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096B1 -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096B1
KR100791096B1 KR1020060018782A KR20060018782A KR100791096B1 KR 100791096 B1 KR100791096 B1 KR 100791096B1 KR 1020060018782 A KR1020060018782 A KR 1020060018782A KR 20060018782 A KR20060018782 A KR 20060018782A KR 100791096 B1 KR100791096 B1 KR 10079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phone
home
func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412A (ko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미르파트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르파트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르파트너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0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및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및 빌라 등의 댁 내에 설치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홈서버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댁 내의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통화를 수행하고,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댁 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태를 감시하는 다기능 리모콘 및 상기 다기능 리모콘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기능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좌표를 이용하여 댁 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가전기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그 정보를 상기 다기능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기능 리모콘, 블루투스 통신, 통신수단, 홈서버, 자이로스코프

Description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리모콘 210 : 제어부
220 : 표시부 230 : 입력부
240 : 선택키 250 : 블루투스 통신 모듈
253 : IR송수신부 255 : 레이저빔 모듈
260 : 송신부 270 : 수신부
280 :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282 : 상하센서
284 : 로우패스필터1 286 : 좌우센서
288 : 로우패스필터2
300 : 홈 서버 302 : 메인프로세서
304 : 통신레지스터 306 : 메모리
308 : 블루투스 통신 모듈 310 : 전화라인
312 : 브이오아이피 314 : 외부 입출력 장치
324 : 지그비 통신 모듈 326 : 전력선 통신 모듈
328 : 유에스비 통신 모듈 330 : RS-485 통신 모듈
본 발명은 전화 및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기능 리모콘에 전화기능을 탑재하여 아파트 및 빌라 등의 댁 내에 설치된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폰과의 통화뿐만 아니라 외부의 일반전화 등과도 통화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을 원격제어 및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및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현재 많은 가전기기의 원격제어기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서 신호 체계가 다양하기 때문에 가전기기의 경우 해당 기기용 리모콘을 별도로 보유하여야 했다. 따라서, 가전기기가 많을 경우에는 여러 개의 리모콘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각 리모 콘을 관리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여러 개의 리모콘을 하나로 통합하는 유니버셜 리모콘이 개발되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유니버셜 리모콘을 이용하더라도 새로운 가전기기 등에 적용하기 어렵고, 각종 가전기기를 원격지에서 제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댁 내에서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 폰, 일반전화 등과 같은 전화가 걸려 올 경우, 걸려 올 때마다 전화기가 있는 곳으로 가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는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00-1257호(발명의 명칭 : 리모콘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공개특허공보 제2002-80013호(발명의 명칭 : 적외선 통합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그러한 기술에 포함된다.
전자의 이동 전화기는 사용자가 늘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전화기의 키입력부에 구비되는 각종 기능키를 누르면 이동전화기에 별도로 구비된 리모콘 송신부에서 해당 기능에 상응하는 광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의 각종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무선 인터넷 등을 이용해 가전제품의 리모콘 제어신호 포맷을 다운받아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전자의 이동 전화기 및 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지 리모콘 기능만을 단순히 부가한 것으로, 보안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아 특정 가전제품의 동일한 리모콘 제어신호 포맷이 있는 단말기만 가지면 누구라도 해당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어 보안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이동 전화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의 현재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단지 지정된 제어명령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거리 및 실내 구조상 다른 장소에 위치한 가전제품을 한 장소에서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하고자 하는 각 가전제품의 리모콘 제어신호 포맷을 모두 내장하고 있어야만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이동 전화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커져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다른 유사한 기술로는 대한미국특허공개번호 10-2004-0092084(출원일 : 2003년 4월 24일, 발명의 명칭 : 리모콘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와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04-0017576(출원일 : 2002년 8월 22일, 발명의 명칭 : 마이크가 설치된 리모콘 및 그 시스템)이 있다.
