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589B1 -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와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와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589B1
KR100884589B1 KR1020070111481A KR20070111481A KR100884589B1 KR 100884589 B1 KR100884589 B1 KR 100884589B1 KR 1020070111481 A KR1020070111481 A KR 1020070111481A KR 20070111481 A KR20070111481 A KR 20070111481A KR 100884589 B1 KR100884589 B1 KR 10088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phase
locking
clocks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1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589B1/ko
Priority to US12/003,681 priority patent/US76716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6Clock generators producing several clock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 H03K5/15013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more than two outputs
    • H03K5/15026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more than two outputs with asynchronously driven series connected output stages
    • H03K5/1504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more than two outputs with asynchronously driven series connected output stage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 lock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019Variable delay
    • H03K2005/00026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n analog electrical signal, e.g. obtained after conversion by a D/A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 Pulse Circuit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소오스클럭에 반영하여 다수의 위상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지연 셀과,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 중 제1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1 위상클럭과 제2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2 위상클럭을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선택클럭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클럭 다중화수단과,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클럭의 위상을 검출하기 위한 위상 검출수단, 및 상기 위상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인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전압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70111481
멀티 위상 클럭, 락킹 구간, 지연 셀, 지연라인

Description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와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MULTI PHASE CLOCK GENERATOR AND GENERATING METHOD}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티(duty) 에러에서 기인하는 다수의 멀티위상클럭 사이의 위상 차이를 줄여주기 위한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multi phase clock generator)와 이를 이용한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RAM)을 비롯한 반도체 소자들은 동작속도가 점점 증가하고, 칩 크기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동작 전압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또한, 멀티위상클럭(Multi phase CLocK : MCLK)의 개수는 점점 늘어가고 있다. 여기서, 멀티위상클럭(MCLK)은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위상 정보를 가지는 다수의 클럭을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는 다수의 지연 셀(110)과, 제1 버퍼링부(120)와, 제10 버퍼링부(130)와, 위상검출부(140)와, 제어전압신호 생성부(150), 및 다수의 버퍼링부(160)를 구비한다.
다수의 지연 셀(110)은 제1 내지 제4 지연 셀(112, 114, 116, 118)을 구비한다. 제1 내지 제4 지연 셀(112, 114, 116, 118)은 각각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입력되는 클럭에 반영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지연 셀(112)의 경우 입력되는 제1 클럭(CLK0, /CLK0)에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2 클럭(CLK45, /CLK45)을 출력하고, 제2 지연 셀(114)의 경우 제2 클럭(CLK45, /CLK45)에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3 클럭(CLK90, /CLK90)을 출력하고, 제3 지연 셀(116)의 경우 제3 클럭(CLK90, /CLK90)에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4 클럭(CLK135, /CLK135)을 출력하며, 제4 지연 셀(118)의 경우 제4 클럭(CLK135, /CLK135)에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5 클럭(CLK180, /CLK180)을 출력한다.
참고로, 제1 클럭(CLK0, /CLK0)의 /CLK0는 CLK0과 위상이 반대인 신호이고, 이하, CLK0은 "제1 정 클럭"이라 하고, /CLK0은 "제1 부 클럭"이라 칭한다. 제2 클럭(CLK45, /CLK45)과, 제3 클럭(CLK90, /CLK90), 제4 클럭(CLK135, /CLK135), 및 제5 클럭(CLK180, /CLK180)도 이와 같이 칭하도록 한다.
한편, 제1 버퍼링부(120)는 제1 클럭(CLK0, /CLK0)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에 대응하는 제1 입력신호(IN0)를 출력하고, 제10 버퍼링부(130)는 제5 클럭(CLK180, /CLK180)을 버퍼링하여 제5 부 클럭(/CLK180)에 대응하는 제2 입력신호(/IN180)를 출력한다.
위상 검출부(140)는 제1 입력신호(IN0)에 대응하여 제2 입력신호(/IN180)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업 검출신호(DET_UP)와 다운 검출신호(DET_DN)을 출력한다. 예컨대, 제1 입력신호(IN0)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보다 제2 입력신호(/IN180)의 라이징 에지가 앞서면 다수의 지연 셀(110)의 지연시간을 늘리게 하기 위한 업 검출신호(DET_UP)가 활성화되고, 제1 입력신호(IN0)의 라이징 에지보다 제2 입력신호(/IN180)의 라이징 에지가 뒤지면 다수의 지연 셀(110)의 지연시간을 줄이게 하기 위한 다운 검출신호(DET_DN)가 활성화된다.
