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555B1 -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555B1
KR100884555B1 KR1020070068028A KR20070068028A KR100884555B1 KR 100884555 B1 KR100884555 B1 KR 100884555B1 KR 1020070068028 A KR1020070068028 A KR 1020070068028A KR 20070068028 A KR20070068028 A KR 20070068028A KR 100884555 B1 KR100884555 B1 KR 100884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ntrol
unit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095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링크일렉트로닉스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링크일렉트로닉스, 김영수 filed Critical (주)링크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6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5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에서 제어 및 표시단말기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선택버튼을 원격 입력할 수 있으면서 제어 및 표시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정보 및 상승 또는 하강 운행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이용시 엘리베이터가 사용자 이용층에 근접하였을때 이동하면 되므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 있고, 엘리베이터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및 표시단말기, 중계기, 무선, 표시부, 원격제어,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Remote control and display device}
아파트 또는 대형건물의 입주자들이 실내에서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 운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현 거주 층의 엘리베이터에서 상승선택 또는 하강선택을 실내에서 원격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를 실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아파트 또는 대형 빌딩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설치된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을 누름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실내에 상주하던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엘리베이터가 몇층에 정지해있고, 상승중인지 또는 하강중인지를 알 수 없어서 무작정 엘리베이터의 도어 앞으로 이동해서 상승 또는 하강 버튼을 누른 후 사용해야만 하고, 이로인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가 내려오기까지 많은 시간을 엘리베이터 앞에서 기다려야만 하는 등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만 하고, 사용상 번거로움이 발생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계기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 및 상승 또는 하강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하강 또는 상승 선택버튼 입력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엘리베이터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원격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제어 및 표시단말기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데이타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 및 표시단말기로 무선 전송하고, 제어 및 표시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입력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공급하는 중계기;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에서 제어 및 표시단말기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선택버튼을 원격 입력할 수 있으면서 제어 및 표시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정보 및 상승 또는 하강 운행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이용시 엘리베이터가 사용자 이용층에 근접하였을때 이동하면 되므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 있고, 엘리베이터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어 및 표시단말기(1)와 중계기(2)로 대별 구성된다.
본 발명은
중계기(2)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 및 상승 또는 하강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하강 또는 상승 선택버튼 입력 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엘리베이터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원격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제어 및 표시단말기(1)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데이타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입력받아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 무선 전송하고, 제어 및 표시단말기(1)에서 전송되는 입력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공급하는 중계기(2);
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및 표시단말기(1)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선택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키이를 포함하는 키이부(14)와;
상기 키이부(14) 입력시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명령이 중계기(2)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제 1 수신부(7)를 통해 수신되는 엘리베이터 작동상태 정보가 표시부(3)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와;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제 1 수신부(7)에서 수신된 엘리베이터 작동상태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3)와;
상기 표시부(3)의 구동전원을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표시전원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고유번호 및 선택 명령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중계기(2)로 무선송신하는 제 1 송신부(5)와;
상기 제 1 송신부(5)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송신전원 제어부(6)와;
중계기(2)에서 전송되는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5)로 공급하는 제 1 수신부(7)와;
상기 제 1 수신부(7)의 구동전원을 일정주기마다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신전원제어부(8)와;
제어 및 표시단말기(1)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9)와;
표시부(3)를 통해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가 표시될때 소정의 알람음을 출력하는 알람부(10)와;
제어부(15)의 제어프로그램 및 고유번호, 그리고,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음성안내메세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와;
표시부(3)에 화면 표시되는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안내데이타를 메모리부(11)로부터 읽어와 스피커(13)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2); 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5)는 표시전원제어부(4)를 제어하여 제 1 수신부(7)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가 수신되어 표시부(3)를 통해 정보출력이 필요할 때에만 표시부(3)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중계기(2)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데이타라인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27)와;
상기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선택 명령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공급하여 인식하도록 하는 콘트롤부(21)와;
상기 콘트롤부(21)의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 무선 전송하는 제 2 송신부(22)와;
상기 제 2 송신부(22)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송신전원제어부(23)와;
상기 제어 및 표시단말기(1)에서 전송된 엘리베이터 선택 명령정보를 수신하여 콘트롤부(21)로 공급하는 제 2 수신부(24)와;
중계기(2)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와;
상기 콘트롤부(21)의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6); 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중계기(2)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실내에 설치되는 제어 및 표시단말기(1)를 상호 연결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아파트 또는 대형 빌딩의 실내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키이부(14)에 구성된 상승 또는 하강 키이를 입력하면, 그 키이부(14) 조작에 따른 엘리베이터 선택 명령정보가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제 1 송신부(5)로 공급되며, 이때, 제어부(15)는 메모리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및 표시단말기(1)가 갖는 고유번호를 제 1 송신부(5)로 공급한다.
