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549B1 -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 Google Patents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549B1
KR100878549B1 KR1020070021940A KR20070021940A KR100878549B1 KR 100878549 B1 KR100878549 B1 KR 100878549B1 KR 1020070021940 A KR1020070021940 A KR 1020070021940A KR 20070021940 A KR20070021940 A KR 20070021940A KR 100878549 B1 KR100878549 B1 KR 10087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extract
olive leaf
acid
juice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636A (ko
Inventor
로렌스 홀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아메리덴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덴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메리덴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7002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549B1/ko
Priority to AU2007202276A priority patent/AU2007202276A1/en
Priority to PCT/US2007/020953 priority patent/WO2008108817A1/en
Publication of KR2008008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올리브 잎 추출물에 싸이클로 덱스트린(Cyclodextrin)과 글리세린 에스테르(Glycerin Esters)를 혼합하여 올리브 잎 추출물이 함유하고 있는 올레우로페인(oleuropein)의 쓴 맛이 미각신경을 경유할 때까지 포집(encapsulate) 상태를 유지하여 쓴 맛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킴으로써 올리브 잎 추출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올리브 잎 추출물을 제공한다.
올리브, 올리브 잎, 추출물, 올레우로페인, 싸이클로 덱스트린, 글리세린 에스테르

Description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Processed Olive Leaf Extract}
도 1은 α, β, γ상의 덱스트린에 관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올레우로페인이 β-사이클로 덱스트린에 포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α, β, γ상의 사이클로 덱스트린 각각에 대한 쓴 맛의 완충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올리브 잎 추출물에 싸이클로 덱스트린(Cyclodextrin)과 글리세린 에스테르(Glycerin Esters)를 혼합하여 올리브 잎 추출물이 함유하고 있는 올레우로페인(oleuropein)의 쓴 맛이 미각신경을 경유할 때까지 포집(encapsulate) 상태를 유지하여 쓴 맛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킴으로써 올리브 잎 추출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올리브 잎 추출물을 제공한다.
올리브 잎 또는 과실로부터는 올레우로페인(oleuropein)이라는 성분을 추출 할 수 있는데, 올레우로페인은 올리브 과실 보다는 올리브 잎에 비교적 다량 함유되어 있어(올리브 잎 추출물은 올리브 과실에서부터 추출한 추출물보다 올레우로페인을 훨씬 더 많이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올리브 잎에서 추출한 올레우로페인 등 기능성 물질에 촛점이 맞춰지고 있다.
올레우로페인은 물푸래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물푸레나무와 쥐똥나무에서 올레우로페인을 검출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특히 조선시대의 명의 허준은 동의보감에서는 물푸레나무의 피를 달여서 혈우병, 고열병, 기침, 눈병 등에 감염된 환자들에게 복용하게 하는 경우 효능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는 현대에 와서 물푸레나무의 표피에 함유된 올레우로페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올레우로페인은 올리브 열매와 잎에 함유된 페놀화합물로서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미생물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켜 고혈압 완화, 산화 방지 효과, 혈당 조절 기능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보조 기능이 있는 물질이다. 특히 올레우로페인은 항균 능력이 뛰어난데, 항균 메커니즘이 타 항균제와는 달리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올레우로페인이 인체내에서 위산과 결합하면 페놀화합물에서 엘레놀릭 산(elenolic acid)이 용출되는데, 이 엘레놀릭 산은 인체내에서 단백질과 결합하여 항균성을 나타낸다. 특히 d-엘레놀릭산(d-elenolic acid)은 혈액 중에 있는 단백질과 혼합이 되지 않으면서 항균성을 유지하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올레우로페인의 생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올레우로페인은 특정 바이러스 세포를 비활성 상태로 만들거나 생존에 필수적인 특정한 아미노산의 생산을 중단시킴으로써 세포 조직에 정착하는 것을 방해하여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확산을 막는 작용을 한다.
