 제거된 잔류 토너나 지분(紙粉) 등은 클리닝 장치(44) 내부에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장치(44)는 요동축(搖動軸)(62)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최종색 토너 화상의 2차 전사가 종료되기까지는 중간 전사 벨트(20) 표면으로부터 이간(離間)된 위치로 퇴피(退避)하는 동시에, 최종색 토너 화상의 2차 전사가 종료되면, 중간 전사 벨트(20)의 표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0)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24)는 정착 장치(64)로 반송되고, 이 정착 장치(6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 토너 화상이 기록 용지(24) 상에 정착된다. 그 후, 단면 프린트 등의 경우에는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24)는 배출 롤러(6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 상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68) 상에 그대로 배출된다.
한편, 양면 프린트의 경우에는 정착 장치(64)에 의해 제 1 면(표면)에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24)를 배출 롤러(66)에 의해 배출 트레이(68) 상에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배출 롤러(66)에 의해 기록 용지(24)의 후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배출 롤러(66)를 역회전시키는 동시에, 기록 용지(24)의 반송 경로를 양면용 용지 반송로(70)로 전환하고, 이 양면용 용지 반송로(70)에 배열 설치된 반송 롤러(72)에 의해 기록 용지(24)의 표리(表裏)를 반전(反轉)시킨 상태에서 다시 중간 전사 벨트(20)의 2차 전사 위치로 반송하고, 기록 용지(24)의 제 2 면(이면(裏面))에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그리고, 기록 용지(24)의 제 2 면(이면)의 토너 화상을 정착 장치(64)에 의해 정착시켜, 기록 용지(24)를 배출 트레이(68) 상으로 배출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옵션으로 화상 형성 장치(10) 측면에 수동 급지 트레이(74)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수동 급지 트레이(74) 상에 탑재 배치된 임의의 사이즈 및 종류의 기록 용지(24)는 급지 롤러(76)에 의해 급지되고, 반송 롤러(73)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6)를 통하여 중간 전사 벨트(20)의 2차 전사 위치로 반송됨으로써, 임의의 사이즈 및 종류의 기록 용지(24)에도 화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너 화상의 전사 공정이 종료된 후의 감광체 드럼(12) 표면은 감광체 드럼(12)이 1회전할 때마다, 감광체 드럼(12) 경사 하방에 배치된 클리닝 장치(78)의 클리닝 블레이드(80)에 의해 잔류 토너나 지분(紙粉) 등이 제거되고, 다음 화상 형성 공정에 대비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2)의 하방부에는 감광체 드럼(12)과 접촉하도록 대전 롤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대전 롤러(14)는 도전성 샤프트(shaft)(14A) 주위에 대전층(14B)이 형성된 것이며, 샤프트(14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대전 롤러(14)의 감광체 드럼(12)과 반대 측의 하방부에는 대전 롤러(14) 표면에 접촉하는 롤러 형상의 클리닝 부재를 포함하는 클리닝 롤러(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리닝 롤러(100)는 샤프트(100A) 주위에 스펀지층(100B)이 형성된 것이며, 샤프트(100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리닝 롤러(100)는 대전 롤러(14)에 소정 하중으로 가압되고, 스펀지층(100B)이 대전 롤러(14) 주면(周面)을 따라 탄성 변형하여 닙(nip)부(102)를 형성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12)은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도 2 중 시계 방향(화살 표 2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에 의해 대전 롤러(14)가 화살표 4 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또한, 대전 롤러(14)의 회전에 의해 롤러 형상의 클리닝 롤러(100)가 화살표 6 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클리닝 롤러(100)가 종동 회전함으로써, 대전 롤러(14) 표면에 부착된 토너나 외부 첨가제 등의 오물이 클리닝 롤러(100)에 의해 클리닝된다. 