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987B1 -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 Google Patents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987B1
KR100878987B1 KR20070109468A KR20070109468A KR100878987B1 KR 100878987 B1 KR100878987 B1 KR 100878987B1 KR 20070109468 A KR20070109468 A KR 20070109468A KR 20070109468 A KR20070109468 A KR 20070109468A KR 100878987 B1 KR100878987 B1 KR 10087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polishing
adhesiv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0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유
Original Assignee
유영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영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0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 폴리 프로필렌수지 필름, 폴리 에스터수지 필름,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 필름 등 얇은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제거하는 필름 접착제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들 필름을 롤러에 감아 풀어 주면서 사포 등으로 된 연마부를 이용하여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연마하여 상기 접착제를 제거함으로써 이들 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롤러, 접착제, 재활용, 연마부, 사포

Description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A apparatus for removing a bonding agent from a film}
본 발명은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 폴리 프로필렌수지 필름, 폴리 에스터수지 필름,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 필름 등 얇은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제거하는 필름 접착제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들 필름이 감긴 롤러를 회전시켜 이들 필름을 롤러로부터 풀어 주면서 사포 등으로 된 연마부를 이용하여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연마하여 상기 접착제를 제거함으로써 이들 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 폴리 프로필렌수지 필름, 폴리 에스터수지 필름,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 필름 등 접착제가 도포된 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이들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분리하여 제거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들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는 접착력이 강하므로 이들 필름으로부터 접착제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 폴리 프로필렌수지 필름, 폴리 에스터수지 필름,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 필름 등 얇은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름 접착제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감겨 있는 필름을 풀어주기 위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에 감겨진 필름을 인출하여 이송하기 위한 인출수단과, 상기 제1 롤러로부터 풀려 이송되는 필름에 부착된 접착제와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인출수단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제 박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박리수단은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연마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접착제 박리수단은 상기 연마부가 원주면에 구비되는 연마 롤러를 포함하기도 하며, 상기 연마부는 사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이 상기 연마 롤러의 연마부에 압박되도록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도포된 반대면과 접촉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텐션 롤러는 상호 이웃하는 상기 연마 롤러와 연마 롤러 사이에 설치되기도 하며, 상기 연마 롤러는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인출수단과 연마롤 러 사이에 설치되고, 원주면이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과 접촉하는 슬러지 제거 롤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슬러지 제거 롤러는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을 중심으로 상기 슬러지 제거 롤러의 대향 방향에 정전기 제거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필름의 양측면을 압박하며 회전하는 제1 인출롤러 및 제2 인출롤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이 다층 필름인 경우 상기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층이 권취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인출수단을 통과한 상기 필름을 권취하는 제2 롤러와, 상기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접착제 및 슬러지를 수거하도록 상기 슬러지 제거 롤러 및 연마롤러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폐곡선을 이루는 벨트 형태이고, 상기 접착제 박리수단은 상기 연마부의 일측부가 감기는 제1 연마부와 상기 연마부의 타측부가 감기는 제2 연마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이 상기 연마부에 압박되도록, 상기 제1 연마 롤러와 제2 연마 롤러 사이에서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도포된 반대면과 면접촉하는 제1 연마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마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연마보조부에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제1 연마보조부와 함께 상기 필름을 압박하도록 상기 연마부와 면접촉하는 제2 연마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인출수단과 접착제 박리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양측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마보조부가 상기 필름을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 연마보조부를 상기 필름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연마보조부 이송수단을 포함하거나, 상기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가 상기 필름을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 중 어느 하나의 슬러지 제거섬유를 상기 필름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슬러지 제거섬유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 폴리 프로필렌수지 필름, 폴리 에스터수지 필름,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 필름 등 얇은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접착제 박리수단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제거할 수 있어 이들 필름을 재활용하는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제 이용 필름 접착제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2는 도1의 연마롤러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1 롤러(111)를 갖는다. 제1 롤러(111)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필름이 감겨지는데, 제1 롤러(111)는 감겨진 상기 필름을 풀어주기 위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롤러(111)에는 제1 롤러축(113)이 고정 연결되며, 제1 롤러축(113)은 제1 롤러축 지지대(11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1 인출롤러(121) 및 제2 인출롤러(122)를 갖는 다. 제1 인출롤러(121) 및 제2 인출롤러(122)는 제1 롤러(111)에 감겨진 필름을 인출하여 이송하기 위한 인출수단(120)이다. 제1 인출롤러(121) 및 제2 인출롤러(122)는 상기 필름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의 양측면을 압박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필름에 이송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인출롤러(12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인출롤러(1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연마롤러(131)를 갖는다. 연마롤러(131)는 제1 롤러(111)와 인출수단(120) 사이에 구비된다.