또한 레트로바이러스가 역전사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의 생성을 방해하여 바이러스가 건강한 인체 세포의 RNA를 변화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종 암세포의 발생을 방지하게된다.
더욱이 올레우로페인은 여러 가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항하는, 인체 내의 면역 세포(Immune system cells)를 강화시킨다.
이처럼 강한 항균 작용으로 올레우로페인은 바이러스와 세균에 대한 항생제로서 아주 탁월한 효과를 갖고 있다.
올리브 잎에서 분리해낸 8개의 페놀화합물의 항균 능력은 대장균 (Escherichia coli),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아스퍼질러스 플라부스(Aspergillus flavus), 아스퍼질러스 파라시티쿠스(Aspergillus parasiticus)에 테스트한 결과 올레우로페인과 p-히드록시 벤조산(p-hydroxy benzoic acid), 바닐린산(vanillic acid), p-쿠마린산(p-coumaric acid)(0.4 mg/㎖)은 대장균, 폐렴간균, 세레우스균을 완전히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1977년부터 불가리아에서는 올레우로페인이 관상 동맥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점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했다. 그 결과, 다른 여러 약초나 식물에 비해 올레우로페인에 확실히 관상 동맥을 확장하는 기능이 있음이 밝혀졌다. 동물 실험에서 올레우로페인을 주입한 결과, 혈액 순환이 약 50% 정도 높아지는 것이 확인됐다.
동맥 확장 작용 외에도 올레우로페인에 심장 혈관의 건강을 증진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 즉, 염화물이나 칼슘 화합물을 주입하여 발생한 부정맥을 유도한 동물에게 올레우로페인이 작용하여 상승한 혈압을 오랫동안 저하시킨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에스파냐 그라나다 대학의 연구팀은 올레우로페인에서 다른 성분(올리유로피오사이드(oleuropeoside))를 분리했는데, 바로 이 물질이 관상 동맥의 벽을 부드럽게 하고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즉 올리유로피오사이드는 수축된 혈관을 이완시키고 보다 유연하게 하여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만듦으로써 혈압을 내려 준다는 것이다.
또한, 올레우로페인은 인체 내에서 손상된 세포조직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밀라노 대학 연구실에서 발표한 바에 의하면 지중해 연안에 서식하는, 포도나무나 올리브 나무 같은 식물들은 자연환경에서 스스로를 보호하는 산화 방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올리브유를 주요 지방 공급원으로 삼고 있는 지중해 지역의 주민들은 심장 질환과 암 발생률이 현저히 낮으며, 다른 식물성 기름과 달리 올리브 열 매를 압축하여 만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에는 올리브유의 안정성의 원인이 되는 페놀화합물이 풍부하여 초과산화물 음이온 생성과 호중구의 순환/배출 및 염산에 관해 모두 초과산화물 프리래디컬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험 결과, 올레우로페인이 황산구리(CuSO4)로 유도한 LDL 산화 작용을 완전히 중화시킴을 여러 방면에서 확인됐다. 즉 폴리페놀 화합물 성분이 동맥경화증 등과 관련된 생화학적 작용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또한, 에스파냐의 그라나다 대학에서는 올레우로페인이 혈당 조절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이 연구팀의 기록을 보면, 올리브 잎 추출액의 혈당 저하 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동물에게 (알록산을 주입하여 당뇨 증상을 유도한 후에) 올리유로피오사이드 16mg을 투여한 결과 현저한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포도당에 의해 유도된 인슐린의 생산이 증가되거나 말초 조직에서의 포도당 흡수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올레우로페인이 직접적으로 인슐린 생산을 촉진하거나(인체의 가장 바깥쪽에서) 혈당의 활용을 극대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올레우로페인의 효능은 매우 다양하며, 인체에 매우 유익한 작용을 함에는 분명하나 이를 용이하게 섭취하기 위해서는 올레우로페인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강한 쓴 맛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가공이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제껏 위와 같은 쓴 맛을 제거하거나 완화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던 방법들로는 1) 소금과 초산에 피클링(pickling)하여 쓴맛을 제거하는 방법, 2) 발효방법으로 쓴 맛을 제거하는 방법, 3) 가열하여 올레우로페인의 성질을 변화시킴으로써 쓴 맛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그러나, 소금과 초산에 피클링하여 쓴맛을 제거하는 방법은 올레우로페인이 가지는 고유의 영양성분을 파괴할 수 있으며, 발효방법으로 쓴 맛을 제거하는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음용, 가공식품 등을 제조하는데 그 범위의 제한이 있다.