제어전압신호 생성부(150)는 업 검출신호(DET_UP)와 다운 검출신호(DET_DN)에 대응하는 전압레벨을 가지는 제어전압신호(V_CTR)을 생성한다. 예컨대, 제어전압신호(V_CTR)는 업 검출신호(DET_UP)에 응답하여 그 전압레벨이 낮아지고, 다운 검출신호(DET_DN)에 응답하여 그 전압레벨이 높아진다.
이렇게, 생성된 제어전압신호(V_CTR)은 다수의 지연 셀(110)의 각 제1 내지 제4 지연 셀(112, 114, 116, 118)에서 반영될 수 있는 지연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전압신호(V_CTR)의 전압레벨이 낮아지면 제1 내지 제4 지연 셀(112, 114, 116, 118)이 느리게 동작하여 반영되는 지연시간이 늘어나고, 제어전압신호(V_CTR)의 전압레벨이 높아지면 제1 내지 제4 지연 셀(112, 114, 116, 118)이 빠르게 동작하여 반영되는 지연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결국, 제1 정 클럭(CLK0)과 제5 부 클럭(/CLK180)은 동일한 시점에 라이징 에지를 가지게 되며, 이를 "락킹(locking)"이라 하기로 한다.
만약, 제1 클럭(CLK0, /CLK0)의 듀티 비가 50:50인 경우라면, 락킹 이후 다 수의 지연 셀(110)은 제1 정 클럭(CLK0)을 정확히 180°지연시켜 제5 부 클럭(/CLK180)을 출력할 수 있는 지연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래서, 제1 내지 제4 지연 셀(112, 114, 116, 118)에서 출력되는 제2 내지 제5 클럭(CLK45, /CLK45, CLK90, /CLK90, CLK135, /CLK135, CLK180, /CLK180)은 다수의 버퍼링부(160)에 입력되어 정확하게 45°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 MCLK0)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버퍼링부(162)는 제2 클럭(CLK45, /CLK45)을 입력받아 제1 클럭(CLK0, /CLK0) 대비 45°위상 차이가 있는 MCLK45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고 제3 버퍼링부(163)는 제2 클럭(CLK45, /CLK45)을 반대로 입력받아 제1 클럭(CLK0, /CLK0) 대비 225°위상 차이가 있는 MCLK225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한다. 여기서, MCLK45 멀티위상클럭은 제2 정 클럭(CLK45)에 대응하는 위상을 가지는 신호이고, MCLK225 멀티위상클럭은 제2 부 클럭(/CLK45)에 대응하는 위상을 가지는 신호이다.
그리고, 제4 및 제5 버퍼링부(164, 165)는 제3 클럭(CLK90, /CLK90)을 이용하여 제1 클럭(CLK0, /CLK0) 대비 90°위상 차이가 있는 MCLK90 멀티위상클럭과 270°위상 차이가 있는 MCLK225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할 수 있고, 제6 및 제7 버퍼링부(166, 167)는 제4 클럭(CLK135, /CLK135)을 이용하여 제1 클럭(CLK0, /CLK0) 대비 135°위상 차이가 있는 MCLK135 멀티위상클럭과 315°위상 차이가 있는 MCLK315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8 및 제9 버퍼링부(168, 169)는 제5 클럭(CLK180, /CLK180)을 이용하여 제1 클럭(CLK0, /CLK0) 대비 180°위상 차이가 있는 MCLK180 멀티위상클럭과 0°위상 차이가 있는 MCLK0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 MCLK0)은 제1 클럭(CLK0, /CLK0)의 한 주기를 8등분하여 각각 45°간격을 이루어야만 한다. 하지만, 제1 클럭(CLK0, /CLK0)의 듀티 비가 틀어지게 되면 원하는 간격을 보장해 줄 수 없게 된다. 이하, 도 2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정 클럭(CLK0)과 제1 입력신호(IN0)는 동일하게 취급하기로 하고, 제5 부 클럭(/CLK180)과 제2 입력신호(/IN180) 또한 동일하게 취급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정 클럭(CLK0)의 한 주기를 "Tcyc"라고 하고, 제1 정 클럭(CLK0)의 듀티 비가 Δt만큼 틀어져서 논리'로우(low)'구간이 Tcyc/2±Δt의 구간을 가지게 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락킹 동작 이전에 제5 클럭(CLK180, /CLK180)은 다수의 지연 셀(110)의 기본 지연시간이 반영된다. 이후 전술한 락킹 동작을 통해 제5 클럭(CLK180, /CLK180)은 락킹 지점(LOC)까지 점점 밀려가게 되고, 결국, 제1 정 클럭(CLK0)의 라이징 에지와 제5 부 클럭(/CLK180)의 라이징 에지가 동일한 시점이 되면서 락킹이 이루어 진다.
