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733B1 -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733B1
KR100880733B1 KR1020080068307A KR20080068307A KR100880733B1 KR 100880733 B1 KR100880733 B1 KR 100880733B1 KR 1020080068307 A KR1020080068307 A KR 1020080068307A KR 20080068307 A KR20080068307 A KR 20080068307A KR 100880733 B1 KR100880733 B1 KR 10088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lting
work
tool
soil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부순
김충기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의왕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왕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의왕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and f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력을 이용하여 시행하던 다이크 후방측에 위치된 토사의 굴토작업을 이동이 가능하며 굴토작업과 브러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양측에 위치한 노후된 다이크를 덧씌우기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가드레일의 내측에 위치된 노견에 퇴적된 토사(흙)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를 따라 방향을 전환하며 이동가능하고 굴토 깊이의 조절 및 굴토의 면적(폭)이 다양한 굴토 작업과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싱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공구를 교체 탈/장착 가능한 굴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노견의 토사를 제거하는 수작업 방식을 기계화 방식으로 개선하여 공사시간의 단축 및 공사량의 증대, 시공성의 평준화를 이룰 수 있으며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굴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가적인 장비의 불필요 및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다이크, 도로, 가드레일, 굴토장치, 조향장치, 작업공구, 비산방지수단

Description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Excavation equipment of a road boundary stone Back guard rear }
본 발명은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력을 이용하여 시행하던 다이크 후방측에 위치된 토사의 굴토작업을 이동이 가능하며 굴토작업과 브러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크(Dike)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 지점 등에 설치되어 도로의 구획을 결정함으로써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이크는 지반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시공되어야 하며 종래에는, 지반을 다지고 다이크가 배치될 위치 좌/우에 각목을 받친 후, 그 사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가 굳어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게 되면 그 위에 다이크를 올린 후, 다이크와 기초콘크리트가 접하는 좌/우에 삽 등으로 추가콘크리트를 보강하고 각목을 해제하여 설치하였다.
이렇게, 도로의 양측으로 설치된 다이크는 오랜 기간에 걸쳐 도로변에 노출되어 있어 노후화로 인한 마모현상이 발생되어 높이와 폭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 되어 다이크의 주 기능인 차량을 소통을 차단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다이크는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사고나 외력에 의해 파손이 되면 차단기능을 잃게 되며 파손의 정도가 심할 경우 노견의 토사 등이 도로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노후화된 다이크의 덧씌우기작업(보수작업)을 위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공급받는 슬립 폼 페이버를 이용하여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시공을 함으로써 인건비와 공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래서, 노후화된 다이크에 대한 덧씌우기작업(보수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는 먼저 다이크와 가드레일 사이에 위치된 노견 상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나 쓰레기, 잡초 등을 제거한 후, 다이크의 후방면에 콘크리트 몰탈을 포설하기 위하여 노견에 퇴적되어져 있는 토사를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인력을 이용하여 토사를 제거하는 작업은 공사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력을 이용함으로써 인건비가 상승되어 공사 단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인력을 이용함으로써 굴토된 폭이나 깊이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콘크리트 몰탈이 균일하게 포설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적인 굴토를 통하여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절감시키고, 굴토 폭이나 굴토 깊이가 일정하도록 작업되어 콘크리트 포설시 균일한 포설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계적 구동력을 이용한 굴토장치가 절실 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이크의 덧씌우기 작업을 위해 인력을 이용하여 노견의 토사를 제거하는 수작업 방식을 기계화 방식으로 개선한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굴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공구로 굴토 작업을 수행시 토사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토위치를 선정하는 수평방향조절, 굴토깊이를 선정하는 깊이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사를 제거하는 굴토작업, 굴토작업 후 잔류 토사를 청소하는 브러싱 작업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토작업 및 브러싱 작업시 굴토장치를 운전하는 작업자에게 부산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의 양측에 위치한 노후된 다이크를 덧씌우기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가드레일의 내측에 위치된 노견에 퇴적된 토사(흙)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를 따라 방향을 전환하며 이동가능하고 굴토 깊이의 조절 및 굴토의 면적(폭)이 다양한 굴토 작업과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엔진의 구동력으로 기동되는 바퀴의 진행방향을 변화시켜 조정 가능한 좌/우조향장치가 형성되고, 엔진의 구동력을 외부로 전달받아 굴토 작업과 브러싱 작업을 위해 끝단에 탈/장착되는 작업공구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이 형성되며, 가드레일에 롤링 접촉되며 굴토장치를 좌/우방향측으로 이동시켜 작업공구의 굴토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굴토위치조절수단이 설치되고, 구동축의 끝단에는 굴토작업 시 작업공구에 의해 굴토되는 토사가 굴토장치의 전방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수단이 부착되며, 굴토장치의 전방부분이 