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209B1 -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209B1
KR100878209B1 KR1020020035716A KR20020035716A KR100878209B1 KR 100878209 B1 KR100878209 B1 KR 100878209B1 KR 1020020035716 A KR1020020035716 A KR 1020020035716A KR 20020035716 A KR20020035716 A KR 20020035716A KR 100878209 B1 KR100878209 B1 KR 10087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lamp holder
light guide
gui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775A (ko
Inventor
이상덕
김규석
하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209B1/ko
Priority to US10/410,425 priority patent/US6834974B2/en
Priority to TW092108100A priority patent/TWI258623B/zh
Priority to CNB031312659A priority patent/CN100458525C/zh
Priority to JP2003160517A priority patent/JP4224354B2/ja
Publication of KR2004000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램프 전극부의 암부를 개선하기 위한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램프 어셈블리는 광을 출사하는 램프와, 램프의 양단을 수용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램프의 양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하고, 도광부는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과 램프 홀더를 경유하여 출사된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고, 가이드된 광을 출사하며, 수납 용기는 복수의 측벽으로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램프 어셈블리와 도광판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램프 양단부에서 램프 홀더에 의해 발생하는 암부를 제거할 수 있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20035716
램프, 액정, 백라이트, 휘도, 암부, 투명, 반투명, 실리콘

Description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LAMP ASSEMBLY, AND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플랫 타입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웨지 타입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유효 및 비유효 발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한 도 4의 몰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한 도 4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유효 및 비유효 발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한 도 7의 몰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한 도 7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유효 및 비유효 발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채용한 액정 표 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백 라이트 어셈블리 12, 20, 110 : 도광판
130, 230 : 램프 홀더 140 : 램프 커버
14a, 14b, 24, 120 : 램프 160 : 광학시트류
170, 270 : 몰드 프레임 176b, 178b : 돌출부재
278b, 278c, 278d, 278d : 걸림턱부재 18, 28, 150 : 반사판
200 : 디스플레이 유니트 300 : 바텀 샤시
400 : 탑 샤시 500 : 프론트 케이스
172, 174, 176, 178, 272, 274, 276, 278 : 측벽
본 발명은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전극부에 의해 발생되는 암부를 개선하기 위한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CD)는 자기 발광을 하지 않기 때문에, LCD 패널을 투과한 외래 광을 반사시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LCD 패널의 배면에 별도의 광원, 즉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빛을 발산시키는 램프 유닛, 램프 유닛에서 발산된 빛을 LCD 패널 쪽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도광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또는 리플렉터), 도광판으로부터 전달된 빛의 휘도를 상승시키는 광학시트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백 라이트 유니트의 도광판은 램프 유닛의 배열 위치에 따라 램프 유닛이 양측부에 구비되는 플랫(Flat) 타입과 램프 유닛의 일측부에 구비되는 웨지(Wedge) 타입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랫(Flat) 타입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랫 타입의 도광판(10)의 양측부에는 빛의 누설을 차단하는 램프 수납 용기(또는 램프 리플렉터)(12a, 12b)의 내측에 구비되는 램프 유닛(14a, 14b)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확산시트(16)측으로 가이드한다. 이때 도광판(12)의 하부로 누설되는 광을 재반사시키기 위해 별도의 반사판(1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현재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도광판(또는 도광판)은 폴리메틸 메탈이크릴(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싸이클릭 올레핀 폴리머(COP: Cyclic Olefin Polymer)와 같은 고분자 물질을 재료로 하기 때문에 그 밀도가 높고, 이에 따라 LCD 모듈을 구성하는 여러 구성 요소들 중에서 가장 큰 무게를 차지한다. 특히,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무게나 두께의 팩터가 중요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플랫 타입보다는 보다 경량인 웨지(Wedge) 타입의 도광판을 이용하기도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웨지 타입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지 타입의 도광판(20)의 일측부에는 빛의 누설을 차단하는 램프 수납 용기(또는 램프 리플렉터)(22)의 내측에 구비되는 램프 유닛(24)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확산시트(26)측으로 가이드한다. 