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318B1 - 트레이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레이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318B1
KR100881318B1 KR1020050081211A KR20050081211A KR100881318B1 KR 100881318 B1 KR100881318 B1 KR 100881318B1 KR 1020050081211 A KR1020050081211 A KR 1020050081211A KR 20050081211 A KR20050081211 A KR 20050081211A KR 100881318 B1 KR100881318 B1 KR 10088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veying
plate
storage devic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169A (ko
Inventor
히로시 후카자와
료스케 타하라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65G47/08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distinct, separate conveyor 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2Stacking of articles characterised by stacking during trans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characterized by movements or sequence of movements of transfer devices

Abstract

"선입 후출식"의 보관수단과 "선택 출입식"의 보관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반송경로에 배치함으로써, 효율 좋은 반송을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판형상 공작물(1)을 트레이(2)에 격납한 상태로 반송하고, 트레이(2)로부터 판형상 공작물(1)을 꺼내는 수단과, 트레이(2)에 판형상 공작물(1)을 격납하는 수단과, 트레이(2)를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보관장치(15)를 반송경로(3)에 구비하였다. 처리시간의 실행간격에 균일성을 요구받는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그 처리장치에 이르는 반송경로에, 적층한 상태로 보관된 트레이(2)로부터 소망의 트레이(2)를 선택적으로 반송경로(3)로 꺼내는,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15B)를 구비하였다. 그 외의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그 처리장치에 이르는 반송경로 상에, 트레이(2)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여 최하층에 적층된 트레이(2)로부터 순차 반송경로(3)로 꺼내는,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15A)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트레이 반송 시스템{TRAY CARRY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반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반송 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판형상 공작물과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적층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1매의 트레이가 보관된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새롭게 트레이를 보관하려고 하는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1매의 트레이가 보관된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새롭게 트레이를 보관하려고 하는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3매의 트레이가 보관된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트레이가 반송경로로 꺼내어진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보관장치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 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판형상 공작물 2 : 트레이
3 : 반송경로 4 : 반송 컨베이어
5 : 처리장치 32 : 이송장치
15 : 보관장치 15A :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
15B :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
본 발명은 가공이나 검사 등을 위하여 판형상 공작물을 반송하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디스플레이(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되는 판형상 공작물을 반송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면서 제조하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트레이 반송 시스템에서는, 롤러 컨베이어를 반송수단으로 한 반송경로를 따라서, 판형상 공작물의 처리장치가 처리의 순번에 따라서 일렬로 배치된다. 그리고, 미가공의 판형상 공작물을 반송경로를 따라서 반송하고, 반송경로의 각 부에 설치한 처리장치에서 순번으로 가공처리가 실시된다.
판형상 공작물은, 트레이 등의 보호 케이스에 격납한 상태로 반송경로에 투입된다. 그래서, 판형상 공작물을 처리장치에 공급할 때에 판형상 공작물을 트레이 로부터 꺼내기 위한 수단과, 반송경로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처리장치에 반송하기 위한 수단과, 판형상 공작물의 꺼내어진 트레이를 보관하여 두기 위한 수단과, 처리 후에 다시 판형상 공작물을 트레이에 격납하기 위한 수단과, 처리장치로부터 반송경로에 판형상 공작물을 반송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판형상 공작물을 트레이로부터 꺼내거나 격납하거나 하기 위한 수단과, 트레이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여 두기 위한 수단에 관한 발명이 복수개 출원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이다.
상기 출원에 있어서는, 트레이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여 두기 위한 수단으로서, 먼저 보관수단에 보관된 트레이가 최후로 반송경로에 꺼내어지는, 소위 "선입 후출식"의 것(특허문헌 1)과, 보관수단에 보관된 순번에 구애되지 않고 임의의 트레이를 선택하여 반송장치에 꺼내는 것이 가능한, 소위 "선택 출입식"의 것(특허문헌 2)이 각각 제안되어 있다. 또한, "선택 출입식"의 보관수단은, 먼저 보관수단에 보관된 트레이로부터 순서대로 반송경로로 꺼내어지는, 소위 "선입 선출식"의 보관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16848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4-168469호 공보