특히, 가열하여 올레우로페인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올레우로페인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효과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와서는 올레우로페인을 캡슐에 넣은 후 이를 구강투여하는 방법도 강구되었으나, 노인이나 구강투여가 어려운 환자 또는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구강투여방법이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올레우로페인의 가공이 용이하지 아니하므로 올레우로페인을 다양한 제품에 응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올리브 잎 추출물의 쓴 맛을 제거하거나 완화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올레우로페인의 가공시 올레우로페인이 포함하 고 있는 고유의 성분이 파괴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올레우로페인 자체를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구강투여에 번거로움이 없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또 다른 목적은 올리브 잎 추출물을 다양한 식품 또는 건강보조제로 응용가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올리브 잎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 잎 추출물에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글리세린 에스테르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올리브 잎 추출물 10 내지 1,000 mg과, 상기 사이클로 덱스트린 0.5 내지 100 mg 및 상기 글리세린 에스테르 2 내지 1500 mg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은 자일리톨, 산(acid), 칼슘, 감미료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성분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은 색소 또는 향료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성분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색소는 0.5 내지 50 mg, 상기 향료는 0.2 내지 3,000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일리톨은 0.5 내지 1,500 mg, 상기 산(acid)은 0.5 내지 1,500 mg, 상기 칼슘은 2 내지 3,500 mg, 상기 감미료는 0.5 내지 1,500 mg인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상기 감미료는 리보디오사이드(Ribodiosides), 에리스리톨(Erythritol), 사카린(Saccharin), 수크랄로오스 시클라메이트(Sucralose cyclamate), 슈가알코올(Sugar alcohol), 아스파탐(aspatame),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Fructooligos accharides) 프룩토오스(Fructose), 전분 가수분해물(hydrogenerated starch hydrolysates), 아이소몰트(isomalt), 락티톨(lactitol), 말티티올(maltitiol), 마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설탕, 사탕수수, 과일주스, 수카나트(Succanat), 꿀, 쌀즙, Yinnie 즙, 감초뿌리, D-타가토오스(D-tagatose), 타가토오스(tagatose), 포도당, 옥수수즙, 단풍나무즙, 용설란과즙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acid)은 주석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젖산(lact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모노프로틱(monoprotic), 다이프로틱(diprotic), 트리프로틱(triprotic), 폴리프로틱(polyprotic)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은 사탕, 껌 또는 음료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례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올리브 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나, 올리브 잎 추출물 이외에도 올리브 과실 등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올리브 잎 추출물에는 올레우로페인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올레우로페인은 올리브 과실보다는 올리브 잎에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전술한 바와 같다.
