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662B1 -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662B1
KR100866662B1 KR1020070059329A KR20070059329A KR100866662B1 KR 100866662 B1 KR100866662 B1 KR 100866662B1 KR 1020070059329 A KR1020070059329 A KR 1020070059329A KR 20070059329 A KR20070059329 A KR 20070059329A KR 100866662 B1 KR100866662 B1 KR 100866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zza dough
disc
dough
tilting
lif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훈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이대훈
서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서인석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102007005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4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 A21C11/006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by pressing or press-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밀가루 반죽 원판을 간단하게 성형하고, 그 원판의 두께 조절이 용이토록 한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피자 반죽물을 원판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메인 몸체(10)와; 상기 메인 몸체(10)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팅 블록(20)과; 상기 리프팅 블록(20)의 상방에 고정 위치하여 상기 피자 반죽물을 하방에서 받이하는 틸팅원판(30)과; 상기 리프팅 블록(20)과 틸팅원판(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틸팅원판(30)을 평면상에 접동 동작시키는 회전캠(40)과; 상기 틸팅원판(30)의 상방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단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틸팅원판(30)에 지지된 피자 반죽물의 상면을 평탄화시켜주는 롤링유닛(50) 및; 상기 롤링유닛(5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자, 반죽물, 원판

Description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Pizza pie dough manufacturing devic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의 요부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의 롤링유닛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몸체
20: 리프팅 블록
30: 틸팅원판
32: 중앙원판
34: 틸팅날개
40: 회전캠
50: 롤링유닛
52: 회전원반
54A~54F: 회전롤러
62: 핸들
64: 레버
66: 연결링크
68: 두께 조절나사
70: 밸런스웨이트
82: 상부커버
84: 하부커버
본 발명은 피자 반죽물을 원판으로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밀가루 반죽 원판을 간단하게 성형하고, 그 원판의 두께 조절이 용이토록 한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자의 경우 밀가루 반죽물을 숙성시켜 원판을 만든 후 그 원판위에 불고기, 치즈, 피망 등 각종 첨가물을 뿌려놓고 오븐에 구워서 제작된다.
이때 원판은 주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두께가 고르게 결정되고, 둥근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이같이 종래의 밀가루 반죽물을 큰 원판형으로 만들 경우 숙련도에 의존하여 야 하므로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고, 균등한 두께를 만드는데 한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적인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밀가루 반죽 원판을 간단하게 성형하고, 그 원판의 두께 조절이 용이토록 한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피자 반죽물을 원판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팅 블록과;
상기 리프팅 블록의 상방에 고정 위치하여 상기 피자 반죽물을 하방에서 받이하는 틸팅원판과;
상기 리프팅 블록과 틸팅원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틸팅원판을 평면상에 접동 동작시키는 회전캠과;
상기 틸팅원판의 상방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메인몸체의 상단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틸팅원판에 지지된 피자 반죽물의 상면을 평탄화시켜주는 롤링유닛 및;
상기 롤링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프팅 블록은 리프팅 조작수단을 더 구비하 고, 상기 리프팅 조작수단은, 상기 메인 몸체의 베이스부에 피봇 결합된 리프팅 핸들과; 상기 리프팅 블록에 피봇 연결된 레버와; 일단이 상기 리프팅 핸들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에 피봇 연결된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자 반죽물 두께 조절나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에는 리프팅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틸팅원판은,
중앙원판과;
상기 중앙원판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하향각을 갖고 피봇 접동 동작하는 다수의 틸팅날개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링유닛은,
회전원반과,
상기 회전원반의 저면에 반경방향에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다수의 회전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링유닛의 저면과 상기 틸팅원판의 상면에 각기 부직포의 상,하부 커버가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피자 반죽물 성형장치는 메인 몸체(10)가 구비된다. 메인 몸체(10)는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에 입설된 컬럼부(12)와, 컬럼부(12)의 상부에 위치된 헤드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1)와 헤드부(13)의 사이에는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는 틸팅원판(30)과 롤링유닛(50)이 배치된다. 틸팅원판(30)은 그 하방에 위치한 리프팅 블록(20)에 탑재되어 일체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리프팅 블록(20)은 상기 메인 몸체(10)의 베이스부(11)에 수직으로 입설된 2개의 가이드축(14)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프팅 블록(20)은 리프팅 조작수단에 의해 틸팅원판(30)과 함께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프팅 조작수단은, 상기 메인 몸체(10)의 베이스부(11)에 피봇 결합된 리프팅 핸들(62)과, 상기 리프팅 블록(20)에 피봇핀(67)을 통해 피봇 연결된 레버(64)와, 일단이 상기 리프팅 핸들(6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64)에 피봇 연결된 연결링크(66)로 구성된다.