상기 "선입 후출식", "선택 출입식"의 보관수단은 각각에 특징이 있고, 또 각각에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선택 출입식"의 보관수단에서는 임의의 순번으로 트레이를 꺼낼 수 있기 때문에 판형상 공작물의 처리간의 대기시간이 결정되어 있는 처리장치에 판형상 공작물을 공급하는 경우나, 먼저 보관된 판형상 공작물을 먼저 처리하고 싶은 경우 등에 적합하다. "선입 후출식"의 보관수단은 "선택 출입식"의 것보다, 장치의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화, 소형화할 수 있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트레이의 선출 후입을 실행할 수 있는 보관수단과, 트레이의 선출 선입을 실행할 수 있는 보관수단과, 임의의 트레이를 선택하여 출입가능한 보관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반송경로에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반송을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청구항 1에 있어서는, 판형상 공작물을 트레이에 격납한 상태로 반송하고, 트레이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꺼내는 수단과, 트레이에 판형상 공작물을 격납하는 수단과, 반송경로에 있어서 트레이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반송경로에 구비한 트레이 반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보관수단으로서 트레이를 순차 일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함과 아울러, 최후로 적층된 트레이로부터 순차 반송경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와, 트레이를 순차 일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함과 아울러 최초로 적층된 트레이로부터 순차 반송경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송경로를 따라서 복수의 처리장치를 배치하고, 처리시간의 실행간격에 균일성이 요구되는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그 처리장치에 이르는 반송경로 상에 상기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를 설치하고, 다른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다른 처리장치에 이르는 반송경로 상에 상기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있어서는, 판형상 공작물을 트레이에 격납한 상태로 반송하고, 트레이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꺼내는 수단과, 트레이에 판형상 공작물을 격납하는 수단과, 반송경로에 있어서 트레이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반송경로상에 구비한 트레이 반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보관수단으로서 트레이를 순차 일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함과 아울러 최후에 적층된 트레이로부터 순차 반송경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와, 트레이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함과 아울러 보관된 트레이로부터 소망의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반송경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를, 반송경로 상에서 트레이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꺼내는 수단과 트레이에 판형상 공작물을 격납하는 수단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를, 트레이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꺼내는 수단의 반송경로 상류와, 트레이에 판형상 공작물을 격납하는 수단의 반송경로 하류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에 설치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있어서는, 상기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에, 상기 보관장치에 보관되는 적층 트레이 중 취출 선택한 트레이의 상방에 적층되는 트레이와, 취출 선택한 트레이의 하방에 적층되는 트레이를, 취출 선택한 트레이의 반송경로에의 취출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삭제
다음에,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반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반송 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판형상 공작물과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적층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1매의 트레이가 보관된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새롭게 트레이를 보관하려고 하는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1매의 트레이가 보관된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새롭게 트레이를 보관하려고 하는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3매의 트레이가 보관된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트레이가 반송경로로 꺼내어진 보관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보관장치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반송 시스템(100)은, 판형상 공작물(1)을 격납하는 트레이(2)를, 반송경로(3)를 따라서 반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레이 반송 시스템(100)에서 취급하는 판형상 공작물(1)로서는, 전자 디스플레이(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되는 판형상 공작물이나, 유기EL에 이용되는 수지판 등이 있다. 또, 처리장치(5)는 전자 디스플레이의 제조공장이면, 예를 들면 세정장치나 검사장치, 성막장치, 에칭장치 등, 판형상 공작물 (1)에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 또는 이들 장치의 조합이다. 단, 처리장치(5)는 상기 일례로서 열거한 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레이(2)의 반송수단은 반송 컨베이어(4)로 하고 있고, 반송 컨베이어(4·4…)를 직선상으로 연결하여 반송경로(3)가 구성된다. 반송경로(3)의 도중에는 반송경로(3)상을 반송되는 트레이(2)로부터 판형상 공작물(1)을 꺼내기 위한 이송장치{32(32A)}와, 처리장치(5)로 판형상 공작물(1)을 주고받기 위한 연락 컨베이어{30(30A)}와, 처리장치(5)로부터 판형상 공작물(1)을 반송경로(3)로 주고받기 위한 연락 컨베이어{30(30B)}와, 반송경로(3)상을 반송하는 트레이(2)에 판형상 공작물(1)을 격납하기 위한 이송장치{32(32B)} 등이, 배치된다. 또 반송경로(3)의 도중에 있어서 트레이(2)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는 보관장치{15(15A)·15(15B)}가 구비된다. 또한, 컨베이어(30) 및 이송장치(32)의 부호는, 처리장치(5)에 대한 반입측에 부호 A를 붙이고, 처리장치(5)에 대한 반출측에 부호 B를 붙이고 있다.
[반송 컨베이어(4)]
반송 컨베이어(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4)에는 트레이(2)를 지지함과 아울러 반송하는 다수의 롤러(13·13…)와, 롤러(13)의 구동력 전달기구를 격납하는 본체(4a)와, 반송방향의 좌우단에서 본체(4a)에 세워 설치하는 가이드(4b·4b)가 구비된다. 또, 본체(4a)는 지지다리(4c·4c…)에 의해 바닥면 상방에서 지지된다. 반송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배치된 롤러(13·13…)로 복수의 롤러열이 구성되고, 본체(4a)에 구비된 구동수단으로서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이, 벨트나 풀리 등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통해서 전달 되어, 각 롤러(13)가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롤러(13·13…)상을 트레이(2)가 반송방향으로 이동되어 반송경로(3)상을 반송하게 된다.
[트레이(2)]
트레이(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공작물(1)은 판면(1a)이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자세로 트레이(2)에 격납된다. 판형상 공작물(1)을 격납한 트레이(2)는, 반송 컨베이어(4)에 의해 반송경로(3)상을 반송하여 반송경로(3)를 따라서 배치된 처리장치(5)의 측방까지 반송되어 왔을 때에, 이송장치(32)에 의해 트레이(2)로부터 판형상 공작물(1)이 꺼내어져서 연락 컨베이어(30)에 이송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2)의 형상은 판형상 공작물(1)의 형상에 대응하여 판형상으로 된다. 트레이(2)는 주로 저면(2a), 가이드(2b), 가이드(2c), 결합 오목부(2d), 돌출부(2e), 결합구멍(2f), 단차부(2h), 판형상 공작물(1)을 적재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14), 이송장치(32)에서 판형상 공작물(1)의 주고받기에 이용하는 통과구멍(31) 등으로 구성된다.
