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445B1 -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Google Patents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1445B1 KR100871445B1 KR1020070070222A KR20070070222A KR100871445B1 KR 100871445 B1 KR100871445 B1 KR 100871445B1 KR 1020070070222 A KR1020070070222 A KR 1020070070222A KR 20070070222 A KR20070070222 A KR 20070070222A KR 100871445 B1 KR100871445 B1 KR 1008714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 fuel
- unit
- chambers
- spiral c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6—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along the fuel-supporting surfa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12—Air heaters with additional hea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9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왕겨, 우드 펠렛, 파쇄 톱밥, 열매 껍질 등을 연료로 하는 것이되, 두 개의 연소실이 마련되어 한 종류의 연료 사용은 물론 두 종류의 연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면적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의 연소실만을 가동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A)는,
저장조(17) 내부의 연료를 기기 내부로 공급하는 연료투입부(10)와, 연료투입부(10)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점화하여 연소하는 연소부(20)와, 연소부(20)에서 연소 완료된 연소 폐기물을 저장하여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 폐기물 저장부(30)와, 연소 폐기물 저장부(30)로부터 배출된 연소 폐기물을 자루(43)에 담아 수거하는 연소 폐기물 수거부(40)와, 연소부(20)에서의 연료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가열부(50)와, 가열부(50)에 강제 송풍을 가하여 기기 외부로 온풍이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연료투입부(10)는 두 종류의 연료 사용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연료 투입 챔버(14, 14')가 마련되고, 상기 연소부(20)에는 각각의 챔버(14, 14')에 별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연소실(21, 21')이 마련된다.
온풍기, 왕겨, 우드 펠렛, 연료투입부, 연소부, 연소 폐기물 저장부, 연소 폐기물 수거부, 가열부, 송풍부, 난방, 재활용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방용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왕겨, 우드 펠렛, 파쇄 톱밥, 열매 껍질 등을 연료로 하는 것이되, 두 개의 연소실이 마련되어 한 종류의 연료 사용은 물론 두 종류의 연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면적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의 연소실만을 가동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 재배를 위한 시설 및 가축 사육을 위한 시설에는 동절기 난방을 위한 난방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난방장치의 하나로 온풍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기존 온풍기의 대다수는 전기, 기름, 가스의 어느 하나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전기, 기름, 가스의 어느 하나를 연료로 하는 기존 온풍기는 연료 투입 등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연료 자체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연소시 연료 소모량이 상당하여 난방 비용이 가중되었으므로 농작물 재배 시설 관리자 또는 가축 사육 시설 관리자로서는 비용상의 부담을 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특히, 기름을 연료로 하는 기존 온풍기는 연소 과정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에 다량의 화학적 유해물질을 포함하였던 바, 화학적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 오염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주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연료를 이용하는 온풍기가 개발되어 농작물 재배를 위한 시설 및 가축 사육을 위한 시설을 대상으로 그 보급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주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연료를 이용하는 온풍기는 어느 한 종류의 연료만을 이용하는 것이었던 바, 사용 연료의 품귀 현상이 일어났을 때 연료 마련에 지장이 따라 온풍기 사용 자체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사용중 연료 투입 또는 연소폐기물 처리 등의 관리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주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연료를 이용하는 온풍기는 난방 면적에 따른 연료 투입량의 조절 기능이 미흡하여 난방 효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과하여 농작물 재배 또는 가축 사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료 투입이 이루어지는 챔버가 구분된 두 개의 연소실이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연료 사용은 물론 동시에 두 종류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난방 면적에 따라서는 두 개의 연소실을 동시에 가동하거나 어느 하나의 연소실만을 가동함으로써 난방 정도를 최적화하고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는,
