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830B1 -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830B1
KR100862830B1 KR1020020050479A KR20020050479A KR100862830B1 KR 100862830 B1 KR100862830 B1 KR 100862830B1 KR 1020020050479 A KR1020020050479 A KR 1020020050479A KR 20020050479 A KR20020050479 A KR 20020050479A KR 100862830 B1 KR100862830 B1 KR 100862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gie
skid
rod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448A (ko
Inventor
김선국
박봉규
박용순
조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8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의 폭이 좁거나 넓음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고, 고속이동중에도 코일의 중심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줌으로서 코일의 전복에 의한 설비파손을 방지하고, 설비 가동률을 향상시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차의 리프터상에 마련된 스키드의 양측벽에는 스키드의 중앙으로 향하여 로드를 형성한 복수의 유압실린더를 장착하고, 상기 로드의 끝단에는 각각 완충라이너를 장착하여 스키드의 양측면을 클램프하도록 함으로써 고속대차의 이동중에 스키드상에서 코일이 대차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의 선단에 장착되는 완충 라이너들은 각각 직경이 확대된 원판형식의 베이스를 통하여 상기 로드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는 원판형의 직경이 확대된 구조를 갖춤으로서 완충 라이너가 코일에 접촉하는 경우, 국부적인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고,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대차의 이동중에 상기 로드로부터 코일의 측면에 무리한 큰 하중이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대차의 코일 전복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코일 운반, 고속대차, 스키드, 유압실린더, 완충라이너, 코일 전복 방지장치

Description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IL DROPOUT FROM MOVING CART}
제 1도는 일반적인 코일 이송대차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2도는 코일 이동대차가 작업장을 주행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a)도는 일부 절개 사시도, b)도는 측단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를 구비한 대차가 작업장을 주행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에 갖춰진 유압 실린더의 유압회로가 대차구동 유압 시스템의 회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유압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코일전복 방지장치 10.... 유압 실린더
12a,12b... 수직측벽 15.... 관통홀
20.... 클램프 브라켓트 22.... 링부재
25.... 다수개의 다리부 27.... 볼트 구멍
30.... 플랜지 40.... 베이스
43.... 완충 라이너 48a,48b... 유압회로
50.... 유압 시스템 100.... 대차
105... 코일 110.... 레일
112... 휠 120.... 승하강 실린더
130.... 스키드 132.... ∨형의 홈
D.... 압력조절발브 P.... 압력스위치(SWITCH)
S1~S7... 위치검출센서
본 발명은 열연 공정이나 냉연공정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코일 운반용 고속대차에 상차된 코일의 전복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코일의 폭이 좁거나 넓음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고, 고속이동중에도 코일의 중심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줌으로서 코일의 전복에 의한 설비파손을 방지하고, 설비 가동률을 향상시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설비의 압연공정에서 생산된 코일은 다음 공정으로 운반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운반 고속대차(100)에 안착되어진다.
상기 대차(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작업장(Y1)으로 부터 타측의 작업장(Y2)으로 코일(105)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일(110)상을 왕복이동하는 것으로서, 이는 레일(110)상에서 이동가능한 휠(112)을 하부에 갖추고, 그 상부에는 리프터의 승하강 실린더(120)에 의해서 승하강하는 스키드(130)를 갖는다.
상기 스키드(130)는 그 상부에 코일(105)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코일(105)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의 홈(132)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속운반 대차(100)는 압연공정에서는 필수적으로 압연유를 사용함으로서 고속대차(100)의 스키드(SKID)(130)와, 이에 안착되는 코일(105)의 접촉 면은 항상 미끄럼 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고속으로 대차(100)가 이동중에는 레일(110)의 이음매 부분에서 대차(100)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러한 충격력들은 스키드(130)상의 코일(105)들이 제1도에서와 같이 조금씩 대차(100)가 진행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스키드(130) 상에서 중앙으로 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서 편심이동되어 간다.