이에따라, 상기 제 1 송신부(5)는 제어부(15)로 부터 공급되는 선택명령정보와 고유번호를 안테나를 통해 중계기(2)로 무선전송하게되고, 상기 중계기(2)의 제 2 수신부(24)는 제 1 송신부(5)에서 송신된 고유번호와 선택명령정보를 수신하여 콘트롤부(21)로 공급하며,
상기 콘트롤부(21)는 제 2 수신부(24)에서 수신된 고유번호와 선택명령정보를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공급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수신된 고유번호로서 제어 및 표시단말기(1)가 설치되어 있는 층을 확인하고, 선택명령정보로서 사용하가 엘리베이터를 타고 하강하려하는지 또는 상승하려하는지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탑승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중계기(2)는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데이타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 전송하므로서, 사용자가 실내에서도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 및 현재 상승중인지 하강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된다.
중계기(2)의 동작을 설명하면,
콘트롤부(21)는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 제공되는 현재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정보를 제 2 송신부(22)로 전송하고, 제 2 송신부(22)는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 무선전송한다.
상기 제어 및 표시단말기(1)의 제 1 수신부(7)는 중계기(2)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5)로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15)는 수신된 작동상태정보가 표시부(3)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3)를 통해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작동상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과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상승중 또는 하강중)가 화살표로서 표시되며, 알람부(10)가 작동하여 소정의 알람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작동상태 정보가 표시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를 통해 출력되는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과 운행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안내메세지가 음성출력부(12)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된다.
즉, 표시부(3)를 통해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가 표시되면, 음성출력부(12)는 메모리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메세지, 예를들면, 도 3 과같이 표시부(3)를 통해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가 표시된다고 가정할때 음성출력부(12)를 통해 " 엘리베이터가 7층에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라는 음성메세지가 스피커(13)를 통해 출력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겠다는 선택명령을 중계기(2)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송신한 후 실내에 설치된 제어 및 표시단말기(1)를 통해 제공되는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엘리베이터가 몇층을 운행하고 있고, 상승중인지 아니면 하강중인지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가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층에 근접했을때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면 되므로 엘리베이터 탑승을 위하여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 있게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어 및 표시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중계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의 일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 및 표시단말기, 2 : 중계기,
3 : 표시부, 4 : 표시전원제어부,
5 : 제 1 송신부, 6 : 송신전원제어부,
7 : 제 1 수신부, 8 : 수신전원제어부,
9 : 전원부, 10 : 알람부,
11 : 메모리부, 12 : 음성출력부,
13 : 스피커, 14 : 키이부,
15 : 제어부, 21 : 콘트롤부,
22 : 제 2 송신부, 23 : 송신전원제어부,
24 : 제 2 수신부, 25 : 전원부,
26 : 메모리부.

