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678B1 - 배수측구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측구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678B1
KR102428678B1 KR1020210153146A KR20210153146A KR102428678B1 KR 102428678 B1 KR102428678 B1 KR 102428678B1 KR 1020210153146 A KR1020210153146 A KR 1020210153146A KR 20210153146 A KR20210153146 A KR 20210153146A KR 102428678 B1 KR102428678 B1 KR 102428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ain body
blade
pai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효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15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는: 일측에 이동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름동작 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팅 지지대; 상기 커팅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콘크리트 배수측구가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칼날; 상기 커팅 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칼날이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커팅 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 이동시 상기 본체에 따라서 함께 구름동작 되게 상기 커팅 지지대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연동바퀴; 및, 상기 구동바퀴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배수측구 일측의 단턱을 타고 구름동작 되게 상기 구동바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칼날은 정면상 한 쌍의 구동바퀴 그리고 한 쌍의 연동바퀴 사이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바퀴 및 연동바퀴들의 진행방향과는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로 타설된 도로의 측부에 배수시설인 배수측구가 형성되도록 노출면이 절단되도록 할 때에, 장치의 폭보다 작업현장의 폭이 비좁을 경우 장치의 운행 절단 작업 중 장치가 쉽게 전도되거나 장치를 아예 못 올려 작업을 못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작업현장의 폭에 대응하여 장치가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주행바퀴가 절단 홈 속으로 쉽게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나 장치의 파손 등이 발생 됨이 없이 절단 작업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로 측부의 단턱에 의한 지장이 전혀 없이 전후 이동 작업이 이뤄지는 동안 편리하게 절단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배수측구 커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측구 커팅장치 {cutting apparatus for forming side gutter of road}
본 발명은 배수측구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도로의 측부에 배수시설인 배수측구가 형성되도록 노출면이 절단되도록 할 때에, 장치의 폭보다 작업현장의 폭이 비좁을 경우 장치의 운행 절단 작업 중 장치가 쉽게 전도되거나 장치를 아예 못 올려 작업을 못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작업현장의 폭에 대응하여 장치가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주행바퀴가 절단 홈 속으로 쉽게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나 장치의 파손 등이 발생 됨이 없이 절단 작업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로 측부의 단턱에 의한 지장이 전혀 없이 전후 이동 작업이 이뤄지는 동안 편리하게 절단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배수측구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와 콘크리트 포장도로로 시공된다.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시공비가 싸고 승차감이 좋은 반면에, 강도가 약하여 사용 중 도로 파손이 많아 자주 보수 공사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반면에, 콘크리트 포장도로는 시공비가 비싸고 승차감이 약간 떨어지는 반면에, 강도가 강하여 사용시 도로 파손이 적어 유지 보수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한편, 포장도로의 측구에는 배수부를 형성하여 도로 위의 우수나 오물들을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배수시설이란 비 또는 눈 등에 의해 발생 된 도로면의 우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도로 양쪽 또는 한쪽에 평행하게 만든 배수로 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도로에 배수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상의 안정성과 주차 등의 편리를 고려한 것이다.
도로의 배수시설은 점 배수 방식의 배수시설로서, 도로상의 우수(노면수)가 배수시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집수정을 도로의 측구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하고, 각 집수정을 연결하는 배수관을 형성한다.
또한, 도로 배수는 통상 원활한 배수를 위해 도로의 중앙선 쪽이 높고, 갓길 쪽으로 낮아지도록 하는 구배로 시공한다.
이에 따라, 도로 중앙선 높은 쪽에서 갓길 쪽으로 우수가 몰리고, 우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되거나 호우가 내리면 사면이 깎이거나 붕괴되기 쉽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갓길 어깨 위치에 다이크를 설치하여, 집수된 우수를 일정 구간 배치된 사면 배수로나 측구를 이용하여 점 배수방식으로 우수를 폐쇄형으로 집수처리 한다.
