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961B1 - 알파형 에스아이씨- 베타형 에스아이씨 결합형 반응소결에스아이씨 소재와 제조 방법 및 그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 Google Patents

알파형 에스아이씨- 베타형 에스아이씨 결합형 반응소결에스아이씨 소재와 제조 방법 및 그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961B1
KR100867961B1 KR1020070131384A KR20070131384A KR100867961B1 KR 100867961 B1 KR100867961 B1 KR 100867961B1 KR 1020070131384 A KR1020070131384 A KR 1020070131384A KR 20070131384 A KR20070131384 A KR 20070131384A KR 100867961 B1 KR100867961 B1 KR 10086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c
type sic
carbon
typ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극
허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덱스
Priority to KR102007013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961B1/ko
Priority to PCT/KR2008/007182 priority patent/WO2009078605A2/en
Priority to JP2010537855A priority patent/JP2011506251A/ja
Priority to TW97147725A priority patent/TW200930688A/zh
Priority to CNA2008101871019A priority patent/CN10150329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532Electrodes
    • H01J37/3255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 C04B35/5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based on silicon carbide
    • C04B35/57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based on silicon carbide obtained by reaction sintering or re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17Carbides
    • C04B2235/3826Silicon carbides
    • C04B2235/383Alpha silicon car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17Carbides
    • C04B2235/3826Silicon carbides
    • C04B2235/3834Beta silicon car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2Non metallic elements added as constituents or additives, e.g. sulfur, phosphor, selenium or tellurium
    • C04B2235/4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36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micrometer sized, i.e. from 1 to 100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6Specific sintering techniques, e.g. centrifugal sintering
    • C04B2235/661Multi-step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6Cryst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e.g. symmetry
    • C04B2235/767Hexagonal symmetry, e.g. beta-Si3N4, beta-Sialon, alpha-SiC or hexa-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69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drying 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압 및 가압 소결을 통해 제조된 α형 SiC 분말과 카본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한 카본-α형 SiC 혼합물을 가 성형한 후, 진공의 고온 환경에서 저항이 조절된 용융실리콘을 반응시켜 전기적 특성에 맞는 저항을 가지는 β형 SiC 소재를 제조함으로서, 반도체 제조 공정의 부품에서 필요로 하는 전기적 특성과, 우수한 기계적, 화학적 특성이 있으며, SiC 소재의 제조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한 특징이 있는 반도체 공정 부품용 α형 SiC-β형 SiC 결합형의 반응 소결 β형 SiC 소재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반응 소결 β형-SiC 소재를 이용하여 캐소드를 실리콘-SiC 구조를 가지는 이체형으로 구성하여, 높은 열전도도와 저 저항에 의해 전기적 특성과, 내구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는 실리콘-SiC 구조의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가 제공된다.
탄화규소, 소결, 카본, 캐소드

Description

알파형 에스아이씨- 베타형 에스아이씨 결합형 반응소결 에스아이씨 소재와 제조 방법 및 그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αtype SiC- β type SiC combined reaction sintering SiC 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 and Plasma chamber cathode that use it}
본 발명은 최근 반도체 공정의 부품으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SiC 소재 중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SIC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본 분말과 α형 SiC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한 카본-α형 SiC성형체에 저항이 조절된 용융실리콘을 반응시켜 침윤되도록 하여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고순도, 고강도의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반도체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빠른 소결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는 α형 SiC-β형 SiC 실리콘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반응소결 소재를 이용한 실리콘-SiC 구조의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고집적 Si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Graphite, Quartz, Al203, SiC, ALN, BN 등의 세라믹 제품이 치구 및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온 환경의 반도체 제조공정 및 에칭 공정에서는 석영, 유리, Si 및 SiC가 주요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반도체 공정용 고온 세라믹 부품 소재로서, 종래에는 석영이 차지한 비중이 높았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반도체 공정의 고집적화 및 사용하는 Si wafer가 대형화됨에 따라서 석영유리가 갖는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열, 기계적 특성, 내화학 특성, 전기적 특성, 내구성 및 내입자 오염 특성 등이 우수한 SiC(탄화규소)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SiC 소재의 종래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서 먼저, 규소 및 탄소를 함유한 가스를 고온에서 반응시켜 SiC를 합성하여, 활성화된 환경에서 기체상 물질간의 화학 반응이나 분해를 이용하여 안정된 SiC를 만들어내는 열분해 CVD법과, 플라즈마 CVD법은 순도와 밀도가 높고, 특성이 우수한 SiC 소재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두꺼운 제품을 만들기가 어려우며, 가격이 비싼 단점으로 인해 반도체 공정의 부품에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그림 1)