그리고 이 이물이 클리닝 롤러(100)의 발포체(發泡體)의 셀 내에 수용되고, 셀 내에 회수된 이물이 응집하여 적절한 크기가 되면, 클리닝 롤러(100)로부터 대전 롤러(14)를 통하여 감광체 드럼(12)으로 되돌려지고, 감광체 드럼(12)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78)에 회수됨으로써, 클리닝 성능이 계속 유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대전 롤러(BCR)(14)와 클리닝 롤러(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전 롤러(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2) 표면에 접촉하여 배열 설치되고,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이 인가되어, 감광체 드럼(12) 표면을 대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그 형상으로서는 샤프트(14A)를 구성하는 코어 주위에 대전층(14B)을 구성하는 저항 탄성층을 설치한 롤러 형상이고, 저항 탄성층을, 외측으로부터 저항층과 그들을 지지하는 탄성층의 순서대로 분할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전 롤러(14)의 내구성이나 내(耐)오염성의 부여를 위해, 필요에 따라 저항층의 외측에 보호층을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코어에 탄성층, 저항층, 보호층을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코어의 재질로서는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철, 구리, 황동,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니켈 등이 이용된다. 또한, 금속 이외의 재료라도, 도전성과 적절한 강성(剛性)을 갖는 재료이면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전성 입자 등을 분산한 수지 성형품이나, 세라믹스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롤러 형상 외에, 중공(中空) 파이프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탄성층의 재질로서는 도전성 또는 반(半)도전성을 갖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수지재 또는 고무재에 도전성 입자 또는 반도전성 입자를 분산한 것이다.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요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 등이 이용되고, 고무 재료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부타디엔, 천연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에틸렌옥시드 고무 등 또는 그들을 발포시킨 발포재가 이용된다.
도전성 입자 또는 반도전성 입자로서는 카본블랙, 아연, 알루미늄, 구리, 철, 니켈, 크롬, 티타늄 등의 금속, ZnO-Al2O3, SnO2-Sb2O3, In2O3-SnO2, ZnO-TiO2, MgO-Al2O3, FeO-TiO2, TiO2, SnO2, Sb2O3, In2O3, ZnO, MgO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제 4 급 암모늄염 등의 이온성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재료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탤크(talc),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무기(無機) 충전재, 불소 수지나 실리콘 고무의 미분(微粉) 등의 유기(有機) 충전재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할 수도 있다.
저항층 및 보호층의 재질로서는 결착 수지에 도전성 입자 또는 반도전성 입자를 분산하고, 그 저항을 제어한 것으로서, 저항률로서는 103 내지 1014Ω㎝,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012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7 내지 1012Ω㎝가 좋다. 또한 막 두께로서는 0.01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가 좋다. 결착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메톡시메틸화나일론, 에톡시메틸화나일론,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비닐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티오펜 수지, PFA, FEP, 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요소 수지 등이 이용된다.
도전성 입자 또는 반도전성 입자로서는 탄성층과 동일한 카본블랙, 금속, 금속 산화물이나, 이온 도전성을 발현(發現)하는 제 4 급 암모늄염 등의 이온성 화합물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힌더드페놀, 힌더드아민 등의 산화 방지제, 클레이, 카올린, 탤크,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충전재나,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의 미분 등의 유기 충전재나, 실리콘 오일 등 윤활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계면 활성제나 대전 제어제 등이 필요에 따라 첨가된다.
또한, 이들 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블레이드(blade) 코팅법, 마이어 바(Meyer bar) 코팅법, 스프레이(spray) 코팅법, 침지(浸漬) 코팅법, 비드(bead) 코팅법, 에어 나이프(air knife) 코팅법, 커튼(curtain) 코팅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클리닝 롤러(100)는 샤프트(100A)를 구성하는 코어와, 이 코어 주면에 형성되는 스펀지층(100B)을 구성하는 다공질 탄성층(롤러 형상의 다공질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14) 표면에 접촉하여 배열 설치되어 있다.
