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932B1 - 클리닝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클리닝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932B1
KR100862932B1 KR1020070035927A KR20070035927A KR100862932B1 KR 100862932 B1 KR100862932 B1 KR 100862932B1 KR 1020070035927 A KR1020070035927 A KR 1020070035927A KR 20070035927 A KR20070035927 A KR 20070035927A KR 100862932 B1 KR100862932 B1 KR 10086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harging roller
cleaning member
roller
clea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475A (ko
Inventor
사토시 호노베
야스타카 마츠모토
료우타 구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2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the charg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4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charging powder particles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by means of a magnetic brus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Abstract

클리닝 장치는 피(被)청소체에 소정의 닙(nip) 폭을 가지고 접촉하여 상기 피청소체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피청소체의 표면에 의해 소정의 자유도를 가지고 지지된다.
Figure R1020070035927
감광체 드럼, 현상 장치, 대전 롤러, 브러시 롤러

Description

클리닝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
도 6의 (a) 및 (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도 8의 (a) 및 (b)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도 10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제 1 공간부 S2: 제 2 공간부
12: 감광체 드럼 14: 대전 롤러
14A: 샤프트 14B: 대전층
15: 현상(現像) 장치 16: 현상 롤러
18: 1차 전사 롤러 20: 브러시 롤러
22: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중간 전사 벨트
60: 클리닝 장치 62: 케이싱(casing)
62B: 돌출부 64: 코일 스프링
66: 클리닝 롤러 66A: 스펀지
L: 레이저광
본 발명은 클리닝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전 롤러에 의해 표면이 대전되는 감광체 드럼(상담지체(像擔持體))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회전하는 대전 롤러(피(被)청소체)의 표면에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클리닝 부재)를 압접(壓接)시킴으로써, 그 대전 롤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오염)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종래에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 특허 평8-62948호 공보 참조). 이러한 클리닝 장치에서는 클리닝 롤러의 축을 베어링부가 받고, 가압 부재에 의해 그 축을 대전 롤러에 가압하여, 클리닝 롤러의 표면을 대전 롤러에 압접시키고 있다. 내부에 부착된 토너 입자에 기인한 베어링부의 표면 윤활성의 감소나 마찰열에 의한 베어링부의 표면 융해로 인하여 클리닝 롤러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축과 베어링부를 갖지 않고,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고, 피청소체를 청소할 수 있는 클리닝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형태는, 피(被)청소체에 소정의 닙(nip) 폭을 가지고 접촉하여 상기 피청소체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피청소체의 표면이 소정의 자유도를 가지고 상기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클리닝 장치이다.
상기 제 1 형태에서는, 클리닝 부재의 축을 받는 베어링부를 갖는 경우에 비해, 내부에 부착된 토너 입자에 기인한 베어링부의 표면 윤활성의 감소나 마찰열에 의한 베어링부의 표면 융해로 인하여 클리닝 부재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제 1 형태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피청소체가 접촉하는 길이 방향의 범위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클리닝 부재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형태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가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피청소체에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클리닝 부재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하중을 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제 1 형태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내부에 상기 클리닝 부재보다도 비중이 높은 부재는 배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피청소체에 대한 클리닝 부재의 압접력(壓接力)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형태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클리닝부 부재의 위치를 상기 피청소체를 향하여 규제하는 위치 규제 부재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피청소체에 대한 클리닝 부재의 압접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형태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피청소체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의해, 주위로부터 비산(飛散)되는 이물 등으로부터 피청소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형태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청소체가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일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대전 