이때 도광판(20)의 하부로 누설되는 광을 재반사시키기 위해 별도의 반사판(2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일반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일반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유효 및 비유효 발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램프의 지지 역할뿐 아니라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도광판이 -Y방향으로 밀렸을 때 작지만 도광판의 스토퍼 역할까지 해주고 있는 램프 홀더는 액정표시모듈 전체 외곽 라인, 즉 X-차원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도 1에 볼 수 있듯이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가까이에 있게 된다. 이는 암부와 같이 외관 표시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램프의 비유효발광장이 액정표시패널의 화면구동부인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안쪽으로 침범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이는 백라이트 유니트 외관상 암부를 발생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램프 전극부의 길이를 줄여 램프 비유효발광장을 줄이거나 상기한 도 3에서 도시한 도광판 코너부의 패턴을 조정하여 스크린 코너부(즉, 램프 전극부)에 발생되는 암부를 개선하였다. 하지만, 액정표시모듈의 외곽, 즉 X-차원이 콤팩트화되는 추세에 상기의 방법만으로 램프 전극부에 의해 발생되는 암부를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 전극부의 암부를 개선하여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램프 어셈블리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는, 제1 전원전압을 제공받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원전압을 제공받는 제2 전극부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원전압에 응답하여 광을 출사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의 양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램프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출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양단을 수용하고, 상기 램프의 양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하는 램프 어셈블리;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과 상기 램프 홀더를 경유하여 출사된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고, 가이드된 광을 출사하는 도광판; 및 복수의 측벽으로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을 수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출사하는 램프의 양단을 수용하고,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하는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여 출사하는 도광판, 상기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을 수용하는 수납 용기를 구비하여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로부터 출사된 광에 응답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램프 양단부를 수납하는 램프 홀더의 재질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변경하므로써 램프 홀더에 의해 발생하는 암부를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광판(110), 램프(120), 램프 홀더(130), 램프 커버(140), 반사판(150), 광학시트류(160) 및 몰드 프레임(170)을 포함한다.
도광판(110)은 측부에 구비되는 입광부를 통해 제공되는 광을 가이드하여 상부에 구비되는 출광부를 통해 출력한다. 도면상에서는 도광판의 형상을 일측부가 두껍고, 일측부에 대향하는 타측부가 얇은 웨지(Wedge)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양측부의 두께가 동일한 플랫(Flat) 형상을 통해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램프(120)는 양단에 전극부를 각각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에 응답하여 소정의 광을 발산한다. 일반적으로 램프의 양단은 핫전극부과 콜드 전극부로 이루어지며, 핫전극부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1 전원전압이라 하고, 콜드전극부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2 전원전압이라 한다.
램프 홀더(130)는 램프(120)의 전극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램프 커버에 결합된 상태에서 몰드 프레임(170)에 안착된다. 이때 램프 홀더(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램프(120)로부터 발산된 광을 출력한다. 물론 램프 전극부에 의해 발생된 열에 대해 내열성을 갖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는 실리콘 재질이 바람직하다.
램프 커버(140)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120)를 수납하고, 도광판(110)과의 결합을 통해 광의 누설을 차단한다. 이때 도광판(110)과 결합되는 램프 커버(140)는 일종의 클립 타입으로써, 도광판(110)의 상부면과 오버랩되는 제1 결합부재의 길이가 도광판(110)의 바닥면과 오버랩되는 제2 결합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150)은 도광판(110)의 하측부에 배치되어, 도광판(110)의 바닥면을 통해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110)측으로 반사한다.
광학시트류(160)는 도광판(110)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확산시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확산된 광을 제1 집광하는 로우 프리즘 시트, 제1 집광된 광을 제2 집광하는 어퍼 프리즘 시트 및 보호 시트 등으로 이루어져, 도광판(110)에 의해 가이드된 광의 경로를 조정하여 출력한다.
몰드 프레임(170)은 제1 내지 제4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측벽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단턱을 구비하며, 구비된 단턱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반사판(150), 도광판(110), 램프 커버(140) 및 광학시트류(160)를 수납한다.
