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76Y1 -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 Google Patents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76Y1
KR200459676Y1 KR2020090007408U KR20090007408U KR200459676Y1 KR 200459676 Y1 KR200459676 Y1 KR 200459676Y1 KR 2020090007408 U KR2020090007408 U KR 2020090007408U KR 20090007408 U KR20090007408 U KR 20090007408U KR 200459676 Y1 KR200459676 Y1 KR 200459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blocking plate
stove
case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517U (ko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2020090007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76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F23B1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including separat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24B1/1952Multiple fire-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이 나란히 마련되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에 있어서,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 사이에 차단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차단플레이트와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예기치 못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를 제공한다.
다중, 연소실, 난로, 격벽, 케이스, 차단플레이트, 공간부, 화재

Description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STOVE WITH MULTIPLE COMBUSTION CHAMBER}
본 고안은 난로의 격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에 있어서, 연소실간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동절기가 되면 난방장치의 사용이 급증하는데, 주택이나 음식점, 사무실, 공장 등에서는 실내공간의 난방을 위해 난방장치를 사용하고, 농촌에서는 농작물 재배 또는 가축 사육을 위한 시설에 난방장치를 마련하게 되며, 주로 전기, 가스, 연탄, 기름 등이 연료로 사용된다.
한편, 장작이나 볏집, 말린 농작물 등의 고체연료를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경우, 연료비가 부담되거나 사용중이던 기름 등의 연료를 모두 소모한 때에는 이러한 고체연료를 사용하여 난방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연료를 사용하여 난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난방장치를 별도로 모두 구입,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만약, 하나의 난방장치 내에서 각각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소실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최근 제품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펠렛난로의 경우, 간벌된 나무 등의 껍질이나 톱밥 등의 폐기물을 분쇄?압축하고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목재 펠렛(pellet)을 원료로 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 추세가 급증하고 있는데, 하나의 난방장치 내에 펠렛을 연소시키는 펠렛연소실과 장작을 연소시키는 장작연소실을 각각 별도로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난방장치의 크기와 폭 등 규격은 한정되어 있고, 펠렛 또는 장작을 연소시킴으로써 충분한 난방열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소실을 최대한 넓게 형성시켜야 하므로, 펠렛연소실과 장작연소실은 서로 인접하여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펠렛연소실과 장작연소실 사이에는 복사 또는 접촉에 의해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고, 둘 중 하나의 연소실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하지 않는 연소실에 저장된 연료가 발화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상존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주변에 볏짚이나 장작, 기름 등 인화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이 나란히 마련되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에 있어서,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 사이에 차단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차단플레이트와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예기치 못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이 나란히 마련되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에 있어서,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 사이에 차단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차단플레이트와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가 제공된다.
여기서, 차단플레이트의 양측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내화벽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일면에는 차단플레이트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차단플레이트의 상측면과 대향하여, 케이스 프레임의 상측면에는 절개홀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과 절개홀을 통해 케이 스 프레임 내부의 공간부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고, 그 사이에 차단플레이트 또는 차단플레이트와 내화벽이 설치되므로, 연소실 간의 열전달에 의해 예기치 못하게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소실 간에 발생되는 복사열을 공냉시켜, 화재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연소실에서 장작이 연료로 사용되고, 제2연소실에서 펠렛이 연료로 사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다른 종류의 연료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 구조가 적용된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20)과,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연소실(21) 및, 제2연소실(22)을 포함하는데, 제1연소실(21)과 제2연소실(22) 사이에는 스틸 재질의 차단플레이트(3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케이스 프레임(20)의 전면에는 각각 제1연소실(21)과 제2연소실(2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23)가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1연소실(21)에서는 장작을, 그리고 제2연소실(22)에서는 펠렛을 연소시킴으로써 실내에 난방열을 공급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부분절개도로서, 케이스 프레임(20)의 상측면 일부와 전면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된 차단플레이트(30)와 내화벽(30)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연소실(21)과 제2연소실(22) 사이에는 차단플레이트(30)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차단플레이트(30)의 양측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내화재질의 내화벽(40)이 설치되는데, 따라서 차단플레이트(30)와 내화벽(40) 사이에는 공간부(35)가 형성된다.
여기서, 내화벽(40)은 제1연소실(21)과 제2연소실(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밀착하여 설치되고, 케이스 프레임(20)의 전면과 후면에는 차단플레이트(30)의 전면 모서리에 대향하여 다수개의 원형 관통공(50)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케이스 프레임(20)의 상측면에도 역시, 차단플레이트(30)의 상측면 모서리에 대향하여 다수개의 장방형 절개홀(60)이 차단플레이트(3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에 적용된 격벽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차단플레이트(30)의 전면은 관통공(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차단플레이트(30)의 상측면은 절개홀(6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전술한 관통공(50)과 절개홀(60)은 차단플레이트(30)와 내화벽(40) 사이의 공간부(35)와 연통되며, 따라서 이 관통공(50)과 절개홀(60)을 통해 케이스 프레임(20) 외부의 공기가 출입 가능하다.
도 4는 관통공과 절개홀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 3의 측단면 개략도로서, 제1연소실(21) 또는 제2연소실(22)에서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복사열에 의해 차단플레이트(30)와 내화벽(40) 사이 공간부(35)의 공기가 뜨거워지면, 케이스 프레임(20) 상측면의 절개홀(60)을 통해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때 케이스 프레임(20) 전면과 후면의 관통공(50)을 통해 외부의 찬 공기가 공간부(35)로 유입되면서 다시 공간부(35)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연소실(21)과 제2연소실(22) 간에 이루어지는 열전달은 각각의 연소실(21,22) 일측에 설치되는 내화벽(4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다시 차단플레이트(30)와 내화벽(40) 사이의 공간부(35)에서 복사열에 대한 공냉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연소실(21)과 제2연소실(22) 간의 열전달에 의해 예기치 못하게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화벽(40)을 설치하지 않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 구조가 적용된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절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에 적용된 격벽 구조의 개략도.
도 4는 관통공과 절개홀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 3의 측단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난로
20 : 케이스 프레임
21 : 제1연소실
22 : 제2연소실
23 : 개폐도어
30 : 차단플레이트
35 : 공간부
40 : 내화벽
50 : 관통공
60 : 절개홀

