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901B1 - 곡물 건조용 집진기 - Google Patents

곡물 건조용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901B1
KR100870901B1 KR1020080012854A KR20080012854A KR100870901B1 KR 100870901 B1 KR100870901 B1 KR 100870901B1 KR 1020080012854 A KR1020080012854 A KR 1020080012854A KR 20080012854 A KR20080012854 A KR 20080012854A KR 100870901 B1 KR100870901 B1 KR 10087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rain
dust collector
dust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정밀(주)
김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밀(주), 김두현 filed Critical 한국정밀(주)
Priority to KR102008001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01D46/6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기와 연결되어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직접 유입되도록 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출구와, 중량감이 있는 이물질 배출되도록 밑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원통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몸체 내측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확산판과, 소정의 각을 이루어 기울어진 다수의 팬이 확산판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구성되는 팬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곡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해야 하는 공간에서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이며 추가적인 노동력이 소모되지 않는 방안을 개시한다.
곡물건조, 건식 집진기, 습식 집진기, 팬프레임

Description

곡물 건조용 집진기{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본 발명은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기와 연결되어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직접 유입되도록 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출구와, 중량감이 있는 이물질 배출되도록 밑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원통의 배기관과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몸체 내측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확산판과, 소정의 각을 이루어 기울어진 다수의 팬이 확산판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구성되는 팬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구성된 공기유출구의 후면에 연결되어,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의해 1차적으로 오염물질이 분리된 정화공기를 유입하여 물을 이용해 2차적으로 정화하기 위한 습식 집진기가 더 포함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 지 보관 및 운송을 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수분함량이 있어 쉽게 변질되므로 건조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곡물건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곡물건조기는 벼나 보리 등의 곡물에 건조 열풍을 강제로 공급하여 벼나 보리가 일정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켜 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건조기에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불순물이 생산물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로 불순물을 분리하였으나, 이는 불순물을 분리만 할 뿐 모아주는 장치가 없어 작업환경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때, 분진 및 오염물질이 필터링 되지 않고 그대로 공기중에 방사되기 때문에 이웃간에 피해를 주며 이에 농가 분쟁 및 사용자 호흡기 장애와 농촌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곡물건조기에 직접 연결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집진기가 필요하였으나, 종래에는 곡물건조기와 별도로 설치되어 곡물건조기가 배출하여 외부에 흩뿌려지도록 방사된 오염공기를 무분별하게 흡입하여 공기를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는 사이크론식 집진기나, 필터를 통과시켜 필터에 의하여 먼지 등이 걸러지게 하는 필터식 집진기 또는 전기나 자석의 극성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자석식 집진기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집진기는 먼지와 분진이 많이 발생되는 곳에서는 그 집진량의 한계로 인하여 지속적인 집진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기존의 건식 집진기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직선상에 위치하여, 유입된 오염공기가 최단거리인 직진으 로 진행하게 되어 와류에 의한 영향을 짧은 시간동안 받게 되어 효율적인 집진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크고 중량감 있는 이물질의 분리는 가능하나 미세먼지는 효과적으로 필터링하지 못하고, 또한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가 집진기 내부로 전량이 모두 투입되지 않아 정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곡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해야 하는 공간에서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이며 추가적인 노동력이 소모되지 않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건조시 또는 정미시에 발생하는 먼지와 분진과 같은 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지속적으로 집진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기존에 오염공기의 와류현상이 수평적으로 발생하던 것을 원뿔형태의 확산판을 이용하여 오염공기가 몸체 내부에 골고루 확산되어 와류현상의 경로가 기존보다 길어져 효율적인 집진이 가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크고 중량감 있는 이물질은 건식 집진장치에서 와류현상으로 분리되지만, 효과적인 필터링이 되지 못한 미세먼지를 포함한 1차 정화공기를 습식 집진장치를 통해 2차적으로 정화하여 대기중으로 방사하기 때문에 대기오염을 줄이고, 정화 효과를 극대화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계속적으로 오염공기의 효과적인 집진이 이루어져야 하는 공간에서의 비용절감을 위하고, 