도면상에서는 반사판(150)이 몰드 프레임(170)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몰드 프레임(17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때 몰드 프레임(170)과 반사판(150)과의 사이에는 어떠한 구성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몰드 프레임(170)에 구비되는 리브(Lib)를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판(150)을 수납하는 별도의 바텀 샤시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램프의 양전극부를 수용하는 램프 홀더의 재질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현하므로써 종래의 램프 홀더를 불투명 재질로 구현함에 따라 발생되는 램프 전극부의 암부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한 몰드 프레임에 대해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상기한 도 4의 몰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170)은 제1 내지 제4 측벽(172, 174, 176, 178)으로 이루어지고, 각 측벽(172, 174, 176, 178)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을 갖는다.
제1 측벽(172)은 램프(120)에 근접하고, 제2 측벽(174)은 제1 측벽(172)에 대향한다. 여기서, 제1 측벽(172)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 단턱(172a)을 갖고서, 향후 수납되는 램프 커버(140)를 지지하고, 제2 측벽(174)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2 단턱(174a)을 갖고서, 향후 수납되는 도광판(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물론 도광판(110) 하부에 구비되는 반사판(150)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 측벽(176)의 일단은 제1 측벽(172)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측벽(174)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4 측벽(178)의 일단은 제1 측벽(17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측벽(174)의 타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3 측벽(176)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3 단턱(176a)을 갖고서, 향후 수납되는 도광판(110) 또는 반사판(150)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제4 측벽(178)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4 단턱(178a)을 갖고서, 향후 수납되는 도광판(110) 또는 반사판(150)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또한 제3 측벽(176)은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176b)를 더 구비하여, 제3 단턱(176a)에 안착되는 도광판(110)의 유동을 차단하고, 제4 측벽(178) 역시, 제3 측벽(176)과 동일하게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도면 부호 미부여)를 더 구비하여 제4 단턱(178a)에 안착되는 도광판(110)의 유동을 차단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유효 및 비유효 발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상기한 도 6a의 일부를 발췌한 확대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170)의 측벽들중 램프가 배열된 방향에 평행하는 측벽에 연장되는 측벽, 즉 제3 측벽(176)과 제4 측벽(178)은 각각 돌출부재(176b, 178b)를 구비한다. 이러한 돌출부재(176b, 178b)는 도광판(110)이 램프(120)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램프(120)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110)측으로 입사되는데, 2개의 램프 홀더(130, 132)가 각각 램프(120)의 양단부를 감싸는 형태를 갖더라도 각각의 램프 홀더(130, 132)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램프(120)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110)측에 입사된다.
또한, 기존에는 램프 홀더가 광을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광판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정의하는 기준 라인을 침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에 의해 도광판의 입광부를 충분히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램프 홀더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현되므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정의하는 기준 라인을 소정의 길이(D)만큼 침범하더라도 램프 홀더에 의해 발생하는 암부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광판의 입광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램프 홀더의 금형 표면을 매끄럽게 경면 가공 처리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램프 홀더의 내부 반사율을 높인다면 램프 전극부의 암부를 보다 개선할 수 있으며 휘도 또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몰드 프레임인 도광판 스토퍼 역할을 위해 돌기 형성을 갖는다. 즉, 몰드 프레임의 돌기 형상은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도광판 이 -Y방향으로 밀렸을 때 도광판의 유동을 차단하여 램프가 위치하는 액정표시모듈의 측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한다. 하지만, 상기한 돌기 형상은 투명 또는 반투명 램프 홀더를 사용하더라도 램프로부터 나온 빛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램프 전극부 암부 및 휘도 저하를 유발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면, 몰드 프레임의 돌기 형상을 제거하여 램프 전극부의 암부 및 휘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광판(110), 램프(120), 램프 홀더(230), 램프 커버(140), 반사판(150), 광학시트류(160) 및 몰드 프레임(270)을 포함하고, 상기한 도 2와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램프 홀더(230)는 T자 형상을 갖고서, 램프(120)의 전극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램프 커버(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몰드 프레임(270)에 안착된다. 이때 램프 홀더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램프(120)로부터 발산된 광을 도광판(110)으로 출력한다. 물론 램프 전극부에 의해 발생된 열에 대해 내열성을 갖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는 실리콘 재질이 바람직하다.
