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218A -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218A
KR20040046218A KR1020020074059A KR20020074059A KR20040046218A KR 20040046218 A KR20040046218 A KR 20040046218A KR 1020020074059 A KR1020020074059 A KR 1020020074059A KR 20020074059 A KR20020074059 A KR 20020074059A KR 20040046218 A KR20040046218 A KR 2004004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ndby
power supply
microcomputer
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393B1 (ko
Inventor
김상두
홍권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393B1/ko
Priority to US10/720,747 priority patent/US7072189B2/en
Publication of KR2004004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출력 전압을 피드백시켜 정전압을 만드는 대기 전원 변환부를 구비함으로써, 대기 모드 시 마이컴의 동작전원 및 대기전원을 최소의 소비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A Power Supply}
본 발명은 전기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기기, 예를 들어 영상기기는 정상적으로 영상기기 시스템을 재생하는 정상모드와 영상 기기 시스템의 재생을 잠정적으로 중단하고 이후 사용자 요구시 재동작시키기 위해 마이컴 등에 필수전원만을 공급하여 마이컴의 제어신호 출력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마이컴에는 보통 레귤레이터를 통해 출력된 정전압이 동작전원 및 대기전원으로 공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레벨 이상의 동작전압이 요구되는 다수개의 부하(50, 60)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용 교류전압을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10)와, 정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20)와,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된 전압을 받아 해당 전기 기기의 각 구성요소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40)과, 다수개의 부하(50, 60)에 필요한 직류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직류 전원부(10)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다수개의 부하(50, 60)들이 요구하는 해당 전압레벨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부(10)는 전원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레귤레이터(Regulator)(20)와 전원 변환부(30)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레귤레이터(Regulator)(20)는 상기 직류 전원부(10)에서 공급된 직류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을 유지하여 마이컴(40)으로 출력한다.
이어서, 마이컴(40)은 상기 레귤레이터(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주 전원으로 하여, 전원 변환부(30)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마이컴(40)은 대기 모드인 경우 전기 기기의 해당부하(50, 60)로의 직류전압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전원 변환부(30)에 출력하고 정상 모드인 경우 전기 기기의 해당부하(50, 60)들이 요구하는 직류전압 즉, 동작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온 제어신호를 전원 변환부(30)에 출력한다.
또한, 전원 변환부(30)는 상기 직류 전원부(10)에서 공급된 전압을 소정레벨의 각각 다른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제 1 부하(50) 및 제 2 부하(60)의 동작전압으로 공급한다.
하지만,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의 전원공급장치는 대기 모드 시에 마이컴 동작을 위한 일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동작 효율이 낮은 레귤레이터(Regulator)를 이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크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대기 모드 시 출력 전압을 피드백시켜 정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동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별도의 대기 전원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기 기기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에서 대기 전원변환부의 전원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직류 전원부 200: 레귤레이터
300: 마이컴 400: 전원 변환부
500: 제 1 부하 600: 제 2 부하
700 : 대기 전원 변환부 701 : 트랜스
702 : 피드백 회로 800 : 스위치
901 : KEY 902 : 통신 회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와,상기 직류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레벨을 상기 다수개의 부하들이 요구하는 각각의 동작전압 레벨로 변화하여, 상기 다수개의 부하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변환부와, 상기 전원 변환부의 동작을 전기 기기의 정상/대기 모드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와, 상기 전기 기기의 대기 모드 시 상기 마이컴에 피드백된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대기전원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기기의 정상 모드 시에 상기 마이컴에 정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기 기기의 정상 또는 대기 모드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 또는 대기 전원 변환부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에 정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기 전원 변환부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전원탭을 갖는 변환기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를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상용 교류전압을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부(100)와, 상기 직류 전원부(1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레벨을 상기 복수개의 부하가 요구하는 각각의 동작전압 레벨로 변화하여, 상기 다수개의 부하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변환부(400)와, 상기 전원 변환부(400)의 동작을 전기 기기의 정상/대기 모드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00)과, 상기 전기 기기의 대기 모드 시 상기 마이컴(300)에 피드백된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대기전원 변환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기 기기의 정상 모드 시에 상기 마이컴(300)에 정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200)와, 상기 전기 기기의 정상 또는 대기 모드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200) 또는 대기 전원 변환부(700)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대기 전원 변압부(700)에 의해 KEY, 터치 스크린 또는 근거리 통신 회로에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입력부 또는 통신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 모드 시 전원부(100)는 전원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레귤레이터(Regulator)(200)와 전원 변환부(400)에 직류전원을 각각 공급하고, 상기 레귤이터(200)는 상기 직류 전원부(100)에서 공급된 직류 전원을 일정래벨의 정전압을 유지시켜 마이컴(300)에 출력한다.
다음, 마이컴(300)은 상기 레귤레이터(20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을 주 전원으로 하여, 전원 변환부(400)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반면, 대기 모드 시에 상기 마이컴(300)은 상기 대기 전원 변환부(700)에 직류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스위치(8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800)는 상기 레귤레이터(200)로의 직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변환부(400)에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 시 마이컴(300)이 Key(901) 및 통신회로(902)를 통해 데이터 등을 받을 수 있도록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함으로 전원이 항시 '온'되어 있어야만 하고, 최소의 전력이 소모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대기 전원부(700)에서는 12V에서 5V로 감압한다.