롤러에 대해, 안정된 청소 성능을 갖는 클리닝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제 1 형태의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효과를 갖는 클리닝 장치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제 1 형태의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대전 롤러의 청소 불량에 기초하는, 화질 결함 등을 저감한 화상 형성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형태는, 원통면을 갖는 피청소체에, 소정의 닙 폭을 가지고 접촉하여 상기 피청소체의 표면을 청소하는, 롤러 형상을 갖는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상기 원통면을 따르는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인클로저(enclosure)를 구비하는 클리닝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 2 형태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피청소체 측으로 클리닝 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위치 규제 구조는 인클로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4연 탠덤 방식(quadruple-tandem-type)의 컬러 복사기이고,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상(像)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11)(11Y, 11M, 11C, 11K)이 중간 전사 벨트(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병설(竝設)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11)에는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2)(12Y, 12M, 12C, 12K)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감광체 드럼(12)은 예를 들어 표면(둘레면)이 유기 광도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체층이 피복된 도전성 원통체(圓筒體)가 사용되고,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프로세스 스피드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12)의 거의 바로 위에는 감광체 드럼(12)의 표면(둘레면)을 대전하는 대전 롤러(접촉 대전기)(14)(14Y, 14M, 14C, 14K)를 구비한 대전 장치가 배치되고, 도면 중 감광체 드럼(12)의 우측 경사 상방에는 대전 장치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2)의 표면(둘레면)에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靜電潛像)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13)(13Y, 13M, 13C, 13K)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2)의 우측방에는 현상 장치(15)(15Y, 15M, 15C, 15K)가 인접 배치되어 있고, 현상 장치(15)에는 감광체 드럼(12)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롤러(16)(16Y, 16M, 16C, 16K)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2)의 하방에는, 현상 장치(15)에 의해 가시화된 토너상 이 전사되는 무단(無端)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30)가 배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중간 전사 벨트(30)를 사이에 삽입하고 1차 전사 롤러(18)(18Y, 18M, 18C, 18K)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감광체 드럼(12)과 중간 전사 벨트(30)의 각 접촉부가 1차 전사부(T1)로 되고, 1차 전사 롤러(18)에는 플러스 극성의 1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또한, 감광체 드럼(12)의 좌측방에는, 1차 전사 후에 감광체 드럼(12) 상에 잔류하는 전사 잔여 토너를 제거하는 감광체 클리너로서의 클리닝부가 인접 배치되어 있고, 그 클리닝부에는 감광체 드럼(12)의 표면(둘레면)에 압접하고, 감광체 드럼(1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감광체 드럼(12)으로부터 전사 잔여 토너를 문질러 떨어뜨리는 브러시 롤러(20)(20Y, 20M, 20C, 20K)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2), 대전 롤러(14), 현상 장치(15), 브러시 롤러(20), 및 후술하는 클리닝 장치(60)는 화상 형성 장치(10)(화상 형성 유닛(11))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들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2)를 구성하고 있다. 즉, 노광 장치(13)를 제외하는 화상 형성 유닛(11)이 탈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2)로 되어 있다(도2 등 참조).
한편, 중간 전사 벨트(30)는 구동 롤러(32), 스트레칭 롤러(33), 및 2차 전사 백업 롤러(34)에 감겨 있고,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에 동기(同期)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은 중간 전사 벨트(3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그 순서로 직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30)는 각 1차 전사부(T1)에서 1차 전사 롤러(18)에 의해, 감광체 드럼(12) 상의 토너상이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순서로 중첩되어 1차 전사되고, 이 1차 전사된 토너상이 2차 전사부(T2)(2차 전사 롤러(36))를 향하여 반송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30)의 우측방에는, 용지 반송로(40)를 사이에 삽입하고 2차 전사 롤러(36)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2차 전사 롤러(36)와 중간 전사 벨트(30)의 접촉부가 2차 전사부(T2)로 되고, 2차 전사 롤러(36)에는 마이너스 극성의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2차 전사 롤러(36)는 중간 전사 벨트(30)를 2차 전사부(T2)에서 배후(背後)로부터 회전 지지하기 위한 2차 전사 백업 롤러(34)에 의해 보조되고, 중간 전사 벨트(30)에 1차 전사된 토너상을 2차 전사부(T2)에서 용지(P)에 2차 전사한다.
