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185B1 -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수액기 건조제 백 - Google Patents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수액기 건조제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185B1
KR100879185B1 KR1020020028628A KR20020028628A KR100879185B1 KR 100879185 B1 KR100879185 B1 KR 100879185B1 KR 1020020028628 A KR1020020028628 A KR 1020020028628A KR 20020028628 A KR20020028628 A KR 20020028628A KR 100879185 B1 KR100879185 B1 KR 100879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ccant bag
desiccant
bag
receiver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356A (ko
Inventor
안황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1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FNATURAL RESINS; FRENCH POLISH; DRYING-OILS; OIL DRYING AGENTS, i.e. SICCATIVES; TURPENTINE
    • C09F9/00Compounds to be used as driers, i.e. sicca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액기의 건조제 백에 관한 것으로, 건조제 백의 표면에 발생된 부푸러기를 제거하여 그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함으로써 냉매가 수액기를 통과할 때 건조제 백에서 떨어진 부푸러기가 아래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강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액기용 건조제 백 제조방법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건조제 백 원단(10A)과 건조제(20)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제 백 원단(10A)을 가열하여 그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11)를 녹이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건조제 백 원단을 일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성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건조제 백 재단지에 상기 건조제를 넣고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건조제 백의 표면에 일어나는 부푸러기가 가열단계를 통해 녹아 건조제 백 표면에 굳게 되므로 냉매가 수액기를 통과할 때 건조제 백의 부푸러기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다.
수액기, 건조제, 건조제 백, 부푸러기, 가열

Description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액기 건조제 백{METHOD FOR MANUFACTURING DRYER-BAG OF RECEIVER DRYER AND DRYER-BAG BY THE METHOD OF RECEIVER DRY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기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기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조된 건조제 백이 채용된 수액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조제 백, 10A : 건조제 백 원단
10B : 건조제 백 재단지, 11 : 부푸러기
12 : 뾰족부, 20 : 건조제
30,31 : 권취롤러, 40 : 컨베이어
50 : 가열장치
본 발명은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액기의 건조제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제 백의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를 제거하여 냉매가 수액기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차창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통상적으로,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자동차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한다.
상기와 같은 공조장치가 갖추게 되는 냉방시스템은 통상적인 냉동사이클에 의해 열교환매체인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자동차 실내의 열을 냉매를 통하여 외부로 발산하여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압축 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급속히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그리고,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등을 주요한 구성으로 포함하며, 이에, 냉방은 다음과 같은 과정이 순환되면서 이루어진다.
먼저, 압축기가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며, 이에 응축기가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의 상태로 상변화된 냉매를 냉각팬의 송풍작용으로 응축시켜 고온 고압의 액체로 만든다. 응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나온 냉매를 팽창밸브가 급속히 팽창시켜 증발기로 보내고, 증발기는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다시 압축기로 보낸다. 이때 송풍팬이 자동차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를 거쳐 자동차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로 냉각된 공기가 자동차 실내로 공급되면서 자동차 실내가 냉방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냉방과정에 있어서, 냉매는 기체→액체, 액체→기체로 연속적으로 상변화(相變化)되어야 하는데, 만약 냉매에 예컨대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냉방과정에서 상변화가 되지 못하여 냉방시스템이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만들뿐만 아니라 냉방시스템의 부식, 동결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응축기(C)와 팽창밸브(미도시) 사이에 응축기(C)에서 액화되지 않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액화된 냉매로부터 분리하여 액 냉매만을 팽창밸브로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행하는 수액기(1)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기(1)는, 하부가 개구된 수액기 본체(2)와, 수액기 본체(2)의 내부에 삽입되는 건조제 백(3)과, 수액기 본체(2)의 하측 개구부에 나사 체결되는 캡(4)과, 캡(4)의 상부에 삽입되는 필터(5)로 구성된다.
건조제 백(3)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을 재질로 하면서 냉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건조제(3a)가 봉입되어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제 백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건조제 백(3) 원단과 건조제(3a)를 각각 준비한다.
(2) 건조제 백(3) 원단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재봉, 열융착한다.
(3) 건조제 백(3)의 내부에 건조제(3a)를 넣고 개구부를 재봉, 열융착하여 밀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기(1)는, 수액기 본체(2)의 내부에 건조제 백(3)을 삽입하고, 필터(5)가 삽입된 캡(4)을 수액기 본체(2)의 하측 개구부에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건조제 백(3)은 수액기 본체(2) 내부의 걸림턱(2a) 상부에 배치되고, 캡(4)이 체결되면 필터(5)의 상면은 걸림턱(2a)의 저면에 밀착된다.