또 다른 도로 배수시공을 기술한 한국특허등록 제10-1429147호는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에서, 도로의 측구에 일정하게 이격 형성되며, 연속배수시설에 퇴적되는 협잡물의 청소를 위한 복수의 집수정 및 상기 복수의 집수정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수부 내부로 우수유입구가 도로를 따라 연속 형성되어 우수를 연속 배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시공방법을 살펴 보면, 연속배수시설에 퇴적되는 협잡물의 청소를 위한 복수의 집수정을 도로의 측구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시키는 단계 및 복수의 집수부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배수부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구를 도로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는 도로 경계석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집수정 내부 및 배수부 내부로의 우수의 유입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인도 측으로 우수가 월류되지 않도록 상기 도로 경계석을 따라 형성되는 월류방지턱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부에 우수유입구가 형성된 배수부 본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하부철근을 구속하는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우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이동하는 배수관부 형성을 위한 배수관부 형성용 관을 설치 및 고정하는 단계, 배수부 본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배수부 본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부철근을 먼저 배근하고, 배근된 하부철근을 구속하는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배수관부 형성용 관을 설치 및 고정하는 것이 시공의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이후 상부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배수구 본체를 형성시킨다.
하부철근과 상부철근은 겹이음 방식으로 배근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타당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기 전까지 배수관부 형성용 관이 적정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 고정부재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배수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에, 우수유입구 상에 노출된 배수관부 형성용 관의 노출면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위에서 서술한 마지막 단계에서는 배수관부 형성용 관의 노출면과 그레이팅을 안착시킬 수 있는 단턱을 절단하는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도로용 커팅기를 사용한다.
다만, 종래의 도로용 커팅기는 그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커터 날이 그레이팅을 안착시킬 수 있는 단턱까지만 절단할 수 있을 뿐, 그 하부에 매립되는 배수관부 형성용 관의 노출면을 절단할 수 없어, 단턱을 절단한 후, 별도의 커팅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두 번의 커팅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피로감을 더 주게 되며, 결국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도로용 커팅기는 그 장비의 폭이 대략 600 mm 정도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반면에, 종래의 도로용 커팅기가 올려져 사용되는 도로의 측부는 그 폭이 대략 500 mm 정도 이하로 협소하기 때문에 도로용 커팅기를 비좁은 작업현장에 아예 올리지 못하고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게 되거나 작업을 하다가도 운행 절단 작업 중 장치가 쉽게 전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용 커팅기는 커팅 날이 주행바퀴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는 구조로 배치되기 때문에 운행 절단 작업 중 커팅 날에 의해 절단된 절단 홈 속으로 후행하는 주행바퀴가 쉽게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나 장치의 파손 등이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429147호(2014년08월05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로 타설된 도로의 측부에 배수시설인 배수측구가 형성되도록 노출면이 절단되도록 할 때에, 장치의 폭보다 작업현장의 폭이 비좁을 경우 장치의 운행 절단 작업 중 장치가 쉽게 전도되거나 장치를 아예 못 올려 작업을 못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작업현장의 폭에 대응하여 장치가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주행바퀴가 절단 홈 속으로 쉽게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나 장치의 파손 등이 발생 됨이 없이 절단 작업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로 측부의 단턱에 의한 지장이 전혀 없이 전후 이동 작업이 이뤄지는 동안 편리하게 절단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배수측구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는: 일측에 이동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름동작 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팅 지지대; 상기 커팅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콘크리트 배수측구가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칼날; 상기 커팅 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칼날이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커팅 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 이동시 상기 본체에 따라서 함께 구름동작 되게 상기 커팅 지지대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연동바퀴; 및, 상기 구동바퀴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배수측구 일측의 단턱을 타고 구름동작 되게 상기 구동바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칼날은 정면상 한 쌍의 구동바퀴 그리고 한 쌍의 연동바퀴 사이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바퀴 및 연동바퀴들의 진행방향과는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칼날은, 상기 커팅 지지대에 가로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칼날 축 상에 구비되고, 상기 칼날 축과의 사이에 구비된 칼날 이동 조립부에 의해 정면상 좌우로 위치 변경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칼날은 