또한, 2차 전사 백업 롤러(34)의 우측 상방에는,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잔류하는 전사 잔여 토너를 제거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너(38)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 중간 전사 벨트(30)의 하방에는, 용지(P)가 수납되는 급지부(42)가 배치되고, 급지부(42)의 우측에는, 급지부(42)로부터 용지(P)를 용지 반송로(40)에 송출(送出)하는 공급 롤러(44)와, 송출되는 용지(P)를 1매씩 분류하는 지연 롤러(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지 반송로(40)에서의 2차 전사부(T2)보다도 하류 측에는, 대향하는 가열 롤러(52) 및 가압 롤러(54)를 구비한 정착 장치(50)가 배치되고, 정착 장치(50)의 하류 측에는, 한 쌍의 배출 롤러(5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 반 송로(40)는 공급 롤러(44) 및 지연 롤러(46)로부터 2차 전사부(T2), 및 정착 장치(50)를 경유하여, 배출 롤러(56)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다음으로 피청소체인 대전 롤러(14)와, 대전 롤러(14)를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6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60)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60)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또한, 피청소체로서는 감광체 드럼(12)이나 중간 전사 벨트(30)도 들 수 있고, 그것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는 대전 롤러(14)와, 대전 롤러(14)의 표면(둘레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부재로서의 클리닝 롤러(66)를 수용하는 동시에, 대전 롤러(14)를 감광체 드럼(12)의 거의 바로 위에 접촉 배치시키고, 클리닝 롤러(66)를 대전 롤러(14)의 거의 바로 위에 접촉 배치시키는 지지 부재로서의 케이싱(casing)(6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싱(62)은 하부 측이 개방된 측단면에서 보아 거의 「눈사람」형상이고, 또한 정단면에서 보아 거의 「역(逆)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클리닝 롤러(66)와 대전 롤러(14)가 접촉하는 길이 방향의 범위에서 클리닝 롤러(66)의 둘레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62)의 상면에는, 가압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64)의 한쪽 끝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코일 스프링(64)의 다른 쪽 끝은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소정 부위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62)은 항시 감광체 드럼(12) 측으로 가압되는 구성이다. 또한, 코일 스프링(64)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된다(도시한 것은 2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코일 스프링(64)을 갖지 않고, 케이싱(62)이 대전 롤러(14)의 지지부(도시 생략) 등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대전 롤러(14)는, 직류 전압, 또는 직류 전압에 교류 전압을 중첩한 것이 인가되어, 감광체 드럼(12)의 표면(둘레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것으로, 도전성 샤프트(14A)의 주위에 대전층(14B)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케이싱(62)의 측벽(62A)(제 1 공간부(S1)를 구성하는 하부 측)에 그 샤프트(14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62)의 제 1 공간부(S1)를 구성하는 내벽면과 대전 롤러(14)의 표면(둘레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間隙)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전 롤러(14)는, 그 표면(둘레면)이 소정의 부분(감광체 드럼(12)에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케이싱(62)에 둘러싸이도록, 제 1 공간부(S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코일 스프링(64)의 가압력에 의해 감광체 드럼(12) 측으로 가압되어, 그 표면(둘레면)이 감광체 드럼(12)의 표면(둘레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되는 구성이다.
또한, 샤프트(14A)의 재질로서는 철, 구리, 황동,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니켈 등의 금속이 사용되고, 슬라이딩성 등의 용도에 따라, 재질 및 표면 처리 방법이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도전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재질의 경우에는 도금 처리 등, 일반적인 가공 방법에 의해 도전화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입자 등을 분산한 수지 성형품이나, 세라믹스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 다. 또한, 롤러 형상 외에, 중공(中空)의 파이프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전 롤러(14)의 대전층(14B)은 저항 탄성층으로 된다. 이 저항 탄성층은 외측으로부터 저항층과 그들을 지지하는 탄성층의 순서로 분할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전 롤러(14)의 내구성이나 내오염성의 부여를 위해, 필요에 따라 저항층의 외측에 보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탄성층의 재질로서는 도전성 또는 반(半)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수지재(材) 또는 고무재에 도전성 입자 또는 반도전성 입자를 분산한 것이다.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요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 등이 사용되고, 고무 재료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부타디엔, 천연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에틸렌 옥시드 고무 등이 사용되며, 또한 그들을 발포(發泡)시킨 발포재(材)가 사용된다.
도전성 입자 또는 반도전성 입자로서는, 카본 블랙, 아연, 알루미늄, 구리, 철, 니켈, 크롬, 티타늄 등의 금속, ZnO-Al2O3, SnO2-Sb2O3, In2O3-SnO2, ZnO-TiO2, MgO-Al2O3, FeO-TiO2, TiO2, SnO2, Sb2O3, In2O3, ZnO, MgO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제 4급 암모늄염 등의 이온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재료를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탤크,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무기충전재, 불소 수지나 실리콘 고무의 미분(微粉) 등의 유기충전재의 1 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할 수도 있다.