이때, 다수의 지연 셀(110)의 지연시간은 Tcyc/2±Δt가 된다. 때문에, 제1 내지 제4 지연셀(112, 114, 116, 118)에서 각각 확보되는 지연시간은 Tcyc/2±Δt 의 ¼이 되고,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 MCLK0)은 각각 Δt의 ¼만큼의 위상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위상 에러는 멀티위상클럭의 신뢰성을 크게 떨어트리게 되며, 이러한 문제점은 클럭 주파수가 고주파로 갈수록 더 심각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듀티 비가 틀어지더라도 원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하여 정확한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할 수 있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하여 정확한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소오스클럭에 반영하여 다수의 위상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지연 셀;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 중 제1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1 위상클럭과 제2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2 위상클럭을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선택클럭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클럭 다중화수단;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클럭의 위상을 검출하기 위한 위상 검출수단; 및 상기 위상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인 검출신 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전압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소오스클럭에 반영하여 다수의 위상클럭을 생성하는 단계;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 중 제1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1 위상클럭의 위상을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 중 제2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2 위상클럭의 위상을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소오스 클럭과 소오스 클럭을 지연시킨 클럭과의 락킹을 통해 확보된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다수의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제1 락킹구간에는 제1 멀티위상클럭을 이용하여 제1 락킹을 하고 제2 락킹구간에는 제2 멀티위상클럭을 이용하여 제2 락킹을 함으로써, 이를 통해 확보된 소오스 클럭의 한 주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상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한 주기에 해당하는 정확한 지연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정확한 위상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멀티 위상 클럭을 생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정확한 멀티 위상 클럭을 생성하여 함으로써, 멀티 위상 클럭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을 높여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는 다수의 지연 셀(310)과, 제9 내지 제11 버퍼링부(320, 330, 340)와, 클럭 다중화부(350)와, 위상검출부(360)와, 제어전압신호 생성부(370)와, 락킹검출신호 생성부(380), 및 다수의 버퍼링부(39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지연 셀(310)은 제1 내지 제8 지연 셀(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을 구비한다. 제1 내지 제8 지연 셀(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은 각각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입력되는 클럭에 반영한다.
예컨대, 제1 지연 셀(311)의 경우 입력되는 소오스 클럭인 제1 클럭(CLK0, /CLK0)에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2 클럭(CLK45, /CLK45)을 출력하고, 제2 지연 셀(312)의 경우 제2 클럭(CLK45, /CLK45)에 제어전 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3 클럭(CLK90, /CLK90)을 출력하고, 제3 지연 셀(313)의 경우 제3 클럭(CLK90, /CLK90)에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4 클럭(CLK135, /CLK135)을 출력하고, 제4 지연 셀(314)의 경우 제4 클럭(CLK135, /CLK135)에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5 클럭(CLK180, /CLK180)을 출력하고, 제5 지연 셀(315)의 경우 입력되는 제5 클럭(CLK180, /CLK180)에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6 클럭(CLK255, /CLK255)을 출력하고, 제6 지연 셀(316)의 경우 제6 클럭(CLK255, /CLK255)에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7 클럭(CLK270, /CLK270)을 출력하고, 제7 지연 셀(317)의 경우 제7 클럭(CLK270, /CLK270)에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8 클럭(CLK315, /CLK315)을 출력하며, 제8 지연 셀(318)의 경우 제8 클럭(CLK315, /CLK315)에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9 클럭(CLK360, /CLK360)을 출력한다.