바퀴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작업공구의 작업깊이를 조절하는 굴토깊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굴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기 작업공구는 굴토장치의 구동축에 장착되며, 다이크의 후방면을 향하는 측은 평편하며 반대측으로 굴토날이 형성되어 토사를 굴토하기 위한 굴토공구와 다이크의 후방면에 침착되어 잔류하는 토사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공구가 한 조를 이루며, 작업공구는 굴토장치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회전되어 굴토장치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토사가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이크의 덧씌우기 작업을 위해 인력을 이용하여 노견의 토사를 제거하는 수작업 방식을 기계화 방식으로 개선하여 공사시간의 단축 및 공사량의 증대, 시공성의 평준화를 이룰 수 있으며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굴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가적인 장비의 불필요 및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작업공구로 굴토 작업을 수행시 토사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하여 도로의 오염을 방지하여 2차적인 작업의 필요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작업장소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토위치를 선정하는 수평방향조절, 굴토깊이를 선정하는 깊이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노견의 폭이나 다이크와 가드레일이 이격거리에 따라 작업 여건을 효율적으로 조정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토사를 제거하는 굴토작업, 굴토작업 후 잔류 토사를 청소하는 브러싱 작업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 할수 있어 장비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이 간편해 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굴토작업 및 브러싱 작업시 굴토장치를 운전하는 작업자에게 부산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는 도로(1)의 양측에 위치한 노후된 다이크(2)를 덧씌우기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가드레일(3)의 내측에 위치된 노견(4)에 퇴적된 토사(흙)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1)를 따라 방향을 전환하며 이동가능하고 굴토 깊이의 조절 및 굴토의 면적(폭)이 다양한 굴토 작업과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싱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공구(10)를 교체 탈/장착 가능한 굴토장치(20)로 구성된다.
이때, 도로(1)의 양측면에는 도로(1)를 운행하는 차량이 노견(4)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크(2)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이크(2)의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가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크(2)는 도로(1)와 동일 시기에 시공되며, 장시간 사용시 노후화로 인하여 부식 및 마모가 발생되어 높이와 폭이 감소되며, 차량의 충돌이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사례가 발생된다.
이렇게, 노후화된 다이크(2)는 강도보강 및 주 기능인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노출된 면에 덧씌우기를 하여 복원하는 작업을 시행하게 되는데, 시공 방법은 다이크(2)와 가드레일(3)의 사이에 위치된 노견(4)에 오염물질이나 잡초를 제거작업 --> 다이크(2)의 후방면(2a)이 노출되도록 퇴적되어진 토사를 제거하는 토사제거작업 --> 다이크(2)의 후방면(2a)에 잔류하는 이물질 제거작업 --> 덧씌우기 장비를 이용하여 노후화된 다이크(2)에 콘크리트 몰탈을 덧씌우기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즉, 토사를 굴토, 제거하기 위한 작업공구(10)는 상기 작업공구(10)는 굴토장치(20)의 구동축(25) 끝단에 장착되며, 토사를 굴토하기 위한 굴토공구(11)와 다이크(2)의 후방면(2a)에 침착되어 잔류하는 토사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공구(12)가 한 조를 이루며, 작업공구(10)는 굴토장치(2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회전되어 굴토장치(20)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토사가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토공구(11)는 원판형태로 굴토날(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굴토날(11a)은 로터리형태로 비틀어져 형성되어 있어 굴토작업의 효율성을 증대되도록 구성된 것이고, 크기는 굴토폭(다이크(2)와 가드레일(3) 사이에 위치된 노견(4)의 폭)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브러쉬공구(12)는 브러쉬(12a)가 원형의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토장치(20)는 토사제거작업과 잔류 이물질 제거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좌/우조향장치(23,24), 엔진(21)에 연결되어진 구동축(25), 굴토위치조절수단(26), 비산방지수단(27), 굴토깊이조절수단(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조향장치(23,24)는 엔진(21)의 구동력으로 기동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바퀴(22)의 진행방향을 변화시켜 조정하는 장치로써, 설치위치는 굴토장치(20)의 운전자가 조작하도록 몸체(20a)에 고정되어진 핸들(20b)의 양측에 위치되며, 작동원리는 굴토장치(20)를 좌측으로 진행시키고 싶은 경우 좌조향장치(23)를 조작하면 좌측바퀴에 전달되는 엔진(21)의 구동력은 차단되는 반면 우측바퀴를 지속적으로 엔진(21)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어 굴토장치(20)가 좌측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축(25)은 엔진(21)의 구동력을 외부로 전달받아 굴토 작업과 브러싱 작업을 위해 탈/장착되는 작업공구(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바퀴(22)를 회전시키는 엔진(21)에서 별도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축(25)은 굴토장치(20)의 일측으로 길이가 길게 노출되어 있으며, 굴토시 발생되는 비틀림이나 부하로 인하여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몸체(20a)에 설치된 지지프레임(25a)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굴토위치조절수단(26)은 가드레일(3)에 롤링 접촉되며 굴토장치(20)를 좌/우방향측으로 이동시켜 작업공구(10)의 굴토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것으로, 굴토장치(20)와 가드레일(3)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작업공구(10)의 굴토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굴토위치조절수단(26)은 자체 조절기능만으로 굴토장치(20)를 전체를 이동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거리를 조절하면서 굴토장치(20)를 움직여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토위치조절수단(26)은 구동축(25)과 평행하게 몸체(20a)의 상부측으로 굴토장치(2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26a)의 폐쇄단 내측에는 베어링(26a')이 설치된다.