저항층 및 보호층의 재질로서는 결착(結着) 수지에 도전성 입자 또는 반도전성 입자를 분산하고, 그 저항을 제어한 것으로, 저항률로서는 103Ω㎝∼1014Ω㎝, 바람직하게는 105Ω㎝∼1012Ω㎝, 더 바람직하게는 107Ω㎝∼1012Ω㎝이 좋다. 또한, 막 두께로서는 O.01㎛∼1OOO㎛, 바람직하게는 0.1㎛∼500㎛, 더 바람직하게는 0.5㎛∼100㎛가 좋다.
결착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메톡시메틸화 나일론(상표), 에톡시메틸화 나일론(상표),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비닐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티오펜 수지, PFA, FEP, 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요소 수지 등이 사용된다.
도전성 입자 또는 반도전성 입자로서는, 탄성층과 동일한 카본 블랙, 금속, 금속 산화물이나, 이온 도전성을 발현하는 제 4 급 암모늄염 등의 이온성 화합물 등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이 혼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힌더드 페놀, 힌더드 아민 등의 산화 방지제(劑), 클레이, 카올린, 탤크,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충전재나,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의 미분 등의 유기충전재나, 실리콘 오일 등의 윤활제 등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나 대전제어제 등이 필요에 따라 첨가된다.
또한, 이들 층을 형성하는 기술(방법)로서는, 블레이드 코팅법, 마이어 바 코팅법(Meyer bar coating), 스프레이 코팅법, 침지(浸漬) 코팅법, 비드 코팅법(bead coating), 에어 나이프 코팅법(air knife coating), 커튼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케이싱(62) 상부 측의 제 2 공간부(S2) 내에는, 대전 롤러(14)의 표면(둘레면)에 자체 중량에 의해 접촉하여, 그 표면(둘레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롤러(66)가 케이싱(62)의 제 2 공간부(S2)를 구성하는 내벽면과 소정의 간극(間隙)을 갖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이 클리닝 롤러(66)는 원기둥 형상의 스펀지(66A)로 형성되고, 축심부(軸心部)에는 샤프트 등이 설치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케이싱(62)에 축 지지되지 않으며, 제 2 공간부(S2) 내에 자유 운동(회전을 포함함) 가능하게 되도록 수용되어 있다(케이싱(62)의 내벽면과 대전 롤러(14)의 표면에 의해, 소정의 자유도를 가지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공간부(S1)와 제 2 공간부(S2)는 내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부(62B)가 경계 부분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감광체 드럼(12)은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있고, 대전 롤러(14)는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에 의해,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종동(從動) 회전되고 있다. 따라서, 클리닝 롤러(66)는 대전 롤러(14)의 회전에 의해 도시한 화살표 C방향으로 따라 돌면서(종동 회전하면서), 대전 롤러(14)의 표면(둘레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사 잔여 토너나 외부 첨가제 등의 오염(이물)을 제거하는(대전 롤러(14)의 표면을 청소하는) 구성이다. 또한, 대전 롤러(14)에 구동원(驅動源)을 설치하여, 감광체 드럼(12)과 대전 롤 러(14) 사이에서 속도차(선속차(線速差))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관계없다.
또한, 클리닝 롤러(66)를 형성하는 스펀지(66A)는 다공질의 3차원 구조를 갖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탄성체로 되어 있다. 즉, 이 스펀지(66A)는 폴리 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등의 발포성 수지 또는 고무를 재질로 한 것으로부터 선택되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스펀지(66A)에는, 대전 롤러(14)와의 종동 슬라이딩에 의해, 전사 잔여 토너나 외부 첨가제 등의 이물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동시에, 대전 롤러(14)의 표면(둘레면)에 스펀지(66A)의 문지름에 의한 흠집을 내지 않기 위해, 또한 장기간에 걸쳐, 찢어짐이나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열(引裂) 강도, 인장 강도 등이 강한 폴리우레탄이 적절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 1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다음으로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에 화상 형성 신호가 입력되고, 감광체 드럼(12)이 회전 구동하면,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에 따라 대전 롤러(14)가 종동 회전하고, 감광체 드럼(12)의 표면(둘레면)이 대전 롤러(14)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감광체 드럼(12)의 표면(둘레면)에는 화상 형성 신호에 기초하여 노광 장치(13)로부터 레이저광(L)이 조사된다. 이 레이저광(L)에 의해, 감광체 드럼(12)의 표면(둘레면)이 노광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12)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5)의 현상 롤러(16)에 의해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상이 현상되고, 1차 전사부(T1)에서 중간 전사 벨트(30)에 중첩되어 1차 전사된다. 또한, 1차 전사 후에 감광체 드럼(12) 상에 잔류하는 전사 잔여 토너는 브러시 롤러(20)에 의해 문질러 떨어뜨려 제거된다.