참고로, 제1 클럭(CLK0, /CLK0)의 /CLK0는 CLK0과 위상이 반대인 신호이며, 이하, CLK0은 "제1 정 클럭"이라 하고, /CLK0은 "제1 부 클럭"이라 칭한다. 그리고, 제2 클럭(CLK45, /CLK45)과, 제3 클럭(CLK90, /CLK90), 제4 클럭(CLK135, /CLK135), 제5 클럭(CLK180, /CLK180), 제6 클럭(CLK255, /CLK255), 제7 클럭(CLK270, /CLK270), 제8 클럭(CLK315, /CLK315), 및 제9 클럭(CLK360, /CLK360)도 이와 같이 칭하도록 한다.
한편, 제9 버퍼링부(320)는 제1 클럭(CLK0, /CLK0)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에 대응하는 제1 입력신호(IN0)를 출력하고, 제10 버퍼링부(130)는 제5 클 럭(CLK180, /CLK180)을 버퍼링하여 제5 부 클럭(/CLK180)에 대응하는 제2 입력신호(/IN180)를 출력하고, 제11 버퍼링부(340)는 제9 클럭(CLK360, /CLK360)을 버퍼링하여 제9 정 클럭(CLK360)에 대응하는 제3 입력신호(IN360)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지연시간, 즉, 제1 정 클럭(CLK0)의 한 주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락킹 동작을 두 번하는 것을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5 부 클럭(/CLK180)을 제1 정 클럭(CLK0)에 락킹시키기 위한 구간을 "제1 락킹구간"이라고 하고, 제9 정 클럭(CLK360)을 제1 정 클럭(CLK0)에 락킹시키기 위한 구간을 "제2 락킹구간"이라고 하기로 한다.
클럭 다중화부(350)는 제1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5 부 클럭(/CLK180)에 대응하는 제2 입력신호(/IN180)와 제2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9 정 클럭(CLK360)에 대응하는 제3 입력신호(IN360)를 락킹검출신호(DCT_LOC)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도 4는 도 3의 클럭 다중화부(35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럭 다중화부(350)는 락킹검출신호(DET_LOC)에 응답하여 제2 입력신호(/IN180)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전달부(351)와, 락킹검출신호(DET_LOC)에 응답하여 제3 입력신호(IN360)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전달부(353)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락킹검출신호(DET_LOC)가 논리'로우(low)'인 경우 제2 입력신호(/IN180)를 클럭 다중화부(350)의 출력신호(OUT)로서 전달하고, 락킹검출신호(DET_LOC)가 논리'하이(high)'인 경우 제3 입력신호(IN360)를 클럭 다중화 부(350)의 출력신호(OUT)로서 전달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위상 검출부(360)는 제1 입력신호(IN0)에 대응하여 클럭 다중화부(350)의 출력신호(OUT)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업 검출신호(DET_UP)와 다운 검출신호(DET_DN)을 출력한다. 예컨대, 제1 입력신호(IN0)의 라이징 에지보다 클럭 다중화부(350)의 출력신호(OUT)의 라이징 에지가 앞서면 다수의 지연 셀(310)의 지연시간을 늘리게 하기 위한 업 검출신호(DET_UP)가 활성화되고, 제1 입력신호(IN0)의 라이징 에지보다 클럭 다중화부(350)의 출력신호(OUT)의 라이징 에지가 뒤지면 다수의 지연 셀(110)의 지연시간을 줄이게 하기 위한 다운 검출신호(DET_DN)가 활성화된다.
제어전압신호 생성부(370)는 업 검출신호(DET_UP)와 다운 검출신호(DET_DN)에 대응하는 전압레벨을 가지는 제어전압신호(V_CTR)을 생성한다. 예컨대, 제어전압신호(V_CTR)는 업 검출신호(DET_UP)에 응답하여 그 전압레벨이 낮아지고, 다운 검출신호(DET_DN)에 응답하여 그 전압레벨이 높아진다. 위상 검출부(360)와 제어전압신호 생성부(370)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사하는 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생성된 제어전압신호(V_CTR)은 다수의 지연 셀(310)의 각 제1 내지 제8 지연 셀(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에서 반영될 수 있는 지연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전압신호(V_CTR)의 전압레벨이 낮아지면 제1 내지 제8 지연 셀(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이 느리게 동작하여 반영되는 지연시간이 늘어나고, 제어전압신호(V_CTR)의 전압레벨이 높아지면 제1 내지 제8 지연 셀(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이 빠르게 동작하여 반영되는 지연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5 부 클럭(/CLK180)과 제1 정 클럭(CLK0)의 락킹결과에 응답하여 락킹검출신호(DET_LOC)를 생성하는 락킹검출신호 생성부(38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도 5는 도 3의 락킹검출신호 생성부(38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락킹검출신호 생성부(380)는 펄스신호인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리셋(reset)되고 업 검출신호(DET_UP)를 검출하는 락킹결과 검출부(381)와, 락킹결과 검출부(381)의 출력신호를 래칭(latching)하고 락킹검출신호(DET_LOC)로서 출력하는 래칭부(383)를 구비할 수 있다.
