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373B1 -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373B1
KR100877373B1 KR1020070101179A KR20070101179A KR100877373B1 KR 100877373 B1 KR100877373 B1 KR 100877373B1 KR 1020070101179 A KR1020070101179 A KR 1020070101179A KR 20070101179 A KR20070101179 A KR 20070101179A KR 100877373 B1 KR100877373 B1 KR 100877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air conditioner
blow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293A (ko
Inventor
최미연
Original Assignee
최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연 filed Critical 최미연
Priority to KR102007010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37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 장치는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설치되며, 일 측에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된 공기가 들어가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113)가 형성되며, 중앙에 회전 축(1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의 회전 축(115)에 수회 감기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축(115)으로부터 풀려 상기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되는 날림 부재(120); 상기 날림 부재(120)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배출구(113)에 걸리게 되는 스토퍼(130); 및 상기 날림 부재(120)가 상기 회전 축(115)에 탄력적으로 감기도록 상기 회전 축(115)에 끼워지는 스프링(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의 특성상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바, 사용자가 에어컨디셔너를 온 시킨 후에 에어컨디셔너가 작동하는지 작동하지 않는지를 날림 부재나 점멸램프를 통해서 사용자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날림 부재, 점멸 램프

Description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ventil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송풍 확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는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장치로, 보통 냉방장치라고 부른다. 프레온 가스 등을 이용하여 액체가 증발할 때 주위에서 열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시원하게 기온을 유지한다.
사용자가 멀리서 에어컨디셔너의 송풍을 육안으로 하기 어려우므로 통상, 송풍 구 쪽에 날림 부재(바람에 의해 펄럭이는 부재)로서 얇은 부재(일명, 반짝이)를 접착 테이프로 붙여서 이의 펄럭임을 보고 멀리에서도 송풍 구에서 송풍되는 지를 식별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법은 얇은 부재(반짝이)를 송풍 구 쪽에 부착하기도 어렵고, 부착한 후에도 얇은 부재가 자주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천정형 에어컨을 많이 채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천정에 사용자가 직접 날림 부재를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송풍 확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줄 수 있는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구 쪽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 구를 통해 바람이 송풍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알림 부를 구비하되, 상기 알림 부는 상기 송풍 구를 통해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서만 작동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알림 부로서 날림 부재를 일례로 들고 있으며, 그리고 제 4 실시 예의 경우에는 센서 부와 점멸램프를 일례로 들고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구에서 송풍되는 바람(풍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으로, 종래에 개시된 구동모터를 가지는 기술과는 전혀 상이한 것임을 밝혀둔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 1 내지 제 4 실시 예는 모두 바람(풍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고, 다만 날림부재를 이용하거나 센서부/점멸램프를 이용하는 점에 있어서 상이할 뿐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는 에어 컨디셔너의 송풍 구 쪽에 설치되며, 일 측에는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된 공기가 들어가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회전 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회전 축에 수회 감기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축으로부터 풀려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날림 부재; 상기 날림 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에 걸리게 되는 스토퍼; 및 상기 날림 부재가 상기 회전 축에 감기도록 상기 회전 축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 양쪽에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의 내면에는 공기 저항을 위해 포집 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림 부재는 냉풍과 온풍에 의해 색깔이 변화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날림 부재는 상기 회전 축에 탄력적으로 감긴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유입구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된 바람의 힘에 의해 상기 날림 부재는 상기 회전 축에서 풀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는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구 쪽에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 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회전 축에 수회 감기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 홈 밖으로 끝단이 노출되며,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 축에서 풀리는 날림 부재; 상기 날림 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절개 홈에 걸리게 되는 스토퍼; 및 상기 날림 부재가 상기 회전 축에 감기도록 상기 회전 축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의 내면에는 공기 저항을 위해 포집 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는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구 쪽에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 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회전 축에 수회 감기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 홈 밖으로 끝단이 노출되며,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 