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845A -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845A
KR20090016845A KR1020070081123A KR20070081123A KR20090016845A KR 20090016845 A KR20090016845 A KR 20090016845A KR 1020070081123 A KR1020070081123 A KR 1020070081123A KR 20070081123 A KR20070081123 A KR 20070081123A KR 20090016845 A KR20090016845 A KR 20090016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air
exhaust
wal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석
Original Assignee
강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석 filed Critical 강영석
Priority to KR102007008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845A/ko
Publication of KR2009001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7Carbonized vegetable substances, e.g. charcoal, or produced by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bio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벽 또는 전면벽에 설치된 개폐문 중 어느 하나에 에어흡기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목재를 연소시키는 연소실이 마련되고, 연소실의 전, 후면벽 및 좌, 우측벽과 지붕이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가 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후면벽 내측에 배기실이 형성되도록 후면벽에서 연소실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연경계벽과; 상기 제연경계벽으로부터 연소실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연경계벽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물탱크에 수용된 난방수가 수용되게 하는 제연유도벽과; 상기 연소실로부터 제연경계벽의 하부와 제연유도벽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배기실로 연통되게 하는 연통부와; 상기 배기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통부를 통해 배기실로 배기되는 연소실 내부의 배기가스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에어배기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목 보일러를 이용하여 난방과 온수를 사용하여 난방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연소되는 목재를 이용하여 양질의 숯이 제조되게 함으로써 농가 등에 난방과 숯 제조라는 병행수입이 보장되게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firewood boiler}
본 발명은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목 보일러를 이용하여 난방과 온수를 사용하여 난방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연소되는 목재를 이용하여 양질의 숯이 제조되게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어촌의 주택 난방은 설치가 간편하고 보일러의 관리와 사용이 편리한 기름보일러나 또는 가스보일러가 대부분으로 기름보일러 및 가스보일러는 실내에 부착된 자동 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에 따라 버너가 자동으로 점화되어 실내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기름 또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기름보일러 및 가스보일러는 설정온도에 따라 버너가 자동으로 점화되어 실내온도를 유지시켜 주므로 사용이 편리하나, 난방비의 부담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으로 최근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있는 추세에서 농어촌의 서민들에게 큰 걱정거리로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농어촌이나 도심 변두리의 일부 주택에서 겨울철 난방비를 절감하고자 나무나 또는 폐목재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화목 보일러를 설치하 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화목 보일러는 농어촌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와 폐목재 등을 연료로 사용하므로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 및 전기보일러에 비하여 연료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설비 및 유지관리비 또한 저렴하여 최근 보급율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종래 나무나 또는 폐목재 등의 인화성 물질을 주연료로 사용하는 화목 보일러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난방수가 가열되도록 난방수가 수용되는 이중벽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화격자가 놓이고 소정크기의 공간에 나무나 폐목재 등의 연료가 투입되어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재와 이물질을 배출하는 소제구와,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연과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연통과, 상기 본체로 난방수와 온수가 유입 및 토출되는 난방수 입출구 및 온수 입출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화목 보일러는 기름보일러나 또는 가스보일러와 달리 연소실에서 연소과정이 진행되는 상태에 따라 나무나 폐목재 등의 연료를 지속적으로 투입해야 불씨가 꺼지지 않으므로 보일러의 관리와 사용이 어려운 한편 난방수의 열에너지를 장시간 보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실상 흡열효과가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화목 보일러는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와 같이 연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없으므로 연소과정이 진행되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나무나 폐목재를 연소실에 투입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뒤따르고,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를 효과적으로 흡열하지 못하여 열기가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최근 목재를 불에 태워 얻어지는 숯은, 살균효과, 제습효과, 악취제거 등에 그 효능이 입증되어 목욕탕, 가정, 자동차 내부, 음식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목 보일러의 경우 목재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에만 그 용도가 한정되어 있으며, 이는 숯을 제조하기 위한 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그 용도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목 보일러가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보일러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농가의 소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숯 제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농가의 수익은 극대화될수 있으며 나아가서 제조되는 숯을 이용한 연료대체 효과도 얻을 수 있으므로 숯 제조기를 병행할 수 있는 화목 보일러의 보급이 절실한 상태이다.