선단이 연료 저장조 내부로 이어지는 이송관과, 이송관 내부에 위치하는 나선 코일과, 나선 코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나선 코일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 연료가 투입되는 제1·제2 챔버로 이루어지되, 제1·제2 챔버 내부에는 무게추에 의해 선단이 하부를 지향하는 회전판이 마련되어 회전판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연료 투입이 이루어지는 연료투입부와;
전방의 입구에 연료투입구가 형성되고 중간 높이에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칸막이가 마련된 제1·제2 연소실과, 연소실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와, 연소투입구 후방에 설치되어 연료를 점화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되, 연소실 내부는 연료가 하부로 집중되도록 하측의 폭이 좁아지는 "V"형을 이루는 것이고, 칸막이는 점화된 연료 일부가 연소실 내에 잔존하여 상부에서 진행하는 연료가 연속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연료투입구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하부에 위치하는 연소부와;
선단이 연소부 외측에 위치하는 이송관과, 이송관 내부에 위치하는 나선 코일과, 나선 코일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지되, 제1·제2 연소실의 칸막이 후방 하측에 마련되어 칸막이로부터 낙하하는 연소 폐기물을 저장하여 연소부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 폐기물 저장부와;
포스트와, 포스트상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고정구로 이루어지되, 고정구에 의해 지지된 자루 내측에 연소 폐기물 저장부의 이송관으로부터 배출된 연소 폐기물이 담겨 수거되는 연소 폐기물 수거부와;
제1·제2 연소실의 상부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와, 덮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방열관과, 방열관 양 측에 마련되는 온풍유출구로 이루어지되, 연소부의 연료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방열관이 가열되는 가열부와;
방열관 상단과 연결되는 폐열수거함과, 폐열수거함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지되, 송풍팬에 의한 송풍은 폐열수거함을 거쳐 방열관으로 전달되어 가열 된 이후 온풍유출구로 배출되는 송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는,
연료투입부에 두 개의 챔버가 마련된 것이고, 연소부에 어느 하나의 챔버와 연결되는 두 개의 연소실이 마련된 것인 바, 어느 한 종류의 연료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두 종류의 연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연료 수급 차질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난방 면적에 따라서는 연소실의 어느 하나 또는 연소실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난방 면적에 적합한 난방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연료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전체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연료투입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연소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연소 폐기물 저장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연소 폐기물 수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히터를 통한 연료 점화 과정을 보인 히터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A)는 연료투입부(10)와, 연소부(20)와, 연소 폐기물 저장부(30)와, 연소 폐기물 수거부(40)와, 가열부(50)와, 송풍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투입부(10)는, 선단이 연료 저장조(17) 내부로 이어지는 이송관(11)과, 이송관 내부에 위치하는 나선 코일(12)과, 나선 코일(12)을 회전시키는 모터(13)와, 나선 코일(12)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 연료가 투입되는 제1·제2 챔버(14, 1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송관(11) 내의 나선 코일(12)이 모터(13) 구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저장조(17) 내부의 연료를 각 챔버(14, 14')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료투입부(10)에서 이송관(11)은 굴곡 형성이 자유롭도록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챔버(14, 14') 내부에는 무게추(15a)에 의해 선단이 하부로 지향되는 회전판(15)이 설치되되 회전판(15)은 그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6)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조(17)는 챔버(14, 14') 각각에 별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회전판(15)이 감지센서(16)와 연결됨으로써 감지센서(16)가 회전판(15)이 개방된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만 연료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소부(20)는, 전방의 입구에 연료투입구(22)가 형성되고 중간 높이에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칸막이(23)가 마련된 제1·제2 연소실(21, 21')과, 각 연소실(21, 21')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모터(26)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 류(24)와, 연소투입구(22) 전방에 설치되어 연료를 점화하는 히터(25)로 이루어진 것으로, 연료투입부(10)의 챔버(14, 14') 내부로 투입된 연료를 