축에서 풀리는 날림 부재; 및 상기 날림 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절개 홈에 걸리며, 상기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구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축에서 상기 케이스 바깥으로 상기 날림 부재를 노출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의 내면에는 공기 저항을 위해 포집 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에 있어서는,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구 쪽에 설치되며, 일 측에는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된 공기가 들어가는 유출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안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부; 및 상기 센서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 부가 상기 케이스 안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압력을 감지할 경우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 측에 설치되는 점멸 램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부와 점멸 램프와 전자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원부가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전원부는 케이스 안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접착 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의 특성상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바, 사용자가 에어컨디셔너를 온 시킨 후에 에어컨디셔너가 작동하는지 작동하지 않는지를 날림 부재나 점멸램프를 통해서 멀리에서도 사용자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의 설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 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는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구(2) 쪽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100)는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설치되며, 일 측에 상기 송풍 구(2)에서 송풍된 공기가 들어가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113)가 형성되며, 중앙에 회전 축(1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의 회전 축(115)에는 플렉시블 재질의 날림 부재(120)가 수회 감겨 있다. 평상시에 상기 날림 부재(120)는 회전 축(115)에 수회 탄력적으로 권회되어 있으나, 에어컨디셔너(1)의 작동 시 송풍 구(2)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될 때에만, 공기의 압력(풍압)에 의해서 상기 회전 축(115)으로부터 풀려져 상기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날림 부재(120)는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나풀나풀 날리게 된다. 사용자는 날림 부재(120)의 날림을 육안으로 보고 멀리에서도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날림 부재(120)의 끝단에는 스토퍼(130)가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배출구(113)에 걸리게 되어, 결국 상기 날림 부재(120)의 끝단이 케이스(110)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날림 부재(120)가 상기 회전 축(115)에 감기도록 상기 회전 축(115)에 끼워지는 스프링(14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송풍 구(2)에서 송풍되는 약한 바람에 의해서도 상기 날림 부재(120)가 풀려야 하므로, 이를 적정하게 고려하여 적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100)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110)의 하면 또는 측면에 상기 케이스(110)를 에어컨디셔너의 송풍구 쪽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 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116) 이형 재(껍질)를 벗겨내면 접착부분이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유입구(111) 양쪽에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112)는 송풍 구(2)에서 송풍된 바람을 상기 케이스(110)의 유입구(111) 안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130)의 내면에는 공기 저항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시 말해 상기 송풍 구(2)에서 송풍되는 약한 바람에 의해서도 상기 날림 부재(120)가 잘 풀릴 수 있도록 포집 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착 부(116)를 이용하여,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송풍확인장치(100)를 부착한다.
에어컨디셔너(1)의 오프 상태, 즉 송풍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날림 부재(120)는 회전 축(115)에 수회 감겨 있다. 이때 스 토퍼(130)는 날림 부재(120)의 끝단이 케이스(110) 안으로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날림 부재(120)의 끝단을 잡고 있다.
이 상태에서, 에어컨디셔너(1)를 온(ON)시켜 송풍을 시작하면, 송풍 구(2)에서 송풍된 바람이 가이드 부(112)에 의해 안내되면서 유입구(111) 쪽으로 유입된 후, 케이스(110) 내부로 들어와 다시 배출구(113)를 통해 케이스(110) 바깥으로 배출된다. 이때, 바람이 스토퍼(130)를 가압하며, 스토퍼(130)는 바람의 힘에 의해 스프링(1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 축(115)에 감겨있는 날림 부재(120)를 풀어 케이스(110) 밖으로 노출시킨다. 이렇게 날림 부재(120)가 케이스(110)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바람에 의해서 흔들리게 된다. 이러한 날림 부재(120)의 흔들림을 보고 사용자는 멀리에서도 송풍 구(2)에서 바람이 송풍 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200)는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 축(2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21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210)의 측면에는 절개 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0)의 회전 축(215)에는 날림 부재(220)가 수회 감겨 있고, 상기 날림 부재(220)는 그 끝단이 케이스(210)의 절개 홈(218) 밖으로 노출되어 있 다.
상기 날림 부재(220)의 끝단에는 스토퍼(2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230)는 상기 절개 홈(218)에 걸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날림 부재(220)가 상기 회전 축(215)에 감기도록 상기 회전 축(215)에 스프링(2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0)의 측면에 상기 케이스(210)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 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30)의 내면에는 공기 저항을 높이기 위해 포집 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착 부(216)를 이용하여,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송풍확인장치(200)를 부착한다.
