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638B1 - 화상입력장치, 그 제어방법 및 화상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입력장치, 그 제어방법 및 화상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638B1
KR100871638B1 KR1020077005970A KR20077005970A KR100871638B1 KR 100871638 B1 KR100871638 B1 KR 100871638B1 KR 1020077005970 A KR1020077005970 A KR 1020077005970A KR 20077005970 A KR20077005970 A KR 20077005970A KR 100871638 B1 KR100871638 B1 KR 10087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ervice
image input
information
communication part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254A (ko
Inventor
타카시 아이자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4Connect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nn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유저가 화상 입력장치를 조작해 특정의 통신 상대와 접속하고 싶은 경우에, 다른 통신 상대와의 접속을 순조롭게 회피해 확실히 유저가 접속하고 싶은 상대와 접속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화상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유저가 정보처리 장치를 조작해 화상 입력장치와의 접속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화상 입력장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최초로 접속 요구를 발행한 통신 상대와 접속할 수가 있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정보처리 장치인 PC(퍼스널 컴퓨터; 101)에 무선 접속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다. USB 케이블을 통해서 PC(101)에 접속해 통신 상대가 되는 PC(101)를 특정하기 위한 페어링 정보를 미리 설정한다. PC(101)와의 접속 개시가 지시되면, 디지털 카메라는 설정된 페어링 정보에 근거해, PC(101)와의 무선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천이한다.
화상입력장치, 디지털 카메라, 페어링 정보

Description

화상입력장치, 그 제어방법 및 화상 입력 시스템{IMAGE INPUT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INPUT SYSTEM}
본 발명은, 화상 입력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화상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나 프린터 등의 디바이스와 무선 접속해 통신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화상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촬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을 내부의 기록 장치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퍼스널 컴퓨터(이하, 단지 "PC"라고 한다.)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케이블 등으로 접속하며, 상기 기록 장치 등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이 고안되어 제품화되었다. 또,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를 직접 케이블로 접속해, PC를 통하지 않고 프린트하는 시스템도 제품화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통상,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디지털 카메라와 PC가 접속되어 있고, 결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기기 간에 데이터 교환을 행한다. 예를 들면, PC와 디지털 카메라 간의 데이터 교환 프 로토콜로서는, USB의 Still Imaging Device Class로 규정되어 있는 PTP(Picture Transfer Protocol)과, Mass storage device Class로 정의되어 있는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또,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를 직접 접속하는 구조로서 PictBridge라고 하는 규격도 제안되어 있다. 이 규격의 Version 1.0에 의하면, 상호의 접속이 완료하면,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 측의 스위치 및 조작 버튼 등의 조작 부재와 LCD 등의 표시장치를 활용해, 인쇄할 화상을 선택하거나 인쇄 지시를 내리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한다. 본 출원인도,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30838호 등에서 상기 설명한 내용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와 PC를 서로 접속했을 경우, PC측에서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디지털 카메라 측에서 조작을 하는 것은 그다지 없었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PC의 조작에 서투른 유저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가능한 한 PC를 조작하지 않고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등을 취급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PC의 제어 하에, PC 접속시에 카메라 측의 조작을 유효하게 해, 카메라상에서 실행되는 표시장치에 화상 등을 표시하고, 카메라 측의 조작에 의해 PC에 화상 등을 전송하는 기술도 이미 제안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다만 외부 장치인 PC에 카메라 내의 화상 데이터를 전송해, 저장하고, 열람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지만, 최근 PC와 카메라가 연동해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기기(디바이스)의 네트워크화가 진행되고, 이른바 인터넷 기술을 응용해 각각의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하는 구조도 모색되고 있다. 각 디바이스가 IP 어드레스를 갖고,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동작 제어에 적합한 네트워크 프린터 및 네트워크 카메라 등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고안되고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일부가 실용화되고 있다.
또, 한층 더 최근에는,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도 진행되어, BlueTooth와 IEEE802.11x 등의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 기능을 디바이스에 내장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해서, UPnP(Universal Plug&Play)에 규정되어 있는 디스커버리 방법을 이용해 필요한 서비스와 디바이스를 찾아 접속하는 절차를 취하는 예도 있다. 또한, 무선 접속을 위해 자동 파라미터 설정을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359623호).
이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나 서비스를 검색하는 측(이하, "컨트롤 포인트"라고 한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을 분리하고, UDP의 멀티캐스트의 구조를 이용해 검색 정보를 한정된 네트워크상에 전달한다. 그 다음, 그것에 응답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가진 디바이스가, 응답을 돌려보내는 것으로, 상호 인식을 할 수가 있다.
복수의 컨트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컨트롤 포인트가 UDP 멀티캐스트를 실시해, 검색을 실행한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는, 그 검색에 응답해 각각의 컨트롤 포인트에 응답을 돌려보낸다. 이 디스커버리 방법에 의하면, 각 컨트롤 포인트와 서비스 또는 디바이스 간에 상호 인식을 할 수 있게 된 다.
그렇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상술한 디스커버리 방법을 이용해 상호 인식을 하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교환을 하는 네트워크 라우터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의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들 제품으로서는, 컨트롤 포인트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가, 조작마다 완결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HTTP나 FTP 서버의 경우에, 동시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수를, 서버측의 용량을 고려하여 서버측에 의해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동시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최대수의 통신 상대까지는 평등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버측의 용량을 고려해야 한다.
