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178B1 -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178B1
KR100874178B1 KR1020067021052A KR20067021052A KR100874178B1 KR 100874178 B1 KR100874178 B1 KR 100874178B1 KR 1020067021052 A KR1020067021052 A KR 1020067021052A KR 20067021052 A KR20067021052 A KR 20067021052A KR 100874178 B1 KR100874178 B1 KR 10087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body
heat exchange
cooling
exchange means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136A (ko
Inventor
슈테펜 옴니츠
슈테판 쉬르마이어
마르쿠스 빈터할터
페터 비데무트
Original Assignee
헛팅거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헛팅거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 코 카게 filed Critical 헛팅거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0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01L23/473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by flowing liq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27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유닛, 특히 전원 장치용 냉각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기밀하게 밀봉된 전자 유닛의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체(1)를 포함하고, 냉매가 상기 냉각체를 통해 유동하며, 발열 수단(12), 특히 전자 부품이 상기 냉각체에 장착되어 있어, 접촉 전달을 통해 열을 냉각체(1)로 방출하고, 하우징 내에 수용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체(1)에 열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는 열교환 수단(9.1, 9.2)이 냉각체(1) 상에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냉각 장치는 컴팩트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열을 빼낼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장치{COOLING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장치, 특히 전원 장치의 냉각 장치로서, 기밀하게 혹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기밀한 방식으로 밀봉된 전기 장치의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체를 포함하고, 냉매가 상기 냉각체를 통해 유동하며, 발열 수단, 특히 전자 부품이 상기 냉각체에 장착되어 있어, 접촉 전달을 통해 열을 냉각체로 방출하는 것인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기밀하게 밀봉된 하우징이란, 이론상으로는 기밀하지만, 소량의 공기가 들어가거나 빠져나올 수 있는 작은 틈이 존재하거나 혹은 불의의 누설이 발생하는 하우징으로 정의한다. 어느 경우에서든지, 하우징에 대한 냉각 공기의 의도적인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가열된 공기가 하우징으로부터 방출되는 양은 크지 않다.
예컨대, 플라즈마 여기용 전압 컨버터(전원 장치)의 하우징은 대개 기밀한 밀봉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이러한 장치가 대개 무진실(無塵室)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조립 이후에 하우징에 포함되는 입자가 무진실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하우징과 주변 환경 사이에서 공기 교환을 일으키는 팬은 냉각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전술한 장치는 불결한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주변 공기가 하우징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하우징에 배치되는 부품이 발생시키는 열은 통상적으로 액체 냉매 시스템을 통하여 하우징 밖으로 안내된다. 액체 냉매는 대개 하우징에 배치된 냉각체를 통해 유동한다. 작동 중에 점차 뜨거워지는 부품은 상기 냉각체에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냉각체에 결합될 수 없거나 혹은 단지 불충분한 정도로만 결합될 수 있는 부품은, 대개 하우징에서 빠져나갈 수 없는 주변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열이 축적되어 장치의 내부를 가열한다. 장치 및 부품의 과열을 방지하려면, 상기 주변 공기를 냉각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냉각은 대개 별도의 액체 냉매 회로를 구비하는 별도의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열 에너지를 밀폐된 시스템의 공기로부터 냉매 회로로 방출하는 냉각 시스템이 DE 195 24 115 C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하우징에 배치된 전자 부품에서 가열되는 공기가 중간 채널에서 냉각된다. 중간 채널은 제2 공기 순환을 통해 열을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 하우징에 배치된 전력 컨버터를 냉각하기 위하여 액체 냉매 회로가 추가적으로 마련되고, 이 액체 냉매 회로의 액체 냉매는 대기 중의 공기를 사용하는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술한 타입의 냉각 장치를 개량하고 이 냉각 장치의 냉각체를 마련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하였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내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열교환 수단을 냉각체 상에 추가적으로 배치하고 냉각체에 열전도 방식으로 연결한, 전술한 타입의 냉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타입의 냉각 장치에 의하면, 직접 장착된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수냉판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 냉각체와, 냉각 장치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컴팩트한 설계가 구현된다. 이러한 타입의 냉각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기/물 열교환기에 대한 요구가 배제된다. 추가적인 물 연결부가 배제되어, 누설의 위험이 감소한다. 상기 냉각 장치는, 특히 컴팩트한 장치의 열적 요건 및 기계적 조건에 매우 유연한 방식으로 맞춰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수단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간단하고 저렴한 3차원 설계의 구현이 허용된다. 상기 열교환 수단의 기하학적 구조는 용례의 세부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수단을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냉매 회로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 냉각체 및 열교환 수단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 수단의 주위에서 양호하게 순환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팬을 배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열교환 수단은 박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유익하다. 이로써, 상기 냉각 장치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받아들이는 열교환면이 최대화된다.