에어컨디셔너(1)의 오프 상태, 즉 송풍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날림 부재(220)는 회전 축(215)에 수회 감겨 있다. 이때 스토퍼(230)는 날림 부재(220)의 끝단이 케이스(210) 안으로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날림 부재(220)의 끝단을 잡고 있다.
이 상태에서, 에어컨디셔너(1)를 온 시켜 송풍을 시작하면, 송풍 구(2)에서 송풍된 바람이 스토퍼(230)를 가압하며, 이때 스토퍼(230)는 바람의 힘에 의해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 축(215)에 감겨있는 날림 부재(220)를 풀어 케이스(210) 밖으로 노출시킨다. 이렇게 날림 부재(220)가 케이스(210) 밖으로 노 출된 상태에서 바람에 의해서 흔들리게 된다. 이러한 날림 부재(220)의 흔들림을 보고 사용자는 송풍 구(2)에서 바람이 송풍 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300)는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 축(3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31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310)의 측면에는 절개 홈(3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10)의 회전 축(315)에는 날림 부재(320)가 수회 감겨 있고, 상기 날림 부재(320)는 그 끝단이 케이스(310)의 절개 홈(318)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날림 부재(320)의 끝단에는 스토퍼(3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330)는 상기 절개 홈(318)에 걸리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날림 부재(320)는 스스로 말리는 성질, 혹은 감기는 성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300)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200)와 다른 점은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 점에 있다.
상기 케이스(310)의 측면에 상기 케이스(310)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 부(3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30)의 내면에는 공기 저항을 높이기 위해 포집 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15는 회전축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착 부(316)를 이용하여,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송풍확인장치(300)를 부착한다.
에어컨디셔너(1)의 오프 상태, 즉 송풍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날림 부재(320) 자체의 성질에 의한 권취 력(감기는 힘)에 의해서, 상기 날림 부재(320)는 회전 축(315)에 수회 감겨 있다. 이때 스토퍼(330)는 날림 부재(320)의 끝단이 케이스(310) 안으로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날림 부재(320)의 끝단을 잡고 있다.
이 상태에서, 에어컨디셔너(1)를 온 시켜 송풍을 시작하면, 송풍 구(2)에서 송풍된 바람이 스토퍼(330)를 가압하며, 스토퍼(330)는 바람의 힘에 의해 날림 부재(320) 자체의 권취력을 극복하고, 회전 축(315)에 감겨있는 날림 부재(320)를 풀어 케이스(310) 밖으로 노출시킨다. 이렇게 날림 부재(320)가 케이스(310)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바람에 의해서 흔들리게 된다. 이러한 날림 부재(320)의 흔들림을 보고 사용자는 에어컨디셔너(1)가 작동되고 있고, 송풍 구(2)에서 바람이 송풍 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400)는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설치되며, 일 측에는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된 공기가 들어가는 유출입구(111)가 다수 형성되는 케이스(410); 상기 케이스(410) 안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부(420); 및 상기 센서 부(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 부(420)가 상기 케이스(410) 안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압력을 감지할 경우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410)의 외 측에 설치되는 점멸 램프(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410)의 하면에는 접착 부(4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 부(420)와 점멸 램프(430)와 전자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원부(413)가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전원부(413)는 케이스(410) 안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부(420)는 일종의 텍트 스위치로서 풍압에 의해서 접점이 눌려져서 온되는 구조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착 부(416)를 이용하여,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송풍확인장치(400)를 부착한다.
에어컨디셔너(1)의 오프 상태, 즉 송풍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송풍확인장치는 작동하지 않지만, 에어컨디셔너(1)의 온 상태, 즉 송풍을 할 경우에는, 센서 부(420)가 풍압에 의해서 작동하며, 이때 전원부(413)에 연결되어 있는 점멸 램프(430)는 점멸하면서 사용자에게 송풍되고 있음을 알려 준다.