이물질과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오염공기가 대기중에 방사되지 않도록 반영구적이며 추가적인 노동력이 소모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물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분리하도록 곡물 건조기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되는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 건조기와 연결되어, 곡물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직접 유입되도록 전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후면에 공기유출구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 중에 있는 중량감이 있는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밑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의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의 공기 유입구 내측에 위치하여 곡물 건조기로부터 들어온 공기를 몸체 내부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방사할 수 있도록 꼭지점의 내면각이 30~60°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 원뿔형태의 확산판의 외주면에, 상기 확산판의 빗면과 5~45°의 각도로 비틀리고 확산판 둘레의 접선과 90° 이내의 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다수의 팬이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팬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유출구는 몸체 내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유출관이 몸체 내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유출구의 후면에 연통되어 연결되되, 케이스 내에 갤러리판과, 상기 갤러리판을 통과한 공기를 상부에서 낙수되는 물에 의해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필터망과, 상기 필터망에 의해 걸러진 미세먼지를 집수하는 집수조가 형성되고, 케이스 후면에는 필터망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습식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공기의 유입되는 곳과 정화된 공기가 유출되는 곳이 최단거리인 직진으로만 진행하던 종래의 다른 제품과는 다르게, 원뿔형태의 확산판을 이용해 오염공기가 원뿔의 빗면을 따라 사선으로 갈라지게 구성하여, 오염공기가 집입경로가 사선이되게 유입되어 선회현상이 발생하는 시간과 공간이 길어지게 되어 이물질의 분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집진효과가 극대 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의 진입경로가 직진이던 기존 제품에서 발생하던 팬프레임 후면 중앙에 오염공기 선회류가 정체되어, 충분한 선회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물질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오염공기가 대기로 빠져나오게 되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고 중량감 있는 이물질은 분리되지만, 미세먼지의 효과적인 분리는 이뤄지지 않는 건식 집진장치에 습식 집진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오염공기를 2차적으로 정화하여 대기중으로 방사하기 때문에 집진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먼지와 분진이 많이 발생되는 곳에서는 그 집진량의 한계로 인하여 지속적인 집진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염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축적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을 수거하는 개폐구에 다리를 설치하여, 집진기를 사용하는 공간에서 추가적인 노동력이 소모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고, 집진이 필요한 어느 장소에나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과 사후관리가 간편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용 집진기의 몸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유입하여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분리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몸체(110)의 전체적인 모습이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서처럼 몸체(110)는 원통의 관으로서 전면부에 곡물건조기와 연결되어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공기유입구(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면부에는 몸체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와류현상을 통해 오염물질은 하측부로 분리하고 정화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공기유출구(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120)는 곡물건조기와 덕트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연결방법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의 직경이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형태의 관으로 구성되어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공기유입구(120)의 내측에는 원뿔형태의 확산판(131)에 다수의 팬(132)이 부착된 형상의 팬프레임(13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팬프레임의 원뿔구조로 인해,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공기(121)가 몸체 내부로 넓게 방사되어 골고루 확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원뿔모양의 팬프레임의 구조로 인해 유입된 오염공기는 수평방향으로 진행하지 않고 사선방향으로 진행하게 되어, 오염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까지의 진행 경로가 보다 길어지게 된다.
즉, 고속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가 팬프레임에 의해 선회류가 형성되어 와류형태로 선회하게 되는데, 이때 오염공기 내 이물질은 원심력을 얻어 선회류를 벗어나 몸체 내벽이나 내부 구조물 등에 충돌하여 바닥으로 낙하하여 집진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공기의 선회운동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내벽체에 충돌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유속이 떨어지게 되어 이물질과 공기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어 있어 있는 몸체 내에서 선회운동의 경로를 보다 길게 하기 위해 원뿔형태의 팬프레임(130)을 오염공기(121)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20)의 내측에 위치하게 하여 몸체 내에서 사선의 진행경로를 가지게 하였다.