이러한, 실린더(26a)를 관통하여 베어링(26a')에 의하여 자유회전 되도록 회전손잡이(26b)가 체결된 스핀들축(26c)이 결합되며, 실린더(26a)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에는 스핀들축(26c)에 나선 결합되는 고정너트(26d)가 부착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반대측 끝단에는 롤러(26e)가 결합되어진 스핀들(26f)이 구성된다.
아울러, 스핀들(26f)의 원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6f')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스핀들(26f)은 스핀들축(26c)으로부터 전달받는 나선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직선왕복 운동되게 가이드홈(26f')에 미끄럼 지지되도록 실린더(26a)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전방지너트(26g)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산방지수단(27)은 구동축(25)에 설치되어 굴토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공구(10)에 의해 굴토되어지는 토사가 굴토장치(20)의 전방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굴토장치(20)의 몸체(20a)에 고정대(27a)가 설치되며, 고정대(27a)의 끝단에 비산방지판(27b)이 설치된다.
여기서, 비산방지판(27b)은 원판 형상으로 제작된 작업공구(10)의 회전궤적을 적어도 1/4이상 커버 할 수 있도록 원호판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굴토깊이조절수단(28)은 굴토장치(20)의 전방부분이 바퀴(22)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작업공구(10)의 작업깊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굴토위치조절수단(26)을 이용하여 굴토위치를 설정한 후 작업공구(10)의 굴토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굴토깊이조절수단(28)은 몸체(20a)의 전방으로 고정브라켓(28a)이 설치되며, 고정브라켓(28a)에 관통 결합되어 나선회전되는 보조바퀴축(28b)의 상부 끝단에는 잠금손잡이(28a')가 형성되되 반대측 하부 끝단에는 보조바퀴(28c)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바퀴(28c)는 잠금손잡이(28a')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보조바퀴 축(28b)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고 자유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를 제거할 굴토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작업공구(10) 중 굴토공구(11)를 구동축(25)에 설치한다.
이후, 굴토장치(20)를 노후화된 다이크(2)가 위치된 장소로 이동한 후, 굴토공구(11)가 다이크(2)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노견(4)의 상부측에 위치시키고, 굴토공구(11)의 굴토위치 및 굴토깊이를 굴토위치조절수단(26)과, 굴토깊이조절수단(28)을 이용하여 조절한다.
다음으로, 굴토장치(20)를 운전할 운전자는 굴토장치(20)가 가드레일(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굴토위치조절수단(26)의 롤러(26e)가 가드레일(3)에 접촉되도록 한다.
즉, 운전자는 스핀들축(26c)에 결합되어진 회전손잡이(26b)를 스핀들(26f)이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스핀들(26f)에 전달된다.
그러나, 스핀들(26f)의 가이드홈(26f')에 회전방지너트(26g)가 삽입, 지지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핀들(26f)이 실린더(26a)에서 미끄럼 이동되면서 롤러(26e)가 가드레일(3)에 지지시키거나 이격시켜 굴토공구(11)의 굴토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는 굴토위치조절수단(26)으로 굴토공구(11)의 굴토위치를 설정한 후에 굴토깊이조절수단(28)을 이용하여 굴토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굴토깊이조절수단(28)의 잠금손잡이(28a')를 정방향/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조바퀴축(28b)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굴토장치(20)의 전방측이 상승/하강되면서 굴토공구(11)의 굴토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굴토 위치 및 굴토 깊이를 설정한 후 굴토장치(20)의 엔진(21)을 구동시킨 후, 조작을 통해 구동축(25)을 기동시켜 굴토공구(11)를 회전시키면서 노견(4)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접촉시켜 굴토작업을 다이크(2)를 따라 가드레일(3)에 접촉되어 굴토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좌/우조향장치(24,24)를 조작을 통해 진행방향을 조정하면서 시행한다.