상기한 필요와 요구에 의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화목 보일러를 이용하여 목재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농가 또는 소망하는 장소에서 필요로 하는 온수를 공급하거나 열풍을 제공함과 동시에 연소되는 목재가 다양한 형태의 숯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전면벽 또는 전면벽에 설치된 개폐문 중 어느 하나에 에어흡기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목재를 연소시키는 연소실이 마련되고, 연소실의 전, 후면벽 및 좌, 우측벽과 지붕이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가 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후면벽 내측에 배기실이 형성되도록 후면벽에서 연소실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연경계벽과; 상기 제연경계벽으로부터 연소실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연경계벽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물탱크에 수용된 난방수가 수용되게 하는 제연유도벽과; 상기 연소실로부터 제연경계벽의 하부와 제연유도벽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배기실로 연통되게 하는 연통부와; 상기 배기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통부를 통해 배기실로 배기되는 연소실 내부의 배기가스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에어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흡기구와 에어배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에어배기구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된 공기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벽의 상부에 설치된 에어공급부와; 상기 후면벽의 상부에 설치된 에어배출부와; 상기 에어공급부와 에어배출부에 연결되도록 물탱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 개의 원통형 가열관과; 상기 에어공급부와 에어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가열관에서 가열된 열풍이 에어배출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으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내측에 목재를 연소시키는 연소실이 분할벽에 의해 분할되어 다수 개 마련되고, 연소실의 전, 후면벽 및 좌, 우측벽과 지붕이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가 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벽에 각 연소실에 대응되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에어흡기구가 설치된 개폐문과; 상기 각 연소실의 후면벽 내측에 연소실에 대응하는 배기실이 형성되도록 후면벽에서 연소실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연경계벽과; 상기 제연경계벽으로부터 연소실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연경계벽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물탱크에 수용된 난방수가 수용되게 하는 제연유도벽과; 상기 연소실로부터 제연경계벽의 하부와 제연유도벽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배기실로 연통되게 하는 연통부와; 상기 배기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통부를 통해 배기실로 배기되는 연소실 내부의 배기가스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에어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흡기구와 에어배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에어배기구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된 공기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연소실의 전면벽 상부에 설치된 에어공급부와; 상기 각 연소실의 후면벽 상부에 설치된 에어배출부와; 상기 에어공급부와 에어배출부에 연결되도록 물탱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 개의 원통형 가열관과; 상기 에어공급부와 에어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가열관에서 가열된 열풍이 에어배출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으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농업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화목 보일러를 이용하여 난방 및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목재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숯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숯의 재판매에 의한 병행수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소득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다수 개의 연소실을 동시 및 개별적 또는 순차적으로 운용하여 난방과 온수가 끊이지 않게 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숯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숯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연소실로 공급되는 또는 배기실에서 배기되는 연소실 내부의 배기가스를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숯이 제조되게 함으로써 숯 시장의 환경변화에 대응 할 수 있게 하여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101)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101)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C - C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하나의 연소실(102)이 구비된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101)로서, 본체(103)에는 목재를 연소시키는 연소실(102)이 소정크기로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103)의 전면벽(103a)에는 연소실(102)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1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벽(103a)과 개폐문(1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연소실(102)로 에어(산소)를 공급하는 에어흡기구(105)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101)의 