우선, 제1 락킹 구간에서 제5 부 클럭(/CLK180)은 제1 정 클럭(CLK0)보다 앞서기 때문에, 업 검출신호(DET_UP)는 논리'하이(high)'가 된다. 그래서, 락킹결과 검출부(381)는 제1 락킹 구간에서 업 검출신호(DET_UP)와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논리'하이(high)'를 출력하고, 래칭부(383)는 논리'로우(low)'의 락킹검출신호(DET_LOC)를 출력한다. 이후, 제5 부 클럭(/CLK180)이 제1 정 클럭(CLK0)보다 뒤지게 되면 업 검출신호(DET_UP)가 논리'로우(low)'가 되어 락킹검출신호(DET_LOC)는 논리'하이'가 된다.
락킹검출신호(DET_LOC)는 제1 정 클럭(CLK0)과 제5 부 클럭(/CLK180)의 락킹 정보를 가지는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위해 업 검출신호(DET_UP)를 이용하였지만, 다운 검출신호(DET_DN)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 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클럭 다중화부(350)는 이렇게 출력되는 락킹검출신호(DET_LOC)에 응답하여 제1 락킹 구간에서 제2 입력신호(/IN180)를 출력하고, 제1 정 클럭(CLK0)과 제5 부 클럭(/CLK180)의 락킹 이후 제3 입력신호(IN360)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는 제1 락킹 동작과 제2 락킹 동작을 통해 제1 정 클럭(CLK0)을 정확히 360°지연시켜 제9 정 클럭(CLK360)을 출력할 수 있는 지연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통해 더 자세히 하도록 한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클럭(CLK0, /CLK0)과 제1 내지 제7 지연 셀(311, 312, 313, 314, 315, 316, 317)에서 출력되는 제2 내지 제8 클럭(CLK45, /CLK45, CLK90, /CLK90, CLK135, /CLK135, CLK180, /CLK180, CLK225, /CLK225, CLK270, /CLK270, CLK315, /CLK315)은 다수의 버퍼링부(390)에 입력되어 정확하게 45°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0, 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을 생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1 버퍼링부(391)는 제1 클럭(CLK0, /CLK0)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에 대응하는 MCLK0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고, 제2 버퍼링부(392)는 제2 클럭(CLK45, /CLK45)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 대비 45°위상 차이가 있는 MCLK45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고, 제3 버퍼링부(393)는 제3 클럭(CLK90, /CLK90)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 대비 90°위상 차이가 있는 MCLK90 멀티 위상클럭을 생성하고, 제4 버퍼링부(394)는 제4 클럭(CLK135, /CLK135)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 대비 135°위상 차이가 있는 MCLK90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고, 제5 버퍼링부(395)는 제5 클럭(CLK180, /CLK180)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 대비 180°위상 차이가 있는 MCLK180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고, 제6 버퍼링부(396)는 제6 클럭(CLK225, /CLK225)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 대비 225°위상 차이가 있는 MCLK225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고, 제7 버퍼링부(397)는 제7 클럭(CLK270, /CLK270)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 대비 270°위상 차이가 있는 MCLK270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하며, 제8 버퍼링부(398)는 제8 클럭(CLK315, /CLK315)을 버퍼링하여 제1 정 클럭(CLK0) 대비 315°위상 차이가 있는 MCLK315 멀티위상클럭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지연 셀(310)이 정확하게 제1 클럭(CLK0, /CLK0)의 한 주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0 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은 제1 클럭(CLK0, /CLK0)의 한 주기를 정확하게 8등분하여 각각 45°간격을 이루게 된다. 결국, 제1 클럭(CLK0, /CLK0)의 듀티 비가 틀어지더라도 원하는 간격을 보장해 준다.