Figure 112007090230049-pat00001
또한, 상압 및 가압 소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α형 SiC 소재는 열, 기계적, 내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나, 소결 후, 수축률이 높아 대형 제품의 제조가 어렵고, 제조 시, 다량의 소결 조제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SiC 소재 내의 불순물 함량의 제어가 어려우며, 특히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기 어려워 일부 반도체 공정의 간단한 부품의 형태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전기적 특성을 가져야 하는 부품에서는 적합하지가 못하며, 그 사용처가 한정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부품 가운데, 웨이퍼의 식각 작업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는 챔버 내부에 반응가스를 주입하고 전류를 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에 의하면, 다수 개의 가스 주입구를 가지는 실리콘 단일 재질 또는 실리콘에 카본계열의 소재, 알루미늄, 등을 본딩 또는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다양한 구성의 캐소드가 다수 문헌에 계시되어 있다.
예컨대, 국내등록특허 10-0708321호의 ‘플라즈마 식각장치의 캐소드 전극 결합구조’ 에서는 캐소드를 실리콘 전극과 그라파이트 전극을 결속기재로 삽입 고정하여 구성하여, 본딩 결합 시, 디본딩에 의한 결합력 저하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챔버 내부의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그라파이트 소재의 변형이 쉬워, 결속기재 및 결합부를 손상시키게 되며, 이러한 경우, 실리콘 전극과의 면접촉이 불안정하여 마찰에 의한 파티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공개특허 10- 2007-0077048호의 플라즈마 발생용 전극 및 플라즈마처리장치에서는 탄화규소에 실리콘을 함침시킨 CVD-탄화규소 소재를 캐소드에 적용하여 우수한 기계적 성질 및 면내 균일성이 높은 접합상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기술에서 사용되는 CVD-탄화규소는 제조 시에 소재의 소결에 많은 양의 고가인 소결 조제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캐소드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며, 소결 조제의 투입으로 인해 SiC 소결체 내의 불순물 함량이 높아지게 되어 웨이퍼 공정에 적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 되는 SiC 소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계적 성질이 유사하고,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공정용 부품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함과 동시에, 소재의 제조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와 그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반도체 공정의 부품 가운데서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에 상기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를 적용함으로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고온, 고압의 반도체 공정에 적합한 기계적 성질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리콘-SiC 소재로 구성되는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압 및 가압 소결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분말을 카본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 상기 혼합체를 고온에서 가압하여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얻는 단계, 상기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진공 내에서 1400 ℃~2000 ℃의 고온으로 저항이 조절된 용융 실리콘을 반응시켜 침윤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공정 부품용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로 구성되는 SiC 전극과 실리콘 전극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가 사용용도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강도가 우수하고, 치밀한 결정체를 가지며, 불순물 함량이 매우 적은 고순도의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제조가 가능하며, 소재의 소결 중에 치수의 변화가 거의 없고, 자체 발열 반응에 의한 빠른 소결이 이루어지며,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소결이 가능하여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로 구성되는 SiC 전극을 하부의 실리콘 전극과 결합하여 이체형의 캐소드를 구성함으로서, 전기적 특성이 전극으로 사용함에 안정하고, 고온, 고압의 반도체 웨이퍼 공정에 사용할 시, 실리콘 전극과의 열전도도 차이에 의한 결합부 손상을 방지하고, 강도가 우수하여 캐소드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웨이퍼에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높은 열전도도와 저저항의 성질로 인해 좋은 전기적 특성을 가져 고순도의 웨이퍼 생산이 가능하며 웨이퍼 제조의 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최근 들어 고온, 고압 환경의 반도체 제조 공정용 부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SiC 소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 SiC소재를 이용한 실리콘-SiC 구조를 가지는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SIC 소결체 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압 및 가압 