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757B1 -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757B1
KR100879757B1 KR1020070125721A KR20070125721A KR100879757B1 KR 100879757 B1 KR100879757 B1 KR 100879757B1 KR 1020070125721 A KR1020070125721 A KR 1020070125721A KR 20070125721 A KR20070125721 A KR 20070125721A KR 100879757 B1 KR100879757 B1 KR 100879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ound
manufacturing
braided wire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황희
Original Assignee
원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황희 filed Critical 원황희
Priority to KR102007012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2Braided wir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의 금속물 받침대에 케이블 래더의 전기적 접속으로 사용되며 기타 유연성이 요구되는 변압기 접지, 용접기, 발전기 등에 사용되는 접지선을 제작하는 제조 방법으로, 다수개의 동선을 직조하여 편조선을 제작하고 그 양단에 성형물을 적층하여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성형물이 편조선의 양단에 스며들어 접지선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선을 냉각한 후 접지선을 압착하고 접지고정부홀을 펀칭하며, 상기 접지선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를 제조함으로 제조방법이 간소하여 숙련된 기능을 가진 기능공이 아니더라도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은, 동선에 주석을 도금 및 도포한 다수개의 도선을 직조하여 편조선을 제작하는 편조선 제작단계; 상기 편조선 양단에 성형물을 적층하고 상기 성형물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상기 성형물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으로 용해되어 상기 편조선 양단으로 스며들어 접지선을 형성하는 접지선 제작단계; 상기 편조선 양단의 접지선을 냉수조에서 부분적으로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편조선 양단의 접지선을 프레스로 압착하며 상기 접지선의 접지고정부홀을 펀칭하는 펀칭단계; 및 상기 접지선 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를 제작하는 접지고정부 제작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조선

Description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Ground connection member one body make-up flexible copper braid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의 금속물 받침대에 케이블 래더의 전기적 접속으로 사용되며 기타 유연성이 요구되는 변압기 접지, 용접기, 발전기 등에 사용되는 접지선을 제작하는 제조 방법으로, 다수개의 동선을 직조하여 편조선을 제작하고 그 양단에 성형물을 적층하여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성형물이 편조선의 양단에 스며들어 접지선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선을 냉각한 후 접지선을 압착하고 접지고정부홀을 펀칭하며, 접지선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를 제조함으로 제조방법이 간소하여 숙련된 기능을 가진 기능공이 아니더라도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조선을 사용한 접지선은 전력선의 금속물 받침대에 케이블 래 더의 전기적 접속으로 사용되며 기타 유연성이 요구되는 변압기 접지, 용접기, 발전기, 전력플랜트장치의 접지 등으로 다방면에 사용되어 왔다.
도 1 내지 2는 은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조선의 사시도 이며, 종래의 편조선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편조선의 종래의 제조방법은 구리와 주석으로 구성된 다수의 도선을 직조하여 편조선(10)을 제작한 후 편조선(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접지선(100)을 주석이 도금된 동 파이프 단자를 압입 가공한 후 이를 편조선(10)에 양측에 결합시킨 후 프레스(500)에서 압착가공 하게 된다.