올레우로페인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18425203-pat00001
그러나, 올레우로페인은 매우 쓴 맛을 가지고 있으므로, 올레우로페인을 직접 섭취하기는 매우 어려운 점이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올레우로페인 분자를 덱스트린 분자구조 내에 가두어 올레우로페인의 쓴 맛을 완충시키고자 하였다. 덱스트린은 맥아당이나 포도당이 되기 이전의 모든 가수분해 중간 생성물을 총칭하는 것이며 환상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레우로페인에 사이클로 덱스트린을 가하면 분자단위의 올레우로페인은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환상구조에 포집된다.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형상 및 올레우로페인의 포집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단단한 뿔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한 글루코오스 단량체(glucose monomer)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면이 소수성인 공동(cavity)을 가지고 있다. 가장 흔한 형태의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α, β, γ상으로 대표되는데, 각각 6, 7, 8개의 단량체로 구성된다. 원래, 각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분자를 함유하며, 이는 단량체의 조합과정에서 생산된 다. 이러한 함수분자가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내면 내부에 고정되는 소수성 종에 의해서 쉽게 이탈되기 때문에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다양한 분자를 안정적으로 포집하는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형상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α, β, γ상에 관하여 그 크기를 각각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크로 덱스트린은 상단부가 절단된 원뿔형상임과 동시에 도우넛 모양의 물질로서 가운데 부분에는 공동(cavity)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α, β, γ상에 따라서 가운데 구멍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므로 포집되는 분자에 상응하는 크기 (올레우로페인 분자 크기: 5.92±0.49×10-6 cm/s, P < 0.001 ) 의 구멍을 가진 사이클로 덱스트린 종류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올레우로페인의 분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동의 크기를 가진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β-사이클로 덱스트린으로서 올레우로페인 분자를 안으로 포집하여 올레우로페인의 쓴 맛을 감싸주며, 이를 구강에 투여할 경우, 혀의 미각신경(gustatory)을 지날 때까지 포집된 상태가 유지되어 쓴 맛이 크게 경감된 상태에서 미각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2에 올레우로페인이 β-사이클로 덱스트린에 포집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하였으며, 도 3에 α, β, γ상의 사이클로 덱스트린 각각에 대한 쓴 맛의 완충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레우로페인 분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동의 크기를 가진 β상의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경우에 있어서 쓴 맛을 완충시키는 효과가 가장 크게 됨을 알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공동내에 올레우로페인 분자를 포집시켜 올레우로페인의 쓴 맛을 경감시키고, 따라서 식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환상구조를 갖는 덱스트린 분자는 올레우로페인 분자를 포섭할 수는 있으나,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기능은 갖지 않으므로, 사이클로 덱스트린 분자에 포섭된 올레우로페인의 쓴 맛을 완충시키는데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올레우로페인 분자를 사이클로 덱스트린 분자에 포섭할 수 있는 매개체가 필요한 바, 이를 위하여 글리세린을 사용하였다.
글리세린이 올레우로페인 분자를 사이클로 덱스트린 분자에 포섭하는 원리에 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글리세린의 분자식은 다음과 같다.
              R - COO - CH2 - CH2 - (O - CH2 - CH - CH2)n- OH
                                        |                |
                                        OH               OH
위 분자식으로부터 알 수 잇는 바와 같이 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친수기와 친유기를 모두 포함하며, 유화제(Emulsion agent)로 주로 사용되고, 유화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 surface active agent)로 대다수의 식품에 유화(Emulsify)를 목적으로 하여 이용된다. 식품가공에서 기름을 사용하는 제품은 수용성인 전분이나 단백질를 소재로 하기 때문에 이들의 공존이 어렵고 완성된 제품에서 지방성분이 누출되어 제품의 유연성과 감촉성(texture)을 상실하게 되며, 뒤이어 퇴화 또는 노화현상이 발생되어 제품의 형상이 변형되고 재질도 단단하게 된다. 식품을 구성하고 있는 수용성과 지용성 물질과의 혼용에는 반드시 유화제를 첨가해야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유화제가 첨가된 식품은 균질성과 유연성, 노화가 방지되어 양질의 제품이 생산된다.
식품에 사용되는 유화제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Monogly), 쏘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Sorpan),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Aldo), 슈가에스텔(Sugar Ester) 와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등이 있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유화의 효과가 더욱 커진다.