소결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고온에서 가압하여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진공 내에서 1400 ℃~2000 ℃의 고온으로 첨가되는 붕소(boron)의 양을 통해 저항 조절을 한 실리콘을 반응시켜 침윤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웨이퍼의 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에 있어서, 하부의 실리콘 전극과, 상부의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로 구성되는 SiC 전극을 상하 결합하여 구성되는 실리콘-SiC 구조를 가지는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면,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β형 SiC 소결체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 작업공정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β형 SiC 소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상압 및 가압 소결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S11)와, 상기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고온에서 가압하여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얻는 단계(S12)와, 상기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진공 내에서 1400 ℃~2000 ℃의 고온으로 용융 실리콘을 반응시켜 침윤시키는 단계(S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각 공정 단계별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카본-α형 SiC 혼합체 형성-
일반적으로 α형 SiC 소재는 소결할 시에 소결조제가 첨가되어 소결체내에 불순물을 다량 포함하게 되며, 높은 체내 기공률을 가지므로 고온 환경의 반도체 공정에는 적합하지 못한 특징이 있다.(그림 2)
Figure 112007090230049-pat00002
α형 SiC 소재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분말 형태의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소결가공을 위한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카본 분말은 입자의 크기가 1~50㎛ 이내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α형 SiC 분말은 대형의 Acheson furnace를 사용하여 SiO2와 Petrolium coke를 혼합하고 전류를 흘려 2200 ℃~2400 ℃의 고온에서 반응시켜 제조된 α형 SiC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α형 SiC 분말은 1~100㎛ 이내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후술하게 될 실리콘을 침지하여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실리콘과, 상기 카본-α형 SiC 혼합체의 탄소성분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각 1~50㎛ 이내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실리콘 분말과 Dopant 분말을 혼입할 수도 있으며, 카본-α형 SiC 혼합체의 전체 중량에서 상기 실리콘 분말은 0.1~20 wt%, Dopant 분말은 0.1~10 wt%의 범위로 혼입함이 바람직하다.
-카본-α형 SiC 성형체 형성-
상기 α형 SiC 소재의 분말과 카본 분말을 혼합한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Press 또는 CIP 등을 통해 가압하여 형태를 가지는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형성한다.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결체 제조-
상기에서 형성된 카본-α형 SiC 성형체에 실리콘을 도포하고, 진공의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면 성형체의 공극으로 실리콘이 침윤 되면서 실리콘과 카본을 반응시켜 β형 SiC가 제조 되며 α형 SiC 주변은 β형 SiC와 실리콘으로 둘러싸인 전기적 특성을 가진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가 제조된다.
상기에서 실리콘을 침윤한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가열하는 온도는 상압 및 가압에 의한 α형 SiC 소결에서의 온도보다 낮은 1400 ℃~ 2000 ℃가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콘이 카본과 α형 SiC의 혼합물 사이에 전체가 진공으로 인한 모세관 압력과 실리콘의 자중으로 침윤되어 기공이 없는 치밀한 구조를 갖는 전기적 특성을 가진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가 제조된다. (그림 3)
이 과정에서 카본과 α형 SiC의 혼합물 또는 카본과 α형 SiC, 실리콘, Dopant 혼합물과 침윤 저항을 가지는 실리콘의 반응에 의해 전기적 특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침윤시키는 실리콘에 첨가되는 붕소(보론)의 양을 저항을 조절하여 저항이 조절된 실리콘을 침지시키도록 함으로서,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전기적 저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실리콘의 저항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양이 조절되는 붕소는 그 첨가량이 많을수록 실리콘의 저항이 낮아져 탄소와의 반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저항이 조절된 실리콘을 카본-α형 SiC의 성형체의 탄소와 반응시킴으로서, 필요로 하는 저항 성질 또는 저저항의 성질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카본과 α형 SiC, 실리콘 및 Dopant를 혼합시킬 경우에는 제조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전체 중량에서 30~80 wt%의 저항이 조절된 실리콘과, 0.1~10 wt%의 실리콘의 저항을 결정하는 Dopant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90230049-pat00003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특성-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는 반응 소결 중 치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카본과 α형 SiC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혼합물 조직이 소재의 강도를 증진 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혼합물 조직의 사이에 실리콘이 침윤되어 강도가 높으며, 미립의 응집체로 분포되어 기공이 없는 치밀한 소결체를 얻을 수 있으며, 원료 분말의 소결을 촉진시키기 위한 소결조제를 첨가하지 않기 때문에 불순물 함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압 및 가압에 의한 제조 방법보다 낮은 온도의 가열이 가능하고, 자체 발열반응이 발생하여 빠른 소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응 소결 후 β형 SiC 소결체의 치수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며, 작업속도가 빠른 이점이 있다.