코어의 재질로서는 다공질 탄성층을 지지하고, 대전 롤러(14)에 적절한 압접력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剛性)을 갖는 것이 이용되고, 일반적으로는 철, 구리, 황동,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니켈 등의 금속 외에, 수지 성형품, 세라믹스 등이나, 이들에 도전성 입자 등을 분산시킨 것이나, 무기 충전재를 분산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롤러 형상 외에, 중공 파이프 형상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공질 탄성층은 소정의 셀 밀도로 형성된 롤러 형상의 스펀지이며, 예를 들어 에테르계 우레탄폼, 폴리에틸렌폼, 폴리올레핀폼, 멜라민폼, 마이크로 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폼을 예로 들어 제조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물, 촉매(아민 촉매, 금속 촉매 등) 및 정포제(整泡劑)(계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안료 등의 첨가제가 이용된다. 그리고, 이들 원료를 혼합·교반(攪拌)하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 우레탄 수지의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대전 롤러(14) 및 클리닝 롤러(100)의 지지 구조와, 제 1 실시 형 태에 따른 클리닝 롤러(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전 롤러(14)와 클리닝 롤러(100)가 한 쌍의 축받이 부재(110)를 통하여 박스 형상의 홀더(120)에 조립되어 있으며, 이 홀더(120) 내에 수용되어 홀더(120)와 함께 유닛화되어, 감광체 드럼(12)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축받이 부재(110)는 직육면체 형상(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축받이 부재(110)는 고강성(高剛性), 고슬라이딩성으로 내(耐)마모성이 뛰어난 폴리아세탈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마모성을 더 높이기 위해, 상기 합성 수지 재료에 유리 섬유나 카본 섬유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축받이 부재(110)에는 길이 방향(도 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축받이 홈(112) 및 축받이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 홈(112)은 축받이 부재(110) 상단면(上端面)을 개구(開口)시킨 단면(斷面)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원 주면 형상으로 된 내주면부(內周面部)의 내경(內徑)이 대전 롤러(14)의 샤프트(14A)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14a)의 축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축받이 홈(112)에는 대전 롤러(14)의 샤프트(14A) 지지부(14a)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축받이 홈(112)은 도면 상측이 되는 감광체 드럼(12) 측이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지지부(14a)를 내주면부에서 맞닿아 지지했을 시, 그 지지부(14a)에 대하여 감광체 드럼(12)으로의 압접 방향(화살표 8 방향)으로 자유도를 부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축받이 구멍(114)에는 클리닝 롤러(100) 의 샤프트(100A)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100a)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120)는 본체부(122)에서의 대전 롤러(14) 및 클리닝 롤러(100)의 축방향을 따른 양단부(도 3의 좌우 측단부)에, 상기 한 쌍의 축받이 부재(110)가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12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124)에는 부착부(124)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른 가이드 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 부재(110)는 이 가이드 홈(126)에 끼워 맞춰져 그 선단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126)에 가이드되어 부착부(124)의 연장 돌출 방향(감광체 드럼(12)에 대하여 접리(接離)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126) 내의 기단(基端) 측에는 축받이 부재(110)를 감광체 드럼(12) 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128)의 탄성력으로, 축받이 부재(110)가 감광체 드럼(12) 측으로 가압되고(화살표 8 방향), 대전 롤러(14)는 감광체 드럼(12)에 압접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축받이 부재(110)에, 샤프트(14A) 양단의 지지부(14a)가 축 지지된 대전 롤러(14)와 샤프트(100A) 양단의 지지부(100a)가 축 지지된 클리닝 롤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100)가 대전 롤러(14)에 소정 하중으로 가압되고, 스펀지층(100B)이 대전 롤러(14) 주면을 따라 탄성 변형하여 닙(nip)부(102)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2 참조), 축간(軸間) 거리가 일정하게 되고, 압접 방향의 상대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압접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접촉부(닙부(102)의 거의 접선 방향))의 위치 관계도 일정하고 되고,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닙 폭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클리닝 롤러(100)의 샤프트(100A)는 축방향에서의 단부(지지부(100a)) 측에, 중앙부(100c) 측보다도 외경이 작게 된 소경부(小徑部)(100b)가 형성되어 