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435B1 - 전동 밸브 - Google Patents

전동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435B1
KR100874435B1 KR1020070037535A KR20070037535A KR100874435B1 KR 100874435 B1 KR100874435 B1 KR 100874435B1 KR 1020070037535 A KR1020070037535 A KR 1020070037535A KR 20070037535 A KR20070037535 A KR 20070037535A KR 100874435 B1 KR100874435 B1 KR 10087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rotor
por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609A (ko
Inventor
차정운
Original Assignee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차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차정운 filed Critical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4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7Sliding valves with flat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핑 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냉매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입구포트와 복수의 출구포트를 가지는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가 관통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안내걸림턱; 상기 밸브본체에 기밀고정되도록 상기 안내걸림턱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밸브실을 형성하는 로터캡; 상기 안내걸림턱의 내부에 형성되는 시트홈; 상기 시트홈에서 회전가능하게 축공이 편심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돌출형성된 포트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 개폐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포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의 연통을 차단 또는 전환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자극 구조의 마그넷이 장착된 로터; 상기 밸브체와 로터 사이에는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본체에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로터캡의 외측에 고정된 스테이터코일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가 제공된다.
전동 밸브, 스텝핑 모터, 밸브본체, 로터캡, 밸브체, 로터, 스테이터코일 조 립체

Description

전동 밸브{Valve operated by a moto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밸브의 각 전환위치상태와 밸브개폐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밸브의 밸브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VI-VI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동밸브 10 : 밸브본체
11 : 시트홈 11a : 출구포트
11b : 축지지홈 12 : 안내걸림턱
12a : 입구포트 13 : 스토퍼
20 : 로터캡 21 : 밸브실
22 : 축지지홈 30 : 밸브체
31 : 받침부 32 : 몸체
33 : 포트 개폐부 34 : 축공
40 : 로터 41 : 원통형 몸체
41a : 단턱부 41b : 고정결합면
42 : 마그넷 42a : 돌기
43 : 회전축 44 : 연장부
44a : 절개홈 50 : 스테이터코일 조립체
60 : 스프링 70 : 간극유지부재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의 냉매 유로를 개폐하여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 밸브체를 개방하여 효율적으로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전동 밸브에 관한 것이다.
냉동ㆍ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연결된 밸브와, 상기 밸브의 일측과 연결된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C.T.R)와 이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와 연결된 냉장실용 증발기와, 상기 밸브의 타측과 연결된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뷰(C.T.F)와,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와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뷰에서 나오는 냉매가 만나서 유입되는 냉동실용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에서 나오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어 사이클을 이룬다.
상기 밸브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특허공개 제2002-42701호(2002.06.05) "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ㆍ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1개의 입구포트와 복수개의 출구포트를 각각 관통형성하여 밸브시트판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한쪽의 측에 기밀하게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작용하여 내부에 기밀구조의 로터·밸브실을 구획설정하는 캡형상의 로터케이스와, 상기 로터·밸브실내에 회전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단면에 상기 입구포트와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행하는 포트개폐형상부를 가지고, 회전변위에 의해 상기 포트개폐형상부가 상기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 함으로써 상기 입구포트와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전환하는 밸브체와, 상기 로터·밸브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스테핑모터의 다자극구조의 마그넷부착의 로터와, 상기 로터케이스의 외측에 고정된 스테핑모터의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코일 조립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선행기술은 많은 전환 위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밸브체와 로터를 연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밸브홀더부재를 구비해야 하고, 베이스플레이트에 로터케이스를 용접시 별도의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또한, 냉매가 액상ㆍ기상의 혼합 상태 또는 액상 상태로 출구포트로 유출되어 각 출구포트 간에 온도 편차가 크고, 입구포트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밸브체의 간섭을 받으며 유입되어 편류가 발생 되고, 그 결과 출구포트로 배출되는 냉매의 양에 차이가 있어 온도 편차가 매우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동 밸브와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체의 편류 방지와 더불어 액체를 우선적으로 유출하여 배출관 내에 에어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밸브와 관련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입구포트와 복수의 출구포트를 가지는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가 관통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안내걸림턱; 상기 밸브본체에 기밀고정되도록 상기 안내걸림턱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밸브실을 형성하는 로터캡; 상기 안내걸림턱의 내부에 형성되는 시트홈; 상기 시트홈에서 회전가능하게 축공이 편심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돌출형성된 포트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 개폐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포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의 연통을 차단 또는 전환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자극 구조의 마그넷이 장착된 로터; 상기 밸브체와 로터 사이에는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본체에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로터캡의 외측에 고정된 스테이터코일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본체의 안내걸림턱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에는 상기 스토퍼에 맞닿아 상기 로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스토퍼는 밸브본체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만일 스토퍼가 없는 경우에는 밸브체의 초기 위치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기 어렵다. 