구조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로서, 상기 연소실(102)의 전, 후면벽(103a)(103b) 및 좌, 우측벽(103d)(좌측벽은 도시되지 않음)과 지붕(103e)으로 구성되는 본체(103)는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물탱크(106)를 형성시킴으로써, 그 내측에 물이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후면벽(103b)에서 연소실(102) 내측에는 일정크기의 배기 실(107)이 형성되도록 후면벽(103b)에서 연소실(102)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연경계벽(108)을 형성하는 바, 상기 제연경계벽(108)은 좌, 우측벽(103d)(103c)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연경계벽(108)으로부터 연소실(102)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도 제연경계벽(108)과 같이 좌, 우측벽(103d)(103c)과 일체로 결합되되, 연소실(102)을 경계 또는 구획하는 제연유도벽(109)을 설치하여 제연경계벽(108)과 제연유도벽(109)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물탱크(106)의 물이 일부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의 하부에는 연소실(102)로부터 배기실(107)까지 연소실(102)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연통될 수 있도록 연통부(110)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106)의 물이 연소실(10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연통부(110)를 통해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통해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기실(107)의 상부에는 에어배기구(111)를 설치하여 연통부(110)를 통해 배기실(107)로 유입된 연소실(102) 내부의 배기가스를 본체(103)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흡기구(105)와 에어배기구(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조절기(116)(가상선으로 도시됨)를 설치하여 연소실(102)로 공급되는 공기량(산소의 양)을 조절하거나 에어배기구(111)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목재가 연소되게 하는 방법을 조절함으로써, 숯을 종류별로 선택생산되게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벽(103a)의 상부에는 에어공급부(112)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되는 동일선상의 후면벽(103b) 상부에는 에어배출부(113)를 설치하여 이 에어공급부(112)와 에어배출부(113)에 다수 개의 원통형 가열관(114)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106)의 가열된 온수에 의하여 가열과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게 한다.(도 1에 도시된 가열관(114)은 본 발명의 구성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내측 일부를 생략도시한 것임)
아울러, 상기 에어공급부(112)와 에어배출부(113) 중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송풍팬(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함으로써, 가열된 가열관(114) 내부의 열풍이 에어배출부(113)를 통해 토출되게 함으로써, 화목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이 온수와 열풍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소실(102)이 동시, 개별적 또는 순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실시예에 의하여 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구성은 본체(103)의 내측에 형성되는 연소실(102)이 분할벽(115)에 의하여 다수 개로 분할구획되어지며, 상기 연소실(102)과 대응하도록 배기실(107)이 각각 마련되고, 각 연소실(102)과 대응하는 배기실(107)사이에는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이 연소실(102)과 배기실(107)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본체(103)에 구성된 물탱크(106)의 공간에 일부로서 포함된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사이에 연통부(110)가 연결설치되어 물탱크(106)의 물이 연소실(10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실(102)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가 연통부(110)를 통해 각각 대응되는 배기실(107)로 배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연통부(110)와 제연유도벽(109) 및 제연경계벽(108)에 의하여 물탱크(106)의 물이 가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제2실시예에서의 연소실(10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벽(115)에 의하여 다수 개로 구획분할되며, 다수 개의 연소실(102)에는 각각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이 이격형성되며, 모든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은 본체(103)의 물탱크(106)를 구성하는 지붕(103e)과는 이격되고, 좌, 우측벽(103d)(103c) 및 바닥면에는 일체로 구성되고,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110)가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소실(10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그 연소실(102)에 대응되게 본체(103)의 후미에 형성되는 배기실(107)로 안내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가 하나의 연소실(102)로 구성되어진 것에 더하여 연소실(102)을 다수 개로 구획분할함에 다라 제연유도벽(109), 연통부(110), 제연경계벽(108), 배기실(107)이 각각의 연소실(102)에 대응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3)의 전면벽(103a)에 설치 되는 개폐문(104)에는 각 연소실(102)에 대응되도록 에어흡기구(105)가 설치되고, 각각의 배기실(107)의 상부에는 연통부(110)를 통해 배기실(107)로 유도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에어배기구(111)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에어흡기구(105)와 에어배기구(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기조절기(116)를 설치하여 