도2를 참조하면 연마롤러(131)의 원주면에는 연마부(135)가 구비된다. 연마부(135)는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사포나 브러쉬 등일 수 있다. 연마롤러(131) 및 연마부(135)는 제1 롤러(111)로부터 풀려 이송되는 필름에 부착된 접착제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는 접착제 박리수단(130)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연마롤러(131)에는 연마롤러축(133)이 고정 연결되고, 연마롤러축(133)은 연마롤러축 지지대(도면 미도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연마롤러(131)는 전동전달장치인 벨트(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마롤러(131)가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하여 상기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효과적으로 연마 박리시킬 수 있다. 연마롤러(131)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1의 경우 연마부는 연마롤러(131)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 명의 경우 연마부(135)는 고정된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에는 텐션롤러(141)가 구비된다. 텐션롤러(141)는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도포된 반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이 연마롤러(131)의 연마부(135)에 압박되도록 설치된다. 텐션롤러(141)는 이웃하는 연마롤러(131)와 연마롤러(131) 사이에 구비된다.
도1을 참조하면 인출수단(120)과 연마롤러(131) 사이에는 슬러지 제거롤러(151)가 구비된다. 상기 필름에는 연마부(135)에 의해 연마된 접착제가 완전히 박리되지 않거나, 공기 중의 부유물이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에 달라붙음으로써 슬러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러지 제거롤러(151)는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원주면이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슬러지 제거롤러(151)는 상기 필름과의 접촉으로 인한 정전기 발생 이 방지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 제거롤러(151)는 전동전달장치인 벨트(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슬러지 제거롤러(151)가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하여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필름을 중심으로 슬러지 제거롤러(151)의 대향 방향에는 정전기 제거기(155)가 구비된다. 정전기 제거기(155)는 상기 필름에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하여 슬러지가 상기 필름에 강하게 흡착되어 슬러지 제거롤러(151)에 의해 쉽게 박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전기 제거기(155)는 통 상의 장치인데, 예를 들면 노즐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거나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2 롤러(161)를 갖는다. 제2 롤러(161)는 인출수단(120)을 통과한 상기 필름을 권취하는 롤러이다. 제2 롤러(161)에는 제2 롤러축(163)이 고정 연결되고, 제2 롤러축(163)은 제2 롤러축 지지대(16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롤러축(163)이 구동되어 회전함에 따라 제2 롤러(161)가 회전하며 인출수단(120)을 통과한 상기 필름을 권취하게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슬러지 제거롤러(151) 및 연마롤러(131) 하부에는 설치되는 호퍼(172)가 구비된다. 호퍼(172)는 상기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접착제 및 슬러지를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호퍼(172)의 하부에는 수거된 접착제 및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3은 실시예1의 변형 실시예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한 변형 실시예는 제3 롤러(181)를 가진다. 제3 롤러(181)는 제1 롤러(111)에 감기어 있는 필름이 접착제에 의해 이층으로 적층된 이층 필름인 경우 접착제로부터 분리된 한 층의 필름을 권취하기 위한 것이다.