스텝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소경부(100b)는 예를 들어 샤프트(100A)가 금속 재료로 된 경우에는 절삭(切削) 가공으로 형성되고, 또한 수지 재료의 경우에는 형 성형(型成形)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샤프트(100A)는 말단의 지지부(100a)를 제외한 소경부(100b)를 포함하여 스펀지층(100B)에 피복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스펀지층(100B)은 축방향 단부 측이 중앙부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또한, 스펀지층(100B)은 외경이 축방향에서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클리닝 롤러(100)는 샤프트(100A)에 스펀지층(100B)이 성형형으로 일체 성형되어 제작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 시에 감광체 드럼(12)이 회전하면,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에 따라 대전 롤러(14)가 종동 회전하여 감광체 드럼(12)을 대전시키고, 또한 대전 롤러(14)의 회전에 따라 클리닝 롤러(100)가 종동 회전하여 대전 롤러(14)를 클리닝한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에서 감광체 드럼(12)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14)는 롤러 표면에 부착된 이물이 클리닝 롤러(100)에 의해 클리닝되기 때문에, 대전 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여기서, 양단부가 지지된 클리닝 롤러에서는 특히 장치 사이즈의 제약이나 저비용화를 위해 롤러를 소경화한 경우, 높은 클리닝성을 얻기 위해 대전 롤러에 대한 중앙부의 식입량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로 하면, 축이 휘어져 단부의 식입량이 커진다(도 10 참조). 그리고, 특히 스펀지층 두께가 얇을 경우, 단부에서는 스펀지층의 변형량이 커지고, 도 6에 나타낸 재료의 응력-변형 곡선(SS 커브)이 솟아오른 부분, 즉 변형에 따라 하중이 증가하는 영역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대전 롤러에 대한 클리닝 롤러 단부에서의 가압력(압접력)이 커져, 필르밍 발생이나 대전 롤러 표면의 마모가 문제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클리닝 롤러(100)에서는 축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식입량을 클리닝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는 적정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샤프트(100A)가 휘어 대전 롤러(14)에 대한 스펀지층(100B)의 단부 측의 식입량(변형량)이 커져도, 스펀지층(100B)의 단부 측이 중앙부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음으로써, 단부 측 압축률이 감소하고, 변형에 대한 하중 변화가 적은 영역에서의 클리닝이 가능하게 된다. 즉, 스펀지층(100B)의 단부 측에서는 식입량이 커도 저(低)하중으로 클리닝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클리닝 롤러(100) 중앙부에서의 클리닝 능력 저하가 억제되는 동시에, 단부 측의 과대한 식입(고(高)하중)에 의한 대전 롤러(14)로의 악영향도 억제되고, 간단한 구성의 클리닝 롤러(100)로 대전 롤러(14)를 양호하게 클리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라면, 감광체 드럼(12)의 대전 불량이나 대전 롤러(14)의 클리닝 불량에 의한 화상 결함이 억제되고, 장기간에 걸쳐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재료나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는 클리닝 롤러(100)의 샤프트(100A)에 대하여, 절삭 가공이나 형 성형 등으로, 축방향 단부 측에 중앙부보다도 외경이 작게 된 소경부(100b)가 형성되고, 그 소경부(100b)를 포함하여 스펀지층(100B)이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100A)의 단부 측에 소경부(100b)를 높은 형상 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스펀지층(100B)을 특수 형상으로 가공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며, 이것에 의해, 단부 측에서의 스펀지층(100B) 두께를 간단한 구성으로 두껍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펀지층(100B)의 외경을 축방향에서 거의 균일하게 함으로써, 형 성형으로 제작하는 스펀지층(100B) 주면 형상을 높은 형상 정밀도로 간단하고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100A)에 스펀지층(100B)을 형 성형으로 일체 성형하여 클리닝 롤러(100)를 제작함으로써, 후(後)공정에서의 스펀지층(100B)의 절삭 가공이 불필요해져,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형상 정밀도가 높은 클리닝 롤러(100)를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클리닝 롤러(130)에서는 샤프트(130A)가 축방향 중앙부(130c)로부터 단부(130a) 측으로 향하여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샤프트(130A)에 대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펀지층(130B)은 외경이 축방향에서 균일해지도록 일체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샤프트(130A)를 이용한 구성이라도, 스펀지 층(130B) 단부 측을 중앙부보다도 두껍게 할 수 있으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중앙부가 단부 측보다도 대경(大徑)으로 된 테이퍼 형상의 샤프트(130A)를 구비하는 클리닝 롤러(130), 또는 배럴 형상의 샤프트를 구비하는 클리닝 롤러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130)의 단부 측에 대하여 중앙부에서의 대전 롤러(14)로의 압접력이 커진다(FC2>FC1≒FC3). 