도 6은 도 3의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정 클럭(CLK0)과 제1 입력신호(IN0)는 동일하게 취급하기로 하고, 제5 부 클럭(/CLK180)과 제2 입력신호(/IN180)는 동일하게 취급하기로 하며, 제9 정 클럭(CLK360)과 제3 입력신호(IN360)는 동일하게 취급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정 클럭(CLK0)의 한 주기를 "Tcyc"라고 하고, 제1 정 클 럭(CLK0)의 듀티 비가 도 2와 같이 Δt만큼 틀어져서 논리'로우(low)'구간이 Tcyc/2±Δt의 구간을 가지게 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락킹 동작 이전에 제5 클럭(CLK180, /CLK180)은 다수의 지연 셀(310)의 기본 지연시간이 반영된다. 제1 락킹 구간에서는 제1 정 클럭(CLK0)의 라이징 에지에 대응하여 제5 부 클럭(/CLK180)의 라이징 에지를 검출함으로써 제1 락킹 동작을 수행한다. 그 결과, 제1 락킹 후 제5 부 클럭(/CLK180)은 락킹 지점(LOC)까지 밀리게 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지연 셀(311, 312, 313, 314)은 Tcyc/2±Δt만큼의 지연시간을 제공하고, 제5 내지 제8 지연 셀(315, 316, 317, 318)도 동일한 제어전압신호(V_CTR)에 제어되기 때문에 역시 Tcyc/2±Δt만큼의 지연시간을 제공한다. 때문에, 제1 락킹 후 제9 정 클럭(CLK360)은 제1 정 클럭(CLK0)을 Tcyc±2×Δt만큼 지연시킨 신호가 된다.
이후, 락킹검출신호 생성부(380)는 제1 락킹 정보에 따라 락킹검출신호(DET_LOC)를 생성하고, 클럭 다중화부(350)는 락킹검출신호(DET_LOC)에 응답하여 제9 정 클럭(CLK360)을 출력한다. 그래서, 제2 락킹 구간에서는 제1 정 클럭(CLK0)의 라이징 에지에 대응하여 제9 정 클럭(CLK380)의 라이징 에지를 검출함으로써 제2 락킹 동작을 수행한다. 그 결과, 제9 정 클럭(CLK360)이 락킹 지점(LOC)까지 밀리게 된다. 때문에, 다수의 지연 셀(310)은 제1 클럭(CLK0, /CLK0)의 듀티 비와 상관없이 제1 클럭(CLK0, /CLK0)의 한 주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래서, 제1 내지 제8 지연셀(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에서 각각 확보되는 지연시간은 제1 클럭(CLK0, /CLK0)의 한 주기의 ⅛이 되고,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 MCLK0)은 각각 45°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결국, 원하는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0, 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는 제1 클럭(CLK0, /CLK0)의 듀티 비가 틀어지더라도 제1 및 제2 락킹 구간을 통해 제1 클럭(CLK0, /CLK0)의 한 주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0, 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의 제1 실시예와 도 7의 제2 실시예를 비교하면, 제2 실시예에는 도 3의 제어전압신호 생성부(370) 대신에 지연제어신호 생성부(710)가 구비되며, 도 3의 다수의 지연 셀(310) 대신에 다수의 지연라인(730)이 구비될 수 있다.
지연제어신호 생성부(710)는 위상 검출부의 출력신호(DET_UP, DET_DN)에 응답하여 N(여기서 N은 자연수)개의 멀티 비트(multi bit)를 가지는 지연제어신호(D_CTR)를 생성할 수 있다.
다수의 지연라인(730) 각각은 다수의 단위 지연 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검출신호(DET_UP, DET_DN)에 따라 쉬프팅(shifting)하는 N개의 지연제어신호(D_CTR)에 응답하여 지연시간을 제공한다.
