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614A -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614A
KR20120105614A KR1020110023134A KR20110023134A KR20120105614A KR 20120105614 A KR20120105614 A KR 20120105614A KR 1020110023134 A KR1020110023134 A KR 1020110023134A KR 20110023134 A KR20110023134 A KR 20110023134A KR 20120105614 A KR20120105614 A KR 2012010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information
pa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요섭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2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614A/ko
Publication of KR2012010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키로 최종 홈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홈 네트워크 기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가정 또는 직장 등의 실내 정보를 월-패드를 일일히 확인하지 않고도 알 수 있어 통신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실내 상황 및 응급 상황 여부 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저가의 실내 관리 비용으로 효과적인 실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INTERWORKING SYSTEM BETWEEN DOOR-ROCK SYSTEM AND HOME-NETWORKING SYSTEM USING SMART-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월-패드와 같은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디지털도어-락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키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여 필요 시 보다 편리하게 집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PC, RF 통신단말기, 디지털 TV, 게임기 등과 같은 가정 내의 정보기기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고 광대역 통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뿐 아니라 정보기기 사이의 통합과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집안과 집밖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홈 게이트 웨어, 전화선?전력선?무선 등과 같은 댁내 통신망, 정보기기를 제어하며 상호 연동시키는 미들 웨어, 홈 네트워킹 기능이 추가된 정보기기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기술은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선기술로는 전화선, 전력선, 이더넷, IEEE1394,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한 방식이 대표적인 기술이고, 무선 기술로는 IEEE802.11x 계열의 무선랜(LAN), "HomeRF", 블루투스(Bluetooth), 광대역통신(UWB: UltraWideBand), "Zigbee", "HiperLAN" 등이 대표적인 기술이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가 구축된 세대 내에는 가정 내 방범, 방재 및 각종 전기장치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표시 및 경고할 수 있는 월-패드와 같은 장치가 구축되어 있다. 또한, 이 월-패드와 같은 장치는 전화는 물론 조명제어, 커튼제어, 방문객 확인 및 비상경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월-패드와 같은 장치는 출입 현관문과 다소 멀리 떨어져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가 외출 시 가정 내 방범, 방재, 각종 전기장치 등의 상태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나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은 집안에 사람이 계속 있는지 외출을 나가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비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알람을 경보 하는 데 한계가 있어 사용상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출 시에도 가정 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외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정보를 스마트-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축된 기기들을 원격 제어하는 월-패드; 상기 월-패드와 RF 통신을 통해 상기 월-패드에 저장된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정보를 상기 월-패드로부터 RF 신호로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스마트-키; 및 상기 월-패드와 상기 스마트-키 간의 RF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어 역할을 수행하는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는 기동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는 기동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의 상기 기동신호 송신부가 기동신호를 발생시키면 일정 구역 안의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기동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기동신호를 전송받아서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로부터 상기 기동신호를 받아 웨이크-업된 후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상기 월-패드로 RF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월-패드는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 RF 신호를 송신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월-패드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입출입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메모리 및 상기 스마트-키 입출입 정보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를 상기 다수의 스마트-키 중 하나 이상의 스마트-키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월-패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월-패드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상기 월-패드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입력버튼은 RF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언락버튼 및 도어-락버튼, 월-패드정보요청버튼, 최종 정보표시버튼 및 메뉴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LCD 표시부, LED 표시부 및 부저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월-패드정보요청버튼, 최종 정보표시버튼 및 메뉴버튼 중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면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상기 월-패드에 해당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상기 월-패드로부터 상기 해당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는 내부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메모리는 입출입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키에 구비된 해당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입출입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수신된 상기 월-패드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험 상황일 경우 상기 LCD 표시부, 상기 LED 표시부의 점멸 또는 상기 부저 알람부의 경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을 알리는 경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디지털도어-락 장치에서 기동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일정 구역 안에서 해당 스마트-키가 상기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웨이크-업되는 제 2 단계; 상기 스마트-키가 월-패드의 정보를 요청하는 RF 신호를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RF 신호가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월-패드로 전송되는 제 4 단계;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상기 월-패드가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로 RF 신호를 전송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회신하는 제 5 단계; 상기 월-패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RF 신호가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스마트-키로 전송되는 제 6 단계; 및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가 상기 월-패드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어-락 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기능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스마트-키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은 일례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축된 기기들을 원격 제어하며, 내부에 RF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RF 통신을 수행하는 월-패드, RF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월-패드와 RF 통신을 수행하여 월-패드의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정보를 수신 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스마트-키와 RF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월-패드와 스마트-키 사이의 RF 통신의 게이트웨어 역할을 하는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월-패드는 가정의 주방이나 거실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핵심 기기로써 외관은 제품마다 다양하지만 보통 5 내지 15인치 정도 크기의 화면과 몇 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 터치스크린 방식이다. 월-패드의 기능은 기본 도어 폰이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도 방범, 방재, 가전ㆍ조명 기기 제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아파트 세대 간 화상 통화, 인터넷 접속, TV 수신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도 등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월-패드는 RF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도어-락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한다. 일례로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스마트-키로 RF 신호를 보내 월-패드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도어-락 시스템의 연동 작동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스마트-키는 기동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디지털도어-락 장치는 기동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디지털도어-락 장치의 상기 기동신호 송신부가 기동신호 예컨대, LF 신호(Low Frequency)를 발생시키면 일정 구역 안의 스마트-키가 그의 기동신호 수신부를 통해 기동신호를 전송받아서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하여 활성화된다.