저면(2a)의 반송방향 전후 양단에는, 지지체(14)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2b·2b)가 세워 설치되고, 판형상 공작물(1)의 반송방향 전후로의 탈락방지가 도모된다. 한편, 저면(2a)의 반송방향 좌우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전후 1쌍의 가이드(2c·2c)가 각각 세워 설치되어, 판형상 공작물(1)의 반송방향 좌우로의 탈락방지가 도모된다.
트레이(2)에는 가이드(2b)의 상면 좌우에, 돌출부(2e·2e)가 돌출됨과 아울 러, 저면(2a)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결합구멍(2f·2f…)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2·2)를 상하로 겹치면, 각 돌출부(2e)가 각 결합구멍(2f)에 결합하여 적층된 트레이(2·2)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지되어 트레이(2)를 정밀하게 다수 적층할 수 있다.
[이송장치(32)]
이송장치(32)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판형상 공작물(1)을 트레이(2)로부터 꺼내는 이송장치(32A)와, 판형상 공작물(1)을 트레이(2)로 격납하는 이송장치(32B)는 대략 동일한 구성이고, 후술하는 이송 롤러(36)의 회전방향을 전환함으로써 판형상 공작물(1)을 트레이(2)로부터 꺼내는 동작과, 판형상 공작물(1)을 트레이(2)로 격납하는 동작을 전환하여, 이송장치(32A) 또는 이송장치(32B)로서 기능시킨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장치(32)는 주로 기부(33), 승강대(34), 롤러 유닛(35), 이송 롤러(36), 제어장치(40) 등으로 구성된다. 이송장치(32)는 반송경로(3)를 구성하는 반송 컨베이어(4)의 하방에 배치된다. 이송장치(32)의 기부(33)는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기구를 갖고, 기부(33)의 상부에는 승강대(34)가 설치된다. 또, 승강대(34)의 상면에는 롤러 유닛(35·35…)이 세워서 설치되고, 롤러 유닛(35)의 상면에는 축선방향이 반송경로(3)의 반송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이송 롤러(36·36…)가 회전구동 가능하게 피벗팅된다. 또한 이송장치(32)의 승강 및 이송 롤러(36)의 회전구동은, 제어수단(4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반송 컨베이어(4)의 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롤러 유닛(35)은 반송 컨베이어(4) 저면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롤러 유 닛(35) 상면의 높이는, 이송장치(32)가 하강하고 있을 때에, 반송 컨베이어(4)의 롤러(13·13…)의 상단보다 낮고, 반송경로(3)를 따라서 반송되는 트레이(2)의 저면과 접촉하지 않는 대기위치에 있다. 또, 롤러 유닛(35)의 상면의 높이는, 이송장치(32)가 상승하고 있을 때에, 반송 컨베이어(4)의 롤러(13·13…)의 상단보다 높고, 반송경로(3)를 따라서 반송되는 트레이(2)의 저면과 접촉하는 이송위치에 있다. 즉, 이송장치(32)는 제어수단(40)에 의해, 롤러 유닛(35)을 대기위치와 이송위치 사이에서 전환가능하게 제어함으로써 트레이(2)로부터 판형상 공작물(1)만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유닛(35·35…)은 트레이(2)가 반송 컨베이어(4)상, 또한 이송장치(32)의 바로 위에 위치할 때에, 트레이(2)의 저면(2a)에 형성된 통과구멍(31·31…)과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롤러 유닛(35·35…)의 상면에 설치된 이송 롤러(36·36…)는, 그 상단이 롤러 유닛(35·35…) 상면보다 더욱 상방으로 돌출되고, 이송장치(32)가 상승하고 있을 때에, 이송 롤러(36)의 상단은 반송경로(3)상의 트레이(2)에 설치된 지지체(14)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온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레이(2)가 반송 컨베이어(4)상, 또한 이송장치(32)의 바로 위에 위치할 때에 이송장치(32)가 상승하면, 롤러 유닛(35)은 트레이(2)의 통과구멍(3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트레이(2)에 판형상 공작물(1)이 격납되어 있을 때에는, 판형상 공작물(1)의 하면은 이송 롤러(36·36…)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체(14)로부터 이간하여 들어올려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 롤러(36)가 회전구동되면, 이송 롤러(36)에 지지되어 있는 판형상 공 작물(1)은 반송경로(3)의 측방으로 반송됨과 아울러, 트레이(2)가 반송 컨베이어(4)상을 반송방향으로 반송된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2)로부터 판형상 공작물(1)을 꺼내어 판형상 공작물(1)을 연락 컨베이어(30A)로 이송하거나, 혹은 연락 컨베이어(30B)에서 반송되어 온 판형상 공작물(1)을 트레이(2)에 격납할 수 있다.
[연락 컨베이어(30)]
연락 컨베이어(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락 컨베이어{30(30A)·30(30B)}는 반송 컨베이어(4)에 설치된 이송장치(32)의 측방에 배치된다. 반송경로(3)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락 컨베이어{30(30A)}는 반송경로(3)와 처리장치(5)의 반입구(도시생략)를 접속하고 있고, 판형상 공작물(1)을 반송경로(3)로부터 처리장치(5)에 반입하기 위한 반입경로로 된다. 또, 반송경로(3)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락 컨베이어{30(30B)}는, 반송경로(3)와 처리장치(5)의 반출구(도시생략)를 접속하고 있고, 판형상 공작물(1)을 처리장치(5)로부터 반송경로(3)에 반출하기 위한 반출경로로 된다.
