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734B1 -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734B1
KR100886734B1 KR1020070070971A KR20070070971A KR100886734B1 KR 100886734 B1 KR100886734 B1 KR 100886734B1 KR 1020070070971 A KR1020070070971 A KR 1020070070971A KR 20070070971 A KR20070070971 A KR 20070070971A KR 100886734 B1 KR100886734 B1 KR 100886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detecting
door opening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828A (ko
Inventor
유호연
Original Assignee
유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호연 filed Critical 유호연
Priority to KR102007007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7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05B81/21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with means preventing or detecting pinching of objects or body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25/00Means indicating the functioning state of the alarm system, e.g. indicating arming,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폐 상태를 감시하여 후속하는 자동차(오토바이)가 개방되는 도어와 추돌을 방지하도록 도어 개방 상태를 후속 자동차에 경보하고 또한 개방되었던 도어를 폐쇄하고 주행하고자 할 때 도어와 차체 사이에 인체 또는 신변품이 끼인 상태로 주행이 이루어져 발생하는 인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폐쇄 상태 감시 방법을 동시에 구현한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폐쇄 시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효적으로 자동차 도어 개방에 따른 추돌 사고와 도어 폐쇄 시 승객 또는 신변품의 끼임으로 발생하는 사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감시 경보 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 개방을 규제하는 도어록의 도어 개방 검출 출력으로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를 자동차 후면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개방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 개방 의도를 검출하도록 도어록의 해정을 검출하는 도어록 해지 검출 단계와, 도어록 해지가 검출되면 후방감시 센서와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 감지 센서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자동차에 근접한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물체 감지 단계와, 후방의 물체가 감지되면 음성 경고 출력으로 스피커 구동 단계와, 승객이 도어를 개방하면 도어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도어 개방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피커 구동을 차단하는 단계, 하차 완료 후 도어가 다시 닫히는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폐쇄 검출 단계, 도어 폐쇄 후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가 재구동하는 단계, 상기 후방 감시 센서가 도어에 승객 또는 승객의 신변품 끼임이 발생하는지를 검출하는 끼임 검출 단계, 끼임이 검출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구동이 이루어지는 단계, 스피커 구동을 일정시간 지속하는 경과시간 검출 단계를 거쳐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 및 스피커를 오프 시키는 단계로 제어 실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추돌, 도어, 개방, 폐쇄, 감시, 경보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Automobile door opening and shutting watch alarm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폐 상태를 감시하여 후속하는 자동차(오토바이)가 개방되는 도어와 추돌을 방지하도록 도어 개방 상태를 후속 자동차에 경보하고 또한 개방되었던 도어를 폐쇄하고 주행하고자 할 때 도어와 차체 사이에 인체 또는 신변품이 끼인 상태로 주행이 이루어져 발생하는 인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폐쇄 상태 감시 방법을 동시에 구현한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탑승객이 하차를 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인너핸들을 해정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하차하게 된다.
이때 탑승객의 하차를 위해 개방되는 도어에 후속하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이 추돌하여 하차 승객 또는 후속 자동차와의 사고가 유발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거나 자동차의 파손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하차 탑승객과의 사고가 빈번하고 또한 매우 치 명적인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여러 제안이 안출된 바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127501호의 자동차 도어 후방 경고등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도어 두께면에 경고등을 내장하여 도어 개방시 경고등이 도어스텝 램프와 함께 점등되도록 직렬로 배선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도어 개방 시 램프가 도어의 두께면에 점등되어 후속하는 자동차에 도어의 개방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점등을 이룬다는 것이기는 하나 도어 개방에 따른 사고는 도어를 개방하여 열어 젖힘과 동시에 접근하는 후속 자동차(오트바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실효적인 유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115743호의 추돌방지 경고등 제어회로의 경우에는 도어 개방을 검출하는 스위치와 주변조도를 검출하는 광도전셀이 조건 앤드를 이룰 때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이는 전술한 실용신안에 비하여 도어 개방시 경보음을 발생한다는 이점은 있으나 이 역시 후속하는 자동차(오토바이)에 도어 개방과 동시에 경보를 이룸으로 후속 자동차 운전자가 대응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 제222524호 및 제270308호의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의 경우에도 또한 제어 회로의 구성과 경보를 자동차 실내 후면에 형성하는 광학적 표시장치에 의하는 것으로 이 또한 전술한 단점을 그대로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종래 모든 제안들은 도어의 개방 시 경보 작동을 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도어 개방과 동시에 탑승자가 도로로 하차하는 습관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후속하는 자동차(오토바이) 운전자에게 시간적으로 대비하고 사고를 회피하기에 너무 짧은 순간이어서 추돌 방지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고, 특히 단순 도어 개방 상태만을 개방과 동시에 표시할 뿐 개방된 도어를 다시 폐쇄하고 주행하는 때에 유발될 수 있는 인명 피해를 방지할 기술 구성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못한 것들이었다.