이후, 스마트-키가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월-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 예컨대, RF 신호(Radio Frequency)를 송신하면 월-패드는 그 RF 신호를 수신하여 월-패드의 정보를 가진 RF 신호를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스마트-키로 송신하여 스마트-키 사용자가 월-패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스마트-키는 월-패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표시부의 일례로 LCD 표시부, LED 표시부 및 부저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는 다양한 정보의 확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여 입출입 정보 등을 저장하여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키의 구조와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월-패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실내의 상황을 알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 즉, 외출 시 미처 월-패드를 확인하지 못하고 외출하게 되어도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곳에서부터 근거리 통신 신호의 일례인 RF 신호의 범위에 따른 일정 구역, 예컨대 100미터 이내에서는 스마트-키가 월-패드의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게 되고, 수신 받은 월-패드의 정보는 스마트-키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확인하고 싶을 때는 언제라도 최종 실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월-패드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험 상황일 경우 스마트-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 기능도 수행하여 실외에서도 실내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가 어디에 있던지 스마트-키의 사용을 통해 외출 시의 가정 또는 회사 등의 실내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월-패드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정보도 RF 신호를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거쳐 스마트-키로 송신함으로써 스마트-키 사용자에게 메시지 정보를 확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보 통신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를 가정 밖에서도 도어-락 시스템의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수신된 메시지정보를 스마트-키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키가 입출입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여 필요 시 입출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도어-락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월-패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 실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은 월-패드, 스마트-키 및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포함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이 홈 네트워크 기능과 스마트-키 도어-락 시스템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2b에서 후술할 디지털도어-락 장치에서 기동신호 예컨대, LF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한다(1). 이때 일정 구역 안에서 해당 스마트-키가 상기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활성화된다(2).
활성화된 스마트-키가 월-패드의 정보를 요청하는 RF 신호를 도 2a에서 후술할 디지털도어-락 장치로 전송한다(3).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는 스마트-키로부터 받은 RF 신호를 월-패드로 전달한다(4).
월-패드가 월-패드의 정보를 요청하는 RF 신호를 수신하면 월-패드의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중 요청된 정보가 담긴 RF 신호를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로 회신하게 된다(5).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는 월-패드부터 받은 RF 신호를 스마트-키로 전달한다(6).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는 표시부를 통해 월-패드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의 정보를 스마트-키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용 월-패드를 일일히 확인하지 않고 외출하여도 RF 통신이 가능한 일정 구역 안에서 월-패드의 홈 네트워크 정보를 스마트-키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외출 시의 최종 홈 네트워크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확인하게 하여 실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월-패드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험 상황일 경우 스마트-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 기능도 수행하여 실외에서도 실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은 입출입 정보 등의 홈 네트워크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고, 월-패드가 외부로부터 원격으로 수신한 메시지 정보도 RF 신호를 통해 실내 안과 밖에서 스마트-키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 도 2a 및 도2b와 같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도어-락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실내로 통하는 문에 설치되어 문고리의 역할을 하는 디지털도어-락 장치이고, 도 2b는 실외에서 외부인을 확인하기 위해 벨 장치와 함께 설치되는 디지털도어-락 장치이다.