도4는 실시예1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한 변형 실시예는 제3 롤러(181) 및 제4 롤러(191)를 가진다. 제3 롤러(181) 및 제4 롤러(191)는 제1 롤러(111)에 감기어 있는 필름이 제1 접착제 층 및 제2 접착제 층에 삼층으로 적층된 삼층 필름인 경우 제1 접착제 층으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필름 층을 각각 권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필름이 제1 롤러(111)에 감기어 있고, 상기 필름의 일측 단부는 제1 인출롤러(121)와 제2 인출롤러(122)를 통하여 제2 롤러(161)에 감기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인출롤러(121)와 제2 인출롤러(122)가 상기 필름을 압박하며 회전하면 상기 필름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상기 필름이 제1 롤러(111)로부터 풀어지게 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제1 롤러(111)로부터 풀어진 필름은 2개의 연마롤러(131)의 연마부(135)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연마롤러(131)는 필름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연마롤러(131)의 연마부(135)가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연마하는 힘이 커지게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연마롤러(131)연마롤러(131) 사이에는 텐션롤러(141)가 위치하여 필름을 연마롤러(131) 측으로 밀어부치게 되므로,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가 연마롤러(131)와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연마롤러(131)의 연마부(135)가 공회전됨이 없이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연마롤러(131)를 통과한 필름이 슬러지 제거롤러(151)와 접촉하므로, 필름에 형성된 슬러지가 제거된다. 이때, 정전기 제거기(155)에 의하여 필름에 발생한 정전기가 제거되고, 또한 슬러지 제거롤러(151)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므로 필름과 슬러지 사이에 존재하는 정전기가 작아 슬러지 제거롤러(151)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슬러지가 제거된 필름은 제1 인출롤러(121) 및 제2 인출롤 러(122)를 통과하여 제2 롤러(161)에 권취된다.
한편,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실시예1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이 이중 필름 또는 삼중 필름인 경우 제3 롤러(181) 및 제4 롤러(191)에 이중 필름 또는 삼중 필름으로부터 분리된 나머지 층의 필름이 각각 권취된다.
실시예2
실시예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제 이용 필름 접착제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5는 실시예2의 개략적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제1 롤러(211)를 갖는다. 제1 롤러(211)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필름이 감겨지는데, 제1 롤러(211)는 감겨진 상기 필름을 풀어주기 위하여 설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제1 인출롤러(221) 및 제2 인출롤러(222)를 갖는다. 제1 인출롤러(221) 및 제2 인출롤러(222)는 제1 롤러(211)에 감겨진 필름을 인출하여 이송하기 위한 인출수단(220)이다. 제1 인출롤러(221) 및 제2 인출롤러(222)는 상기 필름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의 양측면을 압박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필름에 이송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인출롤러(22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인출롤러(2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제1 연마롤러(231a)와 제2 연마롤러(231b)를 갖는다. 제1 연마롤러(231a)와 제2 연마롤러(231b)에는 연마부(235)가 컨베이어 벨트 형식으로 감기어 진다. 즉, 연마부(235)는 폐곡선을 이루는 벨트 형태로서 일측부가 제1 연마롤러(231a)에 감기고 타측부위가 제2 연마롤러(231b)에 감기어 진다. 연마부(235)는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사포나 브러쉬 등일 수 있다. 제1 연마롤러(231a), 제2 연마롤러(231b) 및 연마부(235)는 제1 롤러(211)로부터 풀려 이송되는 필름에 부착된 접착제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는 접착제 박리수단(230)이다. 접착제 박리수단(230)은 제1 롤러(211)와 인출수단(220) 사이에 설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제1 연마롤러(231a)는 제2 연마롤러(231b)가 구동됨에 따라 벨트 형태의 연마부(235)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마롤러(231b)가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하여 상기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효과적으로 연마 박리시킬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제1 연마보조부(241)를 갖는다. 제1 연마보조부(241)는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도포된 반대면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이 연마부(235)에 압박되도록 설치된다. 제1 연마보조부(241)는 제1 연마롤러(231a)와 제2 연마롤러(231b) 사이에 설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제1 연마보조부(241)에는 연마보조부 이송수단(241a)이 연결될 수 있다. 연마보조부 이송수단(241a)은 제1 연마보조부(241)가 상기 필름을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제1 연마보조부(241)를 상기 필름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이다. 연마보조부 이송수단(241a)은 실린더 및 피스톤에 연결된 로드(road)일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연마부(235)를 중심으로 제1 연마보조부(241)에 대향하는 방향에는 제2 연마보조부(24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연마보조부(242)는 제1 연마보조부(241)와 함께 상기 필름을 압박하도록 연마부(235)와 면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필름과 면접촉하는 제1 연마보조부(241)의 표면이 평면인 경우 연마부(235)와 면접촉하는 제2 연마보조부(242)의 표면도 평면으로 형성된다.