Claims (5)

  1. 중계기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현재 운행층 및 상승 또는 하강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하강 또는 상승 선택버튼 입력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엘리베이터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원격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제어 및 표시단말기(1)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데이타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입력받아 제어 및 표시단말기로 무선 전송하고, 제어 및 표시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입력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공급하는 중계기(2); 로 구성하되,
    상기 제어 및 표시단말기(1)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선택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키이를 포함하는 키이부(14)와, 상기 키이부(14) 입력시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명령이 중계기(2)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제 1 수신부(7)를 통해 수신되는 엘리베이터 작동상태 정보가 표시부(3)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표시전원제어부(4)를 제어하여 제 1 수신부(7)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가 수신되어 표시부(3)를 통해 정보출력이 필요할 때에만 표시부(3)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와,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제 1 수신부(7)에서 수신된 엘리베이터 작동상태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3)와,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고유번호 및 선택 명령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중계기(2)로 무선송신하는 제 1 송신부(5)와, 중계기(2)에서 전송되는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5)로 공급하는 제 1 수신부(7)와, 제어부(15)의 제어프로그램 및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로 구성하고,
    상기 중계기(2)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데이타라인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27)와, 상기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선택 명령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공급하여 인식하도록 하는 콘트롤부(21)와, 상기 콘트롤부(21)의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정보를 제어 및 표시단말기(1)로 무선 전송하는 제 2 송신부(22)와, 상기 제어 및 표시단말기(1)에서 전송된 엘리베이터 선택 명령정보를 수신하여 콘트롤부(21)로 공급하는 제 2 수신부(2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표시단말기(1)는,
    표시부(3)에 화면 표시되는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안내데이타를 메모리부(11)로부터 읽어와 스피커(13)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70068028A 2007-07-06 2007-07-06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KR100884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28A KR100884555B1 (ko) 2007-07-06 2007-07-06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28A KR100884555B1 (ko) 2007-07-06 2007-07-06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95A KR20090004095A (ko) 2009-01-12
KR100884555B1 true KR100884555B1 (ko) 2009-02-19

Family

ID=4048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028A KR100884555B1 (ko) 2007-07-06 2007-07-06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5009A (zh) * 2013-04-03 2013-06-12 沃克斯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楼宇对讲与电梯交互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269A (ko) * 2010-02-22 2011-08-30 성기수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97A (ko) * 2001-05-11 2001-07-25 종 욱 최 승강기 모니터링 및 호출 시스템
KR200283590Y1 (ko) * 2002-05-10 2002-07-26 주식회사 탑시스템 엘리베이터 원격제어장치
JP2003192244A (ja) * 2001-12-27 2003-07-0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遠隔呼出方法及び装置
KR20040028149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와 그를이용한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시스템
KR20040046218A (ko) * 2002-11-26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KR20050011916A (ko) * 2003-07-24 2005-01-31 박준석 승강기 원격조종 입력 시스템
KR20050076197A (ko) * 2004-01-20 2005-07-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97A (ko) * 2001-05-11 2001-07-25 종 욱 최 승강기 모니터링 및 호출 시스템
JP2003192244A (ja) * 2001-12-27 2003-07-0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遠隔呼出方法及び装置
KR200283590Y1 (ko) * 2002-05-10 2002-07-26 주식회사 탑시스템 엘리베이터 원격제어장치
KR20040028149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와 그를이용한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시스템
KR20040046218A (ko) * 2002-11-26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KR20050011916A (ko) * 2003-07-24 2005-01-31 박준석 승강기 원격조종 입력 시스템
KR20050076197A (ko) * 2004-01-20 2005-07-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5009A (zh) * 2013-04-03 2013-06-12 沃克斯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楼宇对讲与电梯交互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95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2811B2 (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system
KR0164089B1 (ko) 무선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70188307A1 (en) Wireless door intercom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US20130249668A1 (en)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area accessible by persons, particularly to a space closed by a door
KR101275735B1 (ko)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 주차 관리 시스템
ATE349050T1 (de) Basiseinheit mit überschreibschutz für einen fernbedieneinheitenspeicher sowie verfahren zu deren verwendung
JP2007290868A (ja) エレベータ設備の複数の操作ユニットの階関連付けを設定する方法
KR101271154B1 (ko) 시각장애인용 음성유도기
KR20070014989A (ko)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는 영역, 특히, 도어에 의해폐쇄되는 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
JP2011087016A (ja) 所在管理システム
KR20080010672A (ko) 커텐 개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4555B1 (ko)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CN202220018U (zh) 一种施工升降机无线呼叫及操控台系统
JP4790866B1 (ja) リモコンシステム
KR100865149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40987B1 (ko) 원격지로부터 전기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20140046778A (ko) Led 조명등 제어장치
KR100791096B1 (ko)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KR20100064029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관리 홈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5726Y1 (ko) 실시간 이동상황 표시 및 원격 콜 기능을 가진 인텔리젼트엘리베이터 시스템
JP4529806B2 (ja) 自動無線検針システム
KR102523406B1 (ko) 음성 안내기 설정 시스템
JP2019029679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操作装置
JP4853489B2 (ja) 自動無線検針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744632B1 (ko)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