연소실(102)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에어배기구(111)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각 연소실(102)의 전면벽(103a) 상부에는 에어공급부(112)를 설치하고, 각 연소실(102)의 후면벽(103b) 상부에는 에어배출부(113)를 설치하여 각각의 에어공급부(112)와 에어배출부(113)에 연결되는 원통형 가열관(114)이 물탱크(106)의 내측을 관통하게 하여 가열된 물에 의하여 가열관(114)의 내측 공기가 가열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부(112)와 에어배출부(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송풍팬을 설치함으로써, 가열관(114)에서 가열된 열풍이 에어배출부(113)에 연결된 배기관으로 토출되게 하여 난방을 이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연소실(102)에 배치되는 화격자에 목재를 적층하거나, 목재를 적층한 화격자를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연소실(102) 내부에 놓고, 연료를 살포한 후, 개폐문(104)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에어흡입구로 에어가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목재가 연소되게 하면, 연소실(102)에서 목재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이중구조로 된 본체(103)의 지붕(103e), 전, 후면벽(103a)(103b), 좌, 우측벽(103d)(103c)의 물과 열교환됨과 동시에 연소 실(102)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연기 등)은 연통부(110)를 통해 배기실(107)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연통부(11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는 연통부(110) 상부, 즉, 제연유도벽(109)과 제연경계벽(108)사이 및 제연경계벽(108)과 배기실(107)사이에 형성된 물탱크(106)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다시 한번 가열함으로써, 물탱크(106)의 물이 빠른시간 내에 가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연통부(110)를 통해 배기실(107)로 유도된 배기가스는 에어배기구(111)에서 배출되는 바, 이때, 상기 에어흡입구와 에어배기구(111)에 형성된 공기조절기가 연소실(102)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여 연소실(102)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연소되는 목재로 공기의 공급을 중단시켜, 숯을 제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반인들은 숯이라고 하면 모두 같은 숯이라고 생각지만 제조과정과 효과가 종류에 따라 틀리므로 제조과정에서 그 용도에 맞게 숯을 제조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공기조절기에 의해서 일부 가능해질 수 있다.
즉, 숯은 크게 검탄과 백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검탄은 연소실(102)에 나무를 넣고 400∼700 ℃로 온도를 올린 다음 공기조절기를 이용하여 연소실(102)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연소실(102) 내에서 자연적으로 꺼지게 만들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검탄은 탄질이 부드럽고 불이 잘 붙으며 타다가 꺼지는 일이 적고 지속시간은 비교적 짧으나 많은 열을 내기 때문에 요리보다 제련이나 대장간 등에서 많 이 사용된다.
그리고, 백탄은 기본적인 생산 방법은 검탄과 같지만 연소실(102) 내부에서 목재에 1000 ℃이상으로 열이 가하여질 수 있도록 공기조절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충분히 공급한 후, 1000 ℃이상에서 활활 타오르던 나무를 재빨리 연소실(102)에서 꺼내어 축축한 재와 흙으로 덮어 식혀 만들며 이렇게 불을 끈 후 재가 목재의 겉에 묻어있어 하얗게 보이게 되는데 이 때문에 백탄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활성탄은 탄화된 숯의 가장 큰 특성인 흡착력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검탄을 600℃에서 900℃의 수증기를 가하여 숯을 화학적, 물리적으로 열처리하여 재가공한 제품이다.
숯은 탄화과정에서 작은 구멍들이 생기게 되며, 숯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작은 구멍들이 많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시 섭씨 600℃~900℃의 온도에서 같은 공정을 한 번 더 거치게 하는데, 이 과정을 활성화라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에어흡기구(105) 또는 에어배기구(111)에 설치되는 공기조절기를 이용하여 연소실(102)로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고, 이로써, 연소실(102)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공기의 량을 제어하여 연소되는 목재를 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2실시예에서는 각 연소실(102)을 동시에 운용하거나 개별적 또는 순차적으로 운용하여 숯이 제조되게 함으로써, 난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일정시간 마다 숯이 제조되게 할 수 있게 되어 연소실(102)의 교번적, 순차적 사용에 의하여 효과적인 숯 생산을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 - 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102 : 연소실
103 : 본체 104 : 개폐문
105 : 에어흡기구 106 : 물탱크
107 : 배기실 108 : 제연경계벽
109 : 제연유도벽 110 : 연통부
111 : 에어배기구 112 : 에어공급부
113 : 에어배출부 114 : 가열관
115 : 분할벽

Claims (6)

  1. 전면벽 또는 전면벽에 설치된 개폐문 중 어느 하나에 에어흡기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목재를 연소시키는 연소실이 마련되고, 연소실의 전, 후면벽 및 좌, 우측벽과 지붕이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가 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후면벽 내측에 배기실이 형성되도록 후면벽에서 연소실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연경계벽과;
    상기 제연경계벽으로부터 연소실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연경계벽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물탱크에 수용된 난방수가 수용되게 하는 제연유도벽과;
    상기 연소실로부터 제연경계벽의 하부와 제연유도벽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배기실로 연통되게 하는 연통부와;