그 때문에, 단부 측의 과대한 식입에 의한 대전 롤러(14)로의 악영향(대전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중앙부에서의 클리닝 능력 저하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대전 롤러(14)를 양호하게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롤러(14)를 감광체 드럼(12)에 압접시키는 구성에서는, 클리닝 롤러와 마찬가지로 대전 롤러(14)가 휘어지고, 감광체 드럼(12)에 대한 대전 롤러(14)의 압접력이 양단부에 비해 중앙부에서 저하하여, 대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클리닝 롤러(130)를 대전 롤러(14)에 압접시키는 구성에서는, 감광체 드럼(12)으로의 압접 측과는 거의 반대 측에 배치된 클리닝 롤러(130)로부터의 압접력을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12)에 대한 대전 롤러(14)의 압접력을 축방향에서 거의 균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FB1≒FB2≒FB3), 이것에 의해, 상기 대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테이퍼 형상의 샤프트(130A)에 대해서도, 절삭 가공이나 형 성형 등으로 높은 형상 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것에 의해 단부 측에서 의 스펀지층(130B) 두께를 간단한 구성으로 두껍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축방향 중앙부가 단부 측보다도 대전 롤러(14)로의 압접력이 크게 되는 클리닝 롤러(130)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1
비교예로서의 클리닝 롤러는, 도 5의 (b)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샤프트(101A)의 형상이 스트레이트 형상이다. 이 클리닝 롤러(101)에서는 외경: Ø9㎜, 샤프트 직경: Ø5㎜, 스펀지층(101B) 두께: 2㎜로 하고, 스펀지층(101B) 재질 : RR 클리닝 블레이드(80)((주)이노악(Inoac Corporation) 제작)를 사용하였다. 또한, 대전 롤러(14)에 대한 축방향 단부의 식입량을 1.0㎜으로 설정하고, 이 때, 중앙부의 식입량은 약 0.3㎜이다(도 7 참조).
그리고, 이 클리닝 롤러(101)를 후지 제록스 주식회사 제작(DCC450)에 탑재하고, 연속 통지(通紙) 테스트를 행한 바, 5만매(枚) 통지한 단계에서, 대전 롤러 양단부 50㎜ 정도의 범위에 대응하는 H/T 화상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의 화질 결함이 발생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클리닝 롤러(도 5의 (a) 참조)에서는 외경: Ø9㎜, 샤프트 직경: Ø5㎜, 샤프트 단부의 소경부 외경: Ø4㎜, 스펀지층 두께: 2㎜, 샤프트 단부의 소경부 50㎜(도 5의 (a)의 치수 L)에 상당하는 부분의 스펀지층 두께: 2.5㎜로 하고, 스펀지층은 비교예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클리닝 롤러를 상기 후지 제록스 주식회사 제작(DCC450)에 탑재하고, 연속 통지 테스트를 행한 바, 20만매 통지를 행해도, 샤프트 단부의 소경부 50㎜에 대응하는 H/T 화상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의 화질 결함은 발견할 수 없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클리닝 롤러(도 8 참조)에서는, 외경: Ø9㎜, 샤프트 중앙부 직경: Ø5㎜, 샤프트 양단부 직경: Ø4㎜로 하고, 스펀지층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다. 이 클리닝 롤러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연속 통지 테스트를 행한 바, 20만매 통지를 행해도, 샤프트 단부 50㎜에 대한 H/T 화상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의 화질 결함은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형태가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대전 롤러(14)와 클리닝 롤러(100, 130)를 함께 축받이 부재(110)로 지지하고, 축받이 부재(110)를 압축 코일 스프링(128)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대전 롤러(14)를 감광체 드럼(12)에 압접시키고, 클리닝 롤러(100)를 대전 롤러(14)에 압접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각 롤러의 지지 구조나 압접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대전 롤러(14)와 클리닝 롤러(100, 130)를 개별의 축받이 부재로 지지하고, 개별의 가압 수단으로 가압하여 압접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2)의 하방부에 대전 롤러(14)를 접촉시키고, 그 대전 롤러(14)의 하방부에 클리닝 롤러(100, 130)를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감광체 드럼(12), 대전 롤러(14), 및 클리닝 롤러(100, 130)의 위치 관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감광체 드럼의 상방부에 대전 롤러를 접촉시키고, 그 대전 롤러의 상방부에 클리닝 롤러를 접촉시키는 구성 등으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회전식 현상기(18)를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12)으로의 토너 화상 형성을 4회 반복하여 행하는 4사이클 방식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황색, 자홍색, 청록색, 흑색의 화상 형성 유닛을 병설(竝設)한 풀 컬러의 탠덤 구성일지라도, 각 화상 형성 유닛의 감광체 드럼과, 대전 롤러 및 클리닝 롤러의 홀더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예시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모든 변형 변경을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클리닝 롤러에 의해 대전(帶電) 롤러를 양호하게 클리닝할 수 있고, 고품질의 화상 형성을 실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회전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와, 