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632B1 -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632B1
KR101744632B1 KR1020160070221A KR20160070221A KR101744632B1 KR 101744632 B1 KR101744632 B1 KR 101744632B1 KR 1020160070221 A KR1020160070221 A KR 1020160070221A KR 20160070221 A KR20160070221 A KR 20160070221A KR 101744632 B1 KR101744632 B1 KR 101744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terminal
data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수
Original Assignee
강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수 filed Critical 강지수
Priority to KR102016007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승객을 수용하여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운행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을 제어하는 신호전달기, 및 사용자의 희망 운행 층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상기 신호전달기로 전달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각 층의 세대뿐만이 아니라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원격 지역 어디에서도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배관 및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REMOTE 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해당 엘리베이터 운행층의 세대내에서 뿐만아니라 주차장같은 외부 장소에서도 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다층 건물의 층과 층 사이의 신속한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고층 건물의 증가와 이용 편리성으로 인해 설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약 2만 5천대의 엘리베이터가 신규 설치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약 200만대가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승객을 수용하여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로프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엘리베이터 카를 제동시키는 제동장치 및, 각종 센서와 스위치로 이루어져 승객이 선택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승객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탑승하기 위하여 해당 건물 내부의 각 층마다 구비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이 위치한 해당 층으로 호출하기 위한 호출입력버튼 및,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 및 운행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설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고급 주상복합 또는 아파트 등의 각 세대 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호출입력버튼 및 인디케이터가 각각 설치된 후, 해당 층의 승강장에 구비되는 호출입력버튼 및 인디케이터와 소정 배관 및 배선 등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건물이 설계되어,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은 각 세대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고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승강장에서의 대기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해당 건물의 각 세대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호출입력버튼 및 인디케이터와 해당 층의 승강장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호출입력버튼 및 인디케이터는 상호간에 유선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한편, 상기 각층 승강장의 호출입력버튼 및 인디케이터는 다시 유선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연결되어 소정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므로, 해당 건물의 내부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등에 많은 배관 및 배선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8350호(2004.04.03)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지역 어디에서도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엘리베이터의 큰 구조변경 없이 무선 제어가 가능한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 설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단말기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객을 수용하여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희망 운행층을 호출가능하게 상기 운행제어부와 유무선 통신하는 신호전달기, 및 사용자의 희망 운행 층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상기 신호전달기로 전달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전달기는 상기 운행제어부로부터 현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운행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현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운행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데이터변환부에서 변환한 데이터를 각각 상기 운행제어부와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 및 상기 운행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사용자 App부, 및 상기 사용자 App.부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희망 운행층을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신호전달기로 전송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층의 세대뿐만이 아니라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원격 지역 어디에서도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배관 및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하면, 기존 엘리베이터의 운행제어부와 통신가능한 신호전달기를 구성하여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하기 때문에 큰 구조변경 없이 무선으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과 비용이 효율적일 뿐더러, 인증단계를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호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내의 영상을 수신하여 불필요하게 기다리면서 짜증내는 일없이 엘리베이터 내의 상황을 파악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신호전달기의 주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단말기의 주요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100)와 엘리베이터(100)와 네트워크 통신(300)을 통하여 원격에서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100)는 로프를 통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승객을 수용하여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100a)와, 엘리베이터 카(100a)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제어부(100b)로 구성한다.
또한,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 카(100a)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운행제어부(100b)는 승객이 선택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100a)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운행제어부(100b)는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하여 해당 건물 내부의 각 층마다 구비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 카(100a)를 승객이 위치한 해당 층으로 호출하기 위한 호출입력버튼 및,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 및 운행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운행제어부(100b)는 원격 유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카(100a)의 희망 운행층을 호출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신호전달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100) 운행 층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100)와 단말기(400) 사이에 신호전달기(110)를 개재시켜 기존 엘리베이터 장치의 큰 구성의 변화없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신호전달기(110)는 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희망 운행 층을 설정하여 네트워크(300)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면, 이를 운행제어부(100b)로 전달하여 엘리베이터 카(100a)가 호출한 층으로 미리 도착해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신호전달기(110)는 운행제어부(100b)로부터 현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와 단말기(400)로부터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112)와. 운행제어부(100b)로부터 수신한 현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기(400)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는 운행제어부(100b)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113), 데이터변환부(113)에서 변환한 데이터를 각각 운행제어부(100b)와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114), 및 단말기(400)와 통신하는 통신부(116)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수신부(112)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데이터변화부(113)에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변환된 데이터는 운행제어부(100b)로 전송하거나 또는 통신부(116)를 통하여 단말기(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운행제어부(100b)로부터 현재 엘리베이터 카(100a)의 위치현황을 포함하는 운행층 현황을 수신하여 희망 운행층을 요청한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현황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11)는 단말기(400)로부터 희망 운행층을 요청받은 경우에 소정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 카(100a)가 정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운행층의 정보를 단말기(4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의 카메라부(100c)로부터 현재 엘리베이터 카(100a) 내의 촬영한 영상을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단말기 소지지가 현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400)로부터 희망 운행층을 요청받은 경우에 엘리베이터(100)가 고장이나 수리 중인 경우에는 고장이나 수리라는 데이터를 단말기소지자에게 전송하여 상황을 파악하여 대체 이동 수단을 강구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6)는 단말기(400)와 와이파이와 같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유무선통신부(116a)와 단말기(400)와 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전달기(110)를 기존의 엘리베이터 운행제어부(100b)와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통신은 단말기와 행하게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나, 신호전달기(110)와 운행제어부(100b)도 유무선으로 통신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신호전달기와 단말기간의 통신도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한 경우, 유무선 통신과 근거리무선 통신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근거리무선통신부(116b)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 ID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으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NFC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NFC는 NFC 안테나에 통상의 태깅(Tagging)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블루투스(Bluetooth)는 페어링(Pairing)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태깅을 통한 NFC통신방식으로 정보를 운행제어부(100b)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RF IDentification) 기술의 하나로 휴대폰, PCS 단말기, PDA 단말기,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PC 등이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 10㎝ 이내의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424kbps급)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따라서, 이러한 근거리무선통신부(116b)를 엘리베이터의 로비에 설치하면, 단말기(4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행제어부(100b)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제어기(110)는 영상추출부(115)를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 카메라부(100c)의 영상을 추출하여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한다.