따라서 스토퍼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에 초기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그넷에도 돌기부를 형성하여 밸브본체의 스토퍼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터의 구성이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에 형성되는 고정결합면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와 단턱부의 고정결합면에 의해 일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마그넷과, 상기 로터와 로터캡 사이에 상기 마그넷과 로터캡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간극유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전동 밸브를 제공하며, 상기 원통형몸체의 단턱부 저면에는 절개홈을 갖는 연장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 상기 밸브체의 몸체가 삽입되어 상기 밸브체와 로터가 연동되는 전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로터의 하부에는 단턱부를 구성하고, 단턱부에는 일면에 절단면이 형성되는 고정결합면을 구성한다. 단턱부는 고정결합면의 형 성을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결합면은 원통형 몸체가 일방향으로만 마그넷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통형 몸체에 결합된 마그넷이 공회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마그넷에도 고정결합면이 끼움결합되도록 고정결합면과 결속되는 결합면을 구성한다. 또한 마그넷과 로터캡 사이에 회전을 위한 소정의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극유지부재가 원통형 몸체의 회전축 상부에 설치된다. 간극유지부재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는 와셔를 삽입하여 원하는 조건을 이룰 수 있다. 원통형 몸체의 단턱부 저면에는 절개홈이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는데, 절개홈은 원통형 몸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절개홈에는 밸브체가 결합하게 되며, 절개홈을 편심되게 형성하는 이유는 밸브체가 절개홈에 일방향으로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밸브체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밸브체의 포트 개폐부가, 스토퍼와 연동되는 마그넷의 돌기부와 근거리에 있어서 밸브의 개폐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위치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밸브체는 항상 마그넷의 돌기부와 소정의 원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절개홈은 편심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체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포트 개폐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돌출형성된 상기 포트 개폐부와 동일 높이를 갖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전동밸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포트 개폐부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트 개폐부와 받침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전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포트 개폐부는 시트홈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시트홈에 유체가 있는 경 우에는 유체와 마찰을 일으킬 수 있어서, 가능한 마찰을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트 개폐부는 밸브체 몸체의 일단에 돌출형성시키고, 타단에는 받침부를 형성하여 밸브체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트 개폐부와 받침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간으로 유체가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유체의 유동성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몸체가 절개홈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출구포트가 개방되는 경우 출구포트의 상부에는 유체의 움직임을 간섭하는 부분이 없어서, 유체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게 되고, 따라서 냉매의 편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걸림턱에 끼움결합되는 로터캡은 상기 본체에 레이저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전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로터캡을 씌우고 용접하는 경우 고온의 용접열에 의하여 밸브본체가 가열되고,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성형된 밸브체가 변형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하여 정확한 밸브 개폐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 종래의 문제점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로 캡을 밸브본체에 용접하게 되므로, 낮은 온도에서 용접되기 때문에 밸브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전동밸브의 구성들에 있어서 안내걸림턱에 상기 입구포트가 형성되는 전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입구포트가 출구포트보다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서 편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출구포트는 밸브본체의 시트홈에 형성되어 있고, 입구포트는 시트홈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안내걸림턱에 형성되므로 입구포트의 위치가 출구포트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유체(액체+기체)는 입구포트를 흘러나와 하부에는 액상인 냉매가 상부에는 기상인 냉매가 시트홈에 채워지고, 밸브체의 회전에 의해 출구포트가 개방되면, 액상인 냉매가 우선 출구포트로 흘러가게 되므로 유체의 안정적인 흐름이 보장되어 편류를 방지하게 되고, 따라서 온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1)는 밸브본체(10), 로터캡(20), 밸브체(30), 로터(40), 스테이터코일 조립체(50), 스프링(60), 간극유지부재(70)를 포함한다.
밸브본체(10)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으로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후술할 밸브체(30)를 수용하는 시트홈(11)과, 상기 시트홈(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밸브본체(10)의 외경에서 내부로 이격 된 위치까지 원형상으로 형성된 안내걸림턱(12)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홈(11)에는 2개의 출구포트(11a)가 이격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출구포트(11a)에는 배출관(11aa)이 용접 고정된다. 또한, 이 시트홈(11)에는 후술할 회전축(43)의 하단을 지지하는 축지지홈(11b)이 형성된다.