상기 냉각체는 열교환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냉각판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컴팩트한 구성을 보장한다. 판형 냉각체 상에 발열 전자 부품을 배치하면 많은 공간이 절약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냉각체의 일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발열 수단은 상기 냉각체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전자 부품이 없는 상기 냉각체의 후방측에는, 하우징 내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 수단이 거의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냉각체의 일측부에서는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열을 취함과 동시에 액체 냉매로 방출하고, 상기 냉각체의 대향 측부에서는 상기 열교환 수단을 통해 상기 냉각체 주변으로부터 열을 취하여 냉매로 방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냉각체의 두 측부, 특히 대향하는 두 측부에 열교환 수단을 배치하면, 상기 냉각 장치의 기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냉각체 상의 거의 모든 자유 공간, 즉 부품으로 덮여 있지 않은 냉각체 상의 모든 지점에 열교환 수단을 마련할 수 있고, 이로써 하우징 내의 공기로부터 열을 최대량으로 빼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두 측부에 열교환 수단을 배치하기 때문에, 냉각체는 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전반적으로 비교적 평탄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유익한 설계에서, 열교환 수단은 발열 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열은 발열 수단의 바로 주변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발열 수단의 장착 위치를 따라 연장되는 냉매 채널이 냉각체 내에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이 발열 수단에서 직접적으로 방출될 수 있고, 이는 냉각 효과를 향상시킨다. 특히, 상기 냉매 채널은 용례의 세부 요건에 따라 상기 냉각체 내에서 배치 및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채널은 최대량의 열을 발생시키는 부품을 지나도록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열교환 수단이 마련된다. 이는 하우징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고, 공기로부터 열교환 수단으로의 열전달, 그리고 이를 통한 냉각체로의 열전달을 최적화한다. 또한, 열교환 수단은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서로 다르며, 즉 냉각체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할 수 있다.
한 가지 유익한 실시예에서, 박판 형태의 열교환 수단은 냉각체의 열교환 홈에 납땜된다. 냉각체의 열교환 홈에 열교환 수단을 납땜하면, 열교환 수단과 냉각체 사이의 표면 연결부가 커진다. 이는 열교환 수단으로부터 냉각체로의 양호한 열전달을 보장한다.
복수 개의 열교환 수단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경우, 공기는 열교환 수단의 사이를 유동할 수 있고, 다량의 열이 공기로부터 열교환 수단으로 전달될 수 있다.