모터(26)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4)를 통해 각 연소실(21, 21')로 연소 투입하기 이전에 히터(25)가 연료를 점화함으로써 연료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이송스크류(24)는 중앙부 관체(24a) 외면에 다수의 통공(24b)이 형성된 것이며, 일단이 연소팬(27)과 이어져 관체(24a) 내부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소부(20)에서 각 연소실(21, 21')은 연료가 하부로 집중되도록 정단면으로 보아 하측의 폭이 좁아지는 "V"형태를 이루는 것이고, 연소실 (21, 21') 내부에 마련되는 칸막이(23)는 연료투입구(22)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며, 연소실(21, 21') 후방에는 공기유입구(28)와 공기유입조절구(29)가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연소 폐기물 저장부(30)는, 연소부(20)의 각 연소실(21, 21') 후방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송관(31)과, 이송관 내부에 위치하는 나선 코일(32)로 이루어지며, 각 연소실(21, 21')을 통과하여 칸막이 (23)후방 하부로 낙하한 연소 폐기물을 저장하되 저장한 연소 폐기물은 이송관(31) 내에서 회전하는 나선 코일(32)에 의해 연소부(2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소 폐기물 저장부(30)에서 나선 코일(32) 후방의 일단은 연소부(20)의 이송스크류(24) 후방 일단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데, 나선 코일(32) 후방 일단이 이송스크류(24) 후방 일단과 연결됨으로써 별도 모터(26)에 의해 회전하 는 이송스크류(24) 회전을 통해 나선 코일(3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소 폐기물 저장부(30)의 이송관(31)은 굴곡 형성이 자유롭도록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 폐기물 수거부(40)는, 포스트(41)에 고정구(4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연소 폐기물 저장부(30)로부터 배출되는 연소 폐기물을 포스트(41)상에 결합된 고정구(42)에 의해 지지되는 자루(43)에 담아 수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소 폐기물 수거부(40)에서 고정구(42)는 자루(43) 고정 높이의 가변을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50)는, 제1·제2 연소실(21, 21')의 상부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51)와, 덮개(5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방열관(52)과, 방열관(52) 양측방향에 마련되는 온풍유출구(53)로 이루어진 것으로, 연소부(20)의 연료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방열관(52)이 가열되는 것이고, 가열된 공기는 온풍유출구(53)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열부(50)에서 방열관(52)은 제1·제2 연소실(21, 21') 상부에 동일한 수로 마련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는 것인 바, 연소실(21, 21')에서 발생되는 열을 고르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부(60)는, 방열관(52) 상단과 연결되는 폐열수거함(62)과, 폐열수거함(62)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팬(61)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송풍팬(61)에 의한 송풍은 폐열수거함(62)을 거쳐 방열관(52)으로 전달되어 가열된 이후 온풍유출구(53)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송풍부(60)에서 송풍팬(61) 상부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당연히 개방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A)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연료투입부(10)의 나선 코일(12)은 모터(13)와 연결된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이 연료 저장조(17) 내부로 이어진 것인 바, 모터(13)에 의해 나선 코일(12)이 회전됨으로써 저장조(17) 내부의 연료는 이송관(11) 내부를 거쳐 제1·제2 챔버(14, 14')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챔버(14, 14')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저장조(17)와 이어지는 것인 바, 각 저장조(17)에 서로 다른 종류의 연료를 저장하는 경우 두 가지 연료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과정에서 나선 코일(12)을 회전시키는 모터(13) 구동은 챔버(14, 14') 내부에 연료가 충만된 상태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챔버(14, 14') 내부에 연료가 충만된 상태에서 모터(13)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4, 14') 내부에 마련된 회전판(15)에 의한 것으로, 회전판(15)은 무게추(15a)에 의해 선단이 하부를 지향하는 것이고, 이러한 회전판(15)은 그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6)와 연결된 것인 바, 회전판(15)이 무게추(15a)에 의해 하부를 지향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감지센서(16)가 이를 감지하였을 경우에만 모터(13)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것이어서 회전 판(15) 하부에 연료가 충만되어 회전판(15) 선단이 하부를 향할 수 없는 상태 즉, 회전판(15)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모터(13)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회전판(15)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연료 투입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연료투입부(10)의 챔버(14, 14') 내부로 투입된 연료는 연소부(20)의 제1·제2연소실(21, 21') 내부로 공급된다.