또한, 사용자(User)의 편리성을 위해 상기 Key(901), 터치 스크린 및 통신회로(902)등을 통해 데이터 입력 시 마이컴(300)이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800)를 동작시킴으로서 대기 상태의 회로를 정상 동작되도록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에서 대기 전원변환부의 전원 회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대기 전원 변환부(700)는 직류 전원부(100)에서 입력된 직류정전압으로 만들기 위해 5V/12V의 2중 탭(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트랜스(701)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고, 출력된 5V를 피드백(Feedback) 회로(702)를 통해 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대기 모드 시 별도의 정전압 레귤레이터(Regulator)를 사용하지 않고 회로의 부하가 작아짐으로써 대기 전원 변환부(700)의 트랜스(701)도 작은 용량으로 설계가 가능함으로 트랜스 로스(Loss)도 줄어들어 대기전력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대기 모드 시에 낮은 전압을 피드백시켜 정전압을 갖도록 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출력 전압을 피드백시켜 정전압을 만드는 대기 전원 변환부를 구비함으로써, 대기 모드 시 마이컴의 동작전원 및 대기전원을 최소의 소비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용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
    상기 직류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레벨을 상기 다수개의 부하들이 요구하는 각각의 동작전압 레벨로 변화하여, 상기 다수개의 부하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의 동작을 전기 기기의 정상/대기 모드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전기 기기의 대기 모드 시 상기 마이컴에 피드백된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대기전원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의 정상 모드 시에 상기 마이컴에 정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상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의 정상 또는 대기 모드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 또는 대기 전원 변환부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에 정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전원 변환부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전원탭을 갖는 변환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002-0074059A 2002-11-26 2002-11-26 전원공급장치 KR100525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59A KR100525393B1 (ko) 2002-11-26 2002-11-26 전원공급장치
US10/720,747 US7072189B2 (en) 2002-11-26 2003-11-25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59A KR100525393B1 (ko) 2002-11-26 2002-11-26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218A true KR20040046218A (ko) 2004-06-05
KR100525393B1 KR100525393B1 (ko) 2005-11-02

Family

ID=3282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059A KR100525393B1 (ko) 2002-11-26 2002-11-26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72189B2 (ko)
KR (1) KR10052539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773B1 (ko) * 2005-01-11 200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KR100721530B1 (ko) * 2005-03-31 2007-05-23 센서스앤드컨트롤스코리아 주식회사 대기모드시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장치
KR100826924B1 (ko) * 2006-04-13 2008-05-22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전자식 스위치
KR100835088B1 (ko) * 2007-05-07 2008-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soc)의 슬립전류 조절회로
KR100884555B1 (ko) * 2007-07-06 2009-02-1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KR100887095B1 (ko) * 2007-10-05 2009-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시퀀스를 개선한 통합 전원 장치
KR20110047009A (ko) * 2009-10-29 201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0026B2 (en) * 2002-04-18 2007-10-09 Coldwatt, Inc. Extended E matrix integrated magnetics (MIM) core
US7176585B2 (en) * 2003-12-29 2007-02-13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Power distribution web node and power management process
US7417875B2 (en) * 2005-02-08 2008-08-26 Coldwatt, Inc. Power converter employing integrated magnetics with a current multiplier rectifi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876191B2 (en) 2005-02-23 2011-01-25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Power converter employing a tapped inductor and integrated magnetic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436687B2 (en) * 2005-03-23 2008-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direct current power supplies
JP2007012000A (ja) * 2005-07-04 2007-01-18 Hitachi Ltd 記憶制御装置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4446290B2 (ja) * 2006-03-02 2010-04-07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及び卓上切断機
US8125205B2 (en) 2006-08-31 2012-02-28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Power converter employing regulators with a coupled inductor
US7667986B2 (en) * 2006-12-01 2010-02-23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Power system with power converters having an adaptive controller
US7675758B2 (en) 2006-12-01 2010-03-09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Power converter with an adaptiv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675759B2 (en) * 2006-12-01 2010-03-09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Power system with power converters having an adaptive controller
US9197132B2 (en) 2006-12-01 2015-11-24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Power converter with an adaptiv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889517B2 (en) 2006-12-01 2011-02-15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Power system with power converters having an adaptive controller
US7468649B2 (en) 2007-03-14 2008-12-23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Isolated power converter
US7906941B2 (en) 2007-06-19 2011-03-15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input power for a power processing circuit
JP2009026126A (ja) * 2007-07-20 2009-02-05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US8103887B2 (en) * 2008-07-31 2012-01-24 Zippy Technology Corp. Power supply consuming low energy in standby conditions
US7863774B2 (en) * 2008-11-06 2011-01-04 Zippy Technology Corp. Multi-output power supply
CN102342008B (zh) 2009-01-19 2016-08-03 伟创力国际美国公司 用于功率转换器的控制器
WO2010083511A1 (en) 2009-01-19 2010-07-22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Controller for a power converter