냉매의 흐름을 간략히 설명하면, 응축기(C)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액상 냉매는 수액기(1)의 내부에 유입되는데, 이때, 응축기(C)를 통과하면서 미처 응축되지 않은 기상 냉매가 함께 유입되고, 액상 냉매에 포함된 기체는 비중에 의해 액상 냉매의 위에 뜨게 되며, 액상 냉매는 건조제 백(3)과 필터(5)를 통과한 후 수액기(1) 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냉매의 유출입구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기의 건조제 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건조제 백(3)의 표면에는 그 재질의 특성상 부푸러기(3b)가 발생되며, 냉매가 수액기를 통과할 때 냉매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이 부푸러기(3b)에 엉키게 된다. 따라서, 이 부푸러기(3b)와 부푸러기(3b)에 엉킨 이물질이 냉매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냉매가 수액기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므로 냉방성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냉매의 흐름에 의해 건조제 백(3)의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3b)가 건조제 백(3) 원단에서 떨어져 필터(5)를 막거나, 냉매와 함께 냉매순환계통을 순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냉매와 함께 순환하는 부푸러기(3b)에 의해 압축기가 고장날 수 있고, 냉매순환계통이 막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제 백의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하여 냉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 수액기의 건조제 백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순환계통에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은, (1)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공성 건조제 백 원단과 건조제를 각각 마 련하는 단계와;
(2) 상기 건조제 백 원단을 일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건조제 백 재단지를 성형하는 단계와;
(3) 상기 건조제 백 재단지에 상기 건조제를 넣고 봉입하는 단계와; 그리고,
(4) 상기 (1) 단계 내지 (3) 단계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의 다음에는 상기 건조제 백 원단을 적어도 1회 이상 가열하여 그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를 녹여 제거하는 가열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상기 건조제 백 원단이 대략 80℃ 이상의 가열온도로 수초 동안 가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300℃의 가열 온도로 1 ~ 5초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건조제 백 재단지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건조제 백의 일단부가 뾰족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뾰족부를 일단부에 구비하도록 재단될 수 있으며, 건조제가 삽입되기 쉽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된 다공성 건조제 백 원단이 그 내부에 건조제가 충전된 상태에서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수액기의 건조제 백에 있어서,
상기 건조제 백 원단의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가 가열에 의해 그 표면에 융착되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제 백의 일단부에 뾰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액기용 건조제 백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S1)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면서 냉매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건조제 백 원단(10A)과 건조제(20)를 각각 준비한다. 건조제 백 원단(10A)은 제1권취롤러(30)에 두루말이 형태로 감아 준비할 수 있다.
(S2) 건조제 백 원단(10A)을 가열한다. 건조제 백 원단(10A)의 가열방법은, 예컨대, 제1권취롤러(30)에 감긴 건조제 백 원단(10A)을 이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제2권취롤러(31)에 감는 과정에서 건조제 백 원단(10A)을 가열장치(50)에 통과시킴으로써 가열할 수 있다. 건조제 백 원단(10A)은 가열장치(50)에서 대략 100 ~ 300℃의 가열온도로 약 1 내지 5초 동안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시 건조제 백 원단(10A)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11)가 녹아 그 표면에 굳게 된다. 건조제 백 원단(10A)의 가열시간은 건조제 백 원단(10A)이 제2권취롤러(31)에 감길 때 가열장치(50)에서 수초 내지 수십초 동안 가열되도록 제2권취롤러(31)의 회전을 셋팅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가열장치(50)를 통과하기 이전의 건조제 백 원단(10A)의 두께는 대략 1 ~ 5 ㎜ 정도이며, 가열장치(50)를 통과한 건조제 백 원단(10A)의 두께는 대략 1 ~ 3㎜ 정도로 얇아진다.
(S3) 제2단계에서 가열된 건조제 백 원단(10A)을 일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성형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는 그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포개지면 일단부가 뾰족하게 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뾰족부(12)를 일단부(건조제 백의 삽입시 선단부)에 구비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일단부에 뾰족부(12)를 형성한 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제 백(10)을 수액기(1)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캡(4)을 수액기 본체(2)에 체결할 때 그 사이에 건조제 백(10)이 끼지 않도록 모따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S4) 건조제 백 재단지(10B)에 건조제(20)를 넣고 재봉하거나 열융착하는 방법으로 밀봉함으로써 건조제 백(10)을 완성한다. 건조제 백(10)을 봉입하는 방법은,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펼친 상태에서 일측에 건조제(20)를 놓고, 타측을 포개어 주연부를 재봉, 열융착함으로써 봉입할 수 있고, 또한,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일측만 개구되도록 3면을 재봉, 열융착한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건조제(20)를 넣고 개구부를 재봉,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 실시예 2 >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제 백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S1)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건조제 백 원단(10A)과 건조제(20)를 각각 준비한다.