단말기(400)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하 앱이라 함)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400)는 본 발명의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실행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에 필요한 서비스를 실행하여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표시하도록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App)부(460)와, 키입력부(430)와, 단말기표시부(420)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엘리베이터 구동 관련 각종 데이터를 단말기 표시부(420)에 표시하게 하는 단말기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단말기(4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하여 통신이 가능하며 표시부를 구비한 단말기를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사용자앱(App)부(460)는 앱스토어 등을 통하여 관련 앱을 다운받아 저장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서버로 동작하는 서버(5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인증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과정에는 해당 건물 입주자의 거주층을 비롯한 개인 정보를 인증정보로 인증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웹사이트로 동작되는 특정 서버(500)에 접속해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도 있으나,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앱에는 엘리베이터의 희망 운행층을 설정하거나 영상호출을 신호전달기(110)로 전달하고, 신호전달기(110)에서 전송되는 엘리베이터 운행 현황 정보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입력부(430)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패드로 해당 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통상의 스마트폰 기능 제어에 필요한 키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희망 층 설정버튼이나 영상 호출 버튼 등 엘리베이터 제어에 필요한 서비스를 실행하고 표시하기 위한 특정버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인터페이스(4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신호전달기(110)와 통신하여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근거리무선통신부(450)는 NFC, 블루투스(Bluetooth), WiFi, 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 신호전달기(110)와 통신인터페이스(410)를 통한 통신뿐만이 아니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엘리베이터의 로비에 설치된 근거리무선통신부(116b)와 단말기(400)와의 태깅(Tagging)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운행제어부(100b)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단말기표시부(420)는 통상의 통신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동작되나,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디스플레이시킨다.
단말기제어부(440)는 통신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통상의 통화 및 문자 전송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키입력부(430)의 특정버튼 입력에 따라 사용자앱(App)부(46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희망 운행 층을 신호전달기(110)로 전송하고, 신호전달기(110)에서 전송되는 엘리베이터 운행정보를 단말기표시부(420)에 표시하도록 동작한다.
아울러, 앱에 표시된 영상 호출 관련 키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통신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신호전달기(110)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을 수신하여 단말기 표시부(420)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기제어부(440)는 앱을 다운받아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간단한 SNS인증(카카오톡, 네이버, 페이스북 등) 후 앱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440)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엘리베이터 카(100a)의 희망 운행층을 통신인터페이스(410) 또는 근거리무선통신부(450)를 통하여 신호전달기(110)로 전송한 후 소정 시간 경과한 후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신호전달기(110)에 엘리베이터내의 영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전달기(110)는 카메라부(100c)에서 촬영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을 단말기(400)로 전송하면, 단말기제어부(440)는 수신한 영상을 앱상에 표시하게 하여, 호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지 않을 경우에 엘리베이터내의 영상을 표시하여 불필요하게 기다리면서 짜증내는 일없이 엘리베이터 내의 상황을 파악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은 단말기(400)에서 사용자 App.부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S111)와, 엘리베이터 카(100a)의 희망 운행층을 설정하는 단계(S119), 단계 S119에서 설정된 희망 운행층을 신호전달기(110)로 전송하는 단계(S120), 및 신호전달기(110)에서 수신한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운행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S122),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100a)를 희망 운행층으로 운행하는 단계(S123)를 포함한다.
먼저 단계 S111은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할 경우, 앱을 구동시켜 엘리베이터 제어에 필요한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단계 S111에서 앱이 활성화되면, 단말기제어부(440)는 통신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신호전달기(110)로 현재 엘리베이터 카(100a)의 운행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고(S112), 신호전달기(110)는 운행제어부(100b)에 데이터를 요청한다(S114).