상기 칼날 축에 배수측구의 절단 폭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로 타설된 도로의 측부에 배수시설인 배수측구가 형성되도록 노출면이 절단되도록 할 때에, 장치의 폭보다 작업현장의 폭이 비좁을 경우 장치의 운행 절단 작업 중 장치가 쉽게 전도되거나 장치를 아예 못 올려 작업을 못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작업현장의 폭에 대응하여 장치가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주행바퀴가 절단 홈 속으로 쉽게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나 장치의 파손 등이 발생 됨이 없이 절단 작업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로 측부의 단턱에 의한 지장이 전혀 없이 전후 이동 작업이 이뤄지는 동안 편리하게 절단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배수측구 커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로 배수측구의 커팅 작업이 이뤄지는 일 예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로 배수측구의 커팅 작업이 이뤄지는 일 예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절단 틈새 탐촉자에 압전소자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이동핸들(11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이동핸들(110)의 회전 조작에 따라 본체(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름동작 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200)와, 본체(100)의 전방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팅 지지대(300)와, 커팅 지지대(3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콘크리트 배수측구(10)가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칼날(400)과, 커팅 지지대(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절단칼날(400)이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커팅 구동부(500)와, 본체(100)의 전후방향 이동시 본체(100)에 따라서 함께 구름동작 되게 커팅 지지대(300)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연동바퀴(600)와, 구동바퀴(200)의 일측에서 본체(100)의 이동에 따라 배수측구(10) 일측의 단턱(20)을 타고 구름동작 되게 구동바퀴(20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7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타설된 도로의 측부에 배수시설인 배수측구(10)가 형성되도록 노출면이 절단되도록 할 때에 도로 측부의 단턱(20)에 의한 지장이 전혀 없이 장치의 전후 이동 작업이 이뤄지는 동안 편리하게 절단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배수측구 커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로 측부의 단턱(20)을 절단하여 제거할 필요없이 오히려 단턱(2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도로의 배수측구(10)가 형성되도록 노출면을 절단할 수 있는 배수측구 커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측구 커팅장치의 후방에 박스 형태의 외관을 갖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이동핸들(110)이 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동핸들(110)이 구비된 일측의 반대편 타측에는 내부에 물이 수용된 물 탱크(12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좌우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배수측구(10)의 커팅 작업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편리하게 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30)가 구비된다.
구동바퀴(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는 배수측구(10)의 절단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게 동일 바퀴 축 상에 구비되고, 이동핸들(11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본체(1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이동핸들(110)의 회전에 연동 되어 구름동작 되게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핸들(110)의 회전축과 구동바퀴(200)의 바퀴 축 사이에는 체인과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구동 전동부(210)가 구비되어 이동핸들(110)이 회전됨에 따라 구동 전동부(210)의 동력 전달에 의해 구동바퀴(200)의 구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동핸들(110)의 회전은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붙잡고 이동핸들(110)을 천천히 돌려주는 손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장치의 중량이 꽤 무겁게 나가게 되더라도 작업자가 이동핸들(110)을 비교적 적은 힘으로 돌리며 장치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동핸들(110)의 회전은 수동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핸들(110)의 회전은 전기모터나 유압장치에 의해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커팅 지지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연동바퀴(600)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정면상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절단칼날(40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커팅 지지대(300)의 사이에는 커팅 지지대(300)가 본체(100)의 전방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완충링크(31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체(100)의 전후 이동시 이와 함께 커팅 지지대(300)도 전후로 이동되며 절단칼날(400)의 회전에 의해 배수측구(10)의 커팅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때에 구동바퀴(200)와 연동바퀴(600)의 구름동작시 이들에 접촉되는 도로 측부 상의 돌과 같은 이물질 등에 의해 장치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완충링크(310)에 의해 본체(100)와 커팅 지지대(300)의 사이에서 그 충격이 완충 되도록 함으로써, 절단칼날(400)에 의한 커팅 작업이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장치가 주행 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측구(10)의 커팅 작업도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완충링크(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방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유압으로 