전자는 가전기기의 제어목록 및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휴대 단말기에 저장하여 특정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콘 신호를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송신하고, 후자는 리모콘에 마이크를 설치하여 화상통화시 그 리모콘을 이용하여 디지털 셋탑박스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음성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방식은 단순히 리모콘에 마이크를 부착하고 마이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음성이 입력되도록 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치 입력장치로는 마우스가 대표적이며, 게임을 하기 위한 조이스틱 이나 피씨용 게임기도 종래 기술에 따른 2차원 마우스 기술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일반컴퓨터, 텔레비젼, 아케이드게임, 인터넷 텔레비젼, 비디오, 오디오 등 리모콘의 위치 입력장치로서 바닥면에 접하지 아니하고 공중에서 장치의 회전운동이나 이동을 통해 기존의 컴퓨터 마우스처럼 마우스 커서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입력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3차원 위치 입력장치의 대표적인 케이스가 3차원 공간상에서 사용자가 잡고 움직이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모니터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마우스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다양한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기능 리모콘에 전화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하여 아파트 및 빌라 등의 댁 내에서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폰, 일반전화 등과의 통화를 수행하고, 또한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댁 내의 가전기기을 원격제어하고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및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기능이 있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아파트 및 빌라 등의 댁 내에 설치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홈서버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댁 내의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통화를 수행하고,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댁 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태를 감시하는 다기능 리모콘 및 상기 다기능 리모콘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기능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좌표를 이용하여 댁 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가전기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그 정보를 상기 다기능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기능 리모콘(200), 홈서버(300), 가전기기(400) 및 통신수단(도시안됨)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은 상기 홈서버(30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댁 내의 다양한 통신수단인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기능을 내장하여 댁 내의 TV, VOD, 비디오, 오디오 등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홈서버(300)로부터 댁 내의 TV, VOD, 비디오, 오디오 등 가전기기뿐만 아니라 외부 입출력 장치나 보안기기 등의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댁 내의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제공하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홈서버(300)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서버로 월패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홈서버(300)는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댁 내의 다양한 통신수단인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으로부터 수신된 일반적인 제어신호 및 상기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좌표를 이용하여 댁 내의 TV, 오디오, 비디오 등 가전기기를 지그비 통신, 전력선 통신, RS-232C/485/422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가전기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그 정보를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가까운 거리의 전자기기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무선통신 기술로,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1Mbps, 최대 전송거리 10m, 주파수 대역 2.4GHz에서 대역폭 1MHz를 지니며, 이 대역폭에 79개의 채널을 설정해 1초에 1600번 채널을 변경하는 주파수 도약(FH) 방식의 스펙트럼 확산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무선전화, 무선인터넷, 고품질의 디지털 음악 전송에 이르기까지 블루투스의 적용분야는 다양한데, 개인용 컴퓨터와 휴대전화 및 각종 디지털 기기 등을 하나의 무선통신 규격으로 동일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리모콘 에 적용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가전기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대신하여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및 다른 RF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그비(ZigBee : IEEE 802.15.4) 통신 방식은 저전력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868MHz(BPSK / 1채널 / 유럽), 902~928MHz(BPSK / 10채널 / 미국), 2.4GHz(OQPSK / 16채널 / 전세계) 등 3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DSSS변조 방식으로 최대 100m까지 20~250Kpbs의 전송속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있고, 또한 주소에 64비트를 할당함으로써 최대 65000개의 노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액세스 방법으로 무선 LAN과 비슷한 CSMA-CA를 사용하며 QoS를 위해 GTS 매커니즘을 도입하고 있는 기술이다.