냉각체 및/또는 열교환 수단은 구리로 제조되거나 또는 양호한 열전도를 보장하는 보다 높은 등급의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교환 수단과 냉각체를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납땜시킬 수 있다. 특히, 냉매 채널을 형성하는 영역은 구리로 제조되거나 또는 통과 냉매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는 보다 높은 등급의 금속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냉매 채널 영역에 낮은 수준의 금속을 사용하면, 냉매 채널 영역에서만이 아니라, 전체 냉매 회로에 있어서 부식을 야기하는 전기화학 퍼텐셜이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과제는,
a. 냉각체에 냉매 채널 홈을 만드는 단계;
b. 냉매 채널 홈을 덮개부로 폐쇄하여 냉매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c. 냉각체 상에 열교환 수단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냉매가 냉매 채널에서 순환하거나 또는 유동하여 열을 냉각체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다. 열교환 수단이 냉각체 상에 배치되어, 주변 공기로부터 냉각체로, 그리고 이를 통해 냉매로 열을 전달한다. 냉매 채널 홈은 냉각체에 냉매 채널 홈을 밀링 가공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덮개부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냉매 채널 홈의 형상 또는 진행에 실질적으로 상응할 수 있다. 냉매 채널 홈은 밀링 가공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방법에서는, 복수 개의 열교환 홈을 냉각체에 마련하고 이 열교환 홈에 열교환 수단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열교환 수단을 배치할 수 있다. 유익하게는, 이로써 열교환 수단의 냉각체에의 장착 안정성이 증대되고, 열교환 수단과 냉각체 사이의 표면 연결부가 커진다. 이는, 예컨대 박판 형태로 형성되는 열교환 수단을 냉각체의 협소 측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는 달성될 수 없다. 또한, 열교환 수단과 냉각체 사이의 연결은, 예컨대 납땜을 통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다른 방법에서, 덮개부는 제1 납땜 온도, 예컨대 270℃ 내지 350℃의 범위, 특히 290℃ 내지 307℃의 범위의 온도로 냉각체에 납땜될 수 있고, 열교환 수단은 이보다 낮은 제2 납땜 온도, 예컨대 ≤230℃, 특히 ≤200℃의 온도로 냉각체에 납땜된다. 이는 열교환 수단을 납땜할 때 제1 납땜 연결부가 떨어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납땜 온도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납땜되는 재료 및 사용되는 납땜 보조제에 따라, 납땜 온도는 적절히 선택되어야 하며, 또한 전술한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납땜 연결부를 사용하면, 납땜 연결부가 납땜되는 부품 사이에 양호한 열전달을 제공한다는 점이 유익하다.
납땜은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최적의 기학학적 형상을 갖는 인덕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냉각체의 기하학적 구조와는 무관하게 신속한 재료로의 열 입력과 매우 균일한 열 분배를 보장한다. 또한, 이로써 효율이 높고 정확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에너지가 절약되는 열 입력이 구현된다. 유도 가열은, 특히 제2 납땜 공정 동안에 제1 납땜 연결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체의 모든 위치에서의 온도가 일정하게 낮은 레벨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열교환 수단을 삽입하기 이전에 열교환 홈에 납땜 보조제, 예컨대 납땜 플럭스 및/또는 납땜 페이스트를 마련하면, 열교환 수단의 납땜이 간단해진다. 열교환 수단이 마련되는 냉각체의 측부는, 특히 적어도 열교환 수단을 열교환 홈에 삽입하는 동안에 납땜 보조제가 열교환 홈 안으로 들어가도록, 납땜 보조제로 피복되거나 덮일 수 있다.
유익한 방식에서는, 냉매 채널 홈을 오목하게 형성한 이후에 냉매 채널 홈을 따라 보다 넓은 제2 오목부를 형성하며, 이 오목부의 높이는 거의 덮개부의 두께에 상응한다. 덮개부를 상기 보다 넓은 제2 오목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덮개부는 냉각체의 표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만 돌출한다. 이로써, 냉각체에 거의 평탄한 표면이 만들어지며, 이 표면에 부품이 간단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를 처음에, 예컨대 제1 홈으로서 형성하고, 냉매 채널용의 보다 좁은 제2 홈을 제1 홈의 바닥에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홈은 밀링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냉매 채널 및 열교환 홈의 정확한 제조가 가능해진다.
덮개부를 레이저 절단에 의해 형성하면, 덮개부의 양호한 끼워 맞춤이 달성된다. 이 때문에, 덮개부는 예컨대 황동 또는 보다 높은 등급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체가 구리로 구성된다면, 덮개부의 냉각체에 대한 납땜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냉매, 특히 물로 인한 부식이 방지된다.
열을 방출하는 부품을 냉각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냉각체 내에 또는 냉각체 상에 장착 보조부, 특히 장착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부품의 장착을 지원하는 것이 유익하다.