(S2) 건조제 백 원단(10A)을 일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성형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는 그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포개질 수 있도록 한 쌍의 뾰족부(12)를 일단부에 구비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일단부에 뾰족부(12)를 형성한 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제 백(10)을 수액기(1)에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
(S3)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컨베이어(40) 등의 이송장치를 통하여 가열장치(50)에 통과시켜 가열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는 가열장치(50)에서 대략 100~300℃의 가열온도로 약 1 내지 5초 동안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공정을 통해 그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11)가 표면에 녹아 굳게 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가열시간은 건조제 백 재단지(10B)가 컨베이어(40)를 타고 이송될 때 가열장치(50)에서 수초 내지 수십초 동안 가열되도록 컨베이어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을 셋팅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가열장치(50)를 통과하기 이전의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두께는 대략 1 ~ 5㎜ 정도이며, 가열장치(50)를 통과한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두께는 대략 1 ~ 3㎜ 정도로 얇아진다.
(S4) 가열된 건조제 백 재단지(10B)에 건조제(20)를 넣고 재봉하거나 열융착하는 방법으로 밀봉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봉입하는 방법은,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펼친 상태에서 일측에 건조제(20)를 놓고, 타측을 포개어 주연부를 재봉, 열융착함으로써 봉입할 수 있고, 또한,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일측만 개구되도록 3면을 재봉, 열융착한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건조제(20)를 넣고 개구부를 재봉,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 실시예 3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제 백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S1)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건조제 백 원단(10A)과 건조제(20)를 각각 준비한다.
(S2) 건조제 백 원단(10A)을 일정형상으로 재단하여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성형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는 그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접힐 수 있도록 한 쌍의 뾰족부(12)가 일단부에 구비되도록 재단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일단부에 뾰족부(12)를 형성한 것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조제 백(10)을 수액기 본체(2)에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
(S3) 건조제 백 재단지(10B)에 건조제(20)를 넣고 재봉,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밀봉한다.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봉입하는 방법은,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펼친 상태에서 일측에 건조제(20)를 놓고, 타측을 포개어 주연부를 재봉, 열융착함으로써 봉입할 수 있고, 또한, 건조제 백 재단지(10B)의 일측만 개구되도록 3면을 재봉, 열융착한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건조제(20)를 넣고 개구부를 재봉,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S4) 건조제(20)가 건조제 백 재단지(10B)에 봉입된 건조제 백(10) 완제품을 컨베이어(40) 등의 이송장치를 통해 가열장치(50)에 이송시켜 이를 가열한다. 건조제 백(10) 완제품은 가열장치(50)를 통해 대략 100℃ ~ 300℃의 가열온도로 약 1 내지 5초 동안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공정을 통해 그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11)가 녹아 표면에 굳게 된다. 여기서, 건조제 백(10)의 가열시간은 건조제 백(10)이 컨베이어(40)를 타고 이송될 때 가열장치(50)에서 수초 내지 수십초 동안 가열되도록 컨베이어 구동모터의 회전을 셋팅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가열장치(50)를 통과하기 이전의 건조제 백(10)의 두께는 대략 1 ~ 5㎜ 정도이며, 가열장치(50)를 통과한 건조제 백(10)의 두께는 대략 1 ~ 3㎜ 정도로 얇아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에 의하면, 건조제 백(10)의 표면에 일어나는 부푸러기(11)를 제거하기 위한 가열공정은 건조제 백 제조단계(준비-재단-봉입 단계) 중 어느 단계에서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들에서 가열단계가 1회만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가열단계가 다수회 반복 수행된 후 그 다음 공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또한, 한 단계에서만 이루어지지 않고 각 단계(준비-재단-봉입 단계)들의 사이 모두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제 백(10)은, 합성수지로 된 다공성 건조제 백 원단(10A)의 내부에 건조제(20)가 충전된 상태에서 봉입되어 이루어지며,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가 가열에 의해 그 표면에 융착되어 제거되고, 일단부에 뾰족부(12)가 형성되고, 수액기(1)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제 백(10)을 수액기 본체(2)의 하측 개구부에서부터 삽입하고, 이때, 건조제 백(10)의 일단 뾰족부(12)에 의해 건 조제 백(10)이 걸림없이 원활하게 삽입되며, 수액기 본체(2)의 하측 개구부에 필터(5)가 삽입된 캡(4)을 체결한다. 캡(4)을 체결할 때 건조제 백(10)의 하단부의 모따기부에 의해 건조제 백(10)의 하단부가 수액기 본체(2) 내부의 걸림턱(2a)의 사이에 끼지 않는다.