상기 상담지체에 압접(壓接)하여 종동(從動) 회전하여 상담지체를 대전(帶電)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대전 롤러에 압접하여 종동 회전하여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 주면(周面)에 설치된 롤러 형상의 다공질(多孔質)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는 축 방향 중앙부 측에서의 외경이 축 방향 단부 측에서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외경은 축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축 방향에서의 단부 측에, 중앙부 측보다도 외경(外徑)이 작게 된 소경(小徑)부가 형성되어 있어 스텝(step)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코어는 상기 소경부를 포함하여 상기 클리닝 부재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축방향 중앙부로부터 단부 측으로 향하여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상기 코어에 상기 클리닝 부재가 일체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상기 코어에 상기 클리닝 부재가 일체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상기 코어에 상기 클리닝 부재가 일체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삭제
  11. 회전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압접하여 종동 회전하여 상담지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대전 롤러에 압접하여 종동 회전하여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닝 롤러는 축방향 중앙부가 단부 측보다도 상기 대전 롤러로의 압접력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 주면에 설치된 롤러 형상의 다공질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부재를 갖는 동시에, 상기 코어의 축방향 중앙부가 단부 측보다도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상담지체로의 압접 측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상기 클리닝 롤러에 압접됨으로써, 상담지체로의 압접력이 축방향에서 균일하게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상담지체로의 압접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클리닝 롤러에 압접됨으로써, 상담지체로의 압접력이 축방향에서 균일하게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0034011A 2006-06-19 2007-04-06 화상 형성 장치 KR100887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9096A JP4793116B2 (ja) 2006-06-19 2006-06-19 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169096 2006-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422A KR20070120422A (ko) 2007-12-24
KR100887224B1 true KR100887224B1 (ko) 2009-03-06

Family

ID=3886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011A KR100887224B1 (ko) 2006-06-19 2007-04-06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73906B2 (ko)
JP (1) JP4793116B2 (ko)
KR (1) KR100887224B1 (ko)
CN (2) CN1015989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6970A (ja) * 2007-12-25 2009-07-16 Fuji Xerox Co Ltd 帯電部材清掃部材、帯電部材清掃部材の製造方法、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160470B2 (en) * 2007-12-28 2012-04-1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Cleaning roller for cleaning charging roll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59566B2 (ja) * 2009-12-25 2013-08-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69740B2 (en) * 2010-04-02 2013-02-05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Inc Remanufactured toner cartridge with added cleaning roller for the primary charge roller, and methods
JP2012088677A (ja) * 2010-09-22 2012-05-10 Tokai Rubber Ind Ltd 電子写真機器用帯電ロール
JP5927162B2 (ja) * 2013-09-12 2016-05-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176456B2 (en) * 2013-08-09 2015-11-0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first process roller and second process roller
JP6135438B2 (ja) * 2013-10-08 2017-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1152671A (zh) * 2013-11-18 2020-05-15 株式会社Ihi 非接触供电系统
JP6179810B2 (ja) * 2013-12-06 2017-08-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5372976A (zh) * 2015-12-18 2016-03-02 珠海市拓佳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含充电辊的硒鼓