최대 접속 수를 넘어 접속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가 나타났을 경우에는, 어떤 1개의 접속을 해제해 최대 수 내의 수를 유지하거나, 해당 클라이언트에 의한 신규 접속 요구를 거부해야 한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 장치가 이러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디바이스로서의 자원은 종래의 서버 등과 비교해 극단적으로 빈약하기 때문에, 화상 입력 장치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대는 매우 한정되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극단적인 예로서, 만일 디바이스가 동시에 1개의 클라이언트에만 접속할 수 있고, 상술한 것처럼, 동시에 이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복수의 컨트롤 포인트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어떤 1개의 컨트롤 포인트가 이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논리적인 접속을 행하면, 그 이외의 컨트롤 포인트가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종래의 생각에서는, PC 등의 컨트롤 포인트 측의 조작으로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는 특별히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측인 디지털 카메라를 유저가 조작해, 특정의 PC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카메라 측으로부터 PC에 푸시(Push)하고 싶다고 하는 유스 케이스(use case)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소망한 통신 상대가 아닌 클라이언트가 선착순으로 먼저 카메라에 접속해 버리면, 카메라는 소망한 클라이언트와 접속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비교적 빈약한 자원을 가진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유저의 조작에 의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가장 빨리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유스 케이스; 및
· 특정의 상대와의 접속을 상정하고,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그 상대와 접속하는 유스 케이스 등,
다른 유스 케이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유저가 화상 입력장치를 조작해 특정의 통신 상대와 접속하고 싶은 경우에는, 다른 통신 상대와의 접속을 순조롭게 회피해 확실히 접속하고 싶은 통신 상대와 접속한다. 한편, 유저가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해 화상 입력장치와 접속하고 싶은 경우에는, 화상 입력장치를 조작하는 일없이, 최초로 접속 요구를 한 통신 상대와 접속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화상 입력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화상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장치를 조작해 특정의 통신 상대와 접속하고 싶은 경우에는, 다른 상대와의 접속을 순조롭게 회피해, 확실히 접속하고 싶은 상대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PC 등의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해 상기 화상 입력장치와 접속하고 싶은 경우에는, 화상입력장치를 조작하는 일없이 최초로 접속 요구를 하는 통신 상대와 접속하는 통신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 이외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대해서는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실시 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총망라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를 결정하는 설명을 따르는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입력 시스템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제1 유스 케이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제2 유스 케이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와 PC와의 접속 및 조작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5는 페어링(pairing) 시에 저장된 페어링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중에서 화면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접속지 다바이스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디지털 카메라와 PC가 무선 접속될 때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이다.
도 9는 디지털 카메라가 컨트롤 포인트에 답신하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description)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PC측에서 행해지는 디스커버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디지털 카메라 측에서 행해지는 디스커버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디지털 카메라 측에서 행해지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답신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PC측에서 행해지는 디스커버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상에서 행해지는 서비스 접속 답신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접속지 디바이스의 전환에 수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입력 시스템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는 화상 입력장치(디지털 카메라; 100)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정보처리 장치(PC; 101)로 구성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하의 구성, 즉 렌즈, CCD,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한 광학 유닛(105); 화상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104); CPU 등으로 구성되는 연산 유닛(103); 및 DRM 등으로 구성되는 일시 기억장치(106); 플래시 ROM 등으로 구성되는 2차 기억장치(107); 스위치, 조작 버튼 등을 포함한 조작 부재(108); LCD 액정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장치(109); 및 프로그램의 저장에 사용되는 ROM 등의 판독 전용 메모리(110); Compact Flash(등록상표) 메모리 카드 등의 착탈 가능 기록 매체(111); 및 PC(101)와의 접속을 관리하는 통신 제어장치(102)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통신 제어장치(102)를 통해서 PC(101)에 접속된다. 통신 제어장치(102)와 PC(101)와의 접속에 대해서는, USB 등의 유선 접속과 WirelessLAN 등의 무선 접속을 포함한 다양한 통신 형태가 상정된다. 통신 제어장 치(102)에는, USB를 통해서 접속하는 경우,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 등이 내장되고, WirelessLAN을 통해서 접속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WirelessLAN에 의한 무선 접속의 경우를 상정하고, 또한 본 실시 예는 IEEE802.11b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디지털 카메라(100)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종류에 의존해, 착탈 가능 기억 매체(111)만이 설치되거나, 내장 플래시 ROM 등의 착탈 가능 2차 기억장치(107)만이 설치되어도 된다.
PC(101)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는 연산처리장치(CPU), 일시 기억장치(RAM), 2차 기억장치(하드 디스크), 조작 장치(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제1 유스 케이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유스 케이스(이용 예)는, 유저가 주로 디지털 카메라(100)를 조작해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PC(101)로 화상을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00)와 PC(101)와의 사이에 무선 통신을 하기 전에,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와 접속지 디바이스인 PC(101)를 USB 케이블로 접속한다. 그 다음, 유저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PC와 프린터(미도시) 등, 어느 디바이스와 통신하기를 원하는지를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하는 페어링을 행한다(스텝 S201). 유저는, 이 페어링을 무선 통신을 행할 때에 1번만 해야 한다. 이 페어링에서는, PC와 프린터 등의 디지털 카메라의 접속지 디바이스에 의해 보유되어 있고, 무선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접속지 디바이스를 특정하기 위기 위해 사용되는 페어링 정보(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가 디지털 카메라(100)에 취득되어 보관된다. 그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의 상세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페어링 정보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무선 통신에 필요한 정보, 접속지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유니크한 식별 정보, 무선 접속을 위한 택트(tact)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정된 페어링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접속지 디바이스와 해당 페어링 정보를 서로 관련시켜 세트로서 저장하고, 유저에게 그러한 세트들을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그들 세트로부터 선택할 수가 있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0)와 PC(101)를 접속하는 USB 케이블이 뽑아지고,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 부재(108)가 유저에 의해 조작(예를 들면, 무선 접속 개시 버튼이 눌러짐)되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무선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천이 한다(스텝 S202).