램프 홀더(230)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램프(120)의 단부를 수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기 도광수단(110)의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턱부재를 형성하는 측벽과 면접촉하여 상기 도광수단(110)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수단(110)의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턱부재를 형성하는 측벽과 면접촉하는 램프 홀더(230)의 제2 부재는 상기 도광수단(110)의 두께와 동일 또는 크게 구성하고, 상기 도광수단(110)과 상기 광학시트류(160)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는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270)은 제1 내지 제4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측벽은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단턱을 구비하며, 구비된 단턱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반사판(150), 도광판(110), 램프 커버(140) 및 광학시트류(160)를 수납한다.
또한 몰드 프레임(270)의 측벽중 램프 어셈블리(120, 230, 140)가 안착되는 측벽에는 일정 걸림턱부재가 형성된다.
한편, 도면상에서는 반사판(150)이 몰드 프레임(270)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몰드 프레임(27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때 몰드 프레임(270)과 반사판(150)과의 사이에는 어떠한 구성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몰드 프레임(270)에 구비되는 리브(Lib)를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판(150)을 수납하는 별도의 바텀 샤시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램프 홀더의 형상을 T자 형상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Y자 형상이나 화살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램프 홀더에 접하는 몰드 프레임의 측벽이 클로즈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램프 홀더의 홀더의 일부면이 보일 수 있도록 몰드 프레임의 측벽 일부를 오픈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몰드 프레임의 측벽 일부를 오픈시키므로써 램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상기한 도 7의 몰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270)은 제1 내지 제4 측벽(272, 274, 276, 278)으로 이루어지고, 각 측벽은 몰드 프레임(27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을 갖는다.
제1 측벽(272)은 램프에 근접하고, 제2 측벽(274)은 제1 측벽(272)에 대향한다. 여기서, 제1 측벽(272)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 단턱(272a)을 갖고서, 향후 수납되는 램프 커버를 지지하고, 제2 측벽(274)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2 단턱(274a)을 갖고서, 향후 수납되는 도광판(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물론 도광판(110) 하부에 구비되는 반사판(150)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 측벽(276)의 일단은 제1 측벽(272)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측벽(274)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4 측벽(278)의 일단은 제1 측벽(27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측벽(274)의 타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3 측벽(276)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3 단턱(276a)을 갖고서, 향후 수납되는 도광판(110) 또는 반사판(150)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제4 측벽(278)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4 단턱(278a)을 갖고서, 향후 수납되는 도광판(110) 또는 반사판(150)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또한 제3 측벽(276)은 외측방향으로 제1 걸림턱부재가 형성되고, 형성된 제1 걸림턱부재에는 제1 T자형 램프 홀더(230)의 일부가 삽입되며, 제1 T자형 램프 홀더(230)의 나머지 일부는 제3 단턱(276a)에 안착되는 도광판(110)의 유동을 차단한다.
제4 측벽(278)은 제3 측벽(276)과 동일하게 외측방향으로 제2 걸림턱부재가 형성되고, 형성된 제2 걸림턱부재에는 제2 T자형 램프 홀더(232)의 일부가 삽입되며, 제2 T자형 램프 홀더(232)의 나머지 일부는 제4 단턱(278a)에 안착되는 도광판(110)의 유동을 차단한다. 여기서, 제2 걸림턱부재는 제1 내지 제4 측면(278b, 278c, 278d, 278e)으로 이루어져 제4 측벽(278)의 내측방향으로 요입 형성되고, 형성된 각각의 측면은 T자형 램프 홀더와 면접촉한다. 물론 도면상에서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걸림턱부재 역시 상기한 제2 걸림턱부재와 동일하게 제1 내지 제4 측면으로 이루어져, 제3 측벽의 내측방향으로 요입 형성되고, 형성된 각각의 측면은 T자형 램프 홀더와 면접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유효 및 비유효 발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270)의 측벽들중 램프가 배열된 방향에 평행하는 측벽에 연장되는 측벽, 즉 제3 측벽(276)과 제4 측벽(278)은 각각 걸림턱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걸림턱부재는 도광판(110)이 램프(120)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램프(120)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110)측으로 입사되는데, 2개의 램프 홀더(230, 232)가 각각 램프(120)의 양단부를 감싸는 형태를 갖더라도 각각의 램프 홀더(230, 232)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램프(120)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110)측에 입사된다.