유화제는 각각의 친수친유가(H.L.B; Hydrophilic-Lypophilic Balance)를 가지고 있어 제품이 함유하고 있는 지방의 양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은 글리세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올레우로페인과 사이클로 덱스트린간의 에멀전(Emulsion) 효과에 의하여 안전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은 그 주요성분인 올레우로페인을 천연 항생 물질 또는 치아 강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제품 등으로 폭넓게 응용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제조된 제품은 성인, 아동 구분하지 않고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올리브 잎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체내의 세균, 병원균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치아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올리브 잎 추출물은 경구용 또는 드링크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껌 또는 경질/연질 캔디, 음료수 등을 예로써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공된 올리브 추출물의 조성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물질 중량(mg)
자일리톨(Xylitol) 0.5 ~ 1,500
올리브잎추출물(Olive Leaf Extract) 10 ~ 1,000
시트르산(Citric Acid) 0.5 ~ 1,500
칼슘(우유로부터 추출) 2 ~ 3,500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0.5 ~ 100
글리세린 에스테르(Glycerin Esters) 2 ~ 1,500
수크랄로오스(Sucralose) 0.5 ~ 1,500
색소(Colors) 0.5 ~ 50
향료(Flavors) 0.2 ~ 3,000
이하, 본 발명에 의하여 올레우로페인을 사이클로 덱스트린에 혼합하고, 여기에 글리세린 에스테르를 첨가하여 가공된 올리브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올레우로페인, 사이클로 덱스트린, 글리세린 에스테르의 혼합순서는 글리세 린 에스테르와 올리브 잎 추출물을 혼합하는 과정이 먼저인데 올리브 잎 추출물에 함유된 올레우로페인의 함량에 따라서 혼합비가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는 올리브 잎 추출물에 함유된 올레우로페인의 함량이 20~25 중량%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올리브 잎 추출물 : 글리세린 에스테르의 혼합비율을 3 : 7의 비율이 되게 혼합하였다. 이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위 혼합물을 잘 혼합한 후에 조밀한 체를 이용하여 수차례 통과시켜서 균질의 혼합체를 제조하였다. 이 때, 실내는 온도 20℃, 습도 40% 이하로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혼합된 올리브 잎 추출물과 글리세린 에스테르에 사이클로 덱스트린을 15~20%를 혼합하였는데, 포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혼합과 교반을 3회 이상 반복한 후에 조밀한 체를 이용하여 반복 통과시킨 후, 균일하게 포집되도록 하였다.
즉, 친수성과 친유성을 가진 글리세린 에스테르를 올레우로페인 분자와 혼합한 후, 이를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다시 혼합하면, 소수성을 가진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내면에 친유성을 가진 글리세린 에스테르의 에스테르 성분이 결합하면서 올레우로페인 분자와 사이클로 덱스트린간의 가교역할을 하게되고, 그에 따라 올레우로페인 분자가 사이클로 덱스트린 분자 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된 각 성분과 이들 성분의 대체 성분들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잎 또는 추출물로부터 얻은 자일리톨은 감미료로 사용된 것으로서 리보디오사이드(Rebaudiosides), 에리트리톨(Erythritol), 사카린(Saccharin), 수크랄로오스 시클라메이트(Sucralose cyclamates), 슈가알코올(Sugar Alcohols), 아스파탐(Aspartame),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fructooligosaccharides), 프룩토스(Fructose), 아이소몰트, 락티톨, 말티티올, 마니톨, 솔비톨, 누트라스위트, 스위트앤로우, 몰트 등으로부터 추출된 설탕 등을 감미료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올리브잎 추출물은 0 내지 100%의 올레우로페인을 함유하도록 하는 액상 또는 건조된 형태의 물질로 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시트르산의 경우 과일, 땅콩, 야채, 또는 동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데, 천연재료 또는 합성재료이며, 모노하이드레이트(monohydrate) 또는 안하이드러스(anhydrous), 액상, 분말 또는 동결건조형태 일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산물질은 타르타릭산, 말릭 산, 락틱 산, 아세틱산, 수신닉 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칼슘은 과일, 땅콩, 야채, 동물 등을 통해 인공적으로 합성하거나 자연상태의 물질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완충제로서 이러한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셀룰로오신(cellulosine), 사이클로 덱스트린 알파, 베타, 감마,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 덱스트린, 트랩솔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인산, 붕산, LiDS, SDS, 옥탄, 부탄1올, 크롬산, TTAB, MES, 포름산, 이미다졸, MeOH, ACN, 소디움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암모늄 아세테이트 등은 사이클로 덱스트린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세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가지며,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되어 있고, 에스테르를 모노글리세라이드라고 한다. 