제1·제2연소실(21, 21') 내부에서의 연료 진행은 모터(26)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4)에 의한 것이다.
이송스크류(24)를 통한 연료 진행 초기과정 즉, 연료가 연료투입구(22)를 통과하기 직전에 연료의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연료 점화는 각 연소실(21, 21') 전방에 설치된 히터(25)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히터(25)를 통한 연료 점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가 연소실(21, 21')의 연료투입구(22)를 통과하기 직전에 가열된 히터(25)는 연료의 일부를 가열하게 되므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1차점화 과정에서 연소실(21, 21')의 이송스크류(24)는 회전이 중단된 상태이며, 1차점화에 의해 연료 일부의 점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송스크류(24)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1차점화에 소요되는 시간 즉, 연료 일부가 점화되는 시간은 5분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1차점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송스크류(24)는 반시계방향으로 120°회전한다.
1차점화 후 이송스크류(24)가 회전함으로써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25)는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의 연료를 2차점화하게 되므로 연료 점화 부분이 확대된다.
2차점화는 1차점화에 비해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3분 내외가 바람직하며, 2차점화 과정중 이송스크류(24)의 회전은 중단된 상태이다.
2차점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송스크류(24)는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120° 회전한다.
2차점화 후 이송스크류(24)가 회전함으로써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25)는 1차점화, 2차점화를 통해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의 연료를 3차점화하게 되므로 연료 점화 부분은 더욱 확대된다.
3차점화는 2차점화에 비해 더욱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2분 내외가 바람직하며, 3차점화 과정중 이송스크류(24)의 회전은 중단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점화과정에서 이송스크류(24)의 회전방향은 직전 점화 부위가 하부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연소실(21, 21')로 투입되는 연료는 원주 형태로 고르게 점화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상태로 점화된 연료는 이송스크류(24)에 의해 각 연소실(21, 21') 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며, 연료 점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히터(25)의 작동은 중단되는 것이다.
한편, 점화 완료된 연료가 각 연소실(21, 21') 후방으로 진행하며 연소하는 과정에서 연소실(21, 21') 후방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28) 및 공기유입조절구(29)가 마련되어 있어 공기유입구(28) 및 공기유입조절구(2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 연소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송스크류(24) 중심부의 관체(24a) 일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팬(27)에 연결되어 있고, 관체(24a) 외면에는 다수의 통공(24b)이 형성되어 있는바, 연소팬(27) 회전에 의해 관체(24a) 내부로 송풍이 가해지게 되고, 가해지는 송풍은 관체(24a) 외면의 통공(24b)으로 배출되므로 연료에 강제 송풍을 가할 수 있어 연료 연소가 활성화된다.
이때, 공기유입조절구(29)는 도어 오픈 방식에 따라 공기유입량이 조절되도록 한 것이며, 이송스크류(24)의 관체(24a) 외면에 형성되는 통공은 점화 초기의 연소 활성화를 위하여 연소실(21, 21') 전방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류(24) 전방에 더 밀집되는 것이다.
한편, 각 연소실(21, 21') 내에서 연소중인 연료가 이송스크류(24)에 의해 후방으로 진행할 때 이송스크류(24) 하부에 적층된 연료는 진행하지 않는 것이다.