작동되는 완충 실린더(311)와, 완충 실린더(311) 및 커팅 지지대(3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된 힌지(313)와, 완충 실린더(311)의 하부에 구비된 힌지(313) 및 커팅 지지대(300)의 하부에 구비된 힌지(313)의 사이에 구비된 힌지 링크(31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완충 실린더(311), 힌지(313) 및 힌지 링크(315)로 구성된 완충링크(310)에 의해 커팅 지지대(300)가 본체(100)의 전방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커팅 지지대(300)의 하부에 구비된 힌지(313)와 연동바퀴(600)의 사이에도 또 다른 힌지 링크(315)가 더 구비되어 연동바퀴(600)의 완충기능이 완충 실린더(311)에 의해 더욱 보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절단칼날(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상 한 쌍의 구동바퀴(200) 그리고 한 쌍의 연동바퀴(600) 사이의 내측에서 구동바퀴(200) 및 연동바퀴(600)들의 진행방향과는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된 도로의 측부에 배수시설인 배수측구(10)가 형성되도록 노출면이 절단되도록 할 때에, 장치의 폭보다 작업현장의 폭이 비좁을 경우 장치의 운행 절단 작업 중 장치가 쉽게 전도되거나 장치를 아예 못 올려 작업을 못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작업현장의 폭에 대응하여 장치가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구동바퀴(200) 및 연동바퀴(600)가 절단 홈 속으로 쉽게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나 장치의 파손 등이 발생 됨이 없이 절단 작업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로 측부의 단턱(20)에 의한 지장이 전혀 없이 전후 이동 작업이 이뤄지는 동안 편리하게 절단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배수측구 커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구동바퀴(200) 사이의 간격은 작업현장의 폭의 대략 0.6 ~ 0.7배 정도의 비율로 기존의 600 mm 가 아닌 대략 420 mm 정도가 되게 하고, 한 쌍의 연동바퀴(600) 사이의 간격도 여기에 일치되게 대략 420 mm 정도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 쌍의 구동바퀴(200) 사이의 간격이 작업현장 폭의 0.6배 미만이면 장치의 폭이 너무 협소해져 장치가 쉽게 전복될 수 있고, 작업현장 폭의 0.7배 초과이면 작업현장 위로 장치를 올려서 운행 절단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때에 작업 자세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배수측구(10)의 형성을 위한 절단 작업이 수행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가 올려지는 도로의 측부 폭이 대략 500 mm 정도 이하로 협소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배수측구 커팅장치가 도로 측부 위에 용이하게 올려져 운행 절단 작업 중 전도됨이 없이 원활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700)도 단턱(20) 위에서 단턱(20)을 타고 전후 이동되므로 배수측구(10)의 커팅 작업시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700)에 의해 장치의 이동이 안내되면서 작업 상태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칼날(400)이 정면상 한 쌍의 구동바퀴(200) 그리고 한 쌍의 연동바퀴(600) 사이의 내측에서 구동바퀴(200) 및 연동바퀴(600)들의 진행방향과는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처럼 커팅 날이 주행바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과 일렬로 일직선을 이루어 운행 절단 작업 중 선행하는 커팅 날에 의해 절단된 배수측구(10)의 절단 홈 속으로 후행하는 주행바퀴가 쉽게 빠져버리게 되는 일이 없이, 절단칼날(400)이 선행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후행하는 구동바퀴(200)와 연동바퀴(600)들이 절단 홈 속으로 빠져서 장치가 박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 중 안전사고나 장치의 파손 등이 발생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절단칼날(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경합금 재질로 마련되며, 커팅 지지대(300)에 가로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칼날 축(320) 상에 구비되고, 칼날 축(320)과의 사이에 구비된 칼날 이동 조립부(321)에 의해 정면상 좌우로 위치 변경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칼날 이동 조립부(3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칼날(400)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중심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칼날 축(320)에 끼워지도록 구비되고, 볼트나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칼날 축(320)에 고정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단칼날(400)이 칼날 이동 조립부(321)에 의해 칼날 축(320) 상에서 좌우로 위치 변경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의 폭과 같은 조건에 따라서 달라지는 배수측구(10)의 절단 홈 예정 위치에 대응하여 절단칼날(400)의 위치가 칼날 축(320) 상에서 용이하게 가변 되며 배수측구(10)의 노출면이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칼날(400)은 칼날 축(320)에 배수측구(10)의 절단 폭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수측구(10)의 절단 홈이 일정 폭을 갖게 될 경우, 종래에는 커팅 날이 단 하나로만 구비되어 절단 홈이 형성될 부분을 커팅 날이 일단 한번 지나간 후에도 다시 후진하며 운행 절단 작업이 번거롭게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칼날(400)이 배수측구(10)의 절단 폭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단 한 번만 지나가며 절단 홈이 형성될 부분을 절단하더라도 절단 홈이 바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측구(10)의 절단작업이 훨씬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칼날 이동 조립부(321)도 한 쌍의 절단칼날(400)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절단칼날(400)이 상호 이격된 간격도 배수측구(10)의 절단 홈 폭에 대응되어 칼날 이동 조립부(321)에 의해 한 쌍의 절단칼날(400) 중 어느 하나의 좌우 위치가 가변 조절 가능하게 칼날 축(320) 상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칼날(400)의 상부 외측에는 칼날 보호구(410)가 에워싸도록 구비되어 작업시 안전이 확보되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분진이 외부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칼날 