락킹 동작은 제2 실시예도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동작하는데, 예컨대 지연제어신호(D_CTR)가 4비트이고 다수의 지연라인 각각이 4개의 단위 지연 셀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다수의 지연라인 각각은 '0001'의 지연제어신호(D_CTR)에 응답하여 한 개의 단위 지연 셀에서 반영되는 지연시간만을 제공할 것이고, '0011'의 지연제어신호(D_CTR)에 응답하여 두 개의 단위 지연 셀에서 반영되는 지연시간을 제공할 것이고, '0111'의 지연제어신호(D_CTR)에 응답하여 세 개의 단위 지연 셀에서 반영되는 지연시간을 제공할 것이며, '1111'의 지연제어신호(D_CTR)에 응답하여 네 개의 단위 지연 셀에서 반영되는 지연시간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 역시 제1 클럭(CLK0, /CLK0)의 듀티 비가 틀어지더라도 제1 및 제2 락킹 구간을 통해 제1 클럭(CLK0, /CLK0)의 한 주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멀티위상클럭(MCLK0, MCLK45, MCLK90, MCLK135, MCLK180, MCLK225, MCLK270, MCLK315)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멀티 위상 클럭을 생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소오스 클럭의 듀티 비와 상관없이 소오스 클럭의 한 주기에 해 당하는 지연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경우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클럭 다중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5는 도 3의 락킹검출신호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6은 도 3의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 제1 내지 제8 지연 셀
320 : 제9 버퍼링부 330 : 제10 버퍼링부
340 : 제11 버퍼링부 350 : 클럭 다중화부
360 : 위상 검출부 370 : 제어전압신호 생성부
380 : 락킹검출신호 생성부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 제1 내지 제8 버퍼링부

Claims (24)

  1.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소오스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소오스클럭의 한 주기 내에서 서로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지연 셀;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 중 제1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1 위상클럭과 제2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2 위상클럭을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선택클럭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클럭 다중화수단;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클럭의 위상을 검출하기 위한 위상 검출수단; 및
    상기 위상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인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전압신호 생성수단
    을 구비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락킹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락킹검출신호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다중화수단은,
    상기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위상클럭을 상기 선택클럭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제1 전달부와,
    상기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상클럭을 상기 선택클럭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제2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을 버퍼링하여 멀티 위상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버퍼링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클럭은 상기 제2 락킹구간에서 락킹시 상기 소오스클럭 대비 360°위상 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클럭은 제1 정 위상클럭과 제1 부 위상클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상클럭은 제2 정 위상클럭과 제2 부 위상클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부 위상클럭을 버퍼링하여 상기 제1 부 위상클럭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퍼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부 위상클럭을 버퍼링하여 상기 제2 정 위상클럭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퍼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다중화수단은 상기 제1 락킹구간에서 상기 제1 부 위상클럭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상기 선택클럭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2 락킹구간에서 상기 제2 정 위상클럭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상기 선택클럭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검출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소오스클럭과 상기 제1 위상클럭의 락킹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락킹검출부와,
    상기 락킹검출부의 출력신호를 래칭하고 상기 락킹검출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래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전압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연 셀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의 개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멀티 비트의 지연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연셀 각각은 상기 멀티 비트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위 지연 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
  15.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소오스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소오스클럭의 한 주기 내에서 서로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을 생성하는 단계;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 중 제1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1 위상클럭의 위상을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락킹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 중 제2 락킹구간에 필요한 제2 위상클럭의 위상을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클럭의 위상을 상기 소오스클럭에 대응하여 검출한 검출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락킹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을 버퍼링하여 다수의 멀티 위상 클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클럭은 상기 제2 락킹구간에서 락킹시 상기 소오스클럭 대비 360°위상 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클럭은 제1 정 위상클럭과 제1 부 위상클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상클럭은 제2 정 위상클럭과 제2 부 위상클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부 위상클럭을 버퍼링하여 상기 제1 부 위상클럭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부 위상클럭을 버퍼링하여 상기 제2 정 위상클럭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오스클럭과 상과 제1 위상클럭의 락킹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락킹 정보를 검출한 결과를 래칭하고 상기 락킹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23.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전압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24.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멀티 비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KR1020070111481A 2007-11-02 2007-11-02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와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KR10088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81A KR100884589B1 (ko) 2007-11-02 2007-11-02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와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US12/003,681 US7671649B2 (en) 2007-11-02 2007-12-31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phase cl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81A KR100884589B1 (ko) 2007-11-02 2007-11-02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와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589B1 true KR100884589B1 (ko) 2009-02-19