한편, 급지부(42)에 수납된 용지(P)는 공급 롤러(44)에 의해 송출되고, 지연 롤러(46)에 의해 분류되어 최상부의 용지(P)만이 용지 반송로(40)로 유도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2차 전사 롤러(36)와 2차 전사 백업 롤러(34)의 사이, 즉 2차 전사부(T2)에 들여보내진다. 이 2차 전사부(T2)에서, 중간 전사 벨트(30)에 1차 전사되어 있는 토너상이 용지(P)에 2차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용지(P)는 용지 반송로(40)를 따라 하류 측으로 반송되어 정착 장치(50)에 유도되고, 가열 롤러(52)와 가압 롤러(54)에 의한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다. 그리고, 이 토너상의 정착에 의해 화상 형성된 용지(P)는 배출 롤러(56)에 의해 배지부(排紙部)(도시 생략)에 배출된다. 또한,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30)의 화상 영역에 잔류한 전사 잔여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너(38)에 의해 문질러 떨어뜨려 제거된다.
또한, 대전 롤러(14)의 회전에 따라 클리닝 롤러(66)가 종동 회전하고, 대전 롤러(14)의 표면(둘레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사 잔여 토너나 외부 첨가제 등의 오염(이물)이 대전 롤러(14)에 대해, 축 방향으로 압접(壓接)되어 있는 클리닝 롤러(66)에 의해 클리닝된다. 이에 따라, 양호한 클리닝 성능의 계속 유지가 이루어진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용지(P)에 풀 컬러의 화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와 동등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에서는, 클리닝 롤러(66)의 축심부에 클리닝 롤러(66)보다도 비중이 높은 가중 부재로서의 금속제 샤프트(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금속제 샤프트(68)는 클리닝 롤러(66)를 케이싱(62)에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클리닝 롤러(66)의 중량을 무겁게 하고, 대전 롤러(14)에 대한 클리닝 롤러(66)의 압접력을 증가시키기(클리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샤프트(68)의 양쪽 단부는 클리닝 롤러(66)의 양쪽 단부로부터 돌출시킬 필요가 없고(샤프트(68)를 클리닝 롤러(66)보다 길게 할 필요가 없고), 도시한 것은 돌출시키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68)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스테인리스강(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롤러(66) 내에 설치하는 가중 부재로서는 도시한 금속제 샤프트(68)에 한정되지 않고, 클리닝 롤러(66)의 중량을 무겁게 할 수 있고, 대전 롤러(14)에 대한 클리닝 롤러(66)의 압접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면, 예를 들어 샤프트(68)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된 동일한 무게의 복수의 금속제 샤프트(도시 생략) 등을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매설하는 등의 구성으로 해도 관계없다. 따라서, 클리닝 롤러(66) 내에 설치하는 가중 부재는, 클리닝 롤러(66)가 대전 롤러(1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그 회전 중심(中心)(중심(重心))이 어긋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와 동등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도 6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3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에서는 케이싱(62)의 제 2 공간부(S2)를 구성하는 내벽 천면(天面)에 클리닝 롤러(66)를 대전 롤러(14) 측으로 가압하기(클리닝 롤러(66)의 위치를 대전 롤러(14)로 향하여 규제하기) 위한 위치 규제 부재(구조)로서의 돌기(70)가 축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70)는 클리닝 롤러(66)와의 접촉 면적을 적게 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에 소정 길이 연장 설치된 리브(rib) 형상으로 되고, 클리닝 롤러(66)의 표면(둘레면)의 일부에만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62)의 내벽 천면에 복수의 돌기(70)를 설치하지 않고, 케이싱(62)에서의 제 2 공간부(S2)의 용적을 작게 하여, 그 내벽 천면을 클리닝 롤러(66)의 표면(둘레면)에 접촉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도 6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62)의 내벽 천면은 클리닝 롤러(66)의 표면(둘레면)에 축 방향에 걸쳐 항시 접촉되고, 그 클리닝 롤러(66)를 대전 롤러(14) 측으로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케이싱(62)의 내벽 천면과 클리닝 롤러(66)의 표면(둘레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케이싱(62)의 적어도 내벽 천면에, 클리닝 롤러(66)와의 슬라이딩성을 양호하게 하는 코팅(예를 들어 테플론(등록상표) 코팅)을 실시하거나, 또는 케이싱(62)의 재질에, 클리닝 롤러(66)에 대하여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재료(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를 사용하여, 클리닝 롤러(66)의 대전 롤러(14)와의 마찰력보다도, 케이싱(62)의 내벽 천면과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마찰 