바람직한 다른 방법에서는, 덮개부를 냉각체에 납땜한 이후에 냉각체의 표면을 평탄하게 밀링 가공한다. 이는, 부품의 큰 표면이 냉각체 상에서 지지되어, 부품으로부터 냉각체로의 열전달이 최적화되는 것을 보장한다. 표면 밀링 가공은 부품이 냉각판에 장착되는 영역에서만 요구된다. 박판이 마련되는 영역에서는 표면 밀링 가공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다른 방법에서는, 제1 층과, 냉매 채널 홈이 형성되는 제2 층, 그리고 덮개부로 구성된 적층체가 열교환 홈의 형성 이전에 납땜된다. 이러한 타입의 제조에서는, 냉매 채널 홈을 냉각체에 밀링 가공할 필요가 없다. 덮개부를 레이저 절단에 의해 제조할 필요도 없다. 덮개부는 실질적으로 제1 층의 치수에 상응하는 판일 수 있다. 각 층의 사이에 납땜 보조제를 배치할 수 있다. 납땜 이전에 제1 층, 제2 층 및 덮개부를 압박할 수 있다. 제2 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구리 부품을 제1 층의 위에 배치하여 냉매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냉매 채널은 상기 부품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층들이 납땜된 경우, 열교환 홈을 밀링 가공할 수 있고, 열교환 수단을 냉각체에 납땜할 수 있다. 별법으로서, 제조를 간단화하기 위해, 덮개부 또는 제1 층은 냉각용 박판을 미리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추론 가능하다. 개개의 특징은 본 발명의 변형례의 임의적인 조합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총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며, 이들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냉매 채널은 마련되어 있지만, 열교환 수단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냉각체의 사시도.
도 2는 열교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도 1의 냉각체의 사시도.
도 3은 하나의 추가 제조 단계를 거친, 도 1, 도 2의 냉각체의 사시도.
도 4는 다른 변형례를 예시하는 냉각체의 사시도.
도 1은 냉매 채널(2)을 포함하는 냉각체(1)를 보여준다. 냉매 채널(2)은 개방형 냉매 회로, 예컨대 물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 채널은 냉각체(1)에 밀링 가공된 냉매 채널 홈(3)과 덮개부(4)에 의해 형성된다. 덮개부(4)는 오목부(5) 내에 위치하는데, 이 오목부의 높이는 거의 덮개부(4)의 두께에 상응한다. 덮개부(4)를 삽입하였을 때, 냉각체(1)의 표면(6)은 거의 평탄하다. 냉각체(1)는 구리로 구성되고 덮개부(4)는 황동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4)는 냉각체(1)에 납땜된다. 냉매 채널(2)은 구리 또는 보다 높은 등급의 금속을 사용할 경우 내식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장치의 냉각체(1)를 제조하는 다음 단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덮개부(4)를 넓은 폭의 오목부(5)에서 냉각체(1)에 대하여 납땜하였을 때, 열교환 홈(8)을 냉각체(1)의 표면에 밀링 가공한다. 냉매 채널(2) 위에 배치된 열교환 홈(8)을 통하여, 냉매로의 열교환이 매우 용이해진다.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박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열교환 수단(9.1)이 열교환 홈(8) 안에 삽입되어 있고, 이 열교환 홈에서 상기 열교환 수단은 냉각체(1)에 대하여 납땜되어 있다. 열교환 수단(9.1)은 열교환 홈(8) 안에 어느 정도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협소 측부(10)에 대향하는 냉각체(1)의 어느 한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상기 홈의 측부를 통하여 측방으로도 열이 냉각체(1)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발열 수단(12)이 냉각체(1)의 대향 측부 상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히 나사(13)를 사용하여 냉각체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나사를 대신하여, 예컨대 클램프 등과 같은 그 밖의 다른 부품 홀더를 사용할 수 있다. 발열 수단(12)의 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각체(1)에 받아들여진다. 열교환 수단(9.2)은 열교환 수단(9.2)이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장착 구멍으로서 형성된 장착 보조부(14)를 통하여 장착되는 부품의 주변으로부터의 열 방출을 개선하기 위하여, 열교환 수단(9.2)은 장착 보조부(14)에 인접한 섹션에서 높이가 더 크다. 도면 부호 9.2로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박판이 사용되는 경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이 최적으로 사용되고, 박판은 냉각판에 맞춰지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부품에 최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도 4는 다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냉각체(1)의 제2 층(15)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2 층(15)은 제1 층(16) 상에 배치되는 부분(15.1, 15.2)을 갖는다. 냉매 채널(2)이 부분(15.1, 15.2)의 사이에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제1 층(16)과 동일한 기본 표면을 갖는 덮개부(도시 생략)가 제1 층(15) 및 제2 층(1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적층체를 이후에 납땜하여 냉각체(1)를 형성하고, 이후에 열교환 홈을 밀링 가공한다.