이때 레버(64)는 피자 반죽물의 원형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레버(64)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리프팅 블록(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자 반죽물 두께 조절나사(6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리프링 블록(20)이 하강된 상태에서 리프팅 블록(20)을 화살표(K)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연결링크(66)가 상승하여 레버(64)를 매개로 리프링 블록(20)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조절나사(68)의 회전 조절방향에 따라 레버핀(65)과 연결링크(66)의 피봇핀(67)과의 높이가 조절되고, 이로 인해 리프팅 블록(20)에 지지된 틸팅원판(30)의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틸팅원판(30)의 최대 상승 위치에서 틸팅원판(30)과 후술할 롤링유닛(50) 저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영역에서 반죽물의 두께가 결정된다.
상기 틸팅원판(30)은, 상기 리프팅 블록(20)에 축부(31)를 통하여 입설된 중앙원판(32)과, 상기 중앙원판(32)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하향각을 갖고 피봇 접동 동작하는 다수의 틸팅날개(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프팅 블록(20)과 틸팅원판(30)의 사이에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틸팅원판(30)을 평면상에 접동 동작시키는 회전캠(4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캠(40)은 상기 축부(31)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회전캠(40)의 저면에 형성된 캠면(41)은 리프팅 블록(2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캠롤러(43)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캠(4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틸팅날개(34)는 기울어지거나 도 3과 같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수평면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즉, 캠면(41)의 최저점이 캠롤러(43)에 접촉되어 있을 경우 틸팅날개(34)는 하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되고, 캠면(41)의 최고점이 캠롤러(43)에 접촉되어 있을 경우 틸팅날개(34)는 화살표(U)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적으로 배치되게 되어 있다.
상기 틸팅원판(30)의 상방에는 롤링유닛(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링유닛(50)은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단측 헤드부(13)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틸팅원판(30)에 지지된 피자 반죽물의 상면을 평탄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롤링유닛(5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회전원반(52)과, 상기 회전원반(52)의 저면에 반경방향에서 소정 각도(θ)만큼 기울어져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다수의 회전롤러(54A,54B,54C,54D,54E,54F)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롤러(54A,54B,54C,54D,54E,54F)들은 각기 서로 다른 반경위치에 배치된다.
회전원판(52)은 도 2와 같이 피동풀리(55)에 연결되어 있고, 피동풀리(55)는 벨트(56)를 매개로 구동풀리(57)와 연결되어 있고, 구동풀리(57)는 구동모터(58)에 축결되어 있다.
상기 롤링유닛(50)의 저면과 상기 틸팅원판(30)의 상면에는 각기 부직포로 제작된 상,하부 커버(82,8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커버(84)와 틸팅원판(30)과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으로 구성된 원형 받침판(85)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버(64)에는 리프팅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7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58)는 리프팅 블록(20)의 상승 동작을 감지하는 상승감지스위치(90)에 의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틸팅원판(30)이 하강 위치에 있게 되면 리프팅 핸들(62)이 컬럼부(12)측으로 젖혀져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부커버(82)와 하부커버(84)의 사이에는 일정 높이만큼 벌어져 있게 된다.
또한 밸런스 웨이트(70)는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상승감지스위치(90)가 오프(OFF)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58)는 정지하고 있다.
다음, 준비된 밀가루 반죽물을 도 1과 같이 하부커버(84)의 상면 중앙에 올려놓는다.