또한, 기존에는 램프 홀더가 광을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광판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정의하는 기준 라인을 침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에 의해 도광판의 입광부를 충분히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 홀더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 질로 구현되므로 도광판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정의하는 기준 라인을 침범하더라도 램프 홀더에 의해 발생하는 암부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광판의 입광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램프 홀더의 금형 표면을 매끄럽게 경면 가공 처리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램프 홀더의 내부 반사율을 높인다면 램프 전극부의 암부를 보다 개선할 수 있으며 휘도 또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혹은 반투명 램프 홀더로 도광판 스토퍼 역할을 하게 하여 종래 몰드 프레임 돌기로 인해 차단되었던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램프 전극부의 암부 개선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몰드 프레임에 T자형 램프 홀더를 수납하기 위해 일정 걸림턱부재를 형성하고, 형성된 걸림턱부재에 T자형 램프 홀더의 일부가 수납되고, T자형 램프 홀더의 나머지 일부가 도광판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몰드 프레임에 걸림턱부재를 형성하지 않고서, T자형 램프 홀더 전체가 도광판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때 램프 홀더의 형상은 T자일 수도 있으나 L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광을 발생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100), 디스플레이 유니트(200), 바텀 샤시(300), 탑 샤시(400), 및 프론트 케이스(50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도광판(110)과, 도광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광판측으로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램프(120)와, 램프(120)에 구비된 전극부를 수납하는 램프 홀더(230)와, 램프로부터 발산된 광의 누설을 차단하는 램프 커버(140)와, 도광판(110)의 아래에서 도광판(110)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110)으로 반사시켜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판(150)과, 도광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광학시트류(160)를 포함하여, 수납 용기인 몰드 프레임(270)에 수납된다. 상기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100)는 상기한 도 5와 도 6에서 상세한 설명을 하였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2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니트(200)는 액정 표시 패널(211), 게이트 및 데이터 PCB(212, 213), 게이트 및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14, 215)를 포함한다.
바텀 샤시(300)는 탑 샤시(400)와의 체결을 통해 백 라이트 어셈블리(100)와 디스플레이 유니트(300)를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200)을 수납한다.
프론트 케이스(500)는 바텀 샤시(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리어 케이스(미도시)와의 체결을 통해 액정 표시 장치를 완성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램프 홀더를 재료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으로 접근하여 램프 전극부의 암부를 개선함과 함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홀더의 금형 표면을 매끄럽게 경면 가공 처리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램프 홀더의 내부 반사율을 높인다면 램프 전극부의 암부를 보다 개선할 수 있으며, 휘도 또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혹은 반투명 램프 홀더로 도광판 스토퍼 역할을 하게 하여 기존의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로 인해 차단되었던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램프 전극부의 암부 개선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광을 출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양단을 수용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의 양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하는 램프 어셈블리;
    모서리에 걸림턱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과 상기 램프 홀더를 경유하여 출사된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고, 가이드된 광을 출사하는 도광수단; 및
    복수의 측벽으로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수단을 수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의 단부를 수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기 도광수단의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턱부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과 면접촉하여 상기 도광수단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수단은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측벽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수단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정의하는 기준 라인에 연장하는 일정 라인을 초월하여 상기 램프의 단부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삭제
  9. 삭제
  10. 광을 출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양단을 수용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의 양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하는 램프 어셈블리;
    모서리에 걸림턱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과 상기 램프 홀더를 경유하여 출사된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고, 가이드된 광을 출사하는 도광수단; 및
    복수의 측벽으로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수단을 수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의 단부를 수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연장 돌출된 제1 면은 상기 수납 용기에 형성되어 걸림턱부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과 제1 면접촉하고, 연장 돌출된 제2 면은 상기 도광수단의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부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과 제2 면접촉하여 상기 도광수단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광을 출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양단을 수용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의 양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하는 램프 어셈블리;
    모서리에 걸림턱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과 상기 램프 홀더를 경유하여 출사된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고, 가이드된 광을 출사하는 도광수단; 및