Claims (22)

  1. 기밀한 방식으로 밀봉된 전기 장치의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체(1)를 포함하고, 냉매가 상기 냉각체를 통해 유동하며, 발열 수단(12)이 상기 냉각체에 장착되어, 접촉 전달을 통해 열을 상기 냉각체(1)에 전달하는 것인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에 있어서,
    상기 냉각체(1)에 열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는 열교환 수단(9.1, 9.2)을 상기 냉각체(1) 상에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하우징 내에 수용된 공기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팬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수단(9.1, 9.2)은 박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수단(9.1, 9.2)은 상기 냉각체(1)의 일측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 수단(12)은 상기 냉각체(1)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수단(9.1, 9.2)은 상기 냉각체(1)의 두 측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수단(9.1, 9.2)은 상기 발열 수단(12)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체(1) 내에는 상기 발열 수단(12)의 장착 위치를 따라 연장되는 냉매 채널(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열교환 수단(9.1, 9.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형태의 열교환 수단(9.1, 9.2)은 냉각체(1)의 열교환 홈(8)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열교환 수단(9.1, 9.2)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체(1)와 상기 열교환 수단(9.1, 9.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구리 또는 구리보다 열전도성 또는 부식 저항성이 높은 등급의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냉각 수단.
  12. 냉각체(1)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냉각체(1)에 냉매 채널 홈을 만드는 단계;
    b. 냉매 채널 홈을 덮개부(4)로 폐쇄하여 냉매 채널(2)을 형성하는 단계;
    c. 냉각체(1) 상에 열교환 수단(9.1, 9.2)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 수단(9.1, 9.2)의 배치 단계는, 상기 냉각체(1) 내에 복수 개의 열교환 홈(8)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 수단(9.1, 9.2)을 상기 열교환 홈(8)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는 270℃ 내지 350℃의 범위의 제1 납땜 온도로 상기 냉각체(1)에 납땜되고, 상기 열교환 수단(9.1, 9.2)은 ≤230℃의 보다 낮은 제2 납땜 온도로 상기 냉각체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납땜은 모든 경우에 유도 가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수단(9.1, 9.2)의 삽입 이전에 납땜 보조제를 상기 열교환 홈(8)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채널 홈을 오목하게 형성한 이후에, 상기 냉매 채널 홈(2)을 따라 보다 넓은 제2 오목부(5)를 형성하며, 이 오목부의 높이는 상기 덮개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은 밀링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는 레이저 절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수단(12)용의 장착 보조부가 상기 냉각체(1)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를 상기 냉각체(1)에 납땜한 이후에, 상기 냉각체(1)의 표면(6)을 평탄하게 밀링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제1 층(16)과, 냉매 채널 홈이 형성되는 제2 층(15), 그리고 덮개부로 구성된 적층체가 열교환 홈(8)의 형성 이전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체 제조 방법.