    상기 배기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통부를 통해 배기실로 배기되는 연소실 내부의 배기가스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에어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흡기구와 에어배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에어배기구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된 공기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벽의 상부에 설치된 에어공급부와;
    상기 후면벽의 상부에 설치된 에어배출부와;
    상기 에어공급부와 에어배출부에 연결되도록 물탱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 개의 원통형 가열관과;
    상기 에어공급부와 에어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가열관에서 가열된 열풍이 에어배출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으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4. 내측에 목재를 연소시키는 연소실이 분할벽에 의해 분할되어 다수 개 마련되고, 연소실의 전, 후면벽 및 좌, 우측벽과 지붕이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가 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벽에 각 연소실에 대응되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에어흡기구가 설치된 개폐문과;
    상기 각 연소실의 후면벽 내측에 연소실에 대응하는 배기실이 형성되도록 후면벽에서 연소실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연경계벽과;
    상기 제연경계벽으로부터 연소실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 및 좌, 우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연경계벽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물탱크에 수용된 난방수가 수용되게 하는 제연유도벽과;
    상기 연소실로부터 제연경계벽의 하부와 제연유도벽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배기실로 연통되게 하는 연통부와;
    상기 배기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통부를 통해 배기실로 배기되는 연소실 내부의 배기가스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에어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흡기구와 에어배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에어배기구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된 공기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소실의 전면벽 상부에 설치된 에어공급부와;
    상기 각 연소실의 후면벽 상부에 설치된 에어배출부와;
    상기 에어공급부와 에어배출부에 연결되도록 물탱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 개의 원통형 가열관과;
    상기 에어공급부와 에어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가열관에서 가열된 열풍이 에어배출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으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KR1020070081123A 2007-08-13 2007-08-13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KR20090016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123A KR20090016845A (ko) 2007-08-13 2007-08-13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123A KR20090016845A (ko) 2007-08-13 2007-08-13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845A true KR20090016845A (ko) 2009-02-18

Family

ID=4068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123A KR20090016845A (ko) 2007-08-13 2007-08-13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68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76Y1 (ko) * 2009-06-09 2012-04-06 이승규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KR101315150B1 (ko) * 2012-09-04 2013-10-1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열풍 및 알칼리수의 회수가 가능한 숯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76Y1 (ko) * 2009-06-09 2012-04-06 이승규 다중 연소실을 가진 난로
KR101315150B1 (ko) * 2012-09-04 2013-10-1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열풍 및 알칼리수의 회수가 가능한 숯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101391400B1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RU2319077C1 (ru) Печь
WO2011136629A2 (en) Solid fuel fired boiler with a gas burner for household use and gas combustion method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20090016845A (ko)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KR19990007892U (ko) 목재용 온수 보일러
EP3096084B1 (en) Fireplace boiler
KR100787863B1 (ko) 벽난로
CN204705033U (zh) 间接换热式热风炉
KR101709583B1 (ko) 다목적 화목 난로
KR101469802B1 (ko) 이동식주택용 난방장치
KR101438363B1 (ko) 열효율이 우수한 난방 시스템
KR101147290B1 (ko) 열효율이 우수한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 시스템
RU85609U1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US20140251299A1 (en) Oven having an enclosed heat exchange zone
KR101535983B1 (ko) 화목온풍기
KR101958087B1 (ko) 수평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200398170Y1 (ko) 목재 및 전기겸용 온수보일러
KR200393657Y1 (ko) 열통기실이 구성된 나무 보일러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CN202719638U (zh) 直接燃烧柴草的多功能高效民用空调器
KR19990034427U (ko) 장작보일러
KR200492272Y1 (ko) 화목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