또한, 압착가공된 접지선(100)를 펀칭하여 접지고정부홀(120)을 형성시켜 상기 편조선(10)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조 방법은, 상기 편조선(10)을 직조한 후 상기 편조선(10) 양단에 결합되는 접지선(100)을 주석이 도금된 동파이프 단자를 압입 가공하는 별도의 제조과정을 거쳐 상기 편조선(10)의 양측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지부(100)는 주석이 도금된 동파이프 단자를 별도로 제조하므로 제조비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상기 편조선(10)과 접지선(100)은 압착과정을 통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키기는 하나 상기 편조선(10)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편조선(10)과 접지선(100)의 결합이 느슨해져 상기 편조선(10) 가닥이 상기 접지선(100)에서 이탈되게 되며 이로 인해 편조선(10)이 파손되어 편조선(10)을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로 인해 교체비용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별도로 접지선을 제조하지 않고 접지선과 편조선을 일체형을 제작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편조선이 접지선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접지선을 제조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조비가 필요치 않아 제조비를 낮출 수 있으며, 제조방법이 간소하여 숙련된 기술을 가진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접지선을 제작할 수 있는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동선에 주석을 도금 및 도포한 다수개의 도선을 직조하여 편조선을 제작하는 편조선 제작단계; 상기 편조선 양단에 성형물을 적층하고 상기 성형물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상기 성형물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으로 용해되어 상기 편조선 양단으로 스며들어 접지선을 형성하는 접지선 제작단계; 상기 편조선 양단의 접지선을 냉수조에서 부분적으로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편조선 양단의 접지선을 프레스로 압착하며 상기 접지선에 접지고정부홀을 펀칭하는 펀칭단계; 및 상기 접지선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를 제작하는 접지고정부 제작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물은, 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납은 150℃ ~ 200℃로 3~6초간 상기 가열수단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물은, 주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석은 280℃ ~ 350℃로 5~10초간 상기 가열수단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고정부홀은, 다각,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고정부의 테두리는, 다각,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방법이 간소하여 숙련된 기술을 가진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방법이 간소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로 접지선을 제작하지 아니하므로 접지선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조된 편조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내지 도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은, 편조선(10)을 제작하는 단계와, 편조선(10)의 양단에 접지선(100)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접지선(100)에 접지고정홀(120)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접지선(100)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110)을 제작하는 단계로 나누어진다.
각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동선에 주석을 도금 및 도포한 다수개의 도선을 직조하여 편조선(10)을 제작하는 편조선(10) 제작단계;(S100)
②.상기 편조선(10) 양단에 성형물(200)을 적층하고 상기 성형물(200)을 가열수단(300)으로 가열하여 상기 성형물(200)이 상기 가열수단(300)의 가열으로 용해되어 상기 편조선(10) 양단으로 스며들어 접지선(100)을 형성하는 접지선(100) 제작단계;(S200)
③.상기 편조선(10) 양단의 접지선(100)을 냉수조(400)에서 부분적으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0)
④.상기 편조선(10) 양단의 접지선(100)을 프레스(500)로 압착하며 상기 접지선(100)에 접지고정부홀(120)을 펀칭하는 펀칭단계;(S400) 및
⑤.상기 접지선(100)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110)를 제작하는 접지 고정부(110) 제작단계;(S500)
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①의 단계에서 상기 도선은 구리선에 주석을 도금, 또는 주석을 도포하여 상기 도선의 저항이 99.5% 이상으로 유지하여 전류가 효과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②의 단계에서 상기 성형물(200)은, 납으로 구성하도록 하며, 상기 납은 150℃ ~ 200℃로 3~6초간 상기 가열수단(300)으로 가열하여 상기 납이 용해되어 상기 편조선(10)의 양측에 원할하게 스며들게 한다. 특히, 상기 납은 편조선(10)의 양측 각각에 20㎜~30㎜의 간격으로 스며들어 접지선(10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③의 단계에서 상기 성형물(200)이 스며든 상기 편조선(10)은 냉수조(400)에서 약 3~6 간 냉각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상기 편조선(10)의 접지선(100) 부분만 부분적으로 냉각하여 상기 편조선(10)이 냉수에 침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냉각단계를 거치게 되면, 상기 접지선(100)과 상기 편조선(1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편조선(10) 가닥이 상기 접지선(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④의 단계에서 상기 접지선(100)을 프레스(500) 5ton의 압력으로 1~2초간 순각 압착하여 상기 편조선(10)과 접지선(10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부고정홀(120)을, 상기 프레스(500)에서 펀칭시 사각,육각, 원형으로 펀칭하여 접지부정홀(120)을 제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⑤의 단계에서 상기 접지선(100)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110)를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지고정부(110)의 테두리는, 사각, 원형으로 제작하게 된다.