도 2b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는 기동신호 송신부가 내장되어 실외 구역으로 기동신호 예컨대, LF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킨다. 이 때 일정 구역 안에 있는 스마트-키는 기동신호 수신부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하여 활성화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스마트-키를 동작시켜 스마트-키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후, RF 신호 송수신부가 내장된 스마트-키가 RF 신호를 발생시키면 RF 신호 송수신부가 내장된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가 RF 신호를 월-패드에 전달하고 RF 신호 송수신부를 내장하고 있는 월-패드에서 발생한 RF 신호 역시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가 스마트-키로 전달한다. 즉, 도 2a 및 도 2b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는 스마트-키와 월-패드 사이의 통신을 이어주는 역할 즉, 게이트 웨어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를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키(300)의 구성도를 보면 스마트-키(300)는 기동신호 수신부(310), RF 신호 송수신부(320), 월-패드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70), 하나 이상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340),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5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60)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스마트-키(300)의 기동신호 수신부(310)는 도 2b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로부터 기동신호를 수신하고, RF 신호 송수신부(320)는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서 월-패드와 RF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키(300)는 월-패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37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표시부(370)는 일례로 LCD 표시부(333), LED 표시부(331) 및 부저 알람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키(300)의 표시부(370)인 LCD 표시부(333)는 스마트-키(300)가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월-패드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LCD 표시부(333)는 월-패드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정보도 월-패드로부터 전송 받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월-패드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험 상황일 경우 LCD 표시부(333)에 이미지 또는 글로 나타내거나 LED 표시부(331)의 점멸 및 부저 알람부(332)의 경고음 발생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300)는 다양한 정보의 확인 기능 및 도어-락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3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입력부(340)는 도어-언락버튼(345), 도어-락버튼(341), 월-패드정보요청버튼(342), 최종 정보표시버튼(344) 및 메뉴버튼(3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키(300)의 입력부(340)인 월-패드정보요청버튼(342), 최종 정보표시버튼(344) 또는 메뉴버튼(343)을 누르면 스마트-키(300)가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월-패드로 RF 신호를 전송하여 버튼에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월-패드로부터 해당정보를 RF 신호로 수신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300)는 내부에 메모리부(350)를 포함하는데, 메모리부(350)는 스마트-키(300)의 입출입 정보와 월-패드로부터 수신된 입출입 정보를 저장하여 스마트-키(300)의 표시부(37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에서 홈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고 홈 네트워크 정보를 도어-락 시스템과 통신하는 월-패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월-패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중 홈 네트워크 월-패드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입출입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메모리 및 상기 스마트-키 입출입 정보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를 상기 다수의 스마트-키 중 하나 이상의 스마트-키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는 예컨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를 RF 신호를 통해 전송하는 RF 신호 송수신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월-패드의 RF 신호 송수신부(미도시)는 도 2a의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스마트-키(300)로 RF 신호를 전송하여 월-패드에 내장된 내부메모리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월-패드는 가정 또는 직장 등 실내를 출입하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입출입 정보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를 내부메모리에 저장하여 외부에 있는 다수의 스마트-키 등의 통신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정보 또는 입출입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정보 확인의 편리함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의 정보를 스마트-키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용 월-패드를 일일히 확인하지 않아도 스마트-키에 저장된 외출 시 최종 실내 상황 등의 홈 네트워크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확인하게 하여 가정, 회사 등의 실내 관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월-패드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험 상황일 경우 스마트-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 기능도 수행하여 실외에서도 실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키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외부로 홈 네트워크 정보 및 입출입 정보 등을 전달할 수도 있고, 월-패드가 외부로부터 원격으로 수신한 메시지 정보도 스마트-키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월-패드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도 RF 신호를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거쳐 스마트-키로 송신하여 스마트-키 사용자에게 메시지 정보를 확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보 통신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도어-락 시스템을 연동하여 구현하여 외부에서도 가정 또는 회사 등의 외출 시 최종 실내 상황 및 기타 다른 홈 네트워크 정보들에 대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인 실내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기능을 도어-락 시스템을 통해 구현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어느 변경 형태로 만들어지든지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봄이 상당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스마트-키와 상기 스마트-키로 각종 홈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월-패드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봄이 상당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300: 스마트-키 310: 기동신호 수신부
320: RF 신호 송수신부 330: 제어부
340: 입력부 350: 메모리부
360: 전원부 370: 표시부
331: LED 표시부 332: 부저 알람
333: LCD 표시부 341: 도어-락버튼
342: 월-패드정보요청버튼 343: 메뉴버튼
344: 최종 정보표시버튼 345: 도어-언락버튼

Claims (11)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축된 기기들을 원격 제어하는 월-패드;
    상기 월-패드와 RF 통신을 통해 상기 월-패드에 저장된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정보를 상기 월-패드로부터 RF 신호로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스마트-키; 및