이 경우 신호전달기(110)는 데이터변환부(113)에서 수신한 데이터요청을 운행제어부(100b)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13).
운행제어부(100b)는 요청받은 운행 정보를 신호전달기(110)로 전달하면, 다시 데이터변환부(113)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단말기(400)에서 표시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다(S116).
또한, 신호전달기(110)는 변환된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면(S117), 단말기는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여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행 층을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계 S112 내지 단계 S117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앱이 활성화되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별히 인식하거나 키 조작없이 이루어진다.
특히, 단계 S114와 단계 S115는 신호전달기와 운행제어부가 상호 통신하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도 있다.
단계 S118에서 수신한 엘리베이터 운행 현황을 앱에 표시하면, 사용자는 단말기의 키입력부(430)를 통하여 희망 운행층을 설정한다(S119).
단계 S119에서 희망 운행층이 설정되면, 단말기제어부(440)는 통신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신호전달기(110)의 통신부(116)로 데이터를 전송하면(S120), 데이터수신부(112)는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변환부(113)에서 변환하여(S121), 데이터제공부(114)를 통하여 운행제어부(100b)로 데이터를 송신한다(S122).
운행제어부(100b)는 수신한 층 데이터를 참고하여, 엘리베이터 카(100a)를 제어하고(S123), 엘리베이터 카(100a)의 현재 운행층에 대한 운행정보를 신호전달기(110)로 전달하면(S123), 신호전달기(110)는 운행정보를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S125), 단말기표시부(420)에 표시하는 것이다(S126).
이때, 단말기(400)에서 희망 운행층을 전송하였는 데도 불구하고 소정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 카(100a)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앱에서 영상을 요청하여 카메라부(100c)에서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 영상을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현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에서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소지자가 거주하는 빌딩이나 아파트에 엘리베이터가 둘 이상일 경우에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엘리베이터를 구별하는 식별기호, 예를 들면 "1호기, "2호기"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단말기와 신호전달기, 운행제어부간에 식별기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면 개별 엘리베이터들을 구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엘리베이터 100a : 엘리베이터 카
100b : 운행제어부 100c : 카메라부
110 : 신호전달기 111 : 제어부
112 : 데이터수신부 113 : 데이터변환부
114 : 데이터 제공부 115 : 영상추출부
116 : 통신부 300 : 네트워크
400 : 단말기 410 : 통신인터페이스
420 : 단말기 표시부 430 : 키입력부
440 : 단말기 제어부 45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460 : 사용자 App.부 500 : 서버

Claims (6)

  1. 승객을 수용하여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행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을 제어하는 신호전달기; 및
    사용자의 희망 운행 층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상기 신호전달기로 전달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전달기는,
    상기 운행제어부로부터 현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운행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현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희망 운행층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운행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데이터변환부에서 변환한 데이터를 각각 상기 운행제어부와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사용자 App부; 및
    상기 사용자 App부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희망 운행층을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신호전달기로 전송하는 단말기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희망 운행층을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신호전달기로 전송한 후 소정 시간 경과한 후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전달기에 상기 엘리베이터내의 영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70221A 2016-06-07 2016-06-07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174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21A KR101744632B1 (ko) 2016-06-07 2016-06-07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21A KR101744632B1 (ko) 2016-06-07 2016-06-07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632B1 true KR101744632B1 (ko) 2017-06-09

Family

ID=5921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221A KR101744632B1 (ko) 2016-06-07 2016-06-07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6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244A (ja) * 2001-12-27 2003-07-0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遠隔呼出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244A (ja) * 2001-12-27 2003-07-0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遠隔呼出方法及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1795B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a hall and car call for an elevator system
JP632112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596275B1 (ko) 이차-터치 엘리베이터 서비스 요청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EP2691331B1 (en) User guidance with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2494560B1 (ko) 방문자에게 건물로의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EP3184476B1 (en) User-customized elevator floor selection
JP556030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264062B2 (ja) 環境内、特に建物内でユーザを案内する方法
US20160090270A1 (en) Device triggered elevator car call
CN111747246B (zh) 为电梯系统的电梯轿厢配置可停楼层信息集
CN108298392B (zh) 在电梯操作环境中的通信系统和通信方法
EP3141509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bridge
EP3492412B1 (en) Sequence triggering for automatic calls & multi-segment elevator trips
US10647544B2 (en) Elevator notifications on mobile device associated with user identification device
CN105705447B (zh) 高度敏感的目的地登入
US20190349724A1 (en) Elevator service requesting based on social media application module
KR20110096269A (ko)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4051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170134894A1 (e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elevator systems compatible with a mobile hall call and car call system
JP2018537372A (ja) スマートウォッチならびにエレベータおよび案内システム
US20200130988A1 (en) Communication under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in building
CN112703164A (zh) 电梯系统以及便携式终端
JP637025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50073440A (ko) 휴대폰의 nfc를 이용한 승강기 호출 등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4632B1 (ko) 원격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