각 연소실(21, 21') 내에 설치되는 칸막이(23)는 연소실(21, 21')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되 연료투입구(22)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이송스크류(24)가 회전하여 연료가 후방으로 진행할지라도 이송스크류(24) 하부에 적층된 연료는 이송스크류(24)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진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스크류(24) 하부에 위치하는 일부 연료가 진행하지 않게됨으로써 연료는 연속하여 연소할 수 있게 되는데, 이송스크류(24) 하부에 위치하는 연료가 점화된 상태에서 진행하지 않고 칸막이(23) 상부에 잔존함으로써 그 상부로 연속 진행하는 연료를 점화하게 되므로 연속적으로 연료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소부(20)를 통한 연료 연소 과정에서 연소실(21, 21')의 가동은 난방 면적에 따라서 두 개의 연소실(21, 21')을 동시에 가동하거나 어느 하나의 연소실만을 가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소 과정에서 연소실(21, 21') 후방으로 진행하며 연소되는 연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23) 후방에 이르러 연소 폐기물로 남게 되는바, 연소 폐기물은 이송스크류(24)를 통한 진행에 의해 칸막이 하부로 낙하하여 연소 폐기물 저장부(30)에 저장된 이후 이송관(31) 내에서 회전하는 나선 코일에 의해 연소부(20) 외부로 배출되는데, 연소부(20)에서 배출된 연소 폐기물은 연소부(20) 외부로 이어지는 이송관(31)을 통해 연소 폐기물 수거부(40)에 이르러 포스트(41)의 고정구(42)에 의해 지지되는 자루(43) 내부에 담기게 되므로 연소 폐기물의 자동적인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연소 폐기물의 자동 수거가 이루어지는 연소 폐기물 수거부(40)에서 고정구(42)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43) 크기에 맞춰 자루(43) 바닥면이 지면과 맞닿도록 하여 연소 폐기물을 담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자루(43)에 수거된 연소 폐기물은 거름 등으로 재활용되는 것이다.
한편, 연소부(20)에서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그 상부에 위치하는 가열부(50)의 방열관(52)으로 전달되며, 방열관(52)을 통해 발산되는 열은 양측의 온풍유출구(53)를 통해 배출된다.
가열부(50)의 방열관(52)은 각 연소실(21, 21') 상부에 동일한 수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마련되는 것인 바, 연소실(21, 21')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전체에 걸쳐 고르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열부(50) 상부에는 송풍부(60)가 위치하는바, 송풍팬(61) 작동에 의해 가열부(50)에 강제 송풍을 가하게 되는데, 송풍팬(61)에 의한 송풍은 폐열수거함(62)을 거쳐 방열관(52)으로 전달되어 가열되므로 온풍상태로 가열부(50)의 온풍유출구(53)로 배출되므로 온풍을 통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송풍부(60)의 폐열수거함(62)은 방열관(52)을 거친 열을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일단 가두게 되는데, 방열관(52)을 거친 열을 곧바로 외부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폐열수거함(62)을 통해 한번 가두어 둠으로써 폐열의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A)에서 연소부(20)의 작동 여부는 일반 온풍기와 마찬가지로 타이머의 설정을 따르거나 난방온도 설정을 따르는 것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전체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연료투입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연소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연소 폐기물 저장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연소 폐기물 수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에서 히터를 통한 연료 점화 과정을 보인 히터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투입부 11 : 이송관
12 : 나선 코일 13 : 모터
14, 14' : 제1·제2 챔버 15 : 회전판
16 : 감지센서 17 : 저장조
20 : 연소부 21, 21' : 제1·제2 연소실
22 : 연료투입구 23 : 칸막이
24 : 이송스크류 24a : 관체
24b : 통공 25 : 히터
26 : 모터 27 : 연소팬
28 : 공기유입구 29 : 공기유입조절구
30 : 연소 폐기물 저장부 31 : 이송관
32 : 나선 코일 33 : 체인
40 : 연소 폐기물 수거부 41 : 포스트
42 : 고정구 43 : 자루
50 : 가열부 51 : 덮개
52 : 방열관 53 : 온풍유출구
60 : 송풍부 61 : 송풍팬
62 : 폐열수거함 A : 온풍기
Claims (8)