여기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표시장치(109)에 표시되는 접속지 디바이스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는, 3개의 PC가 접속지 디바이스로서 표시되고, 이것은, 각 디바이스에 관한 페어링 정보를 디지털 카메라(100)에 저장하고, 유저가 그 중에서 1개를 디폴트의 접속지 디바이스로서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접속지 디바이스가 프린터 등의 디바이스인 경우에도, 이와 같이 표시된다.
도 2의 스텝 S202 후에는, 상술한 페어링 정보와 관련시켜 디지털 카메라(100)에 저장되어 있는 접속지 디바이스 중, 어느 통신 상대와 접속할지를 유저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화면을 표시장치(109)에 표시한다(스텝 S203). 표시장치(109)에 표시되는 화면 중에서 화면의 천이의 일례를 도 6a~도 6e에 나타낸다.
도 6b에 나타내는 화면은 상술한 접속지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접속지 디바이스 선택 화면이다. 이 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재생 모드 상태(도 6a)에 있으면서 무선 접속 개시 버튼이 눌러지면, 화면은 이 화면으로 변화한다.
다음에, 접속지 디바이스 선택 화면에 표시된 선택 가능한 디바이스 중에서 유저에 의해 접속지 디바이스로서 PC가 선택되면(스텝 S204), 디지털 카메라(100)는, 표시장치(109)에 디지털 카메라와 PC 간의 접속이 시도되고 있다는 표시를 한다(스텝 S205). 이 경우, 디지털 카메라(100)는, 페어링 시에 접속지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 접속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근거해, 그 접속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관한 검색을 개시한다. 검색시에 표시장치(109)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 6c에 나타낸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0)는, 접속지 디바이스를 검출해 접속이 완료하면, 유저에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접속을 확립하고, 도 6d에 나타낸 전송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206). 그 메뉴로부터 유저가 서비스를 선택해 실행하면, 선택된 서비스에 근거해 PC에 화상을 전송한다(스텝 S207). 여기서 유저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서는, 예를 들면, 모든 화상을 전송하는 것과, 선택된 화상을 전송하는 것과, PC(101)의 표시장치에 벽지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서비스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조작 부재(108)에 있어서의 접속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 등이 유저에 의해 조작되면, 무선 접속을 종료한다(스텝 S208).
상기 처리에 있어서, 스텝 S201을 특히 페어링 동작으로서 정의하고, 스텝 S202로부터 스텝 S205까지를 디스커버리 동작으로서 정의하며, 스텝 S206로부터 스텝 S208까지를 서비스 접속 동작으로서 정의한다. 무선 접속시에 행해진 접속지 디바이스를 지정하고, 그 후의 서비스 접속이 디지털 카메라(100) 측의 조작만으로 행해져도 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명에서 카메라와 PC 사이의 논리적인 접속이 완결된다. 이 때문에, 무선 통신에 필요한 모듈의 기동이나 설정은, 기본적으로 스텝 S204에서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조작해 접속지 디바이스를 선택한 경우에 행해져도 된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100)와 PC(101) 간의 접속 및 조작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4는, 3개의 PC1~PC3가, 무선 접속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100)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바람직한 유스 케이스는, 만일 3개의 PC1~PC3가 같은 네트워크에 존재하고, 동시에 디지털 카메라(100)를 인식할 수 있다면,
(1) PC측의 조작으로 디지털 카메라(100) 내의 화상 데이터를 PC측에 전송 할 수가 있고,
(2)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조작하고 싶은 경우에는, 가능한 한 디지털 카메라(100) 측의 사전 조작 없이 PC측의 조작만으로 접속해 디지털 카메라(100)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으며,
(3)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조작해 디지털 카메라(100) 내의 화상을 전송하고 싶은 경우에는, PC를 조작하는 일 없이 유저가 선택한 PC에 화상을 전송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의 방향으로서 PC측으로부터 디지털 카메라 측으로의 방향(조작의 방향(1))과 디지털 카메라 측으로부터 PC측으로의 방향(조작의 방향(2))을 상정하면, 그 동작 방향이 모순 없이 공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제2 유스 케이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유스 케이스는, 유저가 주로 PC(101)를 조작해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PC(101)로 화상을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도 4에 나타낸 조작의 방향이, PC측으로부터 디지털 카메라 측으로의 방향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술한 도 2의 유스 케이스는, 도 4에 나타낸 조작의 방향이, 디지털 카메라 측으로부터 PC측으로의 방향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유저는 무선 통신을 하기 전에, 페어링을 행한다(스텝 S301). 다음에, 유저는 USB 케이블을 뽑아, 무선 접속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으로 무선 접속 개시를 유저가 지시하면(스텝 S302), 디지털 카메라(100)는 무선 접속에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는 상술한 제1 유스 케이스에서는, 이 시점에서 무선 접속에 필요한 처리를 특히 행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이 타이밍에서 무선 접속에 필요한 처리를 기동한다. 여기서 기동하는 무선 접속의 설정은, 상술한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페어링 대상과의 무선 접속에 필요한 정보로 행해 진다.