다이글리세라이드와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하이드록실 그룹에서 에스테르화된 두 개 또는 세개의 지방산 그룹을 갖는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락토산에스테르,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시트르산 에스테크,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호박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라이드의 디아세틸타르타릭산,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리에이트,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의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네시틴, 효소처리된 레시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성분들을 모두 결합함으로써 올리브 잎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례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올레우로페인 분자를 덱스트린 분자내에 포섭함으로써 올레우로페인이 갖는 고유의 쓴 맛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올레우로페인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올레우로페인의 쓴 맛을 완충시킴으로써 올레우로페인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금, 초산 등을 사용하지 아니함으로써 올레우로페인을 변성시키지 않고 올레우로페인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올리브 잎 추출물과 글리세린 에스테르의 혼합물 및 그 후에 혼합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 잎 추출물 10 내지 1,000 mg과, 상기 사이클로 덱스트린 0.5 내지 100 mg 및 상기 글리세린 에스테르 2 내지 1500 mg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은 자일리톨, 산(acid), 칼슘, 감미료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성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은 색소 또는 향료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성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0.5 내지 50 mg, 상기 향료는 0.2 내지 3,000 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리톨은 0.5 내지 1,500 mg, 상기 산(acid)은 0.5 내지 1,500 mg, 상기 칼슘은 2 내지 3,500 mg, 상기 감미료는 0.5 내지 1,500 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는 리보디오사이드(Ribodiosides), 에리스리톨(Erythritol), 사카린(Saccharin), 수크랄로오스 시클라메이트(Sucralose cyclamate), 슈가알코올(Sugar alcohol), 아스파탐(aspatame),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Fructooligos accharides) 프룩토오스(Fructose), 전분 가수분해물(hydrogenerated starch hydrolysates), 아이소몰트(isomalt), 락티톨(lactitol), 말티티올(maltitiol), 마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설탕, 사탕수수, 과일주스, 수카나트(Succanat), 꿀, 쌀즙, Yinnie 즙, 감초뿌리, D-타가토오스(D-tagatose), 타가토오스(tagatose), 포도당, 옥수수즙, 단풍나무즙, 용설란과즙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가지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acid)은 주석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젖산(lact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모노프로틱(monoprotic), 다이프로틱(diprotic), 트리프로틱(triprotic), 폴리프로틱(polyprotic)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가지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은 사탕, 껌 또는 음료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는 리보디오사이드(Ribodiosides), 에리스리톨(Erythritol), 사카린(Saccharin), 수크랄로오스 시클라메이트(Sucralose cyclamate), 슈가알코올(Sugar alcohol), 아스파탐(aspatame),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Fructooligos accharides) 프룩토오스(Fructose), 전분 가수분해물(hydrogenerated starch hydrolysates), 아이소몰트(isomalt), 락티톨(lactitol), 말티티올(maltitiol), 마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설탕, 사탕수수, 과일주스, 수카나트(Succanat), 꿀, 쌀즙, Yinnie 즙, 감초뿌리, D-타가토오스(D-tagatose), 타가토오스(tagatose), 포도당, 옥수수즙, 단풍나무즙, 용설란과즙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가지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acid)은 주석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젖산(lact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모노프로틱(monoprotic), 다이프로틱(diprotic), 트리프로틱(triprotic), 폴리프로틱(polyprotic)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가지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KR1020070021940A 2007-03-06 2007-03-06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KR10087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940A KR100878549B1 (ko) 2007-03-06 2007-03-06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AU2007202276A AU2007202276A1 (en) 2007-03-06 2007-05-21 Processed olive leaf extract