환언하면 하차하는 탑승객과 후속하는 자동차의 추돌 사고는 탑승객이 주의를 자세하게 살피지 아니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도어 개방과 동시에 하차하는 것에서 기인하여 사고 피해를 입게 된다는 점과, 후속하는 자동차(오토바이)는 탑승객이 하차하지 아니하더라도 개방된 도어에 의하여 특히 오토바이 운전자는 큰 부상을 입게되는 문제가 있으며 최대한 하차하려는 자동차의 도어 개방 시기를 빠르게 검출하여 경보 하여야만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 개폐에 따른 사고 유형으로 버스 등과 같은 다인승 차량에서 승객 하차 후 도어 폐쇄 시 승객의 신체 일부 또는 승객의 신변품(가방, 옷 등)이 끼임을 확인하지 못하고 자동차를 출발시켜 하차 승객의 사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나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는 경보장치는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과 도어 폐쇄 시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효적으로 자동차 도어 개방에 따른 추돌 사고와 도어 폐쇄 시 승객 또는 신변품의 끼임으로 발생하는 사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감시 경보 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탑승객이 하차하기 위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 개방 의도를 빠르게 검출하여 경보 하도록 함으로써 후속하는 자동차와의 추돌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고 특히 개방된 도어를 폐쇄할 때 도어와 차체 사이에 하차 승객의 신체 또는 신변품이 끼어 발생하는 사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차체 주변을 감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청 가능하도록 경보음과 경보표시를 동시에 발현하도록 이루어 가시적이고 가청적인 경보와 함께 후방 촬영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하차 승객을 관찰하고 후방 승객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하차 승객을 감시 경보 하도록 조합하여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록(버스의 경우 도어 개폐 스위치)에 해정 신호를 검출하여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를 작동 시키고, 후방 감시 센서에 물체가 감지되면 경고음을 발생하고, 도어가 열리면 경고음을 차단하며, 도어가 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가 작동하여 센서에 물체 끼임이 검출되면 경고음을 발생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 되면 센서와 카메라 및 경고음을 오프 상태로 제어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탑승객이 하차하기 위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 개방 의도를 빠르게 검출하여 경보하도록 함으로써 후속하는 자동차와의 추돌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고 특히 개방된 도어를 폐쇄할 때 도어와 차체 사이에 하차 승객의 신체 또는 신변품이 끼어 발생하는 사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차체 주변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시청 가능하도록 경보음과 경보표시를 동시에 발현하도록 이루어 가시적이고 가청적인 경보와 함께 후방 촬영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하차 승객을 관찰하고 후방 승객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하차 승객을 감시 경보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어서 승객의 안전 도모에 지대한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을 규제하는 도어록의 도어 개방 검출 출력으로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를 자동차 후면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개방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 개방 의도를 검출하도록 도어록의 해정을 검출하는 도어록 해지 검출 단계와, 도어록 해지가 검출되면 후방감시 센서와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 감지 센서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자동차에 근접한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물체 감지 단계와, 후방의 물체가 감지되면 음성 경고 출력으로 스피커 구동 단계와, 후속하는 차량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승객은 도어를 개방하면 도어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도어 개방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피커 구동을 차단하는 단계, 하차 완료 후 도어가 다시 닫히는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폐쇄 검출 단계, 도어 폐쇄 후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가 재구동하는 단계, 상기 후방 감시 센서가 도어에 승객 또는 승객의 신변품 끼임이 발생하는지를 검출하는 끼임 검출 단계, 끼임이 검출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구동이 이루어지는 단계, 스피커 구동을 일정시간 지속하는 경과시간 검출 단계를 거쳐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 및 스피커를 오프 시키는 단계로 제어 실행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도어록 해지 검출 단계에서 일반적인 승용차의 경우는 운전석에 집중된 중앙도어 잠금 스위치 또는 각 도어에 마련된 도어록 스위치 조작을 신호로 픽업하여 이루어지며, 버스의 경우는 운전석에서 유압 또는 공압으로 개폐구동되는 도어의 작동 