특히 저항 조절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전기적 특성에 맞게 제조가 가능하여 단순 기계적 화학성 성질을 가지는 SiC 보다 그 활용처가 많아 반도체 공정에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고온의 환경 및 내부식성을 요구하는 반도체 공정, 특히 반도체 에칭의 공정에 필요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순도 및 고밀도, 고강도의 SiC 소재의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SiC 소재의 빠른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반도체 제조 장비에 적합한 전기적 특성을 가진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제조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공정 가운데서 웨이퍼의 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캐소드에 있어서, 실리콘 전극의 상부에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로 구성되는 SiC 전극을 상하 결합하여 구성되는 실리콘-SiC 구조를 가지는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가 제공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리콘-SiC 구조를 가지는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와 어퍼플레이트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하부의 실리콘 전극(20)의 상부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로 구성되는 SiC 전극(10)을 상하 결합하는 이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리콘 전극(20)과 SiC 전극(10)은 엘라스토머 본딩(E)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결합볼트(B)에 의해 결합되어 질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실리콘 전극(20)과 SiC 전극(10)을 결합한 캐소드(100)를 단일체로 구성하여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챔버 내부에 임의 형성되는 어퍼플레이트(30)에 단독으로 결합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캐소드 외측의 아웃링(110)이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어퍼플레이트(30)에 각각 별도로 결합되도록 하여, 중앙부의 캐소드(100)를 외측에서 아웃링(110)이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깔데기 형상으로 둘러싸듯이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에 따르면,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SiC 전극(10)이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열전도율, 경도, 내산화성, 내마모성, 내부식성 및 고온안정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가짐으로서, 하부에 결합되는 실리콘 전극(20)과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플레이트(30)의 변형에 따른 결합볼트(B) 결합부의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한 실리콘 전극(20)과, 어퍼플레이트(30)의 변형에 의한 마모 시, 고순도의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사용으로 파티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SiC 전극(10)의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저저항으로 0.1 Ohm-cm 이하로 제조가 가능하며, 높은 열전도율과 함께 어퍼플레이트(30)에 전압을 걸었을 때, 전기가 잘 통하도록 하여 양질의 플라즈마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며, 균질한 플라즈마 밀도 등으로 웨이퍼 상에 고직접 회로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β형 SiC 소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계도
도 2, 3은 본 발명에 의한 β형 SiC 소결체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 작업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와 어퍼플레이트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SiC 전극 20: 실리콘 전극
30: 어퍼플레이트 100: 캐소드 110: 아웃링

Claims (8)

  1. 삭제
  2. 상압 및 가압 소결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S11); 상기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고온에서 가압하여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얻는 단계(S12); 상기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진공 내에서 1400 ℃~2000 ℃의 고온으로 첨가되는 붕소(boron)의 양을 통해 저항 조절을 한 실리콘을 반응시켜 침윤시키는 단계(S1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α형 SiC 분말은 대형의 Acheson furnace를 사용하여 SiO2와 Petrolium coke를 혼합하고 전류를 흘려 2200 ℃~2400 ℃의 고온에서 반응시켜 제조된 α형 SiC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