또한, 몸체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출구(150)를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하여 내부측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유출관(140)이 연결되어 있어, 몸체 내부에 구조물이 형성되어 공기가 충돌할 수 있는 내벽체를 형성하게 되고, 공기가 공기유출구로 분출되기 위해서는 유출관의 기울어진 경사를 타고 진로가 바꾸어 흘러야하기 때문에 그만큼 오염공기의 진행경로가 길어지게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내부에 그려진 화살표는 확산판에 의해 오염공기의 진행경로가 사선 형태를 띠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이러한 표시는 오염공기의 진행경로를 표시한 것일 뿐이고 실질적으로는 화살표와 같은 진행방향으로 나가기 위해 선회운동에 의한 회전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다. 즉, 오염공기가 선회하는 것은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선회류가 진행하는 방향만을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2는 종래의 팬프레임(300)을 도시한 사시도인데,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한 집진기에는 오염공기의 진입방향이 수평이 되어, 최단거리 경로를 경유하여 오염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팬프레임 후면 중앙에 오염공기 선회류가 정체되거나, 충분한 선회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공기유출구를 통해 오염공기 배출되어 효과적인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은 공기가 대기로 빠져나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팬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한 종래의 팬프레임 진입방향과는 상이하게 원뿔형태의 확산판(131)의 빗면을 의해 진입경로가 사선으로 갈라지게 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원뿔형태의 확산판의 외주면에 다수의 팬(132)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부착되는데, 이는 확산판의 빗면과 팬의 부착면이 이루는 각(∠a 부분)이 5 ~ 45°로 비틀리고, 확산판 둘레의 접선과 팬이 이루는 각(∠b 부분)이 90°이내로 기울어진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이와 같은 구성이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몸체 내부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선회류를 형성하여 원심력의 원리로 이물질이 분리되게 된다.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 건조용 집진기의 내부 구조도를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몸체(110)가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집진 저장부가 구성된 케이스(101)에 결합된 상태의 내부 구조도를 나타냈다.
몸체 전면에 설치된 공기유입구(120)는 곡물건조기와 연결되어, 곡물건조기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121)가 유입되게 되고, 이때 원뿔형태의 팬프레임(130)에 의해 진입경로가 사선으로 갈라지게 되도록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팬프레임의 단면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꼭지점의 내면각(∠c 부분)이 30 ~ 60°로 구성되어 오염공기의 진행경로를 몸체 외각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진행경로로 오염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여 이동하여 몸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이때, 선회운동 즉 와류현상을 나타내며 진행하는 오염공기 내의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서 공기와 분리되게 되고, 중력에 의해 몸체 하측면에 형성된 배출구(160)를 통해 몸체 외부로 유출되며, 이렇게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집진 저장부가 몸체 하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둘레를 모두 감싸는 형태의 케이스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몸체 하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유출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집진 저장부만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집진기는 유입된 오염공기를 사이클론식(선회운동을 일으켜 원심력에 의해 입자를 분리하는 원리)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건식 집진기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건식 집진기의 특성상 미세한 이물질입자를 분리하기 어려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습식 집진기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집진기의 내부 구조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용 습식 집진기(200)의 외부본체를 이루는 케이스(201)는 건식 집진기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인 공기유입구(210)와, 낙수되는 물을 이용해 필터링하여 2차적으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면에 구성된 공기배출구(212, 212`)와, 집수조의 물이 배출되도록 밑면에 형성되는 배수구(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갤러리판(220)과 필터망(230)과 물공급수단(240) 및, 집수조(250) 등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예는 설치와 공간 활용이 좋도록 사각형상의 케이스(201)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케이스(201)의 형상은 도시된 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간의 활용이 좋도록 구형이나, 반구형, 다각형등 다양한 형상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케이스(201)는 하단에 다리부를 설치하여 설치높이와 수평을 조절한 것이며, 또한 다리부에 의해 형성된 빈공간에 수레를 삽입하여 배수구(211)에서 배출된 오수를 받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된 실시예 이외에 다리부 없이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건식 집진기에 의해 1차 정화된 공기가 케이스(201) 전면에 구성된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되어 케이스(201) 내부의 여러 장치를 거쳐 깨끗하게 2차 정화 공기(260)가 되어 후면에 있는 공기배출구(212)로 배출되며, 상기 공기배출구(212)는 후면에 위치한 것 이외에 케이스(201) 내부의 공압을 낮추기 위해 후측 상면에 공기배출구(212')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유입된 1차 정화공기(260)은 직립으로 현수된 상태의 갤러리판(220)에 의해 수평유입되어 상향으로 와류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갤러리가 연속 