- 선단이 연료 저장조 내부로 이어지는 이송관과, 이송관 내부에 위치하는 나선 코일과, 나선 코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나선 코일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 연료가 투입되는 제1·제2 챔버로 이루어지되, 제1·제2 챔버 내부에는 무게추에 의해 선단이 하부를 지향하는 회전판이 마련되어 회전판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연료 투입이 이루어지는 연료투입부와;전방의 입구에 연료투입구가 형성되고 중간 높이에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칸막이가 마련된 제1·제2 연소실과, 연소실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와, 연소투입구 후방에 설치되어 연료를 점화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되, 연소실 내부는 연료가 하부로 집중되도록 하측의 폭이 좁아지는 "V"형을 이루는 것이고, 칸막이는 점화된 연료 일부가 연소실 내에 잔존하여 상부에서 진행하는 연료가 연속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연료투입구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하부에 위치하는 연소부와;선단이 연소부 외측에 위치하는 이송관과, 이송관 내부에 위치하는 나선 코일과, 나선 코일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지되, 제1·제2 연소실의 칸막이 후방 하측에 마련되어 칸막이로부터 낙하하는 연소 폐기물을 저장하여 연소부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 폐기물 저장부와;포스트와, 포스트상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고정구로 이루어지되, 고정구에 의해 지지된 자루 내측에 연소 폐기물 저장부의 이송관으로부터 배출된 연소 폐 기물이 담겨 수거되는 연소 폐기물 수거부와;제1·제2 연소실의 상부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와, 덮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방열관과, 방열관 양측에 마련되는 온풍유출구로 이루어지되, 연소부의 연료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방열관이 가열되는 가열부와;방열관 상단과 연결되는 폐열수거함과, 폐열수거함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지되, 송풍팬에 의한 송풍은 폐열수거함을 거쳐 방열관으로 전달되어 가열 된 이후 온풍유출구로 배출되는 송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료투입부의 회전판은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감지센서가 회전판 개방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만 연료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소부의 이송스크류는 외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중앙부 관체 후방 일단이 연소팬과 연결되어 관체 내부로 강제 송풍이 가해지고 통공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연료 연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소부의 각 연소실 후방에는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입조절구가 마련되어 외부 공기 유입 및 공기 유입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소 폐기물 저장부의 나선 코일은 후방 일단이 연소부의 이송스크류 후방 일단과 체인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이송스크류의 회전과 함께 나선 코일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열부의 방열관은 각 연소실 상부에 동일한 수로 마련되되 연소실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됨으로써 연소실 전체의 열을 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연소부의 이송스크류 관체에 형성되는 통공은 점화 초기의 연소 활성화를 위하여 전방에 더 밀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연소부의 이송스크류는 히터를 통한 연료 점화과정에서 120°각도로 단계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0222A KR100871445B1 (ko) | 2007-07-12 | 2007-07-12 |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JP2008164538A JP4778988B2 (ja) | 2007-07-12 | 2008-06-24 | 温風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0222A KR100871445B1 (ko) | 2007-07-12 | 2007-07-12 |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1445B1 true KR100871445B1 (ko) | 2008-12-03 |
Family
ID=4035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0222A KR100871445B1 (ko) | 2007-07-12 | 2007-07-12 |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778988B2 (ko) |
KR (1) | KR10087144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4347B1 (ko) * | 2009-06-01 | 2009-12-29 | 유갑순 |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자동 온풍기 |
KR101126085B1 (ko) | 2009-08-17 | 2012-03-29 | 류갑순 |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
KR200459676Y1 (ko) | 2009-06-09 | 2012-04-06 | 이승규 |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