  3. 상압 및 가압 소결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S11); 상기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고온에서 가압하여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얻는 단계(S12); 상기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진공 내에서 1400 ℃~2000 ℃의 고온으로 첨가되는 붕소(boron)의 양을 통해 저항 조절을 한 실리콘을 반응시켜 침윤시키는 단계(S1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S11)에서는 각각 1~50㎛ 이내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카본과, 1~100㎛ 이내의 크기를 가지는 α형 SiC를 각각 혼합한 카본-α형 SiC혼합체의 전체 중량에 대비하여 0.1~20 wt%의 실리콘 분말과 0.1~10 wt%의 Dopant 분말을 혼입하여 실리콘 침지 과정에서 카본과 실리콘의 반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
  4. 상압 및 가압 소결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S11); 상기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고온에서 가압하여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얻는 단계(S12); 상기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진공 내에서 1400 ℃~2000 ℃의 고온으로 첨가되는 붕소(boron)의 양을 통해 저항 조절을 한 실리콘을 반응시켜 침윤시키는 단계(S1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S11)에서는 1~100㎛ 크기의 α형 SiC 분말과, 1~50㎛ 크기의 카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
  5. 상압 및 가압 소결에 의해 제조된 α형 SiC 분말을 카본 분말과 혼합하여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얻는 단계(S11); 상기 카본-α형 SiC 혼합체를 고온에서 가압하여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얻는 단계(S12); 상기 카본-α형 SiC 성형체를 진공 내에서 1400 ℃~2000 ℃의 고온으로 첨가되는 붕소(boron)의 양을 통해 저항 조절을 한 실리콘을 반응시켜 침윤시키는 단계(S1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본-α형 SiC 성형체에 저항 조절된 실리콘을 반응시키는 단계(S13)에서는 제조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전체 중량에 대비하여 붕소의 첨가되는 양을 통해 저항이 조절된 실리콘은 30~80 wt%, Dopant는 0.1~10 wt%의 범위로 첨가하여 전기적 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제조 방법
  6. 반도체 공정의 부품용으로 사용되는 SiC 소재에 있어서,
    제 2항 내지 제 4항의 제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
  7. 반도체 웨이퍼의 식각 공정에서 챔버 내부에 반응가스를 주입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에 있어서,
    실리콘 전극(20)의 상부에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의 SiC 전극(10)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전극(20) 및 SiC 전극(10)은 엘라스토머 본딩(E)에 의해 결합되는 방법 또는 결합볼트(B)로 결합하는 방법 가운데 선택되는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형 SiC-β형 SiC 결합형 반응소결 SiC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 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KR1020070131384A 2007-12-14 2007-12-14 알파형 에스아이씨- 베타형 에스아이씨 결합형 반응소결에스아이씨 소재와 제조 방법 및 그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KR10086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384A KR100867961B1 (ko) 2007-12-14 2007-12-14 알파형 에스아이씨- 베타형 에스아이씨 결합형 반응소결에스아이씨 소재와 제조 방법 및 그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PCT/KR2008/007182 WO2009078605A2 (en) 2007-12-14 2008-12-05 SIC MATERIAL COMPRISING COMBINATION OF α-SIC AND β-SIC AND TWO-PART PLASMA CHAMBER CATH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2010537855A JP2011506251A (ja) 2007-12-14 2008-12-05 α−SiCおよびβ−SiCを複合したSiC素材と製造方法および該素材を用いた二体型プラズマチャンバーカソード
TW97147725A TW200930688A (en) 2007-12-14 2008-12-08 α type SiC-β type SiC combined reaction sintering SiC 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 and plasma chamber cathode that use it
CNA2008101871019A CN101503295A (zh) 2007-12-14 2008-12-12 α型SiC-β型SiC结合型反应烧结SiC材料和其制备方法及使用该材料的二体型等离子室阴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384A KR100867961B1 (ko) 2007-12-14 2007-12-14 알파형 에스아이씨- 베타형 에스아이씨 결합형 반응소결에스아이씨 소재와 제조 방법 및 그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961B1 true KR100867961B1 (ko) 2008-11-10

Family

ID=4028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384A KR100867961B1 (ko) 2007-12-14 2007-12-14 알파형 에스아이씨- 베타형 에스아이씨 결합형 반응소결에스아이씨 소재와 제조 방법 및 그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1506251A (ko)
KR (1) KR100867961B1 (ko)
CN (1) CN101503295A (ko)
TW (1) TW200930688A (ko)