다음에, 프린터에 접속할지 PC에 접속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접속지 디바이스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303). 디지털 카메라(100)가 이 상태에 있으면서 유저가 PC의 조작으로 디지털 카메라(100)와의 서비스를 개시하면(스텝 S304), 디지털 카메라(100)와의 접속을 행하고, 디지털 카메라(100)의 표시장치에는, 접속중이라고 표시를 한다(스텝 S305). 이 경우에, 접속이 확립되면, 디지털 카메라(100)상의 표시는 소멸하고, 디지털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도 불가능한 모드(카메라 조작 불능 모드)로 변화한다(스텝 S306).
계속해서, PC의 조작으로 디지털 카메라(100) 내의 화상을 전송하는 지시를 하면, 화상 전송을 한다(스텝 S307).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접속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 버튼 등을 유저가 조작함으로써, 무선 접속은 종료한다(스텝 S308).
도 8은, 디지털 카메라(100)와 PC(101)와의 무선 접속시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다.
도 2의 스텝 S202 및 도 3의 스텝 S302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재생 모드가 되고, 아직 무선 접속 상태가 되지 않았다(도 8의 801). 여기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 부재(108)가 유저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술한 도 6b의 접속지 디바이스 선택 화면이 표시장치(109)에 표시된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100)가 "무선 통신 대기"(검색 대기) 상태(도 8의 802)가 된다. 이 "무선 통신 대기" 상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대하여, 무선 통신에 필요한 모듈이 기동하고, 상술한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접속지 디바이스에 관한 페어링 정보에 근거해 무선 네 트워크에 참가를 개시한다.
디지털 카메라(100)가 재생 모드로부터 "무선 통신 대기" 상태로 변화한 시점에서, 디스커버리 동작이 개시되고, 예를 들면 UPnP(Universal Plug&Play)의 경우,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의 Alive 메시지를 디바이스가 멀티캐스트한다. PC 등의 UPnP 컨트롤 포인트가 있으면, UPnP 컨트롤 포인트들이 발행한 M-SEARCH 메시지 등에도 응답해 응답 메시지를 돌려보낸다.
디지털 카메라(100)가 재생 모드로부터 "무선 통신 대기" 상태(도 8의 802)로 변화한 시점은, 동시에 상술한 서비스 접속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특정의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서비스 접속 요구가 있을 때는 기본적으로 접속을 한다. 그러면, 그 상태는 PC 조작에 의해 서비스 접속 상태(도 8의 804)로 변화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에 의해 특정의 PC와 서비스 접속을 확립하려고 하면, 그 상태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이 가능한 서비스 접속 상태(도 8의 803)로 변화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디지털 카메라(100)에 접속 가능한 PC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이다. "무선 통신 대기" 상태(도 8의 802)에서는, 통상 대로 UPnP 디스커버리 메카니즘을 실장하면, PC측의 시퀀스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다.
도 10은, 종래의 PC측(일반적인 UPnP 컨트롤 포인트 측)에서 행해지는 디스커버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에서, PC가 DHCP 서버를 갖는 무선 LAN 등의 네트워크(이른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에 있어서, 우선, PC는, DHCP 서버(미도시)를 검색한다(스텝 S1001). DHCP 서버가 검출되었을 때는(스텝 S1002에서 YES), 검출된 DHCP 서버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스텝 S1003), 이 처리는 스텝 S1005로 진행된다.
한편, DHCP 서버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는(스텝 S1002에서 NO), AutoIP 메카니즘을 이용해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스텝 S1004), 이 처리는 스텝 S1005로 진행된다.
스텝 S1005에서는, Camera Service로 SSDP의 M-Search 메시지를 송신해,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를 검색한다. 다음에, 디바이스로부터 M-Search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스텝 S1006에서 YES), 디바이스에 관한 디스크립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HTTP의 GET 커맨드를 유니캐스트(unicast)를 통해서 송신한다(스텝 S1007).
계속해서,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을 수신하고, 접속지 디바이스를 확인한다(스텝 S1008). 그러면, 서비스 접속인 데이터 교환용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접속을 확립해, 본 처리를 종료한다. 디바이스가 서비스 접속을 복수의 상대와 확립하는 기능을 디바이스측 혹은 PC측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대가 복수 있어도 괜찮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100)와 같이 자원이 적은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그 범위에 들지 않는다.
동시에 1개의 서비스 접속만 서포트할 수 없는 경우에, 이러한 시퀀스를 복수의 컨트롤 포인트가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하면, 가장 빠른 것과 접속하는 제 어 포인트만이 접속되게 된다. 이것은, 유저가 PC 조작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 허용된다. 그러나,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조작해 디지털 카메라(100)에 등록되어 있는 몇 개의 접속지 디바이스로부터 선택해서, 그 PC에 화상을 전송하고 싶은 경우에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다른 PC로부터 먼저 서비스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그 PC와 접속해 버려,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되어 버린다. 그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이하에 설명한다.