    복수의 측벽으로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수단을 수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의 단부를 수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기 도광수단의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부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과 면접촉하여 상기 도광수단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용기에는 상기 램프 홀더의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정의하는 굴곡면에 대응하여 걸림턱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수단에 면접촉하는 제2 부재의 높이는 상기 도광수단의 두께와 동일 또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도광수단 상에 구비되는 광학시트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의 높이는 상기 도광수단의 두께와, 상기 광학시트류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수단은 쐐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수단은 플랫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삭제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는 투명 실리콘 또는 반투명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8. 삭제
  19. 삭제
  20. 광을 출사하는 램프의 양단을 수용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의 양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하는 램프 어셈블리와, 모서리에 걸림턱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여 출사하는 도광수단, 복수의 측벽으로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수단을 수용하는 수납용기를 구비하여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로부터 출사된 광에 응답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홀더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의 단부를 수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기 도광수단의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부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과 면접촉하여 상기 도광수단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수단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 역에 대응하여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정의하는 기준 라인에 연장하는 일정 라인을 초월하여 상기 램프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35716A 2002-06-25 2002-06-25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KR10087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716A KR100878209B1 (ko) 2002-06-25 2002-06-25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US10/410,425 US6834974B2 (en) 2002-06-25 2003-04-09 Lamp assembly,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TW092108100A TWI258623B (en) 2002-06-25 2003-04-09 Lamp assembly,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B031312659A CN100458525C (zh) 2002-06-25 2003-05-12 灯组件,背光组件和具有该背光组件的液晶显示器
JP2003160517A JP4224354B2 (ja) 2002-06-25 2003-06-05 ランプアセンブリと、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716A KR100878209B1 (ko) 2002-06-25 2002-06-25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775A KR20040000775A (ko) 2004-01-07
KR100878209B1 true KR100878209B1 (ko) 2009-01-13

Family

ID=2972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716A KR100878209B1 (ko) 2002-06-25 2002-06-25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34974B2 (ko)
JP (1) JP4224354B2 (ko)
KR (1) KR100878209B1 (ko)
CN (1) CN100458525C (ko)
TW (1) TWI2586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4262B (en) * 2003-06-18 2004-06-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the thin backlight module
KR101189265B1 (ko) * 2004-06-14 2012-10-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CN100573263C (zh) * 2004-06-25 2009-12-23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WO2006019776A2 (en) * 2004-07-14 2006-02-23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A method for coupling terahertz pulses into a coaxial waveguide
US7527419B2 (en) * 2004-08-27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 buffered lamp holder for impact absorption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TWM270373U (en) * 2004-12-24 2005-07-11 Innolux Display Corp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20100259921A1 (en) * 2005-03-10 2010-10-14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6276685A (ja) * 2005-03-30 2006-10-12 Fujitsu Ltd 液晶表示モジュール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00395623C (zh) * 2005-06-10 2008-06-18 清华大学 背光模组
KR20070025669A (ko) * 2005-09-05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WO2007055059A1 (ja) * 2005-11-08 2007-05-18 Sharp Kabushiki Kaisha ランプホルダ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645360B1 (ko) * 2006-06-08 2006-11-15 주식회사 디엔디테크 전도성 고무를 이용한 엘씨디 백라이트용 램프 점등장치 및 방법
KR101259090B1 (ko) * 2006-07-18 2013-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몰드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5110968B2 (ja) * 2007-05-25 2012-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TWI363906B (en) * 2008-07-02 2012-05-1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and back plate and base thereof
US7828453B2 (en) * 2009-03-10 2010-11-09 Nepes Led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and lamp-cover structure containing luminescent material