반복하여 적층된 통상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도시된 실시 예 이외에 오염물질과의 접촉면적을 넓게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일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갤러리판(220)을 통과하여 상향된 1차 정화공기(151)는 후면에 현수 설치되며, 상부에서 낙수되는 물에 의해 수막이 생기는 필터망(230)에 크기가 큰 각종 오염물질 및 미세먼지를 걸러 집수조(250)로 낙하되고, 2차로 정화된 공기(260)만 필터망(230)을 통과하여 케이스(201) 후면의 구성된 공기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공급되는 오염공기(200)의 공압에 의해 물이 낙수되면서 케이스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의 후면 공기배출구의 내부 하단에 가드판(212a)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망(23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240)은 집수조(250)의 물을 펌프부(242)에 의해 펌핑하여 수로(243)를 이용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수로의 끝에 형성된 호스를 통해 저장통(241)에 공급하는 구조로서, 저장통에서 필터망(230) 을 타고 낙하된 물이 각종 미세먼지와 이물질등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집수조(250)로 낙수되면, 상기 집수조에 설치된 거름망(251)에 의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리 여과하여 정화된 물은 다시 펌프부(242)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는 순환사이클로 진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물공급수단(240)의 펌프부(242)에는 이물질을 걸러 여과하기 위한 프리필터 및 카본필터와 급수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펌프부(242)에서 의해 상부로 공급된 물은 수로(243)를 통해 저장통(241)에 공급되며, 상기 저장통은 필터망(230)이 부착된 측벽을 작은 높이로 형성하여 필터망이 부착된 방향으로 물이 낙수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망(230)은 낙수의 흐름이 좋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일부는 편평한 평판으로 형성하고, 하측은 공기가 통과되도록 망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망체의 크기는 공기의 흐름이 좋도록 8mm 직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01) 몸통에 남은 이물질은 개폐구를 통해 집수조(250)의 주기적인 청소나 거름망(251) 교체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며, 또한 일정한 시간 동안 사용된 물은 오염의 재발 방지 및 수로 막힘 예방을 위해 배수구(211)를 통해 강제 배수되고, 집수조(250)가 깨끗이 비워지면 급수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되어 집수조(25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수조(250)에는 외부에서 연결된 관로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부레를 포함한 볼탑(252)을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집수조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의 제거를 쉽게 하기 위해 밑면부의 전방측을 경사지게 할 수도 있 다.
도 6은 건식 집진기와 습식 집진기를 연결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조도를 도시한 것인데, 곡물건조기(도시되지 않음)에서 공급된 오염공기(121)가 건식 집진기의 몸체(110)를 통해 1차 정화된 후에, 습식 집진기(200)를 통해 2차 정화되어 대기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집진기와 습식 집진기간의 결합을 일체감 있게 구성하기 위하여, 같은 높이의 케이스(101, 201)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높낮이 및 수평 조절은 하단에 다리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로서, 집진기에 의해 분리·저장된 이물질의 수거와 내부 구조물의 사후 관리가 용이하도록 케이스(101, 201) 외부에 개폐구(170)를 도시하였으며, 축적된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하여 개폐구에 구성된 덮개를 열었을 때 덮개를 테이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 덮개에 다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리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개폐구 덮개와 다리를 힌지로 연결하여 접이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용 집진기의 연결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집진기와 습식 집진기를 결합하여 사용한 후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하여 개패구에 구성된 덮개를 열어 놓은 모습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기와 연결되어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직접 유입되도록 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출구와, 중량감이 있는 이물질 배출되도록 밑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원통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몸체 내측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확산판과, 소정의 각을 이루어 기울어진 다수의 팬이 확산판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구성되는 팬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프레임의 확산판은 원뿔형태로 꼭지점의 내면각이 30 ~ 6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 공기유출구는 내부측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유출관이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구성된 공기유출구의 후면에 연결되어,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의해 1차적으로 오염물질이 분리된 정화공기를 유입하여 물을 이용해 2차적으로 정화하기 위한 습식 집진기가 더 포함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순환하기 위한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집진기에 있어서 오염공기 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저장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특징에 의하여 본 효과와 같은 특징을 도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산업화하여 직접 생산하게 될 경우 국 내외적으로 큰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용 집진기의 몸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팬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팬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 건조용 집진기의 내부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집진기의 내부 구조도