저감을 위한 구성은 돌기(70)의 클리닝 롤러(66)와의 접촉면, 또는 돌기(70) 자체에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 4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와 동등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4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에서는, 케이싱(62)이 측단면에서 보아 대략 「β」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공간부(S1)와 제 2 공간부(S2)의 경계 부분인 돌출부(62B)가 일방(一方) 측에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타방(他方) 측은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5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와 동등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5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는, 클리닝 롤러(66)를 수용한 케이싱(62)이 대전 롤러(14)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제 5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케이싱(62)을 승강(昇降)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싱(62)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도 하부 측이 크게 개방되고, 길어도 대전 롤러(14)의 상반부까지밖에 커버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클리닝 롤러(66)는 돌출부(62B)에 의해, 케이싱(62)의 제 2 공간부(S2) 내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기구에 의해 케이싱(62)이 승강 이동되면, 클리닝 롤러(66)는 대전 롤러(14)에 접촉하는 위치와 대전 롤러(14)로부터 이격하는 위치를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승강 기구로서는 랙과 피니언(rack-and-pinion), 볼(ball) 나사, 실린더 등, 임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승강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수동으로 케이싱(62)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싱(62)이 상승 위치에서 유지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상 형성 장치(10)의 출하 시 등에, 그 상태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66)를 수용한(유지한) 케이싱(62)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대전 롤러(14)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유닛(11)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 6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와 동등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6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60)는, 클리닝 롤러(66)가 대전 롤러(14)의 거의 바로 위가 아니라, 감광체 드럼(12)의 중심과, 대전 롤러(14)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선(J)보다도, 감광체 드럼(12)의 회전 방향 하류 측(현상 장치(15) 측)에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는, 대전 롤러(14)의 회전 방향 하류 측에 클리닝 롤러(66)가 있기 때문에, 클리닝 롤러(66)를 수용하는 케이싱(62)의 제 2 공간부(S2)를 구 성하는 내벽 천면에는, 클리닝 롤러(66)의 위치를 대전 롤러(14) 측으로 규제하는 위치 규제 부재로서의 돌기(72)가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72)는 클리닝 롤러(66)와의 접촉 면적이 적어지도록, 둘레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설치된 리브(rib) 형상으로 되고, 클리닝 롤러(66)가 대전 롤러(14)의 회전 방향 하류 측에 접근했을 때, 그 표면(둘레면)의 일부에만 접촉하여, 클리닝 롤러(66)의 위치를 대전 롤러(14) 측으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62)의 내벽 천면에 복수의 돌기(72)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62)에서의 제 2 공간부(S2)의 용적을 작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클리닝 롤러(66)가 접촉하는 케이싱(62)의 제 2 공간부(S2)를 구성하는 내벽면이나, 돌기(72)의 클리닝 롤러(66)와의 접촉면에 클리닝 롤러(66)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마찰력 저감을 위한 구성을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위치 규제 부재가 도 5, 도 6의 (a), 도 10에서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효과의 관계를 열거한다.
(1) 클리닝 롤러(66)의 내부(축심부)에 금속제 샤프트(68)를 설치하면, 그 금속제 샤프트(68)는 고압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14) 주변의 금속으로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66)보다도 소정 길이 짧게 하고, 클리닝 롤러(66)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면, 리크(leak)의 발생 이 억제된다.