KR1020067021052A 2004-03-11 2005-02-26 냉각 장치 KR100874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2026.9 2004-03-11
DE102004012026A DE102004012026B3 (de) 2004-03-11 2004-03-11 Anordnung zum Kühlen
PCT/EP2005/002068 WO2005088713A1 (de) 2004-03-11 2005-02-26 Kühl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136A KR20070007136A (ko) 2007-01-12
KR100874178B1 true KR100874178B1 (ko) 2008-12-15

Family

ID=3496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052A KR100874178B1 (ko) 2004-03-11 2005-02-26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17148A1 (ko)
EP (1) EP1723670A1 (ko)
JP (1) JP2007529883A (ko)
KR (1) KR100874178B1 (ko)
DE (1) DE102004012026B3 (ko)
WO (1) WO20050887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849B1 (ko) * 2020-10-08 2021-02-23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오거식 제빙기의 냉매 파이프 부착 방법 및 오거식 제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617B1 (ko) * 2005-09-29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트싱크 어셈블리
US8614390B2 (en) * 2008-06-10 2013-12-24 Watts Thermoelectric, Llc Automatic configuration of thermoelectric generation system to load requirements
DE102011052707A1 (de) * 2011-08-15 2013-02-21 Pierburg Gmbh Kühlvorrichtung für ein thermisch belastetes Bauteil
DE102012107684A1 (de) * 2012-08-21 2014-02-27 Autokühler GmbH & Co KG Kühlkörper für mindestens ein zu kühlendes Bauelemen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ühlkörpers
KR101630009B1 (ko) 2013-03-29 2016-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DE102013212724B3 (de) 2013-06-28 2014-12-04 TRUMPF Hüttinger GmbH + Co. KG Kühl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Elektronikbauteils und Elektronikanordnung mit einer Kühlvorrichtung
JP6378038B2 (ja) * 2014-10-23 2018-08-22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中空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FR3030331B1 (fr) * 2014-12-18 2017-06-0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 radiateur comprenant un corps ayant une gorge de circulation de fluide fermee par une bande de tole
JP6576182B2 (ja) * 2015-09-17 2019-09-1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放熱器の製造方法
CN107017728B (zh) * 2017-05-27 2019-11-26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相变散热电机机壳及其应用的风冷电机
RU2760884C1 (ru) * 2020-12-29 2021-12-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теплофизики им. С.С. Кутателадзе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Двухфазная, гибридная, однокомпонентная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DE102021112415A1 (de) * 2021-05-12 2022-11-17 Erwin Quarder Systemtechnik Gmbh Kühleinrichtung zum Abführen von Wär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8071A1 (en) 1999-11-04 2001-07-19 Macias Jose Javier Computer enclosure cooling unit
US6404640B1 (en) * 1998-08-11 2002-06-11 Fujitsu Limited Liquid-coole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1666A (en) * 1972-11-24 1976-06-08 Sony Corporation Heat dispersion device for use in an electronic apparatus
DE8703080U1 (ko) * 1987-02-27 1987-04-2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JPH088326B2 (ja) * 1987-10-29 1996-01-2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大電力トランジスタ用ヒートシンク
JP2519088B2 (ja) * 1988-07-13 1996-07-31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3254001B2 (ja) * 1991-04-08 2002-02-0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半導体モジュール用の一体化放熱器
US5316077A (en) * 1992-12-09 1994-05-31 Eaton Corporation Heat sink for electrical circuit components
DE4416616C2 (de) * 1994-05-11 1997-05-22 Fichtel & Sachs Ag Gehäuse
US5774334A (en) * 1994-08-26 1998-06-30 Hitachi, Ltd. Low thermal resistant, fluid-cooled semiconductor module
DE19524115C2 (de) * 1995-07-03 2000-03-23 Abb Patent Gmbh Stromrichtergerät mit unterteilten Funktionsräumen
US6305463B1 (en) * 1996-02-22 2001-10-23 Silicon Graphics, Inc. Air or liquid cooled computer module cold plate
US5915463A (en) * 1996-03-23 1999-06-29 Motorola, Inc. Heat dissip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930113A (en) * 1996-06-03 1999-07-27 Scientific-Atlanta, Inc.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internal fins for volumetric cooling