도 6은 습식 집진기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조도
도 7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곡물 건조용 집진기 101,201:케이스
110:몸체 120,210:공기유입구
121:오염공기 130:팬프레임
131:확산판 132:팬
140:유출관 150:공기유출구
151:1차 정화공기 160:배출구
170:개폐구 200:습식 집진기
220:갤러리판 230:필터망
240:물공급수단 250:집수조
260:2차 정화공기 300:종래의 팬프레임

Claims (4)

  1. 곡물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분리하도록 곡물 건조기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되는 곡물 건조용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 건조기와 연결되어, 곡물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직접 유입되도록 전면에 공기유입구(120)가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후면에 공기유출구(150)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 중에 있는 중량감이 있는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밑면에 배출구(160)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의 몸체(110); 및
    상기 몸체 내부의 공기 유입구 내측에 위치하여 곡물 건조기로부터 들어온 공기를 몸체 내부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방사할 수 있도록 꼭지점의 내면각이 30~60°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 원뿔형태의 확산판(131)의 외주면에, 상기 확산판의 빗면과 5~45°의 각도로 비틀리고 확산판 둘레의 접선과 90° 이내의 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다수의 팬(132)이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팬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용 집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구는 몸체 내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유출관이 몸체 내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용 집진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구의 후면에 연통되어 연결되되, 케이스(201) 내에 갤러리판(220)과, 상기 갤러리판을 통과한 공기를 상부에서 낙수되는 물에 의해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필터망(230)과, 상기 필터망에 의해 걸러진 미세먼지를 집수하는 집수조(250)가 형성되고, 케이스 후면에는 필터망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구(212)가 형성되어 있는 습식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용 집진기.
KR1020080012854A 2008-02-13 2008-02-13 곡물 건조용 집진기 KR10087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54A KR100870901B1 (ko) 2008-02-13 2008-02-13 곡물 건조용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54A KR100870901B1 (ko) 2008-02-13 2008-02-13 곡물 건조용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901B1 true KR100870901B1 (ko) 2008-11-28

Family

ID=4028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854A KR100870901B1 (ko) 2008-02-13 2008-02-13 곡물 건조용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11B1 (ko) 2009-02-09 2012-01-12 서동열 참깨 자동 가공장치
CN107024107A (zh) * 2016-07-13 2017-08-08 湖北叶威(集团)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机芯360度孔状热碰撞装置的粮食干燥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1029A (ja) * 1999-10-26 2001-05-08 Amano Corp 電気集塵装置
KR20030064456A (ko) * 2002-01-28 2003-08-02 김용곤 대기오염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공기의 정화방법
US20050229559A1 (en) * 2004-04-16 2005-10-20 Jang-Keun Oh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1029A (ja) * 1999-10-26 2001-05-08 Amano Corp 電気集塵装置
KR20030064456A (ko) * 2002-01-28 2003-08-02 김용곤 대기오염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공기의 정화방법
US20050229559A1 (en) * 2004-04-16 2005-10-20 Jang-Keun Oh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11B1 (ko) 2009-02-09 2012-01-12 서동열 참깨 자동 가공장치
CN107024107A (zh) * 2016-07-13 2017-08-08 湖北叶威(集团)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机芯360度孔状热碰撞装置的粮食干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86550T3 (es) Instalación de pintura compacto
KR100875966B1 (ko) 곡물 건조용 집진기
US3802158A (en) Pollution control apparatus
KR100815569B1 (ko) 곡물건조기용 습식 집진기
CN107362646A (zh) 一种水雾除尘系统
CN108072104A (zh) 一种新风净化装置
KR20100093283A (ko) 무동력 싸이클론 방식의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0870901B1 (ko) 곡물 건조용 집진기
KR101552148B1 (ko)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
JP3334053B2 (ja) 織布フィルター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2236966B1 (ko) 악취제거장치
KR200483487Y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2152263B1 (ko) 공기청정기
CN209237582U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097982B1 (ko) 오리피스원리를 이용한 습식집진기
CN108970289A (zh) 一种空气净化器
CN107525155B (zh) 一种设有次级净化支架的空气净化设备
CN215311228U (zh) 一种大型工业净化过滤器
CN109539429A (zh) 一种高效空气净化器
KR102204943B1 (ko) 공기 청정 장치
JP7341467B2 (ja) 集塵機及び濾過機付き集塵機
CN212523565U (zh) 一种复合型沥青烟气吸附装置
KR200465998Y1 (ko)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0751431B1 (ko) 포그믹스드 에어커튼식 분진포집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