기존에는 송풍 확인을 위해서 얇은 띠로 송풍 구 쪽에 접착 테이프로 부착하여 두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전부였지만, 이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접착 테이프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정형 에어컨디셔너를 많이 사용하는 현재로서는 천정에 얇은 띠를 매번 부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는 에어컨디셔너 설치시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고, 잘 떨어지지 않으며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의 설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를 보인 단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 에어컨디셔너
2: 송풍 구
110,210,310,410: 케이스
111: 유입구
113: 배출구
115: 회전 축
116: 부착 부
112: 가이드 부
120,220,320,420: 날림 부재
130: 스토퍼
131: 포집 부
140: 스프링
218: 절개 홈
420: 센서 부
430: 점멸 램프

Claims (15)

  1.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설치되며, 일 측에는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된 공기가 들어가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배출구(113)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회전 축(1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의 회전 축(115)에 수회 감기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축(115)으로부터 풀려 상기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되는 날림 부재(120);
    상기 날림 부재(120)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배출구(113)에 걸리게 되는 스토퍼(130); 및
    상기 날림 부재(120)가 상기 회전 축(115)에 탄력적으로 감기도록 상기 회전 축(115)에 끼워지는 스프링(140)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구(111)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프링(140)에 의해 상기 날림 부재(120)는 상기 회전 축(115)에 권회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유입구(111)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구(2)에서 송풍되는 바람의 힘에 의해 상기 날림 부재(120)는 상기 회전 축(115)에서 풀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에어컨디셔너(1)의 송풍 구(2) 쪽에 설치되며, 일 측에는 상기 송풍 구에서 송풍된 공기가 들어가는 유출입구(111)가 다수 형성되는 케이스(410);
    상기 케이스(410) 안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부(420); 및
    상기 센서 부(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 부(420)가 상기 케이스(410) 안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압력을 감지할 경우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410)의 외 측에 설치되는 점멸 램프(43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410)의 하면에는 접착 부(4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의 송풍확인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101179A 2007-10-09 2007-10-09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 KR100877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179A KR100877373B1 (ko) 2007-10-09 2007-10-09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179A KR100877373B1 (ko) 2007-10-09 2007-10-09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293A KR20070105293A (ko) 2007-10-30
KR100877373B1 true KR100877373B1 (ko) 2009-01-07

Family

ID=3881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179A KR100877373B1 (ko) 2007-10-09 2007-10-09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180B1 (ko) * 2012-11-16 2014-03-17 서울특별시도봉구시설관리공단 송풍상태확인 및 온도 측정이 가능한 윈드체커
KR102336348B1 (ko) * 2020-07-13 2021-12-09 (주)파워팩터스 팬을 포함하는 장치 또는 설비의 다기능 표시스티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325U (ko) * 1995-12-01 1997-07-31 에어컨의 송풍확인장치
KR980008163A (ko) * 1996-07-18 1998-04-30 구자홍 진공청소기 전원코드 감김장치의 레버구조
KR20040092694A (ko) 2003-04-25 2004-11-04 이원복 송풍팬의 정상작동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325U (ko) * 1995-12-01 1997-07-31 에어컨의 송풍확인장치
KR980008163A (ko) * 1996-07-18 1998-04-30 구자홍 진공청소기 전원코드 감김장치의 레버구조
KR20040092694A (ko) 2003-04-25 2004-11-04 이원복 송풍팬의 정상작동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293A (ko) 200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1716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mprising a wind-visor for air discharge opening
CN105910158B (zh) 一种带有除湿功能的浴霸
WO2019013049A1 (ja) 冷媒検知センサを有する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12327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877373B1 (ko) 에어컨디셔너의 송풍 확인장치
JP2010190506A (ja) 換気装置
KR10079560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03206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5266905B2 (ja) 風向変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乾燥機
JP5396909B2 (ja) 天井埋込形換気扇
JP6272504B2 (ja) 温度検知装置及び空気調和機用室内機
CN210772768U (zh) 一种暖被机
JP3646975B2 (ja) 空気調和機
KR20130016617A (ko) 냉풍기 겸용 에어워셔
JP2000266395A (ja) 可搬式空気調和機
JP523557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TWI666413B (zh) 管道用換氣扇
JP5315005B2 (ja) 換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CN218682631U (zh) 一种可自动断电电吹风
JP2012180984A (ja) シャッター装置
JP2000304299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157100Y1 (ko) 공기조화기용 콘트롤부의 보호구조
KR100389384B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하우징 방수장치
JP2006046243A (ja) シロッコファン、換気装置および換気装置付き空気調和機
JP6968019B2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