(2) 케이싱(62)의 제 2 공간부(S2)를 구성하는 내벽 천면에 돌기(70)를 설치하면, 클리닝 롤러(66)의 제 2 공간부(S2) 내에서의 배치 스페이스가 좁아지기 때문에, 클리닝 롤러(66)의 케이싱(62) 내에서의 자유 운동(회전을 제외함)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대전 롤러(14) 표면(둘레면)에 대한 클리닝 롤러(66) 표면(둘레면)의 압접력을 높일(증가시킬) 수 있다.
(3) 케이싱(62)에서 제 1 공간부(S1)와 제 2 공간부(S2)의 경계 부분인 돌출부(62B)가 일방 측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타방 측이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클리닝 롤러(66)의 케이싱(62)에 대한 넣고 빼기가 쉬워지고, 클리닝 롤러(66)의 교환이 쉬워진다.
(4) 클리닝 롤러(66)를 수용(유지)한 케이싱(62)이 대전 롤러(14)에 대하여 접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클리닝 동작 시 이외는 클리닝 롤러(66)를 대전 롤러(14)로부터 퇴피(退避)(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전 롤러(14)에 항상 접촉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클리닝 롤러(66)의 변형이나, 회전 불균일, 클리닝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5) 클리닝 롤러(66)를 대전 롤러(14)의 바로 위가 아니라, 예를 들어 현상 장치(15) 측에 어긋나게 배치하고, 또한 케이싱(62)의 제 2 공간부(S2)를 구성하는 내벽 천면에 돌기(72)를 설치하면, 클리닝 롤러(66)의 제 2 공간부(S2) 내에서의 배치 스페이스가 좁아지기 때문에, 클리닝 롤러(66)의 케이싱(62) 내에서의 자유 운동(회전을 제외함)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대전 롤러(14) 표면(둘레면)에 대한 클리닝 롤러(66) 표면(둘레면)의 압접력을 높일(증가시킬) 수 있다.
(6) 클리닝 롤러(6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2)로서의 화상 형성 유닛(1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유닛(11)의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유닛(11)은 소모품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수명보다도 짧은 간격으로 교환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유닛(11)의 비용 절감을 도모하기에 유효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 및 기술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완전한 형태나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개량과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질적인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어 기술되었고, 이로써 당업자가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실시예 및 다양한 개량 형태에 대해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 및 그 동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축과 베어링부를 갖지 않고,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고, 피(被)청소체를 청소할 수 있는 클리닝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피(被)청소체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표면을 청소하는 둘레면을 구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에 소정의 간극을 갖는 상태로 대향하는 벽면을 구비한 지지 부재를 갖추며,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은 상기 지지 부재의 벽면과 상기 피청소체의 표면에 의해서, 소정의 자유도를 가지고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피청소체의 표면에 자체 중량에 의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피청소체가 접촉하는 길이 방향의 범위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내부에 상기 클리닝 부재의 비중(specific gravity)보다 큰 비중을 갖는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위치를 상기 피청소체를 향하여 규제하는 위치 규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피청소체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청소체가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를 대전(帶電)하는 대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8.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상기 대전 롤러를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대전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표면을 청소하는 둘레면을 구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에 소정의 간극을 갖는 상태로 대향하는 벽면을 구비한 지지 부재를 갖추며,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은 상기 지지 부재의 벽면과 상기 대전 롤러의 표면에 의해서, 소정의 자유도를 가지고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대전 롤러의 표면에 자체 중량에 의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상기 대전 롤러를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대전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표면을 청소하는 둘레면을 구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에 소정의 간극을 갖는 상태로 대향하는 벽면을 구비한 지지 부재를 갖추며,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은 상기 지지 부재의 벽면과 상기 대전 롤러의 표면에 의해서, 소정의 자유도를 가지고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대전 롤러의 표면에 자체 중량에 의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대전 롤러에 대해 접리(接離)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원통면을 갖는 피청소체에, 소정의 닙 폭을 가지고 접촉하여 상기 피청소체의 표면을 청소하는, 롤러 형상을 갖는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상기 원통면을 따르는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인클로저(enclosur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피청소체가 접촉하는 길이 방향의 범위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피청소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내부에 상기 클리닝 부재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갖는 부재가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위치를 상기 피청소체를 향하여 규제하는 위치 규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규제 구조는 인클로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7.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청소체가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8.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원통면을 갖는 대전 롤러와,
    상기 대전 롤러를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대전 롤러에 소정의 닙 폭을 가지고 접촉하여 상기 대전 롤러의 표면을 청소하는, 롤러 형상을 갖는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상기 원통면을 따르는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을 유지하는 상담지체와,