따라서, 건조제 백(10)이 가열되어 그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11)가 제거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냉매가 건조제 백 표면의 부푸러기, 부푸러기에 엉킨 이물질 등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건조제 백(1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건조제 백(10) 표면에 발생된 부푸러기(11)가 냉매와 함께 냉매순환계통을 순환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에 의하면, 건조제 백의 표면이 깨끗하게 처리되어 냉매가 건조제 백을 통과할 때 냉매의 흐름을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냉매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냉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부푸러기가 냉매순환계통을 순환하지 않으므로 압축기 등의 고장과 필터 등의 냉매순환계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급속히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그리고,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에서 상기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수액기 내에 넣어지는 건조제 백 제조방법으로서,
    (1)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공성 건조제 백 원단(10A)과 건조제(20)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와;
    (2) 상기 건조제 백 원단(10A)을 건조제 백의 일단부가 뾰족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뾰족부(12)를 일단부에 구비하는 형상으로 재단하여 건조제 백 재단지(10B)를 성형하는 단계와;
    (3) 상기 건조제 백 재단지(10B)에 상기 건조제(20)를 넣고 봉입하는 단계와; 그리고,
    (4) 상기 (1) 단계 내지 (3) 단계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의 다음에는 상기 건조제 백 원단을 적어도 1회 이상 80℃ 이상의 가열온도로 가열하여 그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11)를 제거하는 가열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수액기 내에 넣어지는 건조제 백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합성수지로 된 다공성 건조제 백 원단(10A)이 그 내부에 건조제(20)가 충전된 상태에서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에서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수액기 내에 넣어지는 건조제 백(10)에 있어서,
    상기 건조제 백의 일단부에 뾰족부(12)가 형성되고, 그 건조제 백 원단의 표면에 일어난 부푸러기(11)가 가열에 의해 그 표면에 융착되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백.
  5. 삭제
KR1020020028628A 2002-05-23 2002-05-23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수액기 건조제 백 KR100879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28A KR100879185B1 (ko) 2002-05-23 2002-05-23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수액기 건조제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28A KR100879185B1 (ko) 2002-05-23 2002-05-23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수액기 건조제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356A KR20030090356A (ko) 2003-11-28
KR100879185B1 true KR100879185B1 (ko) 2009-01-16

Family

ID=3238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628A KR100879185B1 (ko) 2002-05-23 2002-05-23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수액기 건조제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1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0824A (ja) * 1990-10-15 1992-05-25 Shichizo Yamaguchi 靴乾燥具の製法
KR970075028A (ko) * 1996-05-29 1997-12-10 베르나르드 보사르트 텍스처실에 기초한 열결합심용 직물기초재료 처리방법
KR200309675Y1 (ko) * 2002-12-27 2003-04-03 서종길 직물마감처리용 열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0824A (ja) * 1990-10-15 1992-05-25 Shichizo Yamaguchi 靴乾燥具の製法
KR970075028A (ko) * 1996-05-29 1997-12-10 베르나르드 보사르트 텍스처실에 기초한 열결합심용 직물기초재료 처리방법
KR200309675Y1 (ko) * 2002-12-27 2003-04-03 서종길 직물마감처리용 열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356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8115B2 (ja) エジェクタサイクル
DE10120243A1 (de)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CN109551996A (zh) 辅助过冷的二氧化碳汽车热泵空调系统
CN106322811A (zh) 车用空调换热系统和车辆
CN107438528A (zh) 车用空调系统
JP2015007491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879185B1 (ko) 수액기의 건조제 백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수액기 건조제 백
KR100807752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수액기
JPH05157443A (ja) 冷蔵装置
JP200321194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279183A (ja) 空気サイクル式冷却装置
JPH1123139A (ja) 車両用冷凍装置
KR102559846B1 (ko) 냉동탑차용 제상장치
KR101525530B1 (ko) 응축 폐열 제상 과냉각 냉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6973B1 (ko)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용 블레이드
JPH09318229A (ja) 冷凍装置
KR102386981B1 (ko) 블레이드를 이용한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JP2607298B2 (ja) 空気冷却装置
KR101002097B1 (ko) 증발기의 오일 분리 구조
KR100347154B1 (ko) 자동차용 에어콘의 축냉장치
JP2002195603A (ja) 除湿機
KR100840121B1 (ko) 자동차용 에어콘 압력센서
JPS5981459A (ja) 除霜機能を有する冷凍庫
KR100213174B1 (ko) 보조 열교환기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용 에어 콘디셔너 장치
KR100753522B1 (ko)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