    상기 월-패드와 상기 스마트-키 간의 RF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어 역할을 수행하는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기동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는 기동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의 상기 기동신호 송신부가 기동신호를 발생시키면 일정 구역 안의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기동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기동신호를 전송받아서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로부터 상기 기동신호를 받아 웨이크-업된 후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상기 월-패드로 RF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월-패드는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 RF 신호를 송신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월-패드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입출입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메모리 및 상기 스마트-키 입출입 정보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를 상기 다수의 스마트-키 중 하나 이상의 스마트-키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월-패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월-패드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상기 월-패드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입력버튼은 RF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언락버튼 및 도어-락버튼, 월-패드정보요청버튼, 최종 정보표시버튼 및 메뉴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LCD 표시부, LED 표시부 및 부저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월-패드정보요청버튼, 최종 정보표시버튼 및 메뉴버튼 중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면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상기 월-패드에 해당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상기 월-패드로부터 상기 해당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내부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메모리는 입출입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키에 구비된 해당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입출입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를 통해 수신된 상기 월-패드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험 상황일 경우 상기 LCD 표시부, 상기 LED 표시부의 점멸 또는 상기 부저 알람부의 경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을 알리는 경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11. 디지털도어-락 장치에서 기동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일정 구역 안에서 해당 스마트-키가 상기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웨이크-업되는 제 2 단계;
    상기 스마트-키가 월-패드의 정보를 요청하는 RF 신호를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RF 신호가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월-패드로 전송되는 제 4 단계;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상기 월-패드가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로 RF 신호를 전송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회신하는 제 5 단계;
    상기 월-패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RF 신호가 상기 디지털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스마트-키로 전송되는 제 6 단계; 및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가 상기 월-패드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10023134A 2011-03-16 2011-03-16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20105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34A KR20120105614A (ko) 2011-03-16 2011-03-16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34A KR20120105614A (ko) 2011-03-16 2011-03-16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14A true KR20120105614A (ko) 2012-09-26

Family

ID=4711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134A KR20120105614A (ko) 2011-03-16 2011-03-16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61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700B2 (en) 2013-10-28 2016-02-02 Smartlab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US9317984B2 (en) 2013-10-28 2016-04-19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locking and unlocking of doors using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US9324203B2 (en) 2013-10-28 2016-04-26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a door keypad
US9347242B2 (en) 2013-10-28 2016-05-24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detect a door state
US9361786B2 (en) 2013-12-05 2016-06-07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window coverings using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US9529345B2 (en) 2013-12-05 2016-12-27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adjust window coverings
US9628422B2 (en) 2013-07-12 2017-04-18 Smartlabs, Inc. Acknowledgement as a propagation of messages in a simulcast mesh network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8422B2 (en) 2013-07-12 2017-04-18 Smartlabs, Inc. Acknowledgement as a propagation of messages in a simulcast mesh network
US9251700B2 (en) 2013-10-28 2016-02-02 Smartlab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US9317984B2 (en) 2013-10-28 2016-04-19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locking and unlocking of doors using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US9324203B2 (en) 2013-10-28 2016-04-26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a door keypad
US9347242B2 (en) 2013-10-28 2016-05-24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detect a door state
US9754483B2 (en) 2013-10-28 2017-09-05 Smartlab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US9361786B2 (en) 2013-12-05 2016-06-07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window coverings using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US9529345B2 (en) 2013-12-05 2016-12-27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adjust window cover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5614A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00461725C (zh) 基于因特网的家庭自动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915630A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JP4693425B2 (ja)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US20070293208A1 (en) Wireles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building automation, lighting, security and appliances
CN202904854U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CN201435002Y (zh) 一种智能家居的远程自动化控制系统
CN103595601A (zh) 用于物联网监控的家庭网关及物联网监控系统
JP2016192676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6330633A (zh) 物联网智能家居系统
CN103812736A (zh) 智能家居管理中心系统
US9755694B2 (en) Wall-embedded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CN106227049A (zh) 物联网智能家居监控系统
CN103310516A (zh) 一种门禁监控系统
CN102750764A (zh) 一种可视遥控安全门的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427309A (zh) 智能家居控制系统
JP2006202013A (ja)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KR20060066980A (ko) 사용자의 생활패턴 인식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
KR20150123676A (ko)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
CN106094559A (zh) 多功能智能家居监控系统
KR101441507B1 (ko)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100929773B1 (ko) 피제어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서버
KR20050018206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35587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를 보조하는 서브단말기용 리모콘 시스템
KR100791096B1 (ko) 다기능 리모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