WO2010114914A1 (en) 2009-03-31 2010-10-07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Magnetic device formed with u-shaped core pieces and power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US8514593B2 (en) 2009-06-17 2013-08-20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Power converter employing a variable switching frequency and a magnetic device with a non-uniform gap
US8643222B2 (en) 2009-06-17 2014-02-04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Power adapter employing a power reducer
US9077248B2 (en) 2009-06-17 2015-07-07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Start-up circuit for a power adapter
US8638578B2 (en) 2009-08-14 2014-01-28 Power System Technologies, Ltd. Power converter including a charge pump employable in a power adapter
CN102549525B (zh) * 2009-10-08 2015-01-14 奥迪欧沃克斯公司 用于节能电源的自动可变电源插座
US8976549B2 (en) 2009-12-03 2015-03-10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Startup circuit including first and second Schmitt triggers and power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US8520420B2 (en) 2009-12-18 2013-08-27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Controller for modifying dead time between switches in a power converter
US8787043B2 (en) 2010-01-22 2014-07-22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Controller for a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246391B2 (en) 2010-01-22 2016-01-26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Controller for providing a corrected signal to a sensed peak current through a circuit element of a power converter
WO2011116225A1 (en) 2010-03-17 2011-09-22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Control system for a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792257B2 (en) 2011-03-25 2014-07-29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power dissipation
US8792256B2 (en) 2012-01-27 2014-07-29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Controller for a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190898B2 (en) 2012-07-06 2015-11-17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Controller for a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106130B2 (en) 2012-07-16 2015-08-11 Power Systems Technologies, Inc. Magnetic device and power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US9099232B2 (en) 2012-07-16 2015-08-04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Magnetic device and power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US9379629B2 (en) 2012-07-16 2016-06-28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Magnetic device and power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US9214264B2 (en) 2012-07-16 2015-12-15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Magnetic device and power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US9240712B2 (en) 2012-12-13 2016-01-19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Controller including a common current-sense device for power switches of a power converter
US9300206B2 (en) 2013-11-15 2016-03-29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Method for estimating power of a power converter
WO2016186633A1 (en) * 2015-05-15 2016-11-2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ynamically changing a power supply voltage to 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447Y1 (ko) * 1994-09-29 1998-08-17 배순훈 서지전압검출시 전원공급차단회로
KR970014258A (ko) * 1995-08-10 1997-03-29 서두칠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제어장치
JPH1023354A (ja) * 1996-06-29 1998-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用電源装置
US5852550A (en) * 1997-08-04 1998-12-22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witched-mode power supply circuit having a very low power stand-by mode
KR20000003783A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JP3461730B2 (ja) * 1998-07-07 2003-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0376131B1 (ko) * 2000-09-22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전원 절전형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3395B1 (ko) 2001-07-02 2004-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773B1 (ko) * 2005-01-11 200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KR100721530B1 (ko) * 2005-03-31 2007-05-23 센서스앤드컨트롤스코리아 주식회사 대기모드시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장치
KR100826924B1 (ko) * 2006-04-13 2008-05-22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전자식 스위치
KR100835088B1 (ko) * 2007-05-07 2008-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soc)의 슬립전류 조절회로
KR100884555B1 (ko) * 2007-07-06 2009-02-1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엘리베이터 원격제어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
KR100887095B1 (ko) * 2007-10-05 2009-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시퀀스를 개선한 통합 전원 장치
KR20110047009A (ko) * 2009-10-29 201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393B1 (ko) 2005-11-02
US7072189B2 (en) 2006-07-04
US20040156220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393B1 (ko) 전원공급장치
JPH1141825A (ja) 電源切替装置
KR20070075106A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JP2001119956A (ja) 力率調整装置及び力率調整方法
US20090091189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WI462440B (zh) 低耗電多通道供電系統
US20170018960A1 (en) Dynamic dc link voltage control
JP4396861B2 (ja) 電源回路
KR10048001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20040076A (ko)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장치
JP2000241477A (ja) 被試験用直流電源装置の運転方法
US9906073B1 (en) Power supply for reducing working power loss
JPH11164476A (ja) 電源装置
KR100710259B1 (ko)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그 영상기기
CN114913817B (zh) 显示装置及显示控制方法
JP2003061353A (ja) 電源ユニット
KR2008007659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97396B1 (ko) 소비전력 절감 장치
KR20060071041A (ko) 티브이의 대기전력 절약 장치
KR100327387B1 (ko) 모니터의 전원회로
KR200336107Y1 (ko) 컴퓨터를 끈 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하는 다용도 전원공급장치
KR100287846B1 (ko) 모니터의 디피앰 모드 소비전력 절감장치
KR100396598B1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초절전 스탠바이 장치
KR200247737Y1 (ko) 영상 표시장치의 피드백 전압 안정화 회로
KR970001361B1 (ko) 대기전원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절전회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