상기 지그비 통신 방식(ZigBee : IEEE 802.15.4)의 가장 큰 특징은 초저전력 소비에 있다. 송수신시 평균 전력 소비 수준은 50mW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이고, 지그비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호출이 왔을 경우에만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빈도가 많지 않은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은 일반가정이나 사무실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하는 기술로, 현재 가정에서 흔히 쓰는 전류는 주파수 60Hz대역이고, 전압이 110 또는 220볼트이다. 전력선 통신은 60Hz이하의 주파수 대역에 통신신호를 실어보냄으로써 초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부가전기기나 비가전기기를 직접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RS-232C/485/422통신 방식은 Serial통신으로 인액티브 상태가 -12V, 액티브 상태가 +12V의 신호를 이용하여 RXD 신호와 TXD 신호를 서로 교차하여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댁 내의 각 방에 있는 전등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통신수단(도시안됨)은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전화수단을 말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다기능 리모콘(200)의 외부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본 발명인 다기능 리모콘(200)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의 하부에는 가전기기(전등, TV, DVD 등)에 대한 문자 또는 숫자형태의 선택키와 전화선택키(110)가 있고, 상부에는 하부의 선택키를 누르면 선택키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전화선택키(110)를 누르면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내장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전화번호를 눌러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반대로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는 전화선택키(110)를 누르고 통화를 하면된다.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의 반대편은 댁 내의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 폰, 일반전화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송신부(120)와 수신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은 제어부(210), 표시부(220), 입력부(230), 선택부(240), 블루투스 통신 모듈(250), 송신부(260), 수신부(2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화통화 기능과, 상기 구성에 상하센서(282), 로우패스필터1(284), 좌우센서(286) 및 로우패스필터(288)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기능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또한, IR송수신부(253)와 레이저빔 모듈(255)을 더 포함하여 상기 홈서버(300)와의 다양한 무선통신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210)는 다기능 리모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홈서버(30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전화통화, 원격제어, 상태감시 등의 기능을 제어하고, 자이로스코프 마우스의 상하위치값 및 좌우위치값을 상기 홈서버(300)로 전송하여 댁 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표시부(220)는 전화통화, 원격제어, 상태감시 등에 관련된 메뉴와 TV, 오디오 등 제어하고자하는 가전기기에 관련된 메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입력부(230)는 상기 표시부(22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 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제공하고, 선택된 메뉴정보를 상기 제어부(210)로 전송하고, 상기 홈서버의 터치스크린(334)에 디스플레이된 TV, 오디오, 비디오 등의 상부메뉴와 그 하부메뉴를 상기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상기 선택부(240)는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하거나 원격으로 가전기기를 제어 또는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TV, DVD, AUDIO, 전화 등의 문자 또는 숫자형태의 버튼을 제공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250)은 상기 선택되어진 전화통화, 원격제어, 상태감시 등의 신호를 상기 홈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마우스의 상하위치값 및 좌우위치값을 상기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홈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송신부(260)는 상기 사용자가 다기능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수단인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 폰, 일반전화와의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수신부(270)은 상기 사용자가 다기능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수단인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 폰, 일반전화와의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상기 상하센서(282)는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이 사용자에 의해 공간상에서 움직일 경우 그 상하위치값을 측정하여 로우패스필터1(284)로 전송한다.
상기 로우패스필터1(284)는 수신된 상기 상하위치값을 필터링한 후 그 값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상기 좌우센서(286)는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이 사용자에 의해 공간사에서 움직일 경우 그 좌우위치값을 측정하여 로우패스필터2(288)로 전송한다.
상기 로우패스필터2(288)는 수신된 상기 좌우위치값을 필터링한 후 그 값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상기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상하위치값과 좌우위치값을 측정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사용함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흐릴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인 홈서버(300)는 메인프로세서(302), 통신레지스터(304), 메모리(306), 블루투스 통신 모듈(308), 전화라인(310), 브이오아이피(312), 외부 입출력 모듈(314), 지그비 통신 모듈(324), 전력선 통신 모듈(326), 유에스비 통신 모듈(328), RS-485 통신 모듈(330), 전원부(34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로세서(302)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수단인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의 통화를 제어하고,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으로부터 수신된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댁 내의 모든 가전기기의 원격제어, 상태 감시 등의 전반적인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레지스터(304)는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과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고, 지그비 통신, 전력선 통신, RS-232C/422/485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신 버퍼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306)는 상기 홈서버(3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과 모든 가전기기와 관련된 정보(위치, 제어, 상태 등), 송수신 관련정보 등을 저장하는 램과 롬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308)은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과의 전화통화, 원격제어에 관련된 통신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마우스에 의해 가전기기를 원격제어하거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308)은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및 다른 RF 통신 모듈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전화라인(310)은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과 다양한 통신수단인 도어폰, 비디오폰, 일반전화와의 통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브이오아이피(312)는 인터넷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과 인터넷폰과의 통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외부 입출력 모듈(314)은 방범, 화재 및 가스 검출 등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지그비 통신 모듈(324)은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프로세서(302)에서 지시하는 사항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 하거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전력선 통신 모듈(326)은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프로세서(302)에서 지시하는 사항에 따라 외부 가전이나 비가전 등을 제어하거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유에스비 통신 모듈(328)은 상기 홈서버(300)의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메모리 확장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RS-485 통신 모듈(330)은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프로세서(302)에서 지시하는 사항에 따라 아파트 및 빌라 등 댁 내의 스위치와 전원 콘센트를 제어하거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RS-485 통신 모듈은 RS-232C나 RS-422 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원부(344)는 상기 홈서버(300)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인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화통화 할 경우를 살펴보면,
세대 방문자가 현관의 도어폰을 이용하여 세대 거주자와의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상기 홈서버(300)는 방문자가 있음을 인식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으로 신호음을 보내게 된다.