디바이스측과 PC측(UPnP 컨트롤 포인트 측)의 쌍방의 디스커버리 메카니즘을 고안하는 것으로 상기 문제를 해결한다.
도 11은, 디지털 카메라측에서 행해지는 디스커버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동작은, 상술한 도 10의 PC측(컨트롤 포인트측)에서 행해지는 디스커버리 동작과 쌍을 이룬다. 디지털 카메라가 DHCP 서버를 갖는 무선 LAN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 있어서, 우선, 디지털 카메라는, DHCP 서버(미도시)를 검색한다(스텝 S1101). DHCP 서버가 검출되었을 때는(스텝 S1102에서 YES), 검출된 DHCP 서버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스텝 S1103), 이 처리는 스텝 S1105로 진행된다.
한편, DHCP 서버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는(스텝 S1102에서 NO), AutoIP 메카니즘을 이용해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스텝 S1104), 이 처리는 스텝 S1105로 진행된다.
스텝 S1105에서는, SSDP의 Alive Notify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다. 다음에, 이 처리는 컨트롤 포인트로부터의 SSDP의 M-Search 메시지를 기다린다(스텝 S1106).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면(스텝 S1106에서 YES), 그에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돌려보낸다(스텝 S1107).
다음에,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수신을 요구하는 HTTP의 GET 커맨드에 응답해 행해지는 처리(스텝 S1108)를 수행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9는, HTTP의 GET 커맨드에 응답해, 디지털 카메라(100)가 컨트롤 포인트로 돌려보내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이 예에서는, 통상 사용하는 UPnP 베이직 디바이스로서 루트(root) 디바이스를 정의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서비스 태그에 포함된 X_targetID 태그와 X_onService 태그이다. 이러한 태그들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X_targetID 태그에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접속을 허가하는 통신 상대를 특정할 수 있는 식별 정보(접속 허가 상대 식별 정보)가, 디지털 카메라(100)의 상태에 근거해 저장된다. X_onService 태그에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서비스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서비스 접속 상태 판별 정보)가, 디지털 카메라(100)의 상태에 근거해 저장된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답신 처리에 대해 도 12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2는, 디지털 카메라 측에서 행해지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답신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에 있어서,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HTTP의 GET 커맨드로 디바이스 디스크립션의 URL가 지정되어 실행되면, 우선 디지털 카메라(100)는 자신 상태를 확인한 다. 특히, 도 8의 "무선 통신 대기" 상태에 있는지 다른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201). 이 결과, "무선 통신 대기" 상태일 때(스텝 S1201에서 YES), 동일 네트워크 내에 서비스 이용 가능한 통신 상대가 있으면, 어느 통신 상대에도 서비스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All F)(제2 식별 정보)를 X_targetID 태그에 대해서 설정한다(스텝 S1202).
다음에, 이 상태에서는, 아직 어느 통신 상대와도 서비스 접속을 확립하지 않았기 때문에, X_onService 태그에 False를 설정한다(스텝 S1204). 그러면,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스크립트(description script)를 돌려보내고(스텝 S1205),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202에서의 판별의 결과로서, 디지털 카메라(100)가 "무선 통신 대기" 상태가 아닐 때는(스텝 S1202에서 NO), 유저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에 의해 특정의 접속지 디바이스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시퀀스 상태로 디지털 카메라가 변화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203). 이 결과, 디지털 카메라(100)가 특정의 접속지 디바이스와의 접속 상태로 변화했거나 변화중일 때는(스텝 S1203에서 YES), 상술한 페어링 시에 설정된 페어링 정보의 일부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상대(이 경우에는, 접속지 디바이스로서 디폴트 PC)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UUID)(제1 식별 정보)를 X_targetID 태그에 대해서 설정한다(스텝 S1206). 이 경우, 접속중 또는 접속하려고 하는 접속지 디바이스와 관련시켜 페어링 정보에 대하여 식별 정보(UUID)를 설정한다.
계속해서, X_onService 태그에 True를 설정하고(스텝 S1207), 스텝 S1205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스크립트를 답신하며(스텝 S1205),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컨트롤 포인트 측인 PC측에서 행해지는 디스커버리 동작을 도 1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3은, PC측에서 행해지는 디스커버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에 있어서, 스텝 S1301로부터 스텝 S1307까지는, 도 10의 스텝 S1001로부터 스텝 S1007까지의 스텝과 같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IP 어드레스의 해결과, 그 후의 SSDP 메시지의 교신, 그리고 디바이스 디스크립션의 취득이 실행된다.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 디바이스 디스크립션의 내용은, 상술한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 취득한 정보 내의 targetID 태그의 내용을 참조해, 그 내용이 PC인 컨트롤 포인트를 나타내는 UUID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308). 이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 처리는 스텝 S1310로 진행된다. 다른 한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처리는 스텝 S1309로 진행된다.
스텝 S1309에서는, 취득한 정보 내의 targetID 태그의 내용이 불특정의 상대와 접속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아닌지, 즉 targetID가 "All"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targetID가 "All"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스텝 S1309에서 YES), 이 취득한 정보 내의 X_onService 태그의 내용을 참조해,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내의 ON 서비스가 False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310). 이 결과, False이면(스텝 S1310에서 YES), 서비스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데이터 교환용 트랜스포트(Transport) 프로토콜 접속을 요구하고(스텝 S1311),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다른 한편, 정보가 스텝 S1308 및 S1309에서, 제어 포인트 자신을 나타내는 ID 정보가 아닌 경우, 또는 불특정의 상대에 접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 접속을 하지 않는다.