JP6686621B2 (ja) * 2016-03-29 2020-04-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00722B2 (ja) * 2017-03-23 2021-07-0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052131A (ja) * 2018-09-25 2020-04-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清掃体、清掃装置、帯電装置、組立体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1518A (ja) * 1994-03-17 1995-10-13 Ricoh Co Ltd 帯電ローラ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8227208A (ja) * 1994-11-10 1996-09-03 Kyocera Corp 帯電装置及び該装置を組込んだ画像形成装置
KR20040046652A (ko) * 2002-11-28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5257966A (ja) 2004-03-11 2005-09-22 Ricoh Co Ltd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トナ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430A (en) * 1989-05-24 1993-03-23 Tektronix, Inc. Dual roller apparatus for pressure fixing sheet material
JPH0895350A (ja) * 1994-09-28 1996-04-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KR100363167B1 (ko) * 2000-04-26 2002-1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유닛
JP4440428B2 (ja) * 2000-05-11 2010-03-24 シンジー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使用されるオイル塗布ロー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定着ユニット
JP2003345159A (ja) * 2002-05-30 2003-12-03 Canon Finetech Inc 定着装置
JP4175046B2 (ja) * 2002-07-18 2008-11-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019835B2 (ja) * 2002-07-18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14943A (ja) * 2003-10-07 2005-04-28 Kyocera Mita Corp クリーニング方法
US7477862B2 (en) * 2004-02-09 2009-01-13 Ricoh Company, Ltd. Charged device,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toner, and image-forming device that uses these
JP2005326820A (ja) * 2004-04-16 2005-11-24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部材の製造方法、クリーニング部材、クリーニング装置、転写装置、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529982C (zh) * 2004-11-26 2009-08-19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JP5162831B2 (ja) * 2006-02-01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1518A (ja) * 1994-03-17 1995-10-13 Ricoh Co Ltd 帯電ローラ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8227208A (ja) * 1994-11-10 1996-09-03 Kyocera Corp 帯電装置及び該装置を組込んだ画像形成装置
KR20040046652A (ko) * 2002-11-28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5257966A (ja) 2004-03-11 2005-09-22 Ricoh Co Ltd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ト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8918B (zh) 2011-12-21
CN101598918A (zh) 2009-12-09
CN101093374A (zh) 2007-12-26
US20070292158A1 (en) 2007-12-20
US7773906B2 (en) 2010-08-10
KR20070120422A (ko) 2007-12-24
CN100517101C (zh) 2009-07-22
JP4793116B2 (ja) 2011-10-12
JP2007334246A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224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840595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868513B1 (ko) 클리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840596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846376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862932B1 (ko) 클리닝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7630664B2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866550B1 (ko) 클리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711024B2 (ja) 画像形成装置
JP476031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90060A (ja)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93031A (ja) 画像形成装置
JP494064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40765A (ja) 画像形成装置
JP5114851B2 (ja) 画像形成装置
JP5605462B2 (ja) 帯電装置
JP200719932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99325A (ja) クリーニングロ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7861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