이 시트홈(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입구포트(12a)와 출구포트(11a) 사이에 높이 차이를 갖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입된 냉매 즉 액체과 기체가 혼합된 상태의 냉매 중 액체 부분은 가라앉게 하고 기체 부분은 떠 있게 하여 액체 부분이 우선적으로 배출관(11aa)으로 흐르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안내걸림턱(12)에는 일측에 유입관(12aa)이 용접 고정된 입구포트(12a)가 형성되고, 이 입구포트(12a)의 이격 된 위치에는 로터(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3)가 형성된다. 이 안내걸림턱(12)은 후술할 로터(40)를 가이드 하는 외에 후술할 로터캡(20)이 밸브본체(10)에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게 하여 용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용접 시간을 단축시킨다.
로터캡(20)은 내부가 중공이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본체(10)에 고정되어 밸브실(21)을 형성한다. 이 로터캡(20)의 상측 내면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축(43)을 지지하는 축지지홈(22)이 형성된다.
상기 로터캡(20)의 하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10)의 상면에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용접된다. 이렇게 하면 아크 용접이나 플라즈마 용접에 의한 열 영향으로 인해 마그넷(42,영구 자석)의 자력이 약해지거나 밸브체(30)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축공(34)이 편심되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일단에 바람직하게는 초승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포트 개폐부(33)와, 상기 몸체(32)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31)를 구비한다. 축공을 편심되게 형성하면, 밸브체(30)를 후술할 로터(40)의 절개홈(44a)에 삽입할 때 방향이 바뀌지 않게 되어 결합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밸브체(30)가 항상 일방향으로만 결합되게 하여 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밸브체(30)는 형상의 특이성 즉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32)와 초승달 형상의 포트 개폐부(33)와 받침부(31)에 의해 입구포트(12a)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편류 발생을 감소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32)에 의해 배출되는 냉매가 밸브체(30)의 상부로부터 직접적인 방해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고, 초승달 형상의 포트 개폐부(33)에 의해 포트 개폐부(33)가 출구포트(11a)를 지날 때 출구포트(11a)의 일부분만 개폐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류의 발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체(30)는 몸체(32)와, 몸체(32)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포트 개폐 부(33)와 상기 몸체(32)의 타단에 돌출형성된 받침부(31)로 구성되는데, 이는 받침부(31)와 이격된 포트 개폐부(33)의 돌출된 부분에 후술할 스프링(60)이 놓여 지도록 하기 위해서다.
로터(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43)과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41a)와 상기 단턱부(41a)에 형성되는 고정결합면(41b)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41)와, 상기 원통형 몸체(41)와 단턱부(41a)의 고정결합면(41b)에 의해 일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마그넷(42)과, 상기 로터(40)와 로터캡(20) 사이에 상기 마그넷(42)과 로터캡(20)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축(43)의 상단에 설치되는 간극유지부재(70)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몸체(42)의 단턱부(41a) 저면에는 절개홈(44a)을 갖는 연장부(44)가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44a)에 상기 밸브체(30)의 몸체(32)가 삽입되어 상기 밸브체(30)와 로터(40)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그넷(42)의 하단에는 돌기(42a)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본체(10)에 형성된 스토퍼(13)에 맞닿아 로터(40)의 회전방향 초기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회전축(43)의 상단은 상기 로터캡(20)의 축지지홈(22)에 삽입 지지되고, 그 하단은 밸브본체(10)의 축지지홈(11b)에 삽입 지지되어 로터(40)의 회전시 회전축 역할을 한다. 또한, 이 회전축(43)은 상기 밸브체(30)의 축공(34)을 관통하 여 밸브체(30)를 밸브본체(10)에 대해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개홈(44a)에는 밸브체(30)의 몸체(32)가 삽입되어 밸브체(30)와 로터(40)가 일체로 회전되어 회전방향의 위치가 결정되고, 이것에 의해 로터(40)의 마그넷(42) 자극에 대한 밸브체(30)의 회전 각도가 설정된다.
스테이터코일 조립체(5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상기 로터캡(2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스프링(60)은 상기 밸브체(30)와 로터(40) 사이에 설치되어, 밸브체(30)를 밸브본체(10)에 대해 탄성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60)은 로터(40)의 연장부(44)에 삽입되어 하단이 상기 밸브체(30)의 상면 전ㆍ후단에 놓여 진다. 상기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간극유지부재(70)는 상기 회전축(43)에 삽입되어 하면이 상기 로터(40)의 상측에 접하고, 상면이 로터캡(20)의 상측 내면에 접하여 마그넷(42)이 로터캡(20)에 의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간극유지부재(7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와셔를 사용한다.