스텝 S1310에서의 판별의 결과로서, 취득한 정보 내의 X_onService 태그의 내용을 참조해, True인 경우에는(스텝 S1310에서 NO), 이미 서비스 접속을 확립했다. 이 때문에, 서비스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의 접속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조작해 접속지 디바이스를 지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PC로부터 서비스 접속를 확립하기 위해서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의 접속을 방지할 수가 있고, 희망한 상대와 확실히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가 대기 상태에 있고, 상대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PC를 조작해 자유롭게 접속을 확립할 수가 있다.
[제2 실시 예]
본 제2 실시 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상기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에서는, 디스커버리 동작에 있어서, 서비스 접속을 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만, 본 제2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같은 효과를 다른 방법으로 실현하고 있다. 디스커버리 동작 전까지의 처리는 상술한 것과 같지만, 디지털 카메라(100)의 서비스 접속 동작시에 접속 판단 로직을 실장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행해지는 서비스 접속 답신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에 있어서, 우선, 디지털 카메라(100)는, 컨트롤 포인트인 PC측으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한다(스텝 S1401). 이 경우, PC는 자신을 특정하는 ID 정보를 부가해 접속 요구를 보낸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0)는, 상술한 도 8의 "무선 통신 대기" 상태에 있는지 다른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402). 이 결과, "무선 통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는(스텝 S1402에서 YES), 요구된 서비스 접속에 OK(접속 허가)를 돌려보낸다(스텝 S1405). 다른 한편,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S1402에서 NO), 디지털 카메라(100)가 특정 상대와의 접속 시퀀스 중에 있는지 아닌지, 즉 디지털 카메라(100)를 조작하는 유저가 선택한 상대와의 접속 시퀀스 중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403).
스텝 S1403에서의 판별의 결과, 디지털 카메라가 특정 상대와의 접속 시퀀스 중에 있으면(스텝 S1403에서 YES), 접속 요구에 부가되어 있는 ID 정보(UUID)를 참조한다. ID 정보를, 그 시점에서 디지털 카메라(100)가 접속하려고 하고 있는 특정의 상대와 조합해 미리 기억되어 있는 페어링 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대를 식별하는 ID 정보(UUID)와 비교한다(스텝 S1404). 서로 일치할 때는(스텝 S1404에서 YES), 요구된 서비스 접속에 OK를 돌려보낸다(스텝 S1405). 차이가 날 때는(스텝 S1404에서 NO), NG(접속 거절)를 돌려보낸다(스텝 S1406).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0)의 상태에 근거해, 요구된 서비스 접속의 확 립을 허가할지 아닌지를, 미리 페어링된 정보와 유저 조작과 관련시켜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실시 예와 같은 효과를 실현할 수가 있다.
[제3 실시 예]
본 제3 실시 예는, 그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제1 및 상기 제2 실시 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내에 있는 필드 중에서, X_onService 태그는 생략해도, 동등의 기능은 실현 가능하다. 그러나, 이 필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컨트롤 포인트 측인 PC가 유저에 대해서 왜 접속할 수 없었던 것인가를 다이얼로그 등의 표시 수단을 이용해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내에 있는 필드 중에서 X_targetID 태그의 내용이 PC 자신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X_onService가 True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PC 자신이 이미 접속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재차 접속을 행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도 8의 무선 통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도 6b의 화면이 디지털 카메라(100) 상의 표시장치에 표시된다. 디지털 카메라는 유저가 접속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을 기다리고 있을 때,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페어링 상대에 대한 무선 접속 설정 하에 무선 모듈을 기동해 접속 대기 상태가 된다. 그러나, 유저가 접속지 디바이스를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으로 선택한 시점에서, 그것을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알리는 메카니즘 이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그 동작을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접속지 디바이스의 전환에 수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에 있어서, 우선, 디지털 카메라(100)는,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디폴트 PC에 관한 페어링 정보에 근거해 무선 접속 모듈을 기동해, 통신 가능 상태로 변화한다(스텝 S1501). 다음에, 그 네트워크에 SSDP Alive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다(스텝 S1502).
계속해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상술한 무선 통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이 경우, 유저에 의해 접속지 디바이스로서 선택된 PC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PC인 경우에는(스텝 S1503에서 YES), 재차 SSDP Alive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고(스텝 S1507), 본 처리를 종료한다. 컨트롤 포인트 측은, 재차 디바이스 디스크립션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이 Alive 메시지를 받은 시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와 같이,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내의 targetID 태그 및 X_onService 태그의 내용의 갱신을 검지할 수가 있다.
다른 한편, 선택된 PC가 디폴트 PC가 아닌 경우(스텝 S1503에서 NO), 현재 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PC의 네트워크에 SSDP ByeBye 메시지를 멀티캐스트를 통해서 송신한다(스텝 S1504).