이러한, 굴토작업시 구동축(25)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굴토공구(11)의 회전방향은 굴토장치(2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굴토날(11a) 의해 굴토되는 토사는 굴토장치(20)의 전방측으로 비산되지만 비산방지수단(27)에 의해 비산이 방지되어 비산되는 토사로 인하여 도로(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굴토공구(11)의 양측면 중 다이크(2)의 후방면(2a)으로 향하는 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다이크(2)와 굴토공구(11)가 상호 접촉으로 인한 파손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굴토장치(20)를 이용하여 굴토작업이 완료되면, 굴토장치(20)를 최초 굴토를 시작했던 시점으로 이동시킨 후 굴토공구(11)를 구동축(25)에서 해체하고 다이크(2)의 후방면(2a)에 잔류하는 토사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공구(12)를 부착한다.
이후, 브러쉬공구(12)를 굴토된 노견(4)으로 삽입시키고 일부분이 다이크(2) 의 후방면(2a)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키고 엔진(21)을 구동시켜 구동축(25)이 가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동축(25)의 회전을 전달받아 브러쉬공구(12)는 회전하면서 다이크(2)의 후방면(2a)에 잔존하는 토사를 말끔히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굴토작업 및 잔류 토사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노후화된 다이크(2)의 노출되어진 면에 포설하여 보강작업을 실시하게 될 준비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굴토장치(20)를 이용하여 굴토, 브러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공사기간이 현저하게 짧아지며, 인건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굴토 위치 및 굴토 깊이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퇴적의 두께가 다른 노견(4)의 현장여건에 맞게 적용시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굴토 작업이나 브러쉬 작업시 작업공구(10)의 회전으로 인한 토사의 비산을 비산방지수단(27)으로 차단함으로써 도로(1)의 이차적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토장치가 도로에 배치된 상태도,
도 2는 굴토장치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굴토장치의 좌/우측면도,
도 5는 굴토위치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6은 작업공구를 이루는 다양한 형태의 굴토공구 및 브러쉬공그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굴토장치에 굴토공구를 설치하여 노견을 토사를 제거하는 실시도,
도 8은 굴토장치에 브러쉬공구를 설치하여 잔류 토사를 제거하는 실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로 2 : 다이크
2a : 후방면 3 : 가드레일
4 : 노견 10 : 작업공구
11 : 굴토공구 11a : 굴토날
12 : 브러쉬공구 12a : 브러쉬
20 : 굴토장치 20a : 몸체
20b : 핸들 21 : 엔진
22 : 바퀴 23,24 : 좌/우조향장치
25 : 구동축 25a : 지지프레임
26 : 굴토위치조절수단 26a : 실린더
26a' : 베어링 26b : 회전손잡이
26c : 스핀들축 26d : 고정볼트
26e : 롤러 26f : 스핀들
26f' : 가이드홈 26g : 회전방지너트
27 : 비산방지수단 27a : 고정대
27b : 비산방지판 28 : 굴토깊이조절수단
28a : 고정브라켓 28a' : 잠금손잡이
28b : 보조바퀴축 ` 28c : 보조바퀴

Claims (3)

  1. 도로(1)의 양측에 위치한 노후된 다이크(2)를 덧씌우기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가드레일(3)의 내측에 위치된 노견(4)에 퇴적된 토사(흙)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1)를 따라 방향을 전환하며 이동가능하고 굴토 깊이의 조절 및 굴토의 면적(폭)이 다양한 굴토 작업과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엔진(21)의 구동력으로 기동되는 바퀴(22)의 진행방향을 변화시켜 조정 가능한 좌/우조향장치(23,24)가 형성되고, 엔진(21)의 구동력을 외부로 전달받아 굴토 작업과 브러싱 작업을 위해 끝단에 탈/장착되는 작업공구(1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25)이 형성되며, 가드레일(3)에 롤링 접촉되며 굴토장치(20)를 좌/우방향측으로 이동시켜 작업공구(10)의 굴토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굴토위치조절수단(26)이 설치되고, 구동축(25)의 끝단에는 굴토작업 시 작업공구(10)에 의해 굴토되는 토사가 굴토장치(20)의 전방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수단(27)이 부착되며, 굴토장치(20)의 전방부분이 바퀴(22)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작업공구(10)의 작업깊이를 조절하는 굴토깊이조절수단(28)으로 이루어진 굴토장치(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구(10)는 굴토장치(20)의 구동축(25) 끝단에 장착되며, 다이크(2)의 후방면을 향하는 측은 평편하며 반대측으로 굴토날(11a)이 형성되어 토사를 굴토하기 위한 굴토공구(11)와 다이크(2)의 후방면(2a)에 침착되어 잔류하는 토사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공구(12)가 한 조를 이루며, 작업공구(10)는 굴토장치(2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회전되어 굴토장치(20)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토사가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KR1020080068307A 2008-07-14 2008-07-14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KR10088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07A KR100880733B1 (ko) 2008-07-14 2008-07-14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07A KR100880733B1 (ko) 2008-07-14 2008-07-14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733B1 true KR100880733B1 (ko) 2009-02-02