상기 세대 거주자는 신호음을 듣고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의 전화선택키(110)를 누르게 되면, 상기 홈서버(300)는 상기 도어폰과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을 서로 연결시켜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제어한다.
상기 세대 거주자는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는 수신부(130)를 통하여 세대 방문자의 음성을 듣고, 상기 송신부(120)로 통화를 하면, 상기 송신부(120)는 세대 거주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모듈(250)을 통하여 상기 홈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홈서버(300)는 다시 상기 도어폰으로 전송하여 세대 방문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또한, 세대 거주자는 세대 방문자를 위해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도어락 해제정보를 상기 홈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홈서버(300)는 지그비 통신(ZigBee : IEEE 802.15.4)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해제하여 상기 세대 방문자가 집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를 다시 상기 홈서버(300)를 통하여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으로 전송하여 상기 세대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가전기기 중 TV를 제어할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은 상기 홈서버(300)의 전원이 ON상태로 있을때는 항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자이로스코프 마우스의 위치값을 송신하여 상기 홈서버의 터치스크린(334)에 표시된 마우스 커서를 제어한다.
상기 사용자가 다기능 리모콘(200)을 집어서 홈서버의 터치스크린(334)를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가전기기의 메뉴 중에서 TV를 선택하고자 하면, 상기 다기능 리모콘(200)을 공간상에서 상하좌우를 움직여 상기 홈서버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켜 상기 TV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상기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가 다기능 리모콘(200)을 집어서 공간상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다기능 리모콘의 상하센서(282)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상하위치값을 측정하여 상기 로우패스필터1(284)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로우패스필터1(284)은 상기 상하위치값을 필터링 한 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전송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다기능 리모콘의 좌우센서(286)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좌우위치값을 측정하여 상기 로우패스필터2(288)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로우패스필터2(284)는 상기 좌우위치값을 필터링 한 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수신된 상하위치값과 좌우위치값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홈서버(30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홈서버(300)는 수신된 상하위치값과 좌우위치값을 이용하여 현재 홈서버의 터치스크린(334)에 위치한 마우스 커서의 위치값과 비교하여 마우스 커서를 터치스크린(334)의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홈서버의 터치스크린(334)에 위치한 마우스 커서가 상기 TV메뉴 위에 위치할 때 상기 다기능 리모콘의 입력부(230)를 이용하여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홈서버(300)는 상기 TV를 제어하여 전원을 ON시키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오디오, 비디오 등의 가전기기도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최적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화기능이 있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은, 상기 댁 내의 사용자가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하여 아파트 및 빌라 등의 댁 내에서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폰, 일반전화 등과의 통화를 할 수 있고, 또한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댁 내의 가전기기을 원격제어하고 그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아파트 및 빌라의 댁 내에 설치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홈서버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댁 내의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통화를 수행하고,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댁 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태를 감시하는 다기능 리모콘; 및
    상기 다기능 리모콘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기능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좌표를 이용하여 댁 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가전기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상기 다기능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홈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리모콘은
    다기능 리모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홈서버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화통화에 관련된 메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고, 선택된 메뉴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전화 선택키를 제공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되어진 전화통화의 신호를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상기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또는 일반전화와의 전화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또는 일반전화와의 전화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외부의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 폰 또는 일반전화를 통한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홈서버로부터 수신받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상기 다기능 리모콘에 의해 상기 비디오폰, 도어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와의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자이로스코프의 마우스 좌표를 상기 다기능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여 가전기기를 원격제어하거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상기 다기능 리모콘과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신 버퍼의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레지스터;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폰, 비디오폰, 인터넷폰, 일반전화의 통화를 제어하고, 자이로스코프의 마우스 좌표를 이용하여 댁 내의 모든 가전기기의 원격제어, 상태감시의 전반적인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메인프로세서;