보호구(410)의 내측으로는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도로 절단시 발생하는 작업분진의 비산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절단칼날(400)의 열을 식히기 위하여 물 탱크(120)에 연결된 분사 호스(420)가 칼날 보호구(410)에 접속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고, 커팅 구동부(500)의 일측에는 물 탱크(120)에 수용된 물이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 호스(420)를 통해 칼날 보호구(410)의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펌프(43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커팅 구동부(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기관을 포함하는 엔진으로서 절단칼날(400)이 회전되며 배수측구(10)의 커팅 작업이 이뤄지도록 구동력을 절단칼날(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구동부(500)와 칼날 축(320)의 사이에는 커팅 구동부(500)의 동력이 칼날 축(320)으로 전달되어 절단칼날(400)이 회전되도록 하는 커팅 전동부(51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칼날 축(320)과 커팅 구동부(500)의 사이에 커팅 전동부(510)가 구비되어 커팅 구동부(500)의 회전 동력이 절단칼날(400)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커팅 전동부(510)는 벨트와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연동바퀴(6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후방향 이동시 본체(100)에 따라서 함께 구름동작 되게 커팅 지지대(300)의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는 배수측구(10)의 절단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게 동일 바퀴 축 상에 구비된다.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7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후 이동시 배수측구(10)의 노출면보다 높게 형성된 배수측구(10) 측부의 단턱(20) 상면을 타고 구름동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연동바퀴(600) 및 구동바퀴(200)보다는 높은 위치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측구(10)의 커팅 작업시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700)에 의해 장치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자세가 더욱 안정되며 도로 측부의 단턱(20)에 지장 받지 않고 장치의 전후 이동과 동시에 배수측구(10)의 커팅 작업이 훨씬 더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중간 부분이 둔각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하향 회동시 본체(100)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되며 앞서 진행되는 절단칼날(400)에 의해 절개된 배수측구(10)의 커팅 틈새의 간격 사이를 지나가게 되도록 절단 틈새 탐촉자(80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측구(10)의 커팅 작업이 이뤄지며 본체(100)가 이동될 때에 절단 틈새 탐촉자(800)도 함께 배수측구(10)의 커팅 틈새를 통해 지나가다가 절단칼날(400)의 마모 등에 의해 배수측구(10)의 커팅 틈새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 등의 불 균일이 발생하게 되면 절단 틈새 탐촉자(800)가 걸리게 되어 장치의 추가적인 이동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 불량이나 절단칼날(400)의 마모 또는 장치의 오작동 등을 신속하게 인지 및 정정 조치하도록 하여 시공 불량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틈새 탐촉자(800)의 좌우 양 측면에는 절단 틈새 탐촉자(800)가 배수측구(10)의 커팅 틈새를 지나가다 걸리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 측면에 밀착 접촉되어 가압 됨에 따라 피에조(Piezo) 압전 효과에 의해 전압이 발생 되어 이를 작업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압전소자(81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압전소자(810)에는 외부로 소리나 빛의 형태로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단 틈새 탐촉자(800)에 압전소자(810)가 구비되어 배수측구(10)의 커팅 틈새에서의 불 균일한 작업상태가 작업자에게 최대한 신속 정확하게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절단칼날(400)의 마모나 장치의 오작동 등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110 : 이동핸들
120 : 물 탱크 200 : 구동바퀴
210 : 구동 전동부 300 : 커팅 지지대
310 : 완충링크 400 : 절단칼날
410 : 칼날 보호구 420 : 분사 호스
430 : 펌프 500 : 커팅 구동부
510 : 커팅 전동부 600 : 연동바퀴
700 :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 800 : 절단 틈새 탐촉자
810 : 압전소자

Claims (3)

  1. 일측에 이동핸들(11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핸들(11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름동작 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200);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팅 지지대(300);
    상기 커팅 지지대(3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콘크리트 배수측구(10)가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칼날(400);
    상기 커팅 지지대(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칼날(400)이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커팅 구동부(500);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향 이동시 상기 본체(100)에 따라서 함께 구름동작 되게 상기 커팅 지지대(300)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연동바퀴(600); 및
    상기 구동바퀴(200)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100)의 이동에 따라 배수측구(10) 일측의 단턱(20)을 타고 구름동작 되게 상기 구동바퀴(20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측구 단차 가이드 바퀴(700);