KR101257994B1 (ko) * | 2010-09-14 | 2013-04-24 | (주)귀뚜라미 | 가변 제어형 고체 연료 보일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26300B (zh) * | 2017-10-27 | 2019-04-16 | 烟台亿通达蒸汽节能设备有限公司 | 一种节能燃烧锅炉 |
CN115212948B (zh) * | 2021-09-27 | 2023-12-29 |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定尺度制备烧结燃料的工艺方法、系统及其使用方法 |
US12085216B2 (en) | 2022-02-17 | 2024-09-10 | Arctic Cat Inc. | Multi-use fuel filler tub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5902A (ko) * | 1999-02-09 | 1999-06-25 | 김종만 | 난방용보일러및온풍기 |
KR20000009951U (ko) * | 1998-11-13 | 2000-06-05 | 이경섭 | 연료절약형 온실 난방 시스템 |
KR20030015772A (ko) * | 2001-08-17 | 2003-02-25 | 김해곤 | 가스 및 액체연료 겸용 온풍기 |
KR200334038Y1 (ko) * | 2003-07-07 | 2003-11-20 | 안덕원 | 온실용 난방시스템 |
KR100680306B1 (ko) * | 2005-09-28 | 2007-02-07 | 신성복 | 고체연료용 온풍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41816A (ja) * | 1984-07-31 | 1986-02-28 | Toshiro Watanabe | 廃棄物類で作られた固形燃料の燃焼装置 |
JP2005121337A (ja) * | 2003-10-20 | 2005-05-12 | Kondo Tekko:Kk | 木質系固形燃料供給装置 |
JP2007040542A (ja) * | 2005-07-29 | 2007-02-15 | Kaneko Agricult Mach Co Ltd | 木質ペレット燃焼装置 |
-
2007
- 2007-07-12 KR KR1020070070222A patent/KR1008714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6-24 JP JP2008164538A patent/JP477898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9951U (ko) * | 1998-11-13 | 2000-06-05 | 이경섭 | 연료절약형 온실 난방 시스템 |
KR19990045902A (ko) * | 1999-02-09 | 1999-06-25 | 김종만 | 난방용보일러및온풍기 |
KR20030015772A (ko) * | 2001-08-17 | 2003-02-25 | 김해곤 | 가스 및 액체연료 겸용 온풍기 |
KR200334038Y1 (ko) * | 2003-07-07 | 2003-11-20 | 안덕원 | 온실용 난방시스템 |
KR100680306B1 (ko) * | 2005-09-28 | 2007-02-07 | 신성복 | 고체연료용 온풍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4347B1 (ko) * | 2009-06-01 | 2009-12-29 | 유갑순 |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자동 온풍기 |
KR200459676Y1 (ko) | 2009-06-09 | 2012-04-06 | 이승규 |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
KR101126085B1 (ko) | 2009-08-17 | 2012-03-29 | 류갑순 |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
KR101257994B1 (ko) * | 2010-09-14 | 2013-04-24 | (주)귀뚜라미 | 가변 제어형 고체 연료 보일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778988B2 (ja) | 2011-09-21 |
JP2009019867A (ja) | 2009-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1445B1 (ko) |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 |
KR100873034B1 (ko) | 고체 연료형 보일러 | |
JP2009019867A5 (ko) | ||
JP2010101599A (ja) | ハイブリッド温風装置 | |
KR100898175B1 (ko) | 소각 보일러 | |
US20130276721A1 (en) | Boiler | |
KR101529432B1 (ko) | 연기의 역류가 방지되는 펠릿공급장치를 구비한 펠릿난로 | |
KR101243851B1 (ko) |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고체연료용 보일러 | |
CN110160061B (zh) | 节能环保生态系统 | |
KR101892127B1 (ko) | 보일러용 연소로 | |
KR100917098B1 (ko) | 고체연료 보일러용 연소장치 | |
KR100825822B1 (ko) | 고체연료용 난방기의 화격자 | |
KR101148696B1 (ko) | 펠렛 보일러 | |
KR200352799Y1 (ko) | 고체연료용 온풍기 | |
KR100555591B1 (ko) | 자동 석탄 열풍기 | |
CN202281216U (zh) | 有机燃料锅炉 | |
CN202040972U (zh) | 使用生物质颗粒燃料的热水锅炉 | |
KR100873035B1 (ko) | 고체 연료형 보일러 | |
KR20120098171A (ko) | 친환경 에너지 절감형 연소장치 | |
KR20070008989A (ko) | 왕겨를 주연료로 하는 보일러 | |
KR20050080752A (ko) | 고체연료용 온풍기 | |
CN205382132U (zh) | 一种气化炉 | |
KR101207368B1 (ko) | 펠릿 보일러용 연소장치 | |
KR100842369B1 (ko) | 연소 폐기물 자동 수거 보일러 | |
KR101272062B1 (ko) | 펠릿 온풍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