이 상태에서 작업장으로 위치 이동된 대차(100)에서 리프터(LIFTER) 장치의 승하강 실린더(120)가 상승(UP)되어 코일(105)을 들어 올리게 되면, 코일(105)은 스키드(130)로 부터 전복되어 돌발적으로 대차(100)로 부터 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차(100)로 부터 코일(105)이 전복되어 낙하되면, 이는 그 중량이 수십톤에 해당되기 때문에 작업장 주변설비를 크게 파손시키게 되며, 이러한 파손된 설비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코일 이송설비의 가동률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대차(100)가 아닌 별도의 육상 운반수단을 이용함으로서 코일(105) 이송작업에 따른 조업이 번거롭게 되고 생산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속대차에 상차된 코일의 폭에 무관하게 대응할 수 있고, 대차의 이동중에 코일의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스키드상에 정확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리프터(LIFTER)의 승하강 실린더에 의해서 코일을 상승시킬 때, 코일의 전복을 방지함으로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며, 작업장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있어서 설비의 자동화를 이루고, 그에 따른 설비가동률의 향상과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차의 코일 전복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 운반용 고속대차에 상차된 코일을 대차의 이동중에 고정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차의 리프터상에 마련된 스키드의 양측벽에는 스키드의 중앙으로 향하여 로드를 형성한 복수의 유압실린더를 장착하고, 상기 로드의 끝단에는 각각 완충라이너를 장착하여 스키드의 양측면을 클램프하도록 함으로써 고속대차의 이동중에 스키드상에서 코일이 대차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의 선단에 장착되는 완충 라이너들은 각각 직경이 확대된 원판형식의 베이스를 통하여 상기 로드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는 원판형의 직경이 확대된 구조를 갖춤으로서 완충 라이너가 코일에 접촉하는 경우, 국부적인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고,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대차의 이동중에 상기 로드로부터 코일의 측면에 무리한 큰 하중이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코일 전복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1)는 도 3에 분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대차(100)의 스키드(130) 양쪽에 유압 실린더(10)를 설치하기 위하여 스키드(130)를 이루는 양측의 수직 측벽(12a)(12b)에 관통홀(HOLE)(15)을 가공하고 클 램프 브라켓트(20)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20)는 고리형의 링부재(22)를 다수개의 다리부(25)가 상기 수직 측벽(12a)(12b)의 외면에 고정시킨 것으로서, 상기 링부재(22)의 중앙 구멍(22a)은 상기 수직 측벽(12a)(12b)의 관통홀(15)에 각각 그 중심이 일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부재(22)의 구멍(22a)과 수직 측벽(12a)(12b)의 관통홀(15)을 통과하도록 각각 유압 실린더(10)들을 조립하고, 상기 링부재(22)에는 볼트 구멍(27)을 가공하여 유압실린더(10)의 몸체에 마련된 플랜지(30)와 볼트(32)로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 전복 방지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실린더(10)의 로드(10a)들이 스키드(130)의 수직 측벽(12a)(12b)으로 부터 스키드(130) 내측으로 향한 배치구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10a)의 선단에는 각각 직경이 확대된 원판형식의 베이스(40)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40)의 타측면에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완충 라이너(43)를 볼트(45)로서 장착하여 코일(105)의 양측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하여 코일(105)의 파손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40)는 원판형의 직경이 확대된 구조를 갖춤으로서 완충 라이너(43)가 코일(105)에 접촉하는 경우, 국부적인 응력집중을 방지하고,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대차(100)의 이동중에 상기 로드(10a)로 부터 코일(105)의 측면에 무리한 큰 하중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유압 실린더(10)에는 유압 호스(11)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유압회로(48a)(48b) 계통은 대차(100)를 전,후진 시키고, 리프터의 승하강 실린더(120)를 동작시키는 대차(100)의 유압 시스템(50)으로 부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되며, 이와 같은 대차(100)의 유압 시스템(50)으로 부터 유압 호스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10)의 로드(10a)를 전,후진 시키는 기술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압기술을 채용하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러한 