Family

ID=4058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481A KR100884589B1 (ko) 2007-11-02 2007-11-02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와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71649B2 (ko)
KR (1) KR100884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453A (ko) 2019-05-17 2020-11-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지연 고정 루프
KR20210004370A (ko) 2019-07-04 2021-01-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지연 고정 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777B1 (ko) 2008-08-01 2016-01-28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기재 상에 탄탈-함유 층의 형성 방법
KR102327339B1 (ko) * 2015-05-06 202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KR102387233B1 (ko) * 2015-10-20 2022-04-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버퍼 회로
US11711200B2 (en) 2021-12-16 2023-07-25 Analog Devices, Inc. Multiphase clock generators with digital calib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1100A (ja) 1999-05-25 2000-12-08 Nec Corp 多相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移相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及び逓倍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
KR20040009269A (ko) * 2002-07-23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클럭 위상 결정 시스템
KR20050048838A (ko) * 2003-11-20 2005-05-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15703A (ko) * 2004-06-04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신호 발생회로 및 클럭신호발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2971B1 (en) * 2001-06-12 2006-05-09 Lsi Logic Corporation Delay-locked loop with built-in self-test of phase margin
KR100423012B1 (ko) * 2001-09-28 2004-03-16 주식회사 버카나와이어리스코리아 오(誤)동기 방지 기능을 가진 지연 동기 루프 회로
FR2841405B1 (fr) * 2002-06-19 2004-08-0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Boucle a verrouillage de retard
US6680874B1 (en) * 2002-08-29 2004-01-20 Micron Technology, Inc. Delay lock loop circuit useful in a synchronou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7336752B2 (en) * 2002-12-31 2008-02-26 Mosaid Technologies Inc. Wide frequency range delay locked loop
US7024324B2 (en) * 2004-05-27 2006-04-04 Intel Corporation Delay element calibration
US7428284B2 (en) * 2005-03-14 2008-09-23 Micron Technology, Inc. Phase detector and method providing rapid locking of delay-lock loo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1100A (ja) 1999-05-25 2000-12-08 Nec Corp 多相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移相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及び逓倍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
KR20040009269A (ko) * 2002-07-23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클럭 위상 결정 시스템
KR20050048838A (ko) * 2003-11-20 2005-05-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15703A (ko) * 2004-06-04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신호 발생회로 및 클럭신호발생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453A (ko) 2019-05-17 2020-11-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지연 고정 루프
US10855290B1 (en) 2019-05-17 2020-12-01 SK Hynix Inc. Delay locked loop
KR20210004370A (ko) 2019-07-04 2021-01-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지연 고정 루프
US10965291B2 (en) 2019-07-04 2021-03-30 SK Hynix Inc. Delay locked lo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15486A1 (en) 2009-05-07
US7671649B2 (en)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9377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command delay adjustment circuit
US9330741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745044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ncreased domain crossing margin
KR100832007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US7710799B2 (en) 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in DDR memory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4789172B2 (ja) 半導体記憶素子におけるディレイロックループ及びそのロック方法
US8115529B2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evice
US8072822B2 (en) Data alignment circuit and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100884589B1 (ko) 멀티 위상 클럭 생성장치와 멀티 위상 클럭 생성 방법
US8928371B2 (en) Deserializers
KR101699787B1 (ko) 지연동기루프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메모리 시스템
KR20120096028A (ko) 신호 수신 회로, 메모리 컨트롤러, 프로세서, 컴퓨터 및 위상 제어 방법
KR20200088650A (ko) 클럭 신호에 동기되는 신호 생성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US8959378B2 (en) Output timing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2397116A (zh) 与时钟信号同步的信号生成电路及使用其的半导体装置
KR20220046104A (ko) 듀티 보정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US20050140408A1 (en) Delay locked loop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locking method thereof
US20060193413A1 (en) Method of capturing data transferred in synchronization with a data strobe signal and data capture circuit performing same
KR100525096B1 (ko) Dll 회로
US7884661B2 (en) Clock generator circuit, method of clock generating, and data output circuit using the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KR100800139B1 (ko) 디엘엘 장치
KR100919243B1 (ko) 주파수 대역에 적응적인 코오스 락 타임을 갖는 dll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8067400A (ja) 信号伝送システム
KR100859834B1 (ko) 지연 고정 루프와 그의 구동 방법
US9438410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