그 다음, 리프팅 핸들(62)을 잡아 당기면 연결링크(66)와 레버(64)를 매개로 리프팅 블록(20)이 상승한다. 이때 밸런스 웨이트(70)는 하강한다. 밸런스 웨이트(70)가 일정량 만큼 하강하게 되면 상승감지스위치(90)가 온(on) 상태로 절환되고 구동모터(58)가 작동하여 롤링유닛(50)은 헤드부(13)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틸팅원반(30)이 도 3과 같이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하면 틸팅원반(30)에 올려진 반죽물은 상부 커버(82)와의 눌림 작용으로 그 둘레가 틸팅날개(34)까지 연장되어 처짐이 일어나게 된다.
이같이 리프팅 핸들(62)을 조작하여 틸팅원판(30)을 최대로 상승시키면 상부커버(82)와 하부커버(84)의 사이에서 반죽물의 원판 두께는 결정된다.
그 다음, 캠 손잡이(40a)를 잡고 회전캠(40)을 회전시키면 캠면(41)의 기울기에 의해 회전캠(40)은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회전캠(40)은 도 3과 같이 틸팅날개(34)를 화살표(U)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 위치까지 밀어올리게 된다.
이같이 틸팅날개(34)가 수평위치까지 자세를 잡게 되는 동안 회전롤러(54)는 회전원반(52)의 중심을 축으로 공전함과 동시에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롤러(54)의 공전운동은 기울기 각도에 의해 접선 방향으로 일어나므로 이러한 회전롤러(54)의 접선력은 구름운동과 함께 일어나므로 피자 반죽물을 직경방향으로 고르게 늘려 정원을 형성시키게 된다.
다음, 리프팅 핸들(62)을 컬럼부(12)측으로 다시 젖히게 되면, 연결링크(66)를 매개로 리프팅 블록(20)이 하강하고, 리프팅 블록(20)에 탑재된 틸팅원반(30) 및 원형으로 형성된 반죽물이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또한 밸런스 웨이트(70)는 상승하여 상승감지스위치(90)는 오프(off) 되고 구동모터(58)는 정지하고 롤링유닛(50)의 회전 동작은 멈춤된다.
리프팅 핸들(62)로 하강 동작이 완료되면 반죽물을 취출해내고 회전캠(40)을 원위치시켜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피자 반죽물 원판 성형 장치에 의하면 두께조절나사(68)에 의해 원판형 반죽물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롤러(54)가 접선방향으로 구름운동하면서 정원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자 반죽물 원판 성형 장치에 따르면, 반죽물 원판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직경이 균일한 피자 반죽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성형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7)

  1. 피자 반죽물을 원판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메인 몸체(10)와;
    상기 메인 몸체(10)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팅 블록(20)과;
    상기 리프팅 블록(20)의 상방에 고정 위치하여 상기 피자 반죽물을 하방에서 받이하는 틸팅원판(30)과;
    상기 리프팅 블록(20)과 틸팅원판(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틸팅원판(30)을 평면상에 접동 동작시키는 회전캠(40)과;
    상기 틸팅원판(30)의 상방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단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틸팅원판(30)에 지지된 피자 반죽물의 상면을 평탄화시켜주는 롤링유닛(50) 및;
    상기 롤링유닛(5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블록(20)은 리프팅 조작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리프팅 조작수단은,
    상기 메인 몸체(10)의 베이스부에 피봇 결합된 리프팅 핸들(62)과;
    상기 리프팅 블록(20)에 피봇 연결된 레버(64)와;
    일단이 상기 리프팅 핸들(6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64)에 피봇 연결된 연결링크(6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64)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 블록(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자 반죽물 두께 조절나사(68)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64)에는 리프팅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70)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원판(30)은,
    중앙원판(32)과;
    상기 중앙원판(32)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하향각을 갖고 피봇 접동 동작하는 다수의 틸팅날개(34)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유닛(50)은,
    회전원반(52)과,