    원통면을 가지고 상기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상기 대전 롤러를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대전 롤러에 소정의 닙 폭을 가지고 접촉하여 상기 대전 롤러의 표면을 청소하는, 롤러 형상을 갖는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의 상기 원통면을 따르는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클리닝 부재의 둘레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인클로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대전 롤러에 대해 접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0035927A 2006-08-29 2007-04-12 클리닝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862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2517 2006-08-29
JP2006232517A JP4039449B1 (ja) 2006-08-29 2006-08-29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475A KR20080021475A (ko) 2008-03-07
KR100862932B1 true KR100862932B1 (ko) 2008-10-13

Family

ID=3907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927A KR100862932B1 (ko) 2006-08-29 2007-04-12 클리닝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8477B2 (ko)
JP (1) JP4039449B1 (ko)
KR (1) KR100862932B1 (ko)
CN (1) CN1011358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086B2 (ja) * 2006-06-12 2012-06-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218997B2 (en) * 2008-05-30 2012-07-10 Ricoh Company, Ltd. Cleaning member, charg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72623A (ja) * 2008-08-19 2010-04-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305154B2 (ja) 2008-11-21 2013-10-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8543049B2 (en) * 2009-12-25 2013-09-2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Clea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18238B2 (ja) * 2010-01-13 2014-0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清掃部材、清掃装置、組立体、画像形成装置
JP5598181B2 (ja) * 2010-09-03 2014-10-01 株式会社リコー 感光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176456B2 (en) * 2013-08-09 2015-11-0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first process roller and second process roller
JP6135438B2 (ja) * 2013-10-08 2017-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780581B2 (ja) * 2017-05-16 2020-11-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回転体押圧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926A (ko) * 1990-08-20 1992-03-28 정용문 감광드럼 크리닝 장치
JPH05297690A (ja) * 1992-04-17 1993-11-12 Canon Inc 帯電装置
JPH08185052A (ja) * 1995-01-05 1996-07-1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103202A (ja) 1996-06-14 1998-0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448B2 (ja) 1987-12-24 1997-06-11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ジタル式位相比較回路
JPH04270369A (ja) 1991-02-26 1992-09-25 Canon Inc 定着装置
JPH0862948A (ja) 1994-08-16 1996-03-08 Ricoh Co Ltd 接触式帯電装置
JP3859530B2 (ja) 2002-03-18 2006-12-20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該クリーニング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0453061B1 (ko) 2002-11-28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5004070A (ja) * 2003-06-13 2005-01-06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CN2718628Y (zh) * 2004-06-15 2005-08-17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充电辊清洁装置
JP4501842B2 (ja) * 2005-11-02 2010-07-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44144B2 (ja) * 2006-02-06 2011-12-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926A (ko) * 1990-08-20 1992-03-28 정용문 감광드럼 크리닝 장치
JPH05297690A (ja) * 1992-04-17 1993-11-12 Canon Inc 帯電装置
JPH08185052A (ja) * 1995-01-05 1996-07-1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103202A (ja) 1996-06-14 1998-0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56757A1 (en) 2008-03-06
US7668477B2 (en) 2010-02-23
CN101135875A (zh) 2008-03-05
JP2008058413A (ja) 2008-03-13
CN101135875B (zh) 2012-02-22
KR20080021475A (ko) 2008-03-07
JP4039449B1 (ja)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932B1 (ko) 클리닝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4957086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40595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065406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87224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715761B2 (en) Image form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41106A (ja) クリーニングロ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06340A (ja) 画像形成装置
JP4967480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66550B1 (ko) 클리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7113726B2 (en) Charging device, image forming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charging device
JP420851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33065A (ja) 画像形成装置
JP494064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9303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71381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6106667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99326A (ja) 画像形成装置
JP5605462B2 (ja) 帯電装置
JP2009199027A (ja) 帯電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そ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800892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99325A (ja) クリーニングロ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38170A (ja) 帯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