다음에, 디폴트 PC에 관한 페어링 정보에 근거해 무선 접속을 절단하고(스텝 S1505), 선택된 PC에 관한 페어링 정보에 근거해 무선 모듈을 다시 기동하며(스텝 S1506), 새로운 네트워크에 대해서 SSDP Alive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다(스텝 S1507).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선택된 접속지 디바이스에 대하여 다른 네트워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와 같은 효과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여기서 선택된 접속지 디바이스가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상대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소속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504로부터 스텝 S1506까지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1507에서의 SSDP Alive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의 미접속 및 재접속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전환이 빨라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제공한 후,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 등)가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또,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CD-ROM, CD-R, CD-RW, DVD-ROM, DVD-RAM, DVD-RW, DVD+RW,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실시 예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operating system)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시해,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게다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설치된 메모리에 기록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설치된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시해,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것을 제외하고 그것의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되어 있는 2004년 8월 2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04-247090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Claims (34)

  1.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상 입력장치로서,
    통신 상대를 특정하기 위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통신 상대와의 접속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상대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접속 개시가 지시되었을 때,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에 근거해 상기 통신 상대와의 무선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도록 상기 화상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로부터의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의 검색을 수락하는 것이 가능한 검색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1 천이 수단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접속 상태로 천이하는 제2 천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입력장치는,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을 때, 상기 검색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를 통신 상대마다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된 통신 상대 중 하나를 디폴트 접속지 디바이스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로부터의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정보 취득 요구에 대해서 접속을 허가하는 통신 상대를 나타내는 접속 허가 상대 식별 정보를 포함한 답신 데이터를 돌려보내는 디바이스 정보 제공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에 의한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정보 취득 요구에 대해서, 서비스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서비스 접속 상태 판별 정보를 포함한 답신 데이터를 돌려보내는 서비스 정보 제공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허가 상대 식별 정보에 대해서,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 정 정보의 일부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상대를 나타내는 제1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제1 식별 정보 설정 수단과, 상기 접속 허가 상대 식별 정보에 대해서, 불특정의 통신 상대와의 서비스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제2 식별 정보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 입력장치의 상태에 근거해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검색 대기 상태일 때는, 상기 접속 허가 상대 식별 정보로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로 천이 중일 때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이거나 또는 서비스 접속 상태로 천이 중인 통신 상대와 관련시켜, 상기 접속 허가 상대 식별 정보로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는, 상기 답신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접속 허가 상대 식별 정보를 참조하고, 그 내용이 상기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식별 정보일 때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로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로 천이시키는 서비스 접속 요구를 상기 화상 입력장치에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가 상기 서비스 접속 요구를 발행할 때는 상기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접속 요구를 발행하고, 상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검색 대기 상태일 때는, 상기 서비스 접속 요구를 허가하고, 혹은 상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로 천이 중일 때는,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의 일부와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가 서로 일치했을 때에 상기 서비스 접속 요구를 허가할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입력장치는,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통신 상대가 선택되었을 때는, 상기 검색 대기 상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통신 상대가 선택되었을 때는, 이미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대해서 소멸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절단하는 한편, 새롭게 선택된 통신 상대와 관련시켜 저장된 상기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에 근거해 네트워크 접속을 다시 해 상기 네트워크에 대해서 새롭게 접속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15. 삭제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 또는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로의 변화 중인 상태로 천이했을 때는,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 판별 정보에 대해서 상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서비스에 접속 중인 것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하고, 상 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검색 대기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서비스 접속 상태 판별 정보에 대해서 상기 화상 입력장치가 상기 서비스에 미접속인 것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17. 적어도 1개의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에 무선 접속이 가능한 화상 입력장치를 구비한 화상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입력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접속지 디바이스 설정수단과,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접속 개시를 지시하는 접속 개시 지시수단과,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상대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접속 개시가 지시되었을 때,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에 근거해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무선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도록 상기 화상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로부터의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의 검색을 수락하는 것이 가능한 검색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1 천이수단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접속 상태로 천이하는 제2 천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입력장치는,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을 때, 상기 검색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상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신 상대를 특정하기 위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통신 상대와의 접속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 스텝과,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외부 장치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상기 접속 개시가 지시되었을 때, 상기 설정된 접속지 디바이스 특정 정보에 근거해 상기 통신 상대와의 무선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도록 상기 화상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통신 상대로부터의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의 검색을 수락하는 것이 가능한 검색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1 천이 스텝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접속 상태로 천이하는 제2 천이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입력장치는, 상기 선택 스텝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을 때, 상기 검색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
  34. 삭제
KR1020077005970A 2004-08-26 2005-08-25 화상입력장치, 그 제어방법 및 화상 입력 시스템 KR100871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7090 2004-08-26
JP2004247090A JP3840243B2 (ja) 2004-08-26 2004-08-26 画像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入力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254A KR20070053254A (ko) 2007-05-23
KR100871638B1 true KR100871638B1 (ko) 2008-12-02

Family

ID=3596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970A KR100871638B1 (ko) 2004-08-26 2005-08-25 화상입력장치, 그 제어방법 및 화상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10669B2 (ko)