WO (1) WO200907860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643A (ko) *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월덱스 반도체용 에칭장치의 챔버에 장착되는 이체형 전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146A1 (ja) * 2015-03-31 2016-10-06 北陸成型工業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用炭化ケイ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558405B (zh) * 2017-03-10 2021-08-24 成都超纯应用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高致密度高纯度碳化硅衬底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70A (ja) * 1991-06-24 1993-01-14 Kyocera Corp 高靱性炭化珪素質焼結体
JPH1045476A (ja) 1996-08-01 1998-02-17 Toshiba Ceramics Co Ltd 半導体ウエハ処理具
JPH11302077A (ja) 1998-04-20 1999-11-02 Tokai Konetsu Kogyo Co Ltd SiCヒータの製造方法
KR100419778B1 (ko) * 2001-02-16 2004-02-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액상 반응소결에 의한 탄화규소-탄화붕소 복합체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860Y2 (ja) * 1985-05-29 1994-12-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用治具
KR100299099B1 (ko) * 1999-04-30 2001-09-13 손재익 액상 반응소결에 의한 탄화규소 세라믹 밀봉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70A (ja) * 1991-06-24 1993-01-14 Kyocera Corp 高靱性炭化珪素質焼結体
JPH1045476A (ja) 1996-08-01 1998-02-17 Toshiba Ceramics Co Ltd 半導体ウエハ処理具
JPH11302077A (ja) 1998-04-20 1999-11-02 Tokai Konetsu Kogyo Co Ltd SiCヒータの製造方法
KR100419778B1 (ko) * 2001-02-16 2004-02-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액상 반응소결에 의한 탄화규소-탄화붕소 복합체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643A (ko) *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월덱스 반도체용 에칭장치의 챔버에 장착되는 이체형 전극
KR102619677B1 (ko) 2021-12-16 2024-01-02 주식회사 월덱스 반도체용 에칭장치의 챔버에 장착되는 이체형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3295A (zh) 2009-08-12
TW200930688A (en) 2009-07-16
WO2009078605A2 (en) 2009-06-25
JP2011506251A (ja) 2011-03-03
WO2009078605A3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37830A (ja) セラミックス複合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5363132B2 (ja) 酸化イットリウム材料、半導体製造装置用部材及び酸化イットリウム材料の製造方法
CN103771859B (zh) 一种碳化硅/硼化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848172B (zh) 二硅化钼/碳化硅三维聚合物先驱体陶瓷及其制备方法
Lee et al. Effect of heating rate on spark plasma sintering of a nanosized β‐Si3N4‐based powder
KR100867961B1 (ko) 알파형 에스아이씨- 베타형 에스아이씨 결합형 반응소결에스아이씨 소재와 제조 방법 및 그 소재를 이용한 이체형플라즈마 챔버 캐소드
CN106083056A (zh) 无压烧结制备碳化硅/二硅化钼复合陶瓷的方法
KR20190048811A (ko) 우수한 열전도도 및 열내구성을 가지는 탄화규소 소결체의 제조방법
JP2006069843A (ja) 半導体製造装置用セラミック部材
KR101723675B1 (ko) 전기전도성 탄화규소-질화붕소 복합 소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전도성 탄화규소-질화붕소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US9676631B2 (en) Reaction bonded silicon carbide bodies made from high purity carbonaceous preforms
KR101231437B1 (ko) 탄화 규소 소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40761B1 (ko) 저저항 탄화규소 소결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85355A (ja) 加熱装置
KR20120064164A (ko) 3차원 구조의 성형 및 소결체를 제조하는 핫 프레스 소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성형 및 소결체의 제조 방법
JP4429742B2 (ja) 焼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750692A (zh) 复合烧结体及复合烧结体的制造方法
JP2003073168A (ja) 反応焼結炭化珪素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535398A (ja) ボールを使用した炭化珪素焼結体の製造方法
JP2001348288A (ja) 粒子分散シリコン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92225A (ja) 炭化珪素焼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2990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racteristics of ceramic carbon composite, and ceramic carbon composite
JP2003277152A (ja) 炭化珪素焼結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KR101300104B1 (ko) 탄화규소 발열체의 제조방법
JP2007022914A (ja) シリコン/炭化ケイ素複合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