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301B1 -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301B1
KR100864301B1 KR1020070066585A KR20070066585A KR100864301B1 KR 100864301 B1 KR100864301 B1 KR 100864301B1 KR 1020070066585 A KR1020070066585 A KR 1020070066585A KR 20070066585 A KR20070066585 A KR 20070066585A KR 100864301 B1 KR100864301 B1 KR 10086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und
charge transport
material composition
in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희
박병천
권정민
Original Assignee
(주)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켐스 filed Critical (주)켐스
Priority to KR102007006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 G03G5/047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 transport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5Coating meth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4Inert intermediate or cover layers for charge-receiv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OPC 드럼은 알루마이트 도금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파이프에 티타늄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에 인듐이 혼합된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하 발생재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고, 스틸벤(stilbene)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트리페닐디아민(triphenyl diamine: TPD)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환경 안정성, 경시 안정성, OPC 드럼,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스틸벤, 트리페닐디아민, 전하 발생층, 전하 수송층

Description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Organic Photo Conductor Drum with Good Image Stability under Heaby Climates and Good Color Stability, Composition for the Same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프린터의 토너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전자 사진 감광체(organic photo conductor: "OPC") 드럼(drum)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린터 인쇄의 좋은 화상(image)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고온고습이나 저온저습과 같은 나쁜 기후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갖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화상의 경시 변화가 없는 새로운 OPC 드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OPC 드럼은 프린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자 사진 감광체이다. OPC 드럼은 도전성 지지체 상에 전자 사진 감광층을 형성한 것으로서, 통상 알루미늄 파이프 외부 표면에 알루마이트 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을 차례로 형성하여 전하의 이동에 따라 토너 입자를 이동시켜 필요한 내용을 인쇄하게 된다.
좋은 화상을 갖는 인쇄를 하기 위하여 OPC 드럼은 아주 중요하다. 특히 OPC 드럼의 표면에 형성되는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은 인쇄 화상 품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또는 인쇄량이 많을수록 인쇄 화상 품질은 차츰 저하된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좋은 인쇄 화상 품질을 유지하고, 가급적 많은 양을 인쇄하여도 좋은 인쇄 화상 품질을 유지하는 것은 OPC 드럼의 영원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또한 OPC 드럼은 환경 변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온고습의 기후나 저온저습의 기후인 경우에, OPC 드럼의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이 나쁜 영향을 받고 그 결과 환경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인쇄 화상 품질을 위한 연구과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OPC 드럼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성분의 전하 발생 재료와 전하 수송재료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을 형성함으로써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OPC 드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고습이나 저온저습과 같은 기후환경에서도 좋은 인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환경 안정성을 갖는 OPC 드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좋은 인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갖는 OPC 드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 안정성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OPC 드럼을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전하 발생 재료 조성물과 전하 수송 재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OPC 드럼은 알루마이트 도금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파이프에 티타늄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에 인듐이 혼합된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하 발생재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고, 스틸벤(stilbene)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트리페닐디아민(triphenyl diamine: TPD)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전하 발생 재료(charge generation material: "CGM") 조성물은 인 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0.5∼5 중량%와 바인더 수지 0.5∼5 중량%를 용매 90∼99 중량%에 용해시켜 제조하며,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은 70∼99 중량%의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과 30∼1 중량%의 인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하 수송 재료(charge transport material: "CTM") 조성물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TPD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하 수송 재료 5∼12 중량%와 바인더 수지 5∼15 중량%를 용매 73∼90 중량%에 용해시켜 제조하며, 상기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 총 중량의 2∼5 중량%이고, TPD 화합물은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 총 중량의 3∼7 중량%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OPC 드럼은 도전성 지지체로 알루미늄 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알루미늄 파이프로부터 OPC 드럼을 제작하는 단계는 크게 4 단계로 구분된다. 첫 단계는 알루미늄 파이프 표면을 가공하고, 두 번째 단계는 알루마이트 도금 처리를 하고, 세 번째 단계는 전하 발생 재료(CGM)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전하 발생 재료 액(CGM Liquid: "CGL")으로 코팅하고, 마지막으로 전하 수송 재료(CTM)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전자 수송 재료액(CTM Liguid: "CTL")으로 코팅한다.
첫 단계인 표면 가공 단계는 알루미늄 파이프의 표면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공정으로, 통상 기존의 가공기에서 바이트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일종의 기계적인 세정(polishing) 공정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인 알루마이트 도금 처리 공정은 상기 표면처리된 알루미늄 파이프에 알루마이트를 도금하여 알루마이트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강제 산화 아노다이징(anodizing)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알루마이트 도금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반사 및 다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알루마이트 도금층이 형성되면, 그 위에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는 세 번째 단계를 행한다. 종래에는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전하 발생 재료로 사용한 CGL 조성물을 코팅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환경 안정성과 경시 안정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에 인듐이 혼합된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전하 발생 재료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전하 발생 재료(charge generation material: "CGM") 조성물은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0.5∼5 중량%와 바인더 수지 0.5∼5 중량%를 용매 90∼99 중량%에 용해시켜 제조한다.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은 70∼99 중량%의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과 30∼1 중량%의 인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CGL 조성물은 용매로 THF(테트라히드로퓨란)를 사용하고,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폴리비닐 아세탈(polyvinyl acetal: PV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알루마이트 도금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파이프는 위에서 제조된 CGL 액에 침지하여 알루마이트 도금층 위에 전하 발생층을 형성시킨다. 침지되었던 알루미늄 파이프는 자연 건조시켜 CGL 액을 건조시킨다. CGL 액에 사용된 용제가 THF이기 때 문에 자연건조가 가능하다.
CGL 액이 건조되어 전하 발생층이 형성되면, 그 위에 전하 수송층을 형성시킨다.
전하 수송층은 스틸벤(stilbene)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트리페닐디아민(triphenyl diamine: TPD)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전하 수송 재료(CTM) 조성물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TPD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하 수송 재료 5∼12 중량%와 바인더 수지 5∼15 중량%를 용매 73∼90 중량%에 용해시켜 제조한다. 상기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전하 수송 재료(CTM) 조성물 총 중량의 2∼5 중량%이고, TPD 화합물은 전하 수송 재료(CTM) 조성물 총 중량의 3∼7 중량%이다. TPD 화합물은 메타형, 파라형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TL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유기용제로서 THF와 톨루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F와 톨루엔의 사용비율은 중량비로서 약 75 : 25 ~ 70 : 30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TL 용액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있다.
전하 발생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파이프는 위에서 제조된 CTL 액에 침지하여 전하 발생층 위에 전하 수송층을 형성시킨다. 침지되었던 알루미늄 파이프는 약 100~130 ℃ 온도에서 약 10~30 분간 건조시켜 전하 수송층을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CGL 액과 CTL 액으로 알루마이트 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파이프에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온고습이나 저온저습 과 같은 열악한 기후환경에서도 좋은 인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환경 안정성을 갖고 시간이 경과하여도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갖는 OPC 드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온고습이나 저온저습과 같은 기후환경에서도 좋은 인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환경 안정성을 갖고, 시간이 경과하여도 좋은 인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갖는 OPC 드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 안정성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OPC 드럼을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전하 발생 재료 조성물과 전하 수송 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알루마이트 도금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파이프에 티타늄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에 인듐이 혼합된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하 발생재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고; 그리고
    스틸벤(stilbene)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트리페닐디아민(triphenyl diamine: TPD)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OPC 드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재료 조성물은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0.5∼5 중량%와 바인더 수지 0.5∼5 중량%를 용매 90∼99 중량%에 용해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C 드럼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은 70∼99 중량%의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과 30∼1 중량%의 인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C 드럼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TPD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하 수송 재료 5∼12 중량%와 바인더 수지 5∼15 중량%를 용매 73∼90 중량%에 용해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C 드럼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 총 중량의 2∼5 중량%이고, TPD 화합물은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 총 중량의 3∼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C 드럼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OPC 드럼.
  8.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0.5∼5 중량%와 바인더 수지 0.5∼5 중량%를 용매 90∼99 중량%에 용해시켜 제조하며, 상기 인듐계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은 70∼99 중량%의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화합물과 30∼1 중량%의 인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C 드럼용 전하 발생재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THF이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폴리비닐 아세탈(polyvinyl acetal: PV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C 드럼용 전하 발생재료 조성물.
  10.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TPD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하 수송 재료 5∼12 중량%와 바인더 수지 5∼15 중량%를 용매 73∼90 중량%에 용해시켜 제조하며, 상기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 총 중량의 2∼5 중량%이고, TPD 화합물은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 총 중량의 3∼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C 드럼용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유기용제로서 THF와 톨루엔이 75 : 25 ~ 70 : 3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C 드럼용 전하 수송재료 조성물.
KR1020070066585A 2007-07-03 2007-07-03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64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585A KR100864301B1 (ko) 2007-07-03 2007-07-03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585A KR100864301B1 (ko) 2007-07-03 2007-07-03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301B1 true KR100864301B1 (ko) 2008-10-20