특히, 상기 ④~⑤의 단계를 거쳐 제작된 완성품은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사용환경에 맞춰 이를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일시시예
도 4내지 도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의 일시시예는, 편조선(10)을 제조하는 단계와, 편조선(10)의 양단에 접지선(10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접지선(100)에 접지고정홀(120)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접지선(100)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110)을 제조하는 단계로 나누어진다.
각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동선에 주석을 도금 및 도포한 다수개의 도선을 직조하여 편조선(10)을 제작하는 편조선(10) 제작단계;(S100)
②.상기 편조선(10) 양단에 성형물(200)을 적층하고 상기 성형물(200)을 가열수단(300)으로 가열하여 상기 성형물(200)이 상기 가열수단(300)의 가열으로 용해되어 상기 편조선(10) 양단으로 스며들어 접지선(100)을 형성하는 접지선(100) 제작단계;(S200)
③.상기 편조선(10) 양단의 접지선(100)을 냉수조(400)에서 부분적으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0)
④.상기 편조선(10) 양단의 접지선(100)을 프레스(500)로 압착하며 상기 접지선(100)에 접지고정부홀(120)을 펀칭하는 펀칭단계;(S400) 및
⑤.상기 접지선(100)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110)를 제작하는 접지고정부(110) 가공단계;(S500)
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①의 단계에서 상기 도선은 구리선에 주석을 도금, 또는 주석을 도포하여 상기 도선의 저항이 99.5% 이상으로 유지하여 전류가 효과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②의 단계에서 상기 성형물(200)은, 주석으로 구성하도록 하며, 상기 주석은 280℃ ~ 350℃로 5~10초간 상기 가열수단(300)으로 가열하여 상기 주석이 용해되어 상기 편조선(10)의 양측에 원할하게 스며들게 한다. 특히, 상기 주석은 편조선(10)의 양측 각각에 20㎜~30㎜의 간격으로 스며들어 접지선(10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③의 단계에서 상기 성형물(200)이 스며든 상기 편조선(10)은 냉 수조(400)에서 약 3~6 간 냉각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상기 편조선(10)의 접지선(100) 부분만 부분적으로 냉각하여 상기 편조선(10)이 냉수에 침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냉각단계를 거치게 되면, 상기 접지선(100)과 상기 편조선(1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편조선(10) 가닥이 상기 접지선(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④의 단계에서 상기 접지선(100)을 프레스(500) 5ton의 압력으로 1~2초간 순각 압착하여 상기 편조선(10)과 접지선(10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부고정홀(120)을, 상기 프레스(500)에서 펀칭시 사각,육각, 원형으로 펀칭하여 접지부정홀(120)을 제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⑤의 단계에서 상기 접지선(100)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110)를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지고정부(110)의 테두리는, 사각, 원형으로 제작하게 된다.
특히, 상기 ④~⑤의 단계를 거쳐 제작된 완성품은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다양하게 제작하여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사용환경에 맞춰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편조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편조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조된 편조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편조선
100 : 접지선
110 : 접지고정부
120 : 접지고정부홀
200 : 성형물
300 : 가열수단
400 : 냉수조
500 : 프레스

Claims (7)

  1. 동선에 주석을 도금 및 도포한 다수개의 도선을 직조하여 편조선(10)을 제작하는 편조선(10) 제작단계;(S100)
    상기 편조선(10) 양단에 성형물(200)을 적층하고 상기 성형물(200)을 가열수단(300)으로 가열하여 상기 성형물(200)이 상기 가열수단(300)의 가열으로 용해되어 상기 편조선(10) 양단으로 스며들어 접지선(100)을 형성하는 접지선(100) 제작단계;(S200)
    상기 편조선(10) 양단의 접지선(100)을 냉수조(400)에서 부분적으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0)
    상기 편조선(10) 양단의 접지선(100)을 프레스(500)로 압착하며 상기 접지선(100)에 접지고정부홀(120)을 펀칭하는 펀칭단계;(S400) 및
    상기 접지선(100)의 테두리를 가공하여 접지고정부(110)를 제작하는 접지고정부(110) 가공단계;(S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200)은,
    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 선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납은 150℃ ~ 200℃로 3~6초간 상기 가열수단(300)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200)은,
    주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은 280℃ ~ 350℃로 5~10초간 상기 가열수단(300)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고정부홀(120)은,
    다각,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 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고정부(110)의 테두리는,
    다각,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 제조방법.