    상기 회전원반(52)의 저면에 반경방향에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다수의 회전롤러(54A,54B,54C,54D,54E,54F)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7.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유닛(50)의 저면과 상기 틸팅원판(30)의 상면에 각기 부직포의 상,하부 커버(82,84)가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KR1020070059329A 2007-06-18 2007-06-18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KR10086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329A KR100866662B1 (ko) 2007-06-18 2007-06-18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329A KR100866662B1 (ko) 2007-06-18 2007-06-18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662B1 true KR100866662B1 (ko) 2008-11-04

Family

ID=4028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329A KR100866662B1 (ko) 2007-06-18 2007-06-18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6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00B1 (ko) * 2017-06-16 2018-07-05 전해명 강황을 주원료로 하는 피자용 도우 제조장치
KR101875010B1 (ko) * 2017-06-16 2018-07-05 전해명 웰빙 보리도우 제조장치
KR101875003B1 (ko) * 2017-06-16 2018-08-02 전해명 피자용 도우 제조장치
CN110353001A (zh) * 2018-12-29 2019-10-22 潘振锋 面块整形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744A (ja) * 1995-05-15 1996-11-26 Sanyo Giken:Kk クレープ生地の引延し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30182A (ko) * 1997-09-29 1999-04-26 레오나르도 그리코 반죽판을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129621A1 (en) 2000-02-29 2001-09-05 Comas S.p.a. Dough-roll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the production of dough shapes for pizza
US20040009256A1 (en) 2002-09-17 2004-01-15 Voyatzakis Andrew D. Dough press shell mold for preventing dough shrinkage after shell 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744A (ja) * 1995-05-15 1996-11-26 Sanyo Giken:Kk クレープ生地の引延し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30182A (ko) * 1997-09-29 1999-04-26 레오나르도 그리코 반죽판을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129621A1 (en) 2000-02-29 2001-09-05 Comas S.p.a. Dough-roll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the production of dough shapes for pizza
US20040009256A1 (en) 2002-09-17 2004-01-15 Voyatzakis Andrew D. Dough press shell mold for preventing dough shrinkage after shell form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00B1 (ko) * 2017-06-16 2018-07-05 전해명 강황을 주원료로 하는 피자용 도우 제조장치
KR101875010B1 (ko) * 2017-06-16 2018-07-05 전해명 웰빙 보리도우 제조장치
KR101875003B1 (ko) * 2017-06-16 2018-08-02 전해명 피자용 도우 제조장치
CN110353001A (zh) * 2018-12-29 2019-10-22 潘振锋 面块整形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662B1 (ko) 피자 반죽물 성형 장치
JP3353189B2 (ja) 波動形に旋回揺動する振盪機
EP0191812B1 (en) Apparatus for rolling circular dough products
CN208509961U (zh) 一种煎饼馃子薄饼刮浆机构
CN112512323B (zh) 改进的食物面团拉伸机及拉伸面团块的方法
CN101836825B (zh) 自动或半自动翻锅装置及应用其的烹调设备
KR100889281B1 (ko) 빵 제조 장치
CN110250554A (zh) 一种烟草定时控温快速烘烤装置
CN106695928B (zh) 一种用于糖块生产切断的机械装置
KR101379484B1 (ko) 경사조절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구이기
KR102077428B1 (ko) 반죽기
US4806090A (en) Chapati making machine
CN103330496B (zh) 煎烤器
US4448416A (en) Balancing game
KR20120018482A (ko) 피자 도우 성형기
KR100400611B1 (ko) 냄비뚜껑 연마장치
KR900007827B1 (ko) 구형반죽 물질 상부의 비틀기 및 성형장치
ES2240447T3 (es) Aparato aplanador de masas para la preparacion de pizzas finas.
KR200274692Y1 (ko) 빵 성형틀 회전구
KR200472829Y1 (ko) 로스터의 돌구이판의 승강장치
JP3133959B2 (ja) 両面焼き調理機
JP2016120574A (ja) ワーク切断装置
CN116158473A (zh) 一种茶叶加工设备
CN218943039U (zh) 一种煎烤机
CN215457762U (zh) 一种用于旋转拖把的拖把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