연락 컨베이어(30)의 기본적인 구성은 반송 컨베이어(4)와 대략 동일하고, 다수의 롤러(37·37…)와, 그 롤러(37)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력 전달기구(도시생략)와, 판형상 공작물(1)이 연락 컨베이어(30)로부터 탈락하지 않기 위한 가이드(38·38)와, 지지다리(39·39…) 등이 구비된다.
[보관장치(15)]
보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경로(3)의 적당한 위치에는, 트레이(2)를 저류하는 보관장치{15(15A·15B)}가 설치된다. 보관장 치(15)는 트레이(2)를 반송경로(3)로부터 일차 퇴피시키는 것이다. 또, 보관장치(15)는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를 반송경로(3)에 투입하는 것이다. 또한, 보관장치(15)에 보관되는 트레이(2)는, 반송경로(3)에 있어서의 보관장치(15)의 배치에 의해서 판형상 공작물(1)이 격납된 상태 또는 판형상 공작물(1)이 꺼내어져 빈 상태로 되어 있다.
반송경로(3)에 설치되는 보관장치(15)에는, 트레이(2)의 적재방법 및 취출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적재보관된 것과 반대의 순번으로 트레이(2)가 꺼내어지는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이다. 또 하나는 보관된 순번에 구애되지 않고, 적층보관되는 트레이(2·2…) 중 임의의 트레이(2)를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이다. 또한,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는 최초로 보관한 트레이(2)로부터 적재보관된 것과 동일 순번으로 꺼낼 수 있으므로, 소위 "선입 선출식"의 보관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각 보관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는 주로 유지수단(18), 승강수단(19),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1) 등으로 구성된다.
승강수단(19)에는, 바닥면에 놓여지는 기부(20)와, 기부(20)에 대하여 상하로 진퇴하는 승강대(21)가 구비된다. 승강대(21)에는 기판(21a)의 전후에 판형상의 부재인 지지판(21b·21b)이 세워 설치되고, 측면에서 볼 때에 오목형상으로 된다. 반송 컨베이어(4)의 하면에는 지지판(21b·21b)을 삽통하는 개구(4d·4d)가 형성되고, 지지판(21b·21b)이 롤러(13·13) 사이를 통과하여 트레이(2)의 하면과 접촉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수단(19)을 승강시킴으로써 반송경로(3)상, 또한 승강수단(19)의 바로 위에 있는 트레이(2)를, 반송경로(3)로부터 이간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거나, 하강시켜서 반송경로(3) 상에 적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수단(18)은 승강수단(19)을 둘러싸도록 반송 컨베이어(4)의 외측에 배치되는 4개의 제지부(22·22…)로 구성된다. 각 제지부(22)는 바닥면에 세워 설치하는 원기둥형상의 지주(23)와, 지주(23)와 동축에 설치되고, 지주(23)의 길이방향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회전체(24)를 구비하고, 회전체(24)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L자형의 제지부재(25)가 단단히 설치된다. 제지부재(25)는 제지부(22)의 회동에 의해 트레이(2)와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트레이(2)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결합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에 의한 트레이(2)의 보관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트레이(2)가 보관장치(15)의 바로 위까지 반송 컨베이어(4)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우선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결합 해제위치까지 회동시켜서 트레이(2)와 제지부재(25)의 결합을 해제한다. 다음에, 트레이(2)의 가이드(2b·2b)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2d·2d)와 유지수단(18)의 제지부재(25)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는 위치까지, 승강수단(19)을 상승시켜서 트레이(2)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계속해서,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시켜서 트레이(2)와 제지부재 (25)를 결합시킨다. 이 상태가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고, 트레이(2)는 유지수단(18)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수단(19)을 하강시켜도 트레이(2)는 반송경로(3)의 상방에 이간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이 때, 승강수단(19)을 하강시키고 있으면 유지수단(18)에 의해 유지된 상태의 트레이(2)의 아래를 다른 트레이(2)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유지수단(18)에 의해 트레이(2)가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다른 트레이(2)가 승강수단(19)의 바로 위까지 반송경로(3)를 따라서 반송되어 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우선 새롭게 보관되는 트레이(2)의 상면이 유지수단(18)에 적층 유지되어 있는 최하층의 트레이(2)의 저면(2a)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승강수단(19)을 상승시키고, 새롭게 보관되는 트레이(2)를 최하층에 적층한다. 다음에,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하여, 유지수단(18)에 적층 유지되어 있는 최하층의 트레이(2)와 제지부재(25)의 결합을 해제한다. 계속해서, 새롭게 보관되는 트레이(2)의 결합 오목부(2d·2d)와, 유지수단(18)의 제지부재(25)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는 위치까지 승강수단(19)을 상승시킨다. 또한, 제지부재(25)의 선단부(25a)가 새롭게 보관되는 트레이(2)의 결합 오목부(2d·2d)에 결합하는 위치까지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시킨다. 