KR101654327B1 (ko) * 2009-11-11 2016-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US8941683B2 (en) 2010-11-01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interaction
KR101030116B1 (ko) * 2010-12-02 2011-04-20 주식회사 에이앤피 테크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비
US10007047B2 (en) 2010-12-23 2018-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rmally protected backlight assembly
US8770813B2 (en) 2010-12-23 2014-07-08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backlight assembly
WO2013115086A1 (ja) * 2012-02-03 2013-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421777B1 (ko) * 2017-10-19 202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022A (ja) * 1993-10-15 1995-05-02 Aimesu:Kk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装置
KR19980063689A (ko) * 1996-12-02 1998-10-07 이소가이 치세이 위치 어긋남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0416A (ko) * 1997-01-20 1998-10-26 히로산쥬 액정표시장치
KR19980063689U (ko) * 1997-04-19 1998-11-2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구조
JPH11258601A (ja) * 1998-03-13 1999-09-24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KR20010001777A (ko) * 1999-06-08 2001-01-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
JP2002062434A (ja) * 2000-08-08 2002-02-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光源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2093233A (ja) * 2000-09-14 2002-03-29 Toshiba Corp 面光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211A (en) * 1992-05-29 1994-05-24 Anthony's Manufacturing Company, Inc. Insulator for fluorescent lamp
JPH08148012A (ja) * 1994-11-24 1996-06-07 Hitachi Ltd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273869Y (zh) * 1995-12-06 1998-02-04 陈鸿文 改良的液晶显示幕的背光板
JP3558321B2 (ja) * 1997-05-08 2004-08-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導光板
JPH11120811A (ja) * 1997-10-20 1999-04-30 Dainippon Printing Co Ltd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
JP3666265B2 (ja) * 1998-08-20 2005-06-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照明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0214461A (ja) * 1999-01-26 2000-08-0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292333B1 (ko) * 1999-03-29 2001-06-01 김태우 액정표시패널의 백라이트 광원용 면조명장치
US6515433B1 (en) * 1999-09-11 2003-02-04 Coollite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 Gas discharge fluorescent device
JP3935846B2 (ja) * 2001-04-18 2007-06-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022A (ja) * 1993-10-15 1995-05-02 Aimesu:Kk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装置
KR19980063689A (ko) * 1996-12-02 1998-10-07 이소가이 치세이 위치 어긋남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0416A (ko) * 1997-01-20 1998-10-26 히로산쥬 액정표시장치
KR19980063689U (ko) * 1997-04-19 1998-11-2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구조
JPH11258601A (ja) * 1998-03-13 1999-09-24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KR20010001777A (ko) * 1999-06-08 2001-01-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
JP2002062434A (ja) * 2000-08-08 2002-02-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光源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2093233A (ja) * 2000-09-14 2002-03-29 Toshiba Corp 面光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24354B2 (ja) 2009-02-12
KR20040000775A (ko) 2004-01-07
TW200400392A (en) 2004-01-01
US6834974B2 (en) 2004-12-28
CN1467549A (zh) 2004-01-14
US20030235052A1 (en) 2003-12-25
JP2004139958A (ja) 2004-05-13
CN100458525C (zh) 2009-02-04
TWI258623B (en)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209B1 (ko) 램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US7309149B2 (en) Prism sheet,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68853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use in electronic apparatus
KR100962641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10088309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840715B1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12942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22437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5373180B2 (ja) 面光源装置、および当該面光源装置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211205B1 (ko) 몰드 프레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00011724A (ja) バックライト、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146428B1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 유닛
CN100447629C (zh) 用于直下式背照模块的灯管反射装置
KR1999000871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30049939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조
KR20070041939A (ko) 액정 표시모듈과 그의 조립방법
KR10100043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457233B1 (ko) 액정표시장치의백라이트구조
KR101087234B1 (ko) 백 라이트 유닛
KR100551442B1 (ko) 반사형 엘시디 모듈
KR20030082828A (ko) 도광판, 백 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30008791A (ko)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82852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27019B1 (ko) 백라이트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KR20000043523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