DE19643717A1 (de) * 1996-10-23 1998-04-30 Asea Brown Boveri Flüssigkeits-Kühlvorrichtung für ein Hochleistungshalbleitermodul
EP0954210A1 (en) * 1998-04-28 1999-11-03 Lucent Technologies Inc. Cooling electronic apparatus
DE19924957B4 (de) * 1999-05-31 2004-07-29 Siemens Ag 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in einem Gehäuse befestigten elektronischen Bauteils
JP3852253B2 (ja) * 1999-10-21 2006-11-2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の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DE10006215A1 (de) * 2000-02-11 2001-08-16 Abb Semiconductors Ag Baden Kühlvorrichtung für ein Hochleistungs-Halbleitermodul
US6414867B2 (en) * 2000-02-16 2002-07-02 Hitachi, Ltd. Power inverter
US20020117291A1 (en) * 2000-05-25 2002-08-29 Kioan Cheon Computer having cooling apparatus and heat exchanging device of the cooling apparatus
US6404628B1 (en) * 2000-07-21 2002-06-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ted power electronics cooling housing
DE10039770A1 (de) * 2000-08-16 2002-02-28 Bosch Gmbh Robert Kühlvorrichtung
JP3552047B2 (ja) * 2000-10-25 2004-08-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その製造方法、および、押圧治具
WO2002049106A1 (en) * 2000-12-11 2002-06-20 Fujitsu Limited Electronic device unit
JP3676719B2 (ja) * 2001-10-09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冷インバータ
DE10161536B4 (de) * 2001-12-10 2005-06-23 e-motion Gesellschaft für Antriebstechnik mbH Schaltungsanordnung
JP3907580B2 (ja) * 2002-12-11 2007-04-1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TW200500838A (en) * 2003-02-19 2005-01-01 Nisvara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heat removal
JP3771233B2 (ja) * 2003-10-08 2006-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冷ジャケット
US20050083655A1 (en) * 2003-10-15 2005-04-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ielectric thermal stack for the cooling of high power electronics
US20050128710A1 (en) * 2003-12-15 2005-06-16 Beiteimal Abdlmonem H.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s
US7222660B2 (en) * 2004-10-04 2007-05-29 Tellabs Petaluma, Inc. Cabinet with an environmentally-sealed air-to-air heat exchan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4640B1 (en) * 1998-08-11 2002-06-11 Fujitsu Limited Liquid-cooled electronic apparatus
US20010008071A1 (en) 1999-11-04 2001-07-19 Macias Jose Javier Computer enclosure cooling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849B1 (ko) * 2020-10-08 2021-02-23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오거식 제빙기의 냉매 파이프 부착 방법 및 오거식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12026B3 (de) 2005-11-17
EP1723670A1 (de) 2006-11-22
JP2007529883A (ja) 2007-10-25
KR20070007136A (ko) 2007-01-12
US20070217148A1 (en) 2007-09-20
WO2005088713A1 (de)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178B1 (ko) 냉각 장치
EP3174093B1 (en) Cooled power electronic assembly
US5283715A (en) Integrated heat pipe and circuit board structure
EP1384396B1 (en) Integrated cooling of a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US20190373768A1 (en) Electronics cold plate
TW200913187A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semiconductor package assembly
ES2476596T3 (es) Unidad de placa de circuitos impresos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CN112188792A (zh) 散热器
CN116324671A (zh) 用于冷却电路板的元件的冷却装置
EP0932330A1 (en) Electronic apparatus
US11895810B2 (en) Cooling arrangement
KR20050032350A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컴팩트 열전기 냉각 방식의 열교환장치
KR20050025050A (ko) 전자 기기 장치
CN213991458U (zh) 液冷散热装置及具有该液冷散热装置的液冷散热系统
GB2199650A (en)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CN111465258B (zh) 用于电子单元的导热插入元件
JP2002010624A (ja) 電源装置
JPH11307968A (ja) 電子制御装置の放熱構造
KR1011726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H11237193A (ja) 板型ヒートパイプとそれを用いた実装構造
CN217985809U (zh) 全封闭风冷散热结构
CN218417063U (zh) 机箱散热结构
CN220292421U (zh) 散热装置和电子设备
CN218417062U (zh) 导热冷板、导热板卡及机箱
CN114828594B (zh) 散热装置、散热系统和电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