이 상태가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여, 유지수단(18)에 적층 유지된 트레이(2·2…)의 최하층에 새롭게 트레이(2)를 적층시킬 수 있다.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에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를 꺼내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에 적층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 군은, 컨베이어(4)에 의해 반송되는 트레이(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트레이군의 하방을 반송경로(3)를 따라서 트레이(2)는 이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우선, 유지수단(18)에 적층되어 있는 최하층의 트레이(2)에 접촉할 때까지, 승강수단(19)을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하고, 최하층의 트레이(2)와, 제지부재(25)의 결합을 해제한다. 계속해서, 최하층의 트레이(2)보다 1층 위에 적층된 트레이(2)의 결합 오목부(2d·2d)와, 유지수단(18)의 제지부재(25)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는 위치까지 승강수단(19)을 강하시킨다. 또한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시켜서 최하층의 트레이(2)와 유지수단(18)의 제지부재(25)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최하층의 트레이(2)가 반송 컨베이어(4)상에 도달할 때까지 승강수단(19)을 강하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유지수단(18)에 적층되어 있는 트레이(2·2…) 중, 최하층에 있는 트레이(2)로부터 순서대로 반송경로(3)로 꺼내어진다. 따라서, 먼저 보관된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2)가 최후로 꺼내지게 된다.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에서는, 반송경로(3)의 상방에 트레이(2)를 하방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겹쳐 쌓아서 적층하여 보관한다. 또, 적층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 중, 최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2)부터 반송경로(3)로 꺼낸다. 단, 반송경로(3)의 측방에 적층한 상태로 트레이(2)를 보관하는 형태의 것이나, 상방에서 일방향으로 트레이(2)르 겹쳐 쌓아서 보관하고, 적층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트레이(2)부터 반송경로(3)로 꺼내는 형태의 것을,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로서 채용할 수 있다. 즉,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경로(3)를 반송되는 트레이(2)를 적층보관 가능하 고, 적층 보관된 순번과 반대의 순번으로 반송경로(3)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것을,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로서 채용할 수 있다.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에는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보다 고위치에 트레이(2)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유지수단(18)과, 트레이(2)를 승강시키고, 또한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보다 저위치에 트레이(2)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승강수단(19)과, 반송 롤러를 트레이(2)의 반송면으로부터 퇴피시키는 퇴피수단(50)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1) 등으로 구성된다.
승강수단(19)에는, 바닥면에 적재되는 기부(20)와, 기부(20)에 대하여 상하로 퇴피하는 승강대(21)가 구비된다. 승강대(21)는 보조 컨베이어(49·49)가 퇴피됨으로써 반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반송면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유지수단(18)은 승강수단(19)을 둘러싸도록 반송 컨베이어(4)의 외측에 배치되는 4개의 제지부(22·22…)로 구성된다. 각 제지부(22)는 바닥면에 세워 설치하는 원기둥형상의 지주(23)와, 그 지주(23)와 동축에 설치되고, 지주(23)의 길이방향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회전체(24)를 구비하고, 회전체(24)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L자형의 제지부재(25)가 단단히 설치된다. 또한, 유지수단(18)은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에 구비되는 것과 대략 같은 구조이다.
반송 컨베이어(4)의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가 설치되는 부분에서는, 좌우 한쌍의 보조 컨베이어(49·49)와, 보조 컨베이어(49)를 컨베이어(4)의 반송경로 외측에 이간시키는 퇴피수단(50)이 설치되고, 이들로 트레이(2)를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의 상하에 이동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반송경로(3)상에서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가 설치되는 부분에서는, 반송 컨베이어(4) 대신에 좌우 한쌍의 보조 컨베이어(49·49)가 설치된다. 보조 컨베이어(49)는 반송방향 대략 중앙에 대해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가동프레임(51·51)과, 가동프레임(51·51)에 지지된 복수의 반송롤러(52·52…)로 구성된다. 가동프레임(51)은 반송방향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반송방향 좌우에 각 일렬의 반송롤러(52·52…)가 설치된다. 반송롤러(52·52…)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에 의해 트레이(2)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가동프레임(51·51)은 유압식이나 전동식의 퇴피수단(50)에 의해 반송방향 대략 중앙에 대하여 진퇴구동된다.
그리고, 가동프레임(51·51)이 반송방향 대략 중앙에 대하여 진출한 상태에서는 보조 컨베이어(49·49)상을 트레이(2)가 통과하고, 반송경로(3)를 따라서 트레이(2)를 반송 컨베이어(4)로 반송할 수 있다. 또, 가동프레임(51·51)이 반송방향 대략 중앙에 대하여 후퇴한 상태에서는, 보조 컨베이어(49·49)가 반송방향 좌우로 후퇴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4)에 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를 통해서 트레이(2)가 반송면을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보조 컨베이어(49·49)가 반송방향 좌우로 후퇴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에 의한 트레이(2)의 보관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트레이(2)가 보관장치(15)의 바로 위까지 반송 컨베이어(4)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의 상방에서는 유지수단(18)에 의해 복수의 트레이(2·2…)가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우선 반송 컨베이어(4)상의 새롭게 보관되는 트레이(2)에 접촉할 때까지 승강수단(19)을 상승시킨다. 이어서, 보조 컨베이어(49·49)를 반송경로(3)로부터 후퇴시킨다. 그리고, 새롭게 보관하는 트레이(2)가, 반송면의 상방에 적층 유지되어 있는 트레이(2·2…)의 최하층의 트레이(2)에 적층되기까지, 승강수단(19)을 더욱 상승시킨다. 이어서,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시키고, 트레이(2)와 제지부재(25)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는, 적층된 모든 트레이(2·2…)가 승강수단(19)에 의해 지지된다. 계속해서, 새롭게 보관하는 트레이(2)의 가이드(2b·2b)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2d·2d)와, 유지수단(18)의 제지부재(25)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는 위치까지, 승강수단(19)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시켜서 제지부재(25)와 새롭게 보관하는 트레이(2)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승강수단(19)이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의 하방에 이를 때까지, 승강수단(19)을 강하시켜서 보조 컨베이어(49·49)를 반송경로(3)로 진출시키고, 보조 컨베이어(49·49)로 트레이(2)를 반송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에 새롭게 트레이(2)를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순서에서는, 트레이(2)는 하방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겹쳐 쌓여지고, 반송경로(3)의 상방에 보관된다. 단,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에서는 적층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의 임의 위치에 새롭게 트레이(2)를 보관하거나, 상방 으로부터 일방향으로 트레이(2)를 겹쳐 쌓아서 반송경로(3)의 하방에 보관하거나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에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의 하나를 선택하여 꺼내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의 상방에서는 유지수단(18)에서 복수의 트레이(2·2…)가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조 컨베이어(49·49)를 반송경로(3)로부터 후퇴시키고, 반송면의 상방에 적층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2…)에 접촉할 때까지 승강수단(19)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트레이(2·2…)군이 승강대(21)에 지지되면,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시켜 트레이(2)와 제지부재(25)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리고, 취출 선택한 트레이(2)의 1층 위의 트레이(2)의 가이드(2b·2b)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2d·2d)와, 유지수단(18)의 제지부재(25)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는 위치까지, 승강수단(19)을 이동시키고 유지수단(18)의 제지부(22)를 회동시켜, 제지부재(25)와 새롭게 보관하는 트레이(25)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취출 선택한 트레이(2)의 상방에 적층된 트레이(2)는, 유지수단(18)에서 취출 선택된 트레이(2)의 반송경로(3)에의 취출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된다.
다음에, 취출 선택된 트레이(2)가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에 도달할 때까지 승강수단(19)을 강하시키고, 보조 컨베이어(49·49)를 반송경로(3)로 진출시켜, 보조 컨베이어(49·49)상을 트레이(2)가 반송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수단(19)을 더욱 강하시키고, 취출 선택한 트레이(2)의 하 층에 적층되어 있는 트레이(2·2…)를 반송경로(3)의 하방에 승강수단(19)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한다. 즉, 유지수단(18)과, 보조 컨베이어(49·49)와, 승강수단(19)으로 취출 선택된 트레이(2)의, 상방 및 하방에 적층되어 있는 트레이(2·2…)는 취출 선택된 트레이(2)의 반송경로(3)에의 취출 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되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2)의 반송방향 좌우 둘레가장자리부에는, 단차부(2h)가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2)를 복수 적층하면, 트레이(2)의 단차부(2h·2h) 사이에 간극(K)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2)가 적층된 상태로 보조 컨베이어(49·49)를 반송경로(3)로 진출시킨 경우, 트레이(2) 사이의 간극(K)에 반송 롤러(52·52…)가 삽입되고, 반송 롤러(52·52…)에서 트레이(2)가 지지됨과 아울러 반송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관장치(15B)에 보관되어 있는 임의의 트레이(2)를 반송 컨베이어(4)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순서로는, 반송면의 상방에 적층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2…) 중, 중간에 위치하는 트레이(2)를 취출 선택한 트레이(2)로 하고 있지만, 최상층에 적층 보관된 트레이(2)로부터 순차 취출하도록 하거나, 최하층에 적층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로부터 순차 취출하도록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 반송면의 하방에 적층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2…)로부터 임의의 트레이(2)를 취출 선택할 수도 있다.
또,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는, 적층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의 임의 위치에 새롭게 트레이(2)를 보관하거나, 임의의 트레이(2)를 선택하여 취출하거나 하 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방으로부터 일방향으로 트레이(2)를 겹쳐 쌓아서 적층 보관하고, 보관된 순번과 동일 순번으로 적층 보관되어 있는 트레이(2)를 반송경로(3)로 꺼내는, 선입 선출식의 보관장치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이상 구성에 있어서,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는, 취출 선택한 트레이(2)의 상층에 적층되는 트레이군과, 취출 선택한 트레이(2)의 하층에 적층되는 트레이군을, 취출 선택한 트레이의 반송경로로의 취출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시키는 수단으로서 유지수단(18)과, 승강수단(19)과, 퇴피수단(50)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유지수단(18)은, 취출 선택한 트레이(2)의 상층에 적층되는 트레이군을, 반송경로(보조 컨베이어(49·49))의 상방으로 이간시킴으로써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시키는 수단이다. 승강수단(19)은 취출선택한 트레이(2)의 하층에 적층되는 트레이군을, 반송경로(보조 컨베이어(49·49))의 하방으로 이간시킴으로써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시키는 수단이다. 퇴피수단(50)은, 보조 컨베이어(49·49)를 반송경로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며, 승강수단(19)에 의한 하층 트레이군의 퇴피시에 그 퇴피경로를 형성하는 수단이고, 승강수단(19)에 의한 하층 트레이군의 퇴피를 보조하는 것이다.
[보관장치의 배치]
상술의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는 구조가 간이하고, 또 트레이(2)의 적층이나 트레이(2)의 취출이 간이하기 때문에, 장치를 고속화, 소형화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에 따른 비용이 낮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에서는, 트레이(2)를 적층 보관한 상태에서 임의의 트레이(2)를 꺼낼 수 있고, 트 레이(2)의 꺼내는 순번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판형상 공작물(1)의 처리나 검사, 반출 등의 순서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4에는, 일직선상으로 컨베이어가 부설되어 이루어지는 반송경로(4)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반송경로(4)상에는, 처리장치(5A·5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처리장치(5A)와 처리장치(5B)는 판형상 공작물(1)에 실시하는 처리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처리장치(5)와는 다른 부호로 하고 있다. 또, 도 14에는 반송경로(4)상에 있어서 처리장치(5)에 대응하는 보관장치(15)의 배설위치가 도시되어 있고, 각각 위치 A, 위치 B, 위치 C, 위치 D이다.
위치 A는 처리장치(5A)에 대한 반송경로(4)의 상류 위치이고, 여기에 실 트레이 보관용 보관장치(15)가 배치된다. 또 실 트레이란 판형상 공작물(1)이 수용된 트레이(2)를 말한다. 위치 B는 반송경로(4)상에 있어서, 처리장치(5A)의 반입구와 반출구 사이의 위치이며, 여기에 빈 트레이 보관용 보관장치(15)가 배치된다. 또한, 빈 트레이란, 판형상 공작물(1)이 없는 단지 트레이(2)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위치 C는 처리장치(5B)에 대한 반송경로(4)의 상류 위치이고, 여기서 실 트레이 보관용 보관장치(15)가 배치된다. 위치 D는 반송경로(4)상에 있어서, 처리장치(5B)의 반입구와 반출구 사이의 위치이며, 여기서 빈 트레이 보관용 보관장치(15)가 배치된다. 또, 보관장치(15)는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와,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를 총칭하고 있다.
위치 A에 배치되는 보관장치(15)는 처리장치(5A)에 대한 선공정의 처리장치(5)와, 처리장치(5A) 사이에 배치되는 보관장치(15)이다. 마찬가지로, 위치 C에 배 치되는 보관장치(15)는 처리장치(5B)에 대한 선공정의 처리장치(5)(즉 처리장치(5A))와 처리장치(5B) 사이에 배치되는 보관장치(15)이다.
위치 A 또는 위치 C에 배치되는 실 트레이 보관용 보관장치(15)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기초하여 배치된다. 처리시간의 실행간격에 균일성을 요구받는 경우, 즉 선공정의 처리장치(5)로부터 반출된 판형상 공작물(1)을, 후공정의 처리장치(5)로 반입하는 시간 간격이 같은 것이 요구되는 경우, 선공정과 후공정의 도중에 설치되는 보관장치(15)로서는, 선입 선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속공정의 전후에 위치하는 한쌍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균일성을 요구받는 경우, 처리장치(5A)가 후공정의 처리장치(5A)이면 위치 A에 배치되는 보관장치(15)는 선입 선출가능한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가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균일성이 요구되는 경우이고, 연속공정의 전후에 위치하는 한쌍의 처리장치가 처리장치(5A)와 처리장치(5B)이면, 위치 C에 배치되는 보관장치(15)도 선입 선출가능한 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가 바람직하다.
한편 처리시간의 실행간격에 균일성을 요구받지 않는 경우는, 특별히 선입 선출가능한 보관장치(15)를 배치할 필요는 없으므로, 선입 후출식의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를 배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반송의 실행간격의 필요에 따라서 선입 선출가능한 보관장치(15)와,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15)를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반송을 가능하게 하면서 트레이 반송 시스템 전체의 비용을 압박하는 일이 없다.
또, 위치 B 또는 위치 D에 배치되는 빈 트레이 보관용 보관장치(15)는, 반송의 순서를 묻는 일이 없으므로, 선입 후출식의 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를 배치하면 된다. 물론 판형상 공작물(1)과 트레이(2)를 1대1 대응시킬 필요가 있는 등, 선입 선출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선입 선출가능한 보관장치(15)를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반송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보관장치(15)(선입 후출식 보관장치(15A)·선택 출입식 보관장치(15B)), 이송장치(32), 반송 컨베이어(4), 연락 컨베이어(30)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구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대략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관계없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1에 있어서는, 선입 후출식의 보관수단과, 트레이의 선입 선출을 실행하는 선택 출입식의 보관수단을 적절히 조합시켜 반송경로에 구비함으로써 효율적인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 전체의 반송경로의 단축과, 트레이 반송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비용의 균형을 도모하면서, 효율적인 반송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선입 후출식의 보관수단과, 임의의 트레이를 선택하여 출입 가능한 선택 출입식의 보관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반송경로에 구비함으로써, 효율적인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에 있어서는, 적층 보관된 트레이 중 소망의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꺼내기 위한 기구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있어서는, 판형상 공작물의 반송에 관해서는 선입 선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트레이 단체의 반송시에는 선입 후출로 함으로써 트레이 반송 시스템의 비용을 저감하고 있다.

Claims (5)

  1. 판형상 공작물을 트레이에 격납한 상태로 반송하고, 트레이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꺼내는 수단, 트레이에 판형상 공작물을 격납하는 수단, 및 반송경로에 있어서 트레이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반송경로에 구비한 트레이 반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보관수단으로서 트레이를 순차 일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함과 아울러 최후로 적층된 트레이로부터 순차 반송경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 및
    트레이를 순차 일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함과 아울러 최초로 적층된 트레이로부터 순차 반송경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반송경로를 따라서 복수의 처리장치를 배치하고,
    처리시간의 실행간격에 균일성이 요구되는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그 처리장치에 이르는 반송경로 상에 상기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를 설치하고,
    다른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다른 처리장치에 이르는 반송경로 상에 상기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
  2. 삭제
  3. 판형상 공작물을 트레이에 격납한 상태로 반송하고, 트레이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꺼내는 수단, 트레이에 판형상 공작물을 격납하는 수단, 및 반송경로에 있어서 트레이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반송경로상에 구비한 트레이 반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보관수단으로서 트레이를 순차 일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함과 아울러 최후에 적층된 트레이로부터 순차 반송경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 및
    트레이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함과 아울러 보관된 트레이로부터 소망의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반송경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선입 후출식의 보관장치를, 반송경로 상에서 트레이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꺼내는 수단과 트레이에 판형상 공작물을 격납하는 수단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를, 트레이로부터 판형상 공작물을 꺼내는 수단의 반송경로 상류와, 트레이에 판형상 공작물을 격납하는 수단의 반송경로 하류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출입식의 보관장치에, 상기 보관장치에 보관되는 적층 트레이 중 취출 선택한 트레이의 상방에 적층되는 트레이, 및 취출 선택한 트레이의 하방에 적층되는 트레이를, 취출 선택한 트레이의 반송경로에의 취출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반송 시스템.
  5. 삭제
KR1020050081211A 2004-12-28 2005-09-01 트레이 반송 시스템 KR100881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82018 2004-12-28
JP2004382018A JP2006188305A (ja) 2004-12-28 2004-12-28 トレイ搬送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169A KR20060076169A (ko) 2006-07-04
KR100881318B1 true KR100881318B1 (ko) 2009-02-03

Family

ID=3679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211A KR100881318B1 (ko) 2004-12-28 2005-09-01 트레이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188305A (ko)
KR (1) KR100881318B1 (ko)
TW (1) TW2006215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51A (ko) * 2012-12-17 2015-08-25 시스템 에스.피.에이.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5955B2 (ja) * 2018-12-25 2023-08-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伝熱管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伝熱管パネル組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2172A (en) 1987-02-11 1989-05-23 Smalley Manufacturing Co., Inc.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JPH02152730A (ja) * 1988-12-06 1990-06-12 Canon Inc 位置決め装置
KR930005873A (ko) * 1991-09-06 1993-04-20 노구치 미치오 선입선출(先入先出)물품보관 선반장치
JP2004168484A (ja) * 2002-11-19 2004-06-17 Murata Mach Ltd 搬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2172A (en) 1987-02-11 1989-05-23 Smalley Manufacturing Co., Inc.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JPH02152730A (ja) * 1988-12-06 1990-06-12 Canon Inc 位置決め装置
KR930005873A (ko) * 1991-09-06 1993-04-20 노구치 미치오 선입선출(先入先出)물품보관 선반장치
JP2004168484A (ja) * 2002-11-19 2004-06-17 Murata Mach Ltd 搬送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51A (ko) * 2012-12-17 2015-08-25 시스템 에스.피.에이.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KR102187667B1 (ko) * 2012-12-17 2020-12-08 시스템 세라믹스 에스.피.에이.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169A (ko) 2006-07-04
TWI332474B (ko) 2010-11-01
JP2006188305A (ja) 2006-07-20
TW200621599A (en) 200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30079A (zh) 移載裝置及移載方法
JP6343049B2 (ja) ワークを分離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5850661B2 (ja) 部品供給装置
JP4516067B2 (ja) 基板搬出入装置および基板搬出入方法
KR20090069530A (ko) 제조라인의 트레이 자동 공급과 회수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85037A (ko) 공작기계용 소재공급 및 적재장치
JP2008200744A (ja) ディスタックフィーダ
KR20080059039A (ko) 트레이 수령 및 전달 장치
WO2006123402A1 (ja) 基板搬出入装置及び基板搬出入方法
KR0141351B1 (ko) 트레이의 운반 방법 및 장치
KR100881318B1 (ko) 트레이 반송 시스템
KR20060133448A (ko) 반송 시스템
JP5163860B2 (ja) 基板搬送装置
JP2018104115A (ja) パレット交換装置
JP2007186321A (ja) 板材の搬送システム
KR100808279B1 (ko) 판재 적재 시스템
CN112357590B (zh) 一种屏幕全自动分离设备
JP2004168484A (ja) 搬送システム
KR101404552B1 (ko) 기판 적재장치
JPH01115526A (ja) トレイ供給装置
US5386981A (en) Automatic paper processing method and cut-sheet feed rotary press having automatic paper processing apparatus
US4217069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receiving sheets in a pile and for removing a pile of sheets from a sheet processing apparatus
KR100828699B1 (ko) 기판 반출입 장치 및 기판 반출입 방법
JP2650977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TW200408595A (en) Carri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