스위치가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이루는 본 발명은 도 2 도시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외부 입출력을 관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U)와, 상기 마이 크로 프로세서에 자동차의 도어 개방 신호로써 도어록(10) 해지 신호를 입력으로 연결하고, 후방 감시 카메라(20)와 후방 감시 센서(30)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출력단(I/O)에 연결하여 이루며, 후방 감시 출력으로 모니터(40)와 스피커(50) 및 경고 표시램프(60)를 마이크로 프로세서 출력단에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감시 센서(30)는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져 광센서를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동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거나 혹은 대향시켜 발신하고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 도시의 승용차 유형에는 감시센서(30)로써 초음파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 도시의 버스 유형에는 버스 출입문을 기준으로 양측 외부에 후방 감시 센서를 발신측(32)과 수신측(34)으로 나누어 구성하되 출입문 하단으로부터 1/2 범위 이내로 대향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 작용을 이하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을 규제하는 도어록을 해지하는 작동을 검출하여 탑승자의 하차 의도를 파악하고 이 도어록 해지 신호를 통해 후방에 후속하는 자동차 또는 오토바이 등 추돌 가능성을 검출하여 탑승자가 실질적으로 도어를 개방하기 전에 경고하며 후속 차량에는 주의 시그널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부가적으로 차량에 탑승자가 하차 완료한 상태에서 하차 승객의 신체나 신변품이 문에 끼어 발생 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어에 끼인 물체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경보 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경보 실행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자동차의 도어 개방 의도를 검출하도록 도어록(10)의 해정을 검출하는 도어록 해지 검출 단계(S101)에서 운전자가 도어록을 해지하거나 또는 승용차를 기준으로 각 도어에 형성된 도어록을 해지하게되면 이 도어록 해지 시그널에 의해 후방 감시 센서(30)와 후방 감시 카메라(20)가 작동(S102)을 시작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감시 카메라(20)는 그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40)를 통해 운전자에게 자동차 후방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자동차 도어를 개방하고 하차하려는 때에 후방을 감시하던 센서(30)에 후속 차량 또는 오토바이 등의 추돌 가능한 물체가 감시 범위 내에 탐지(S103)되면 자동차에 마련되는 스피커(50) 구동(S104)을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추돌 가능성을 청각적으로 전달한다.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한 시청각 경고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탑승자가 도어를 실질적으로 개방하는 경우 즉 도어 오픈(S105)을 검출하여 후속 차량과의 추돌을 고려하여 안전한 때 또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 개방을 이룸으로 사고를 방지하도록 경보하는 작용을 이룬다.
일단 사고가 유발되지 아니하도록 주의를 기울여 도어개방(S105)이 이루어지고 나면 구동된 스피커(50)는 오프(S106) 상태로 제어하여 하차 시 발생 될 수 있 는 사고를 경보하는 단계를 이룬다.
계속하여 탑승자의 하차가 완료된 후에는 도어의 폐쇄를 검출(S107)하여 도어 폐쇄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30, 20)의 지속적인 작동(S108)과 함께 후방 감시 센서가 도어에 하차 승객의 신체 또는 신변품의 끼임여부를 검출(S109)하여 끼임이 발생한 경우에는 스피커(50)를 구동(S110)하여 끼임 발생을 운전자에게 청각적으로 경보 전달하고, 모니터(40) 또는 후사경을 통해 사고를 파악하고 대처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끼임 검출에 따른 스피커 구동은 일정시간(Δt) 경과를 검출(S111)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운전자의 대응 조치 시간이 충분히 경과되어 사고 방지가 이루어졌음으로 판단하여 후방 감시 센서(30)와 카메라의 구동을 오프(S112) 시키도록 작용한다.
물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도록 스피커 구동과 카메라 구동을 지속하며 경과 후에는 제어 단계를 종료하고 다시 제어 시작과정으로 반복 루프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텝(S103~S105)에서 물체 감지 후 도어 오픈을 이루지 아니하고 물체 감지 신호가 사라지면 후방 상황이 안전한 상황으로 변동된 것으로 간주하여 구동되던 스피커를 오프(S113)하고 복귀한다.
상기 일정시간(Δt)은 십 수초에서 수십 초 범위 내에서 운전자가 끼임을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이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후방 감지 센서(20)와 후방 감지 카메라(30)는 사이드 밀러에 부가하여 감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스의 경우에는 특별히 사이드 밀러뿐만 아니라 버스 출입문을 기준으로 양측 외부에 후방 감시 센서를 발신측(32)과 수신측(34)으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 승객의 출입과 출입구에 끼이는 사고의 예방을 이룰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발신측(32)과 수신측(34)는 출입문 하단으로부터 1/2 범위 이내에 이격하여 시설할 수 있고 이는 주로 버스 차량의 지상고와 출입문의 높이 및 승객의 신장 등을 고려할 때 적합한 범주로 고려됨에 의한다.