스텝핑 모터는 상기 밸브체(30)를 단계적으로 회전구동하는 전동식 액추에이 터로서 전술한 로터캡(20), 로터(40), 스테이터코일 조립체(50)로 구성된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밸브의 각 전환위치상태와 밸브개폐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밸브체(30)는 스텝핑모터에 의한 단계적인 회전구동에 의해 제 1의 출구포트(A)와 제 2의 출구포트(B)의 쌍방이 비개방영역에 대응하는 제 1의 전환위치(0°)와, 제 2의 출구포트(B)만이 개방영역에 대응하고 제 1의 출구포트(A)가 비개방영역에 대응하는 제 2의 전환위치(54°)와, 제 1의 출구포트(A)와 제 2의 출구포트(B)의 쌍방이 개방영역에 대응하는 제 3의 전환위치(189°)와, 제 1의 출구포트(A)가 개방영역만에 대응하고 제 2의 출구포트(B)가 비개방영역에 대응하는 제 4의 전환위치(297°) 사이에 전환 동작하고, 4위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 따르면 첫째,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밸브본체에 안내걸림턱을 형성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밸브체의 형상과 시트홈에 의해 유체의 편류 방지와 더불어 액체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배출되는 각 냉매 간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셋째, 간극유지부재에 의해 마그넷과 로터캡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저감과 더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밸브체의 축공을 편심되게 형성함으로써, 밸브체가 잘못 결합되어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다섯째, 입구포트를 출구포트보다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입구포트에서 배출된 냉매가 출구포트로 바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밸브체가 로터에 삽입 결합 되어 밸브체의 회전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곱째, 로터캡을 밸브본체에 레이저 용접하여 열에 의한 마그넷의 자력 저하 방지는 물론 밸브체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입구포트와 복수의 출구포트를 가지는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가 관통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안내걸림턱;
    상기 밸브본체에 기밀고정되도록 상기 안내걸림턱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밸브실을 형성하는 로터캡;
    상기 안내걸림턱의 내부에 형성되는 시트홈;
    상기 시트홈에서 회전가능하게 축공이 편심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돌출형성된 포트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 개폐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포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의 연통을 차단 또는 전환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자극 구조의 마그넷이 장착된 로터;
    상기 밸브체와 로터 사이에는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본체에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로터캡의 외측에 고정된 스테이터코일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안내걸림턱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에는 상기 스토퍼에 맞닿아 상기 로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에 형성되는 고정결합면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와 단턱부의 고정결합면에 의해 일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마그넷과, 상기 로터와 로터캡 사이에 상기 마그넷과 로터캡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간극유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몸체의 단턱부 저면에는 절개홈을 갖는 연장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 상기 밸브체의 몸체가 삽입되어 상기 밸브체와 로터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포트 개폐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돌출형성된 상기 포트 개폐부와 동일 높이를 갖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개폐부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트 개폐부와 받침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캡의 하측은 상기 밸브본체의 상면에 레이저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걸림턱에 상기 입구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KR1020070037535A 2007-04-17 2007-04-17 전동 밸브 KR10087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535A KR100874435B1 (ko) 2007-04-17 2007-04-17 전동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535A KR100874435B1 (ko) 2007-04-17 2007-04-17 전동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09A KR20080093609A (ko) 2008-10-22
KR100874435B1 true KR100874435B1 (ko) 2008-12-17

Family

ID=4015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535A KR100874435B1 (ko) 2007-04-17 2007-04-17 전동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139B1 (ko) * 2011-03-15 2011-08-03 박종선 전동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09A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0786B2 (ja) 電動式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US8813784B2 (en) Flow path switching valve
KR100690156B1 (ko) 밸브 장치
JP5927913B2 (ja) ロータリ弁
KR100874435B1 (ko) 전동 밸브
JP4440795B2 (ja) 流路切換弁及び空気調和機
JP2009270697A (ja) 流路切換弁
JP2008261433A (ja) 弁体開閉装置
JP2001343076A (ja) 制御弁
JP2000310348A (ja) 電動切換弁
CN110036225B (zh) 电动阀以及使用电动阀的冷却系统
KR20170065839A (ko) 냉매 밸브 장치
JP4142387B2 (ja) 電動回転式流路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512686B1 (ko) 미세 유량 제어 밸브
JP2001343077A (ja) 制御弁
JP2000304147A (ja)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KR102295354B1 (ko) 냉매 밸브 장치
JP6545088B2 (ja) 電動弁
JP7139446B2 (ja) 統合弁
KR20160058063A (ko) 냉장고용 4방향 냉매 밸브
JP2004125095A (ja) 電動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5076840A (ja) 流路切換弁及び冷凍サイクル
JP2002357275A (ja) 電動切換弁
JP2002071035A (ja) 電動切換弁
JP2003113954A (ja) 電動切換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