도5를 참조하면 인출수단(220)과 접착제 박리수단(230) 사이에는 슬러지 제거롤러(251)가 구비된다. 슬러지 제거롤러(251)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5를 참조하면 인출수단(220)과 접착제 박리수단(230) 사이에는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257)가 구비된다. 슬러지 제거섬유(257)는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필름의 양측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슬러지 제거섬유(257)는 상기 필름과 접촉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257)에는 슬러지 제거섬유 이송수단(257a)이 연결될 수 있다. 슬러지 제거섬유 이송수단(257a)은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257)가 상기 필름을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257)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필름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이다. 슬러지 제거섬유 이송수단(257a)은 실린더 및 피스톤에 연결된 로드(road)일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제2 롤러(261) 및 호퍼(272)를 갖는다. 제2 롤 러(261)는 인출수단(220)을 통과한 상기 필름을 권취하는 롤러이고, 호퍼(272)는 상기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접착제 및 슬러지를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2는 제3 롤러(도면 미도시), 제4 롤러(도면 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실시예1의 변형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상기한 실시예2의 경우 상기 필름에 도포된 접착제가 제1 연마보조부(241) 및 제2 연마보조부(242)에 의하여 연마부(235)와 면접촉하므로, 접착제가 상기 필름으로부터 쉽게 박리된다.
도1은 실시예1의 개략적 구성도.
도2는 도1의 연마롤러의 개략도.
도3은 실시예1의 변형 실시예의 주요부의 개략도.
도4는 실시예1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의 주요부의 개략도.
도5는 실시예2의 개략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제1 롤러 113:제1 롤러축
115:제1 롤러축 지지대
120:인출수단 121:제1 인출롤러
122:제2 인출롤러
130:접착제 박리수단 131:연마롤러
133:연마롤러축 135:연마부
141:텐션롤러 151:슬러지 제거롤러
155:정전기 제거기
161:제2 롤러 163:제2 롤러축
165:제2 롤러축 지지대
172:호퍼 181:제3 롤러
191:제4 롤러
211:제1 롤러
220:인출수단 221:제1 인출롤러
222:제2 인출롤러
230:접착제 박리수단 231a:제1 연마롤러
231b:제2 연마롤러 235:연마부
241:제1 연마보조부 241a:연마보조부 이송수단
242:제2 연마보조부
251:슬러지 제거롤러 257:슬러지 제거섬유
257a:슬러지 제거섬유 이송수단
261:제2 롤러 272:호퍼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접착제가 도포되어 감겨 있는 필름을 풀어주기 위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에 감겨진 필름을 인출하여 이송하기 위한 인출수단과,
    상기 제1 롤러로부터 풀려 이송되는 필름에 부착된 접착제와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인출수단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제 박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 박리수단은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연마부가 원주면에 구비되는 연마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이 상기 연마 롤러의 연마부에 압박되도록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도포된 반대면과 접촉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롤러는 상호 이웃하는 상기 연마 롤러와 연마 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롤러는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인출수단과 연마롤러 사이에 설치되고, 원주면이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과 접촉하는 슬러지 제거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제거 롤러는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중심으로 상기 슬러지 제거 롤러의 대향 방향에는 정전기 제거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필름의 양측면을 압박하며 회전하는 제1 인출롤러 및 제2 인출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다층 필름인 경우 상기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층이 권취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을 통과한 상기 필름을 권취하는 제2 롤러와,
    상기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접착제 및 슬러지를 수거하도록 상기 슬러지 제거 롤러 및 연마롤러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4. 접착제가 도포되어 감겨 있는 필름을 풀어주기 위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에 감겨진 필름을 인출하여 이송하기 위한 인출수단과,
    상기 제1 롤러로부터 풀려 이송되는 필름에 부착된 접착제와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인출수단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제 박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 박리수단은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부는 폐곡선을 이루는 벨트 형태이고,