여기서 버스라 함은 주로 운전자 동일 횡축에 즉 버스 앞쪽에 출입문이 위치한 차량보다는 주로 버스 중앙부분에 출입문이 위치한 차량에 더욱 유용하며 모두 적용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순간 후속 차량과의 추돌을 방지함은 물론 승객 하차 후 차량의 출입문에 승객 또는 승객의 소지품이 끼어 승객 사상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감시하고 경보하며 작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구성도로써의 블럭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을 승용차에 적용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버스에 적용한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록 20 : 카메라
30 : 후방 감시 센서` 40 : 모니터
50 : 스피커 60 : 경고 표시램프
MPU : 마이크로프로세서

Claims (4)

  1. 자동차의 도어 개방을 규제하는 도어록의 도어 개방 검출 출력으로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를 자동차 후면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개방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 개방 의도를 검출하도록 도어록의 해정을 검출하는 도어록 해지 검출 단계와,
    도어록 해지가 검출되면 후방감시 센서와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 감지 센서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자동차에 근접한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물체 감지 단계와,
    후방의 물체가 감지되면 음성 경고 출력으로 스피커 구동 단계와,
    상기 후방 물체 감지에 의해 음성 경고 출력 중 승객의 하차 의도를 검출하는 도어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도어 개방이 이루어지면 상기 후방 물체 감지 경고 출력 스피커 구동을 차단하는 단계,
    하차 완료 후 도어가 다시 닫히는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폐쇄 검출 단계,
    도어 폐쇄 후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가 재구동하는 단계,
    상기 후방 감시 센서가 도어에 승객 또는 승객의 신변품 끼임이 발생하는지를 검출하는 끼임 검출 단계,
    끼임이 검출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구동이 이루어지는 단계,
    스피커 구동을 일정시간 지속하는 경과시간 검출 단계를 거쳐 후방 감시 센서와 카메라 및 스피커를 오프 시키는 단계로 제어 실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70971A 2007-07-16 2007-07-16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 KR100886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971A KR100886734B1 (ko) 2007-07-16 2007-07-16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971A KR100886734B1 (ko) 2007-07-16 2007-07-16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28A KR20090007828A (ko) 2009-01-21
KR100886734B1 true KR100886734B1 (ko) 2009-03-06

Family

ID=4048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971A KR100886734B1 (ko) 2007-07-16 2007-07-16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7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489B1 (ko) * 1996-05-22 1999-04-01 임경춘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JP2002225560A (ja) 2001-02-02 2002-08-14 Toshihiko Furukawa 車両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20050006864A (ko) * 2003-07-10 2005-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량의 도어끼임 검출장치 및 방법
JP2006076470A (ja) 2004-09-10 2006-03-23 Shi Xiong Li 車両のドア監視装置
KR200415847Y1 (ko) 2006-02-17 2006-05-08 유호연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KR100581825B1 (ko) 2004-08-26 2006-05-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의 후방 및 사각지대 물체 적응적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07176293A (ja) * 2005-12-27 2007-07-12 Aisin Seiki Co Ltd ドア制御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489B1 (ko) * 1996-05-22 1999-04-01 임경춘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JP2002225560A (ja) 2001-02-02 2002-08-14 Toshihiko Furukawa 車両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20050006864A (ko) * 2003-07-10 2005-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량의 도어끼임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520356B1 (ko) * 2003-07-10 2005-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량의 도어끼임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581825B1 (ko) 2004-08-26 2006-05-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의 후방 및 사각지대 물체 적응적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06076470A (ja) 2004-09-10 2006-03-23 Shi Xiong Li 車両のドア監視装置
JP2007176293A (ja) * 2005-12-27 2007-07-12 Aisin Seiki Co Ltd ドア制御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
KR200415847Y1 (ko) 2006-02-17 2006-05-08 유호연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28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CN109455139B (zh) 一种基于汽车开门的警示保护装置
JP5949660B2 (ja) ドライバ確認装置
CN107985194A (zh) 预防汽车开门碰撞事故的预警系统及方法
KR102420218B1 (ko)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84407A (zh) 包括开门报警系统的车辆
CN108001343A (zh) 一种车门预警装置及预警方法
WO2005102792A1 (fr) Systeme anticollision pour l'ouverture de porte de vehicule
CN105682993A (zh) 车门保护装置
CN201544854U (zh) 一种车门开启示警装置
KR100886734B1 (ko) 자동차 도어 개폐 감시 경보방법
KR200415847Y1 (ko)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CN207984695U (zh) 一种防止汽车车门碰撞的预警保护系统
WO2016004714A1 (zh) 汽车侧门防碰器
EP2666945A1 (en) A door stop system
JP7040931B2 (ja) 乗員保護装置
US6819233B2 (en) Prisoner escape seat belt detection and alert system
KR20180093751A (ko)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6947818B1 (en) Onboard monitoring device to ensure safe disembarkation of a transportation means
JP2002225649A (ja) 異常状態報知機能付ナンバープレート
KR20220050280A (ko) 주차 차량 접근 경보 및 잔류승객 감지 시스템
GB2418513A (en) A device for ensuring a safe exit from a vehicle
TWI616364B (zh) Ultrasonic detection integrated warning circuit device near the car's peripheral characters
KR102297067B1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20180077624A (ko)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