유압회로(48a)(48b)는 당업자에게는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차(100)에는 스키드(130)의 승하강 높이를 위치 제어하기 위하여 센서(SENSOR)(S1)(S2)를 스키드(130)의 일측에 각각 설치하고, 코일(105) 이동대차(100)상에서 스키드(130)의 좌우이동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센서(SENSOR)(S3)(S4)를 대차(100)상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0) 구동용 유압회로(48a)(48b)의 내부에는 압력스위치(SWITCH)(P)가 각각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10)의 로드(10a)가 코일(105)의 측면을 누르는 경우, 압력조절발브(D)를 통하여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코일(105)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S5)(S6)(S7)들은 작업장에 갖춰진 대차(100)의 위치검출센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제5도와 제6도를 참조하여 그 작용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1)는 코일(105)의 위치를 작업장(Y1)에서 작업장(Y2)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업장(Y2)에 대기하고 있는 고속대차(100)를 작업장(Y1)으로 이동시키고, 센서(S5)로 대차(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신호를 피드백(FEED BACK) 받고, 대차(100)를 정지 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장(Y1)에서 일측의 스키드(130)에 있는 코일(105)을 고속대차(100)에 상차하기 위하여 대차(100)상에서 스키드(130)를 이동시키고, 리프터의 승하강 실린더(120)를 이용하여 스키드(130)를 상승시켜 그 상부측 중앙부에 코일(105)의 상차를 완료하면, 각각의 유압 실린더(10)들을 동작시킨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10)들의 로드(10a)는 스키드(130)의 수직측벽(12a)(12b)으로 부터 코일(105)의 측면으로 전진하여 도 4b)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0a)의 끝단에 마련된 완충 라이너(43)들이 코일(105)의 양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10)로 부터 인출되는 로드(10a)들은 코일(105)의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유압회로도(48a)(48b)에 마련된 압력 스위치(p)와 압력조절밸브(d)들을 통하여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코일(105)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압 실린더(10)들의 로드(10a)들은 상기 코일(105)의 폭에 무관하게 코일(105)의 측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키드(130)상에서 코일(105)의 고정 지지작업이 유압 실린더(10)에 의해서 이루어지면, 고속대차(100)는 작업장(Y2)으로 이동한다. 상기 작업장(Y2)에서는 센서(S6) 또는 센서(S7)의 신호를 피드백(FEED BACK) 받으며, 정해진 위치에 도착이 완료되면, 대차(100)는 이동을 정지하고, 유압 실린더(10)는 그 로드(10a)들을 오픈(OPEN)상태로 작동한다.
그 작동은 대차 작동용 유압 시스템과 유압회로도(48a)(48b)를 동작시키면 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대차(100)는 작업장(Y2)에서 작업장(Y1)으로 코일(105)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1)는 동일하게 실행되어 그 어느쪽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대차(100)에 상차된 코일(105)이 고속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레일(110)의 이음매 또는 출발할 때의 추력으로 스키드(130)상의 코일(105)이 대차(100)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유압 실린더(10)들이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차(100)의 고속이동중에도 스키드(130)상에 코일(105)이 정위치됨으로써 대차(100)의 리프터에 갖춰진 승하강 실린더(120)가 작동되어도 항상 정위치에서 코일(105)을 들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코일(105)의 전도를 방지하여 주변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장간에서 원활한 코일(105) 이송작업을 이루어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작업원가의 절감에 기여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4)

  1. 코일 운반용 고속대차(100)에 상차된 코일(105)의 전복을 대차(100)의 이동중에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차(100)의 리프터상에 마련된 스키드(130)의 양측벽(12a)(12b)에는 스키드(130)의 중앙으로 향하여 로드(10a)를 형성한 복수의 유압실린더(10)를 장착하고, 상기 로드(10a)의 끝단에는 각각 완충라이너(43)를 장착하여 스키드(130)의 양측면을 클램프함으로써 고속대차(100)의 이동중에 스키드(130)상에서 코일(105)이 대차(100)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10a)의 선단에 장착되는 완충 라이너(43)들은 각각 직경이 확대된 원판형식의 베이스(40)를 통하여 상기 로드(10a)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40)는 원판형의 직경이 확대된 구조를 갖춤으로서 완충 라이너(43)가 