    상기 접착제 박리수단은 상기 연마부의 일측부가 감기는 제1 연마부와 상기 연마부의 타측부가 감기는 제2 연마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형성된 면이 상기 연마부에 압박되도록, 상기 제1 연마 롤러와 제2 연마 롤러 사이에서 상기 필름의 접착제가 도포된 반대면과 면접촉하는 제1 연마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연마보조부에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제1 연마보조부와 함께 상기 필름을 압박하도록 상기 연마부와 면접촉하는 제2 연마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인출수단과 접착제 박리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양측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마보조부가 상기 필름을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 연마보조부를 상기 필름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연마보조부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가 상기 필름을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러지 제거섬유 중 어느 하나의 슬러지 제거섬유를 상기 필름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슬러지 제거섬유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KR20070109468A 2007-10-30 2007-10-30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KR10087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9468A KR100878987B1 (ko) 2007-10-30 2007-10-30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9468A KR100878987B1 (ko) 2007-10-30 2007-10-30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987B1 true KR100878987B1 (ko) 2009-01-15

Family

ID=4048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09468A KR100878987B1 (ko) 2007-10-30 2007-10-30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9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634B1 (ko) * 2013-07-17 2015-05-19 (주)보령기계 보호필름의 점착제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547754B1 (ko) 2014-02-05 2015-08-26 최윤영 폐합성수지필름에서 코팅이물질을 박리하는 박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106A (ja) * 1989-08-31 1991-04-11 Tanaka Kikinzoku Kogyo Kk 装飾用帯材の製造方法
JP2004074552A (ja) 2002-08-16 2004-03-11 Ricoh Co Ltd 粘着部材の回収装置及び粘着部材の回収方法
JP2004244192A (ja) 2003-02-14 2004-09-02 Ricoh Co Ltd 粘着剤除去装置及び該粘着剤除去装置を備えた部材剥離システム
JP2004276147A (ja) * 2003-03-13 2004-10-07 Fuji Photo Film Co Ltd 研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106A (ja) * 1989-08-31 1991-04-11 Tanaka Kikinzoku Kogyo Kk 装飾用帯材の製造方法
JP2004074552A (ja) 2002-08-16 2004-03-11 Ricoh Co Ltd 粘着部材の回収装置及び粘着部材の回収方法
JP2004244192A (ja) 2003-02-14 2004-09-02 Ricoh Co Ltd 粘着剤除去装置及び該粘着剤除去装置を備えた部材剥離システム
JP2004276147A (ja) * 2003-03-13 2004-10-07 Fuji Photo Film Co Ltd 研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634B1 (ko) * 2013-07-17 2015-05-19 (주)보령기계 보호필름의 점착제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547754B1 (ko) 2014-02-05 2015-08-26 최윤영 폐합성수지필름에서 코팅이물질을 박리하는 박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2640A1 (en) Improved security threa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same to a substrate
TW201302551A (zh) 導光板保護膜貼附及撕除裝置及方法
JP6278371B2 (ja) 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及び装置
KR100878987B1 (ko) 연마부를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KR100878986B1 (ko) 팽윤액을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JPWO2015178383A1 (ja) ガラス板用合紙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ガラス板積層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用合紙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板用合紙
JP2011183248A (ja) 除塵装置
KR100878985B1 (ko) 다중 이질 적층 필름 분리기
JP2005111345A (ja) 静電気浮上式除塵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7225839A (zh) 一种自动撕膜机
US20110268483A1 (en) Web cleaning systems including an electrostatic cleaning brush and methods of cleaning printed webs
JP2848224B2 (ja) 蛇行防止ガイド
JP2020093873A (ja) フィルム剥離装置
JP5885813B1 (ja) 光学的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08053782A1 (fr) Procédé et appareil pour fabriquer une feuille lenticulaire
JP2002279389A (ja) Icラベ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0176963A (ja) 除電ブラシ
CN112477206A (zh) 一种易因拉伸弹性变形的保护膜的模切方法
JP3104547B2 (ja) 蛇行防止ガイド
JP2011093113A (ja) 積層基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5101473A (ja)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フィルム剥離方法
JP2011128322A (ja) 転写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1187464A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JP2021122791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946965B1 (ko) 포장용 필름 합지장치의 가이드롤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