    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칼날(400)은 정면상 한 쌍의 구동바퀴(200) 그리고 한 쌍의 연동바퀴(600) 사이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바퀴(200) 및 연동바퀴(600)들의 진행방향과는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칼날(400)은, 상기 커팅 지지대(300)에 가로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칼날 축(320) 상에 구비되며, 상기 칼날 축(320)과의 사이에 구비된 칼날 이동 조립부(321)에 의해 정면상 좌우로 위치 변경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절단칼날(400)은 상기 칼날 축(320)에 배수측구(10)의 절단 폭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와 상기 커팅 지지대(300)의 사이에는 상기 커팅 지지대(300)가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완충링크(310)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링크(310)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유압으로 작동되는 완충 실린더(311)와, 상기 완충 실린더(311) 및 상기 커팅 지지대(3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된 힌지(313)와, 상기 완충 실린더(311)의 하부에 구비된 힌지(313) 및 상기 커팅 지지대(300)의 하부에 구비된 힌지(313)의 사이에 구비된 힌지 링크(315)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중간 부분이 둔각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하향 회동시 상기 본체(100)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되며 앞서 진행되는 상기 절단칼날(400)에 의해 절개된 배수측구(10)의 커팅 틈새의 간격 사이를 지나가게 되도록 절단 틈새 탐촉자(800)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 틈새 탐촉자(800)의 좌우 양 측면에는 상기 절단 틈새 탐촉자(800)가 배수측구(10)의 커팅 틈새를 지나가다 걸리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 측면에 밀착 접촉되어 가압 됨에 따라 피에조 압전 효과에 의해 전압이 발생 되도록 하는 압전소자(8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측구 커팅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153146A 2021-11-09 2021-11-09 배수측구 커팅장치 KR102428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46A KR102428678B1 (ko) 2021-11-09 2021-11-09 배수측구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46A KR102428678B1 (ko) 2021-11-09 2021-11-09 배수측구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678B1 true KR102428678B1 (ko) 2022-08-03

Family

ID=8284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146A KR102428678B1 (ko) 2021-11-09 2021-11-09 배수측구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6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817A (ja) * 2008-07-02 2010-01-21 Riken Diamond Industry Co Ltd 側溝切断装置及び側溝切断方法
KR20140094387A (ko) * 2013-01-22 2014-07-30 (주)복바우 유압식 도로절단장치
KR101429147B1 (ko) 2013-06-27 2014-08-11 한국도로공사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77962B1 (ko) * 2017-03-15 2018-07-12 전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커팅장치
KR102312114B1 (ko) * 2019-11-08 2021-10-19 경 곤 김 노면 그루빙 시공장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817A (ja) * 2008-07-02 2010-01-21 Riken Diamond Industry Co Ltd 側溝切断装置及び側溝切断方法
KR20140094387A (ko) * 2013-01-22 2014-07-30 (주)복바우 유압식 도로절단장치
KR101429147B1 (ko) 2013-06-27 2014-08-11 한국도로공사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77962B1 (ko) * 2017-03-15 2018-07-12 전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커팅장치
KR102312114B1 (ko) * 2019-11-08 2021-10-19 경 곤 김 노면 그루빙 시공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212B1 (ko) 각도조절용 도로커팅기
US6733086B1 (en) Vacuum system for milling machine
US41393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ing a paved roadway
KR100915879B1 (ko) 도로 및 교량 시설물의 세척장치
KR100932511B1 (ko) 친환경 차로 이탈 방지용 소음띠 시공 장치 및 방법
US9873142B2 (en) Cold planer exhaust system with access doors
CA2867957A1 (en) Scraper blade device with juxtaposed blade segments having a swivel interconnection between mating edges
CN113047144B (zh) 一种用于水泥混凝土铺面板的全厚式整体快速切割装备
US46406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surface material
US20120068524A1 (en) Multiple Milling Drums Secured to the Underside of a Single Milling Machine
US20130259568A1 (en) Ground ma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recycled tires
KR102428678B1 (ko) 배수측구 커팅장치
JP5198756B2 (ja) 施工装置
CH693641A5 (it) Procedimento di trattamento della superficie di rivestimenti in conglomerato bitumoso, asfalto, calcestruzzo o ferro mediante il metodo della pallinatura e macchina pallinatrice per la sua e
US7824127B1 (en) Road repair trac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790758A (en) colobado
KR100758003B1 (ko) 저소음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절단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개보수를 위한 도로 개착방법
US3398663A (en) Pavement finishing apparatus
WO2009105803A1 (en) Low height materials handling machine
FR2789414A1 (fr) Dispositif de curage et d'entretien des fosses, notamment de bord de routes
WO2018098380A1 (en) Smoothing drum with precision leveling for smoothing pavement surfaces
CN214573679U (zh) 一种用于高速公路的路肩整平机
US1980523A (en) Road building machine
CN115573416B (zh) 一种公路排水边沟自动清扫设备
KR102611022B1 (ko) 노면요철포장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