코일(105)에 접촉하는 경우, 국부적인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고,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대차(100)의 이동중에 상기 로드(10a)로 부터 코일(105)의 측면에 무리한 큰 하중이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10)는 스키드(130)를 이루는 양측의 수직 측벽(12a)(12b)에 관통홀(HOLE)(15)을 가공하고 클램프 브라켓트(20)를 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20)는 고리형의 링부재(22)를 다수개의 다리부(25)가 상기 수직 측벽(12a)(12b)의 외면에 고정시킨 것이며, 상기 링부재(22)의 구멍(22a)과 수직 측벽(12a)(12b)의 관통홀(15)을 통과하도록 각각 유압 실린더(10)들이 조립되고, 상기 링부재(22)는 볼트 구멍(27)을 가공하여 유압실린더(10)의 몸체에 마련된 플랜지(30)와 볼트(32)로서 고정됨으로서 상기 유압 실린더(10)의 로드(10a)들이 스키드(130)의 수직 측벽(12a)(12b)으로 부터 스키드(130) 내측으로 향하여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0)는 로드(10a)가 코일(105)의 측면을 누르는 경우, 유압회로(48a)(48b)의 내부에 갖춰진 압력스위치(SWITCH)(P)가 압력조절발브(D)를 통하여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코일(105)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KR1020020050479A 2002-08-26 2002-08-26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KR100862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79A KR100862830B1 (ko) 2002-08-26 2002-08-26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79A KR100862830B1 (ko) 2002-08-26 2002-08-26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48A KR20040019448A (ko) 2004-03-06
KR100862830B1 true KR100862830B1 (ko) 2008-10-13

Family

ID=3732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479A KR100862830B1 (ko) 2002-08-26 2002-08-26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7385A (zh) * 2012-10-19 2013-01-23 无锡市百顺机械厂 一种钢卷小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9292U (ko) * 1976-03-04 1977-09-09
JPS53143828U (ko) * 1977-04-19 1978-11-13
JPH0189807U (ko) * 1987-12-02 1989-06-13
JPH02127317A (ja) * 1988-11-07 1990-05-16 Toyota Auto Body Co Ltd 樹脂成形材料の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JPH0751744A (ja) * 1993-08-19 1995-02-28 Nippon Steel Corp コイル転倒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9292U (ko) * 1976-03-04 1977-09-09
JPS53143828U (ko) * 1977-04-19 1978-11-13
JPH0189807U (ko) * 1987-12-02 1989-06-13
JPH02127317A (ja) * 1988-11-07 1990-05-16 Toyota Auto Body Co Ltd 樹脂成形材料の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JPH0751744A (ja) * 1993-08-19 1995-02-28 Nippon Steel Corp コイル転倒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48A (ko) 200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34624A (zh) 一种叉车门架焊接后的出胎装置
CA281012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oeuvring and support of panels
KR100862830B1 (ko) 대차의 코일전복 방지장치
KR20130029627A (ko) 레일 이동형 계단 운용 대차
JP4507913B2 (ja)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
CN110902620A (zh) 一种翻身设备及薄板分段的翻身方法
CN110902574A (zh) 可识别位置的夹持小车、翻身设备及薄板分段翻身系统
JPH08239046A (ja) 運搬台車
CN110902563A (zh) 一种薄板分段翻身系统及薄板分段的翻身方法
CN105253816A (zh) 一种手动电气箱安装专用叉车
JP5616660B2 (ja) 台車および重量物の設置方法
JP3015351B1 (ja) 重量物搬送装置
CN210340263U (zh) 一种翻转速度可控的翻身设备
CN111842760A (zh) 移动工作台装置及其快速转换受力体系的方法
JP6234831B2 (ja) 昇降ローラー付運搬用台車
KR20060026332A (ko) 대형 구조물 이동 및 잭킹 장치
CN212384504U (zh) 移动工作台装置
CN218754829U (zh) 一种用于工厂内大长节段钢构件的运输装置
US3830324A (en) Transporter for heavy loads
KR100306632B1 (ko)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18361400U (zh) 一种用于转运铝箔套筒的缓冲装置
CN112357327B (zh) 一种大型管件运输设备和运输方法
CN217457712U (zh) 一种带有弹簧升降的气动小车
CN210340126U (zh) 可识别位置的夹持小车、翻身设备及薄板分段翻身系统
JP5490814B2 (ja) 圧延スタンドのロール用の駆動スピンドルを搬送するための台車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