Claims (4)

  1.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차단플레이트;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양측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설치되는 내화재질의 내화벽;
    상기 차단플레이트와 내화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일면에는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상측면과 대향하여,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상측면에 절개홀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홀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KR2020090007408U 2009-06-09 2009-06-09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KR200459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408U KR200459676Y1 (ko) 2009-06-09 2009-06-09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408U KR200459676Y1 (ko) 2009-06-09 2009-06-09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17U KR20100012517U (ko) 2010-12-17
KR200459676Y1 true KR200459676Y1 (ko) 2012-04-06

Family

ID=4448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408U KR200459676Y1 (ko) 2009-06-09 2009-06-09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7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3702A (ko) * 1998-05-18 2001-05-25 호르스트 크벨, 브루노 부쎄 증기 발생부가 있는 유동층 연소 시스템
KR200347487Y1 (ko) * 2004-01-16 2004-04-13 신건수 보일러
KR100871445B1 (ko) 2007-07-12 2008-12-03 황미선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KR20090016845A (ko) * 2007-08-13 2009-02-18 강영석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3702A (ko) * 1998-05-18 2001-05-25 호르스트 크벨, 브루노 부쎄 증기 발생부가 있는 유동층 연소 시스템
KR200347487Y1 (ko) * 2004-01-16 2004-04-13 신건수 보일러
KR100871445B1 (ko) 2007-07-12 2008-12-03 황미선 이종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온풍기
KR20090016845A (ko) * 2007-08-13 2009-02-18 강영석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17U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4303B1 (en) Pellet boiler with high energy recovery
US4520791A (en) Jacketed wood stove
US95682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ting water using biofuel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EP1060352B1 (de) Heizofen mit gas- und/oder ölfeuerung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101688583B1 (ko) 난로
CA1109349A (en) Heat circulating fireplace
KR200459676Y1 (ko)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US4287877A (en) Solar and central fireplace heating system
KR200384941Y1 (ko) 노출형 벽난로
KR101727692B1 (ko) 펠릿 난로
US4141335A (en) Dual mode furnace
US4422436A (en) Jacketed wood stove
KR200349810Y1 (ko) 벽난로
KR101390042B1 (ko) 에너지 효율이 높은 난로
EP2886953B1 (en) Wood stove with a supply duct for logs
KR19990034427U (ko) 장작보일러
KR101480766B1 (ko) 이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KR20150027887A (ko) 역화방지와 난방 안전성을 갖는 펠릿난로
JP3119032U (ja) ペレットストーブ
KR102080993B1 (ko)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RU2425294C1 (ru) Термогазохим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US10488050B2 (en) Wood stove insert
KR200249584Y1 (ko) 다중 연소식 벽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