EP (1) EP1784949B1 (ko)
JP (1) JP3840243B2 (ko)
KR (1) KR100871638B1 (ko)
CN (1) CN100508485C (ko)
WO (1) WO2006022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6384A1 (en) * 2004-05-03 2005-11-0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ssing data between filters
JP4208805B2 (ja) * 2004-09-15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98397A1 (en) * 2005-11-01 2007-05-03 D-Link Systems, Inc. Network camera
JP5028798B2 (ja) * 2005-12-27 2012-09-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85393A (ja) * 2006-09-25 2008-04-10 Olympus Corp 情報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TW200843406A (en) * 2007-04-30 2008-11-01 Vivotek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ing network devices
WO2009032272A1 (en) * 2007-09-05 2009-03-12 Savant Systems Llc. Expandable multimedia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442544B1 (ko) * 2007-12-18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 방법
JP5086867B2 (ja) * 2008-03-31 2012-11-28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8069232B2 (en) 2008-06-30 2011-11-29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synchronization of media content and subscription content
JP5384874B2 (ja) * 2008-08-19 2014-01-0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無線通信システム
JP5493729B2 (ja) * 2009-11-06 2014-05-14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システムと、本体ユニットおよびこれに接続の外部電子機器
WO2011099144A1 (ja) * 2010-02-12 2011-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システム
JP5620851B2 (ja) * 2010-08-17 2014-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836876B1 (ko) * 2011-03-02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425167B2 (ja) * 2011-12-02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手段を有する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75363B2 (ja) * 2011-12-27 2016-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
JP5687642B2 (ja) 2012-02-23 2015-03-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94800B2 (en) * 2012-07-25 2015-03-31 Gopro, Inc. Credential transfer management camera system
JP6265607B2 (ja) * 2013-02-22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071624B2 (ja) * 2013-02-22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112903B2 (ja) * 2013-02-22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14177B2 (ja) * 2013-03-14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52589B2 (en) * 2013-03-15 2019-10-22 Christopher V. Beckman Establishing wireless networks by physical connection
KR20150078266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3916561A (zh) * 2014-03-20 2014-07-09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图像数据获取装置及其控制装置和方法
JP6467395B2 (ja) * 2016-11-25 2019-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画像受信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通信システム
JP6639430B2 (ja) * 2017-01-3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26137B2 (ja) * 2017-09-21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755519B2 (en) 2020-06-24 2023-09-12 Pfu Limited Peripher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230057637A1 (en) * 2021-08-17 2023-02-23 Gopro,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detection and auto-connection between a device and an accessor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623A (ja) * 2001-03-27 2002-12-13 Seiko Epson Corp 無線通信設定方法、通信端末、アクセスポイント端末、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59446A (ja) * 2002-02-28 2003-09-12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JP2004104788A (ja) * 2002-09-10 2004-04-02 Eastman Kodak Co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298A (en) * 1996-02-06 1998-09-08 Ho; Shu-Kuang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mote device identifier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ognized identifier
US6784924B2 (en) * 1997-02-20 2004-08-31 Eastman Kodak Company Network configuration file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images from an electronic still camera
US6396537B1 (en) * 1997-11-24 2002-05-28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system for enabl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 camera and an attraction site
US6058428A (en) * 1997-12-05 2000-05-02 Pictr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images on a network
US6167469A (en) * 1998-05-18 2000-12-26 Agilent Technologies, Inc. Digital camera having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graphical representation of user inpu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the selected digital images thereof
JP4593756B2 (ja) 2000-10-19 2010-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入力装置
KR100513697B1 (ko) * 2001-01-19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무선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과무선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서버와 단말기
JP2002244829A (ja) * 2001-02-14 2002-08-30 Ricoh Co Ltd 出力装置指定方式および無線システム
JP5105665B2 (ja) * 2001-03-13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GB2377583A (en) 2001-07-10 2003-01-15 Hewlett Packard Co Sending digital data files
US20030090574A1 (en) * 2001-10-30 2003-05-15 Seaman Mark 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tomated delivery of digital images
JP4045536B2 (ja) 2002-05-27 2008-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4105010B2 (ja) 2002-09-11 2008-06-1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画像データ送信方法並びに画像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4532815B2 (ja) 2002-09-20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情報入力システム、情報生成装置、情報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530233B1 (ko) * 2003-02-17 2005-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드호크 네트워크로 연결가능한 기기를 사용자에게알려주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효율적인 연결 설정을가능하게 해주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장치 및 통신방법
JP4165403B2 (ja) * 2004-01-13 2008-10-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290028B2 (ja) 2004-02-06 2009-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623A (ja) * 2001-03-27 2002-12-13 Seiko Epson Corp 無線通信設定方法、通信端末、アクセスポイント端末、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59446A (ja) * 2002-02-28 2003-09-12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JP2004104788A (ja) * 2002-09-10 2004-04-02 Eastman Kodak Co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67231A (ja) 2006-03-09
US20080043110A1 (en) 2008-02-21
US8810669B2 (en) 2014-08-19
WO2006022432A1 (en) 2006-03-02
CN100508485C (zh) 2009-07-01
JP3840243B2 (ja) 2006-11-01
EP1784949A1 (en) 2007-05-16
CN101010912A (zh) 2007-08-01
EP1784949B1 (en) 2016-06-01
EP1784949A4 (en) 2010-01-20
KR20070053254A (ko)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638B1 (ko) 화상입력장치, 그 제어방법 및 화상 입력 시스템
US11050891B2 (en) Data processing system execut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plurality of apparatuses linking
US937784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US982602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5733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able with use of clos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022545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826459B2 (ja) 通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5363B2 (ja) 記録媒体及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
JP6207298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98614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2023027651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506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JP6204958B2 (ja) 記録媒体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7031818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system
JP5921230B2 (ja) 撮影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9193069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9114924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