KR1020070125721A 2007-12-05 2007-12-05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KR10087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721A KR100879757B1 (ko) 2007-12-05 2007-12-05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721A KR100879757B1 (ko) 2007-12-05 2007-12-05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757B1 true KR100879757B1 (ko) 2009-01-21

Family

ID=4048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721A KR100879757B1 (ko) 2007-12-05 2007-12-05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7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871B1 (ko) * 2015-11-27 2017-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편조 케이블
WO2021230617A1 (ko) * 2020-05-15 2021-11-18 주식회사 아모센스 파워모듈
KR20220098472A (ko) 2021-01-04 2022-07-12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절곡 편조선 형태의 전원 공급 케이블 제조 방법
KR20220126374A (ko) 2021-03-09 2022-09-16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절곡 편조선 형태의 전원 공급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584A (ja) * 1995-01-24 1996-08-09 Fujikura Ltd 柱状端子間接続具
JP2913008B2 (ja) * 1995-02-10 1999-06-28 株式会社井上製作所 可撓給電端子
JP2002208314A (ja) * 2001-01-12 2002-07-2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高温用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構造及び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電力取り出し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584A (ja) * 1995-01-24 1996-08-09 Fujikura Ltd 柱状端子間接続具
JP2913008B2 (ja) * 1995-02-10 1999-06-28 株式会社井上製作所 可撓給電端子
JP2002208314A (ja) * 2001-01-12 2002-07-2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高温用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構造及び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電力取り出し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871B1 (ko) * 2015-11-27 2017-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편조 케이블
WO2021230617A1 (ko) * 2020-05-15 2021-11-18 주식회사 아모센스 파워모듈
KR20220098472A (ko) 2021-01-04 2022-07-12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절곡 편조선 형태의 전원 공급 케이블 제조 방법
KR20220126374A (ko) 2021-03-09 2022-09-16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절곡 편조선 형태의 전원 공급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617B1 (ko) 배전어셈블리
EP2737495B1 (en) Carbon-based substrate conductor
KR100879757B1 (ko)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CN105261459A (zh) 电子元件及其制造方法
JP6163691B2 (ja) 圧着端子の製造方法及び圧着端子
JP2014220061A (ja) 端子、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WO2017010308A1 (ja) モールド樹脂付電線及びモールド樹脂付電線の製造方法
CN109326899A (zh) 一种铝线束超声波焊接用铜铝复合端子及其制造工艺
JP6062593B1 (ja) 平編組線導体の製造方法
US9412483B2 (en) Composite wire and contact element
CN108630342A (zh) 一种软母线及其制备方法
JP2017010730A (ja) 端子化電線製造方法
JP2016177956A (ja) 接続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電線の製造方法
CN213211784U (zh) 一种抗氧化镀锡铜线
CN201315169Y (zh) 高强度的接地线用金属编织绳
KR102492980B1 (ko)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JP6316229B2 (ja) 接続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電線の製造方法
KR102403910B9 (ko) 강도, 전기전도도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자동차 또는 전기전자 부품용 동합금판재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동합금판재
CN102851714B (zh) 一种金属外漏端子的生产方法及其产品
JP6116740B1 (ja) 平編組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77394B1 (ja) 導体製造方法および導体
CN214477979U (zh) 一种内孔截面断层预处理的铜排结构
TWM566956U (zh) A new type of headphone wire
CN209930634U (zh) 一种高效的软板靶冲电镀引线装置
CN214900810U (zh) 一种网络滤波器外壳l型金属引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