Family

ID=4017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585A KR100864301B1 (ko) 2007-07-03 2007-07-03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3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310A (ja) 1998-06-17 2000-01-14 Dainippon Ink & Chem Inc 電子写真感光体
KR20010109182A (ko) * 2000-05-31 2001-12-08 추후제출 전자사진용 감광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5941A (ko) * 2001-10-26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유기 감광체
JP2005338716A (ja) 2004-05-31 2005-12-08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310A (ja) 1998-06-17 2000-01-14 Dainippon Ink & Chem Inc 電子写真感光体
KR20010109182A (ko) * 2000-05-31 2001-12-08 추후제출 전자사진용 감광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5941A (ko) * 2001-10-26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유기 감광체
JP2005338716A (ja) 2004-05-31 2005-12-08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19791A1 (de) Elektrophotographische platte
JPH04268565A (ja) 電子写真画像形成部材のための電荷発生層および電荷輸送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64301B1 (ko)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337152B2 (ja)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KR100864317B1 (ko) 표면 내구성, 환경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 및 그 제조방법
EP1672007A1 (en) Imaging member
DE4238413A1 (en) Electrophotographic charge transport layer compsn. - contg. co-polycarbonate based on bisphenol-alkane and bisphenol, avoiding use of halogenated solvent
KR100516366B1 (ko) 전자사진용감광체및그제조방법
JPS58162955A (ja) 有機光導電体
JPH02259769A (ja) オーバーコーティングされた感光体
JPS63243946A (ja) 電子写真感光体
DE4411732A1 (de) Elektrophotographischer Photoleiter
CN1357800A (zh) 电子摄影用感光体的制造方法
CN1514308A (zh) 湿显影电子照相感光器
JPH08262751A (ja) 電荷輸送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H06105363B2 (ja) 積層型電子写真感光体
CN116627009A (zh) 一种弱化干涉条纹的电子照相感光体及其制备方法
TWI595333B (zh) 電子相片用感光體
JPH01142641A (ja) 電子写真感光体
JPS63243947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2168262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5585668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H04147264A (ja) 電子写真感光体
CN1892446A (zh) 电荷产生分散体及用其制备电子照相感光体的方法
JPH0248670A (ja) 電子写真感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