PCT/US2007/020953 WO2008108817A1 (en) 2007-03-06 2007-09-28 Nutritional supplement with oleurop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940A KR100878549B1 (ko) 2007-03-06 2007-03-06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636A KR20080081636A (ko) 2008-09-10
KR100878549B1 true KR100878549B1 (ko) 2009-01-14

Family

ID=3973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940A KR100878549B1 (ko) 2007-03-06 2007-03-06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78549B1 (ko)
AU (1) AU2007202276A1 (ko)
WO (1) WO2008108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7675B2 (ja) * 2015-01-22 2019-04-10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活動量の低下及び/又は不安の改善用組成物
WO2018000102A1 (en) 2016-07-01 2018-01-04 Swan Cytolog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nd delivery of entities
ES2813774B2 (es) * 2019-09-20 2022-08-02 Univ Sevilla Procedimiento para la extraccion en hoja de olivo de oleuropeina en una fraccion fenolica, composicion alimentaria funcional y uso
FR3119767B1 (fr) * 2021-02-18 2023-09-08 Nmc Lab Composition pour renforcer le système immunitai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415A (en) * 1896-11-17 William h
WO2003086442A2 (en) * 2002-04-04 2003-10-23 Natural Disinfectant Technologies Ophthalmic, pharmaceutical and other healthcare preparations with naturally occuring plant compounds, extracts and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0340A1 (en) * 2005-07-25 2007-01-25 David Rubin Fish oil products for reducing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and hyperten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415A (en) * 1896-11-17 William h
WO2003086442A2 (en) * 2002-04-04 2003-10-23 Natural Disinfectant Technologies Ophthalmic, pharmaceutical and other healthcare preparations with naturally occuring plant compounds, extracts and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636A (ko) 2008-09-10
WO2008108817A1 (en) 2008-09-12
AU2007202276A1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688B2 (en)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4838669B2 (ja) 風味改善剤、これを用いた風味改善方法及び飲食品
JP2007185109A (ja) 美容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91642A1 (ja) 関節炎の予防または治療剤
JP2008061510A (ja) 風味改善剤、これを用いた風味改善方法及び飲食品
DE60211632T2 (de) Verwendung von Cyclotetrasaccharide zur Erhöhung der &#34;Aktiven-Sauerstoff-Eliminierenden-Aktivität&#34;
KR101075696B1 (ko) 휘발성 알데히드류의 생성 및/또는 지방산류의 분해를 억제하는 방법과 그 용도
KR100878549B1 (ko) 가공된 올리브 잎 추출물
WO2004020552A1 (ja) ラジカル反応抑制剤及びラジカル反応抑制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WO2004076602A1 (ja) 脂質膜を構成している脂質の分解抑制方法及びその用途
JP5013588B2 (ja) 血中脂質改善剤
JP4037035B2 (ja) 風味改善剤
JP5716938B1 (ja) 経口組成物及び呈味改善組成物
JP4401041B2 (ja) 加温状態で流通、販売される飲食品用天然系日持ち向上剤、日持ちが向上した飲食品、及び加温状態で流通、販売される飲食品の日持ち向上方法
JP2004267158A (ja) 機能性飲食品の風味劣化防止方法
KR100821951B1 (ko) 올리브 잎 추출물의 가공방법
JP2007131579A (ja) 生理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138698A1 (ja) 腸内細菌叢改善剤
JP6362237B1 (ja) グネチンc高含有メリンジョ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10894B1 (ko) 맛이 차폐된 비타민 c 과립
US20210330577A1 (en) Method for eliminating odors comprising a deodorant composition containing opuntia ficus extract or persimmon juice
KR101830948B1 (ko) 비파잎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2138B1 (ko) 쓴맛 차폐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삼 가공 식품 조성물
JP2004059525A (ja) 抗菌剤組成物
KR102261238B1 (ko) 달팽이 진액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