    상기 홈서버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과 모든 가전기기와 관련된 정보, 송수신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램과 롬으로 구성되는 메모리;
    상기 다기능 리모콘과 도어폰, 비디오폰, 일반전화와의 통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전화라인;
    상기 다기능 리모콘과 인터넷폰과의 통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브이오아이피;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하거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지그비 통신 모듈;
    외부 가전 또는 비가전을 제어하거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전력선 통신 모듈;
    상기 홈서버의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메모리 확장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에스비 통신 모듈;
    아파트 및 빌라의 댁 내의 스위치와 전원 콘센트를 제어하거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RS-485통신 모듈;
    방범, 화재 및 가스 검출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입출력 모듈; 및
    상기 홈서버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리모콘은
    다기능 리모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홈서버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자이로스코프 마우스의 상하위치값 및 좌우위치값을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여 댁 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TV, 오디오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작동에 관련된 메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여, 선택된 메뉴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홈서버에 디스플레이된 TV, 오디오의 가전기기 메뉴를 상기 자이로스코프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입력부;
    사용자가 원격으로 TV, DVD, AUDIO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하거나 또는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숫자형태의 버튼을 제공하는 선택부;
    상기 다기능 리모콘이 공간상에서 움직이는 상하위치값을 측정하여 로우패스필터1로 전송하는 상하센서;
    상기 상하위치값을 필터링한 후 그 값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로우패스필터1;
    상기 다기능 리모콘이 공간상에서 움직이는 좌우위치값을 측정하여 로우패스필터2로 전송하는 좌우센서;
    상기 좌우위치값을 필터링한 후 그 값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로우패스필터2;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상하위치값 및 좌우위치값을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적외선 통신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KR1020060018782A 2005-07-04 2006-02-27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KR100791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748 2005-07-04
KR20050059748 2005-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12A KR20070004412A (ko) 2007-01-09
KR100791096B1 true KR100791096B1 (ko) 2008-01-03

Family

ID=3787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782A KR100791096B1 (ko) 2005-07-04 2006-02-27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11B1 (ko) * 2007-12-20 2009-08-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화형 tv를 위한 마우스 기능을 갖는 리모컨과 그제어방법
CN103200343A (zh) * 2013-03-14 2013-07-10 南洋 一种基于摄像头的手机遥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062A (ko) * 1995-04-24 1996-11-25 김광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062A (ko) * 1995-04-24 1996-11-25 김광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12A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9444B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US9412266B2 (en)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KR10103739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US20180240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KR102231105B1 (ko)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98227A1 (en) Remote doorbell control system and related smart doorbell device
CN100358309C (zh) 给网络中的设备分配名称的方法和电路装置
US8942694B2 (en) Digital devic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US20140064738A1 (en) Smart gateway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US20070188307A1 (en) Wireless door intercom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US20050272372A1 (en) Remotely activated bridge device for use with a home network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d using the same
KR20060108848A (ko) 무선 제어가 가능한 청소로봇과 그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CN105022366A (zh) 基于振动编码的可穿戴式智能家居遥控方法和系统
KR101253148B1 (ko)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CN202904854U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CN102449917A (zh)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以及冰箱
TW201324456A (zh) 遙控裝置
JP5469268B1 (ja) Wi−Fi信号より低い通信周波数を有する遠隔制御システム
CN104378672A (zh) 一种智能遥控器
US20080218372A1 (en) Light switch used as a communication device
KR20120105614A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91096B1 (ko)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JP2006067417A (ja) ネットワーク制御端末機器
KR100990131B1 (ko)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101235587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를 보조하는 서브단말기용 리모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