Family

ID=4068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307A KR100880733B1 (ko) 2008-07-14 2008-07-14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252A (zh) * 2019-05-29 2019-09-10 黄永华 一种桥梁施工用路面养护机
KR20220055662A (ko) *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장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4045A (en) 1985-10-11 1987-11-03 Taylor Thomas M Apparatus and method for pulverizing asphalt
US5135287A (en) 1990-09-24 1992-08-04 Kenneth Karnes Curb cutter
JPH06280218A (ja) * 1993-03-26 1994-10-04 Sakai Jukogyo Kk 路面掻きほぐし装置の前カバー機構
JPH09195222A (ja) * 1995-07-27 1997-07-29 Itoo:Kk 路面切削機
JP2003227145A (ja) 2002-02-01 2003-08-15 Kawasaki Heavy Ind Ltd 排土装置
KR200358566Y1 (ko) 2004-05-13 2004-08-09 주식회사 시그마하이텍 콘크리트 포장 도로용 커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4045A (en) 1985-10-11 1987-11-03 Taylor Thomas M Apparatus and method for pulverizing asphalt
US5135287A (en) 1990-09-24 1992-08-04 Kenneth Karnes Curb cutter
JPH06280218A (ja) * 1993-03-26 1994-10-04 Sakai Jukogyo Kk 路面掻きほぐし装置の前カバー機構
JPH09195222A (ja) * 1995-07-27 1997-07-29 Itoo:Kk 路面切削機
JP2003227145A (ja) 2002-02-01 2003-08-15 Kawasaki Heavy Ind Ltd 排土装置
KR200358566Y1 (ko) 2004-05-13 2004-08-09 주식회사 시그마하이텍 콘크리트 포장 도로용 커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252A (zh) * 2019-05-29 2019-09-10 黄永华 一种桥梁施工用路面养护机
KR20220055662A (ko) *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장비
KR102526153B1 (ko) * 2020-10-27 2023-04-27 호원산업개발주식회사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78828A (zh) 一种混凝土沥青地面挖沟机
KR101630346B1 (ko) 맨홀 보수공법
KR100880733B1 (ko) 다이크 후방 굴토 장치
EP2783048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a verge
KR100758003B1 (ko) 저소음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절단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개보수를 위한 도로 개착방법
US3393014A (en) Attachment for an earth-moving machine
GB2489782A (en) Cutting tool for repairing pot holes by creating an area of repair in damaged road
CN112779942A (zh) 快速路渠一体成型机
CN210002468U (zh) 一种链式电缆开沟机
RU2190721C1 (ru) Машина для очистки дорожных покрытий от снежно-ледяных образований
DE3420989A1 (de) Anbaugeraet fuer den anbau an hydraulikbagger, baggerlader, frontlader und andere traegergeraete
US20070144788A1 (en) Setting utility access covers
CN220785959U (zh) 一种铣挖机的履带防护机构
RU99497U1 (ru) Машина универсальная для резания мерзлых грунтов и очистки дорог от снежно-ледяных образований
EP13894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velling of gravel road or corresponding non-paved ground and blade for removal of non-paved ground
JPS60261810A (ja) 支持車両に取り付けて使用するアタツチメント装置
EP2952637B1 (en) Drain remediation
CN114717912B (zh) 一种市政道路铺设用平地机
CN111424515B (zh) 一种可调节挖掘宽度的沥青路面挖掘设备
CN218345890U (zh) 路缘石安装一体机
CN217105293U (zh) 一种市政道路工程防堵清淤装置
KR102428678B1 (ko) 배수측구 커팅장치
CN117868239B (zh) 一种市政工程施工沟槽开挖装置
CN114934554B (zh